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변분법을 사용하여 범함수의 정류점을 찾는 데 사용되는 편미분 방정식이다.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1750년대에 타우토크론 문제 연구를 위해 개발했다. 이 방정식은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 역학, 심플렉틱 기하학, 리만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뉴턴 역학을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계 도함수, 여러 함수, 여러 변수를 포함하는 경우로 확장될 수 있으며, 장 이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분 가능 다양체 와 그 접다발 를 생각한다. 유한한 닫힌 구간 와, 연속미분가능 다발 사상 , , , 를 생각한다. 의 두 번째와 세 번째 변수를 미분하여 도함수 다발 사상 와 를 정의할 수 있다. 임의의 연속미분가능함수 를 정의역으로 하는 범함수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1750년대에 타우토크론 문제(등시강하곡선 문제)를 연구하면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개발하였다.
1차원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의 유도는 변분법의 기본정리에 기반한다.[4]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뉴턴 역학을 일반화 좌표로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뉴턴 역학에서 라그랑지안은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의 차이로 주어지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뉴턴의 운동 방정식과 동등하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작용의 최소 원리에서 유도된다. 이 원리에 따르면, 물리 현상은 라그랑지안(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의 차이)의 시간 적분인 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이러한 작용의 최소 원리를 만족하는 물체의 궤적을 변분법을 통해 구하는 과정에서 유도된다.[8]
2. 정의
: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도함수 를 뜻한다. 주어진 경계조건
:
:
아래 의 정류점을 찾는 변분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변분문제의 해 는 다음 방정식
:
을 만족한다. 이를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라고 부른다.
(X, L)을 자유도 n인 실수 역학계라 하자. 여기서 X는 배위 공간이고, L = L(t, q(t), v(t))는 매끄러운 실수값 함수인 라그랑주량이다. q(t) ∈ X이고, v(t)는 n차원 "속도 벡터"이다.
q(a) = xₐ이고 q(b) = xբ인 매끄러운 경로 q: [a, b] → X의 집합을 P(a, b, xₐ, xբ)라 하자. 작용 함수 S: P(a, b, xₐ, xբ) → 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경로 q ∈ P(a, b, xₐ, xբ)가 S의 정상점이 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이고, 그 경우에만 가능하다.
:
여기서 q̇(t)는 q(t)의 시간에 대한 도함수이다.
3. 역사
타우토크론 문제는 가중치가 있는 입자가 출발점에 관계없이 고정된 시간에 고정된 지점으로 낙하하는 곡선을 결정하는 문제이다.
라그랑주는 1755년에 이 문제를 해결하고 그 해결책을 오일러에게 보냈다. 두 사람은 이 방법을 더욱 발전시켜 역학에 적용했고, 이는 라그랑주 역학의 공식화로 이어졌다. 이들의 서신은 궁극적으로 1766년 오일러가 만든 변분법으로 이어졌다.[3]
4. 증명
경계 조건 f(a) = c, f(b) = d를 만족하고, 다음 범함수 ''J''를 최대 또는 최소로 만드는 함수 ''f''를 찾는다고 가정한다.
:
여기서 ''F''는 연속적인 편미분값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f''가 상대 범함수를 최대 또는 최소로 만든다면, ''f''에 매우 작은 변화를 가했을 때 ''J''의 값은 늘거나(''f''가 ''J''를 최소화할 때) 줄 수 있다(''f''가 ''J''를 최대화할 때).
''f''에 매우 작은 변화를 준 함수 ''g''ε(''x'') = ''f''(''x'') + εη(''x'')를 도입한다. 여기서 η(''x'')는 η(''a'') = η(''b'') = 0을 만족하는 미분 가능한 함수이다. ''f'' 대신 ''g''를 넣은 ''J''는 다음과 같은 함수가 된다.
:
''J''를 ''ε''에 대해 미분한 전미분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전미분의 정의에 의해 다음 식이 유도된다.
:
따라서,
:
''ε'' = 0 이면 ''g''''ε'' = ''f'' 이고, ''f'' 가 ''J''를 극값으로 만드는 부분이므로, ''J
:
두 번째 항에 부분적분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η''에 대한 경계값 조건을 이용하면,
:
변분법의 기본정리를 적용하면,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얻는다.
:
5. 뉴턴 역학과의 관계
3차원 데카르트 좌표계 에서 시간 미분 는 속도를 나타낸다. 퍼텐셜이 속도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라그랑지안 L은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의 차이, 즉
로 표현된다. 이때 라그랑주의 운동 방정식은
가 되며, 이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과 일치한다.
일반화 운동량 을 사용하면,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일반화 운동량의 미분 = 일반화 힘) 형태로 표현된다. 이는 뉴턴 방정식의 "운동량의 미분 = 힘"을 일반화한 것이다.
5. 1. 일반화 좌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데카르트 좌표계를 사용하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과 달리, 임의의 좌표( '''일반화 좌표''' )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예를 들어 단진자의 운동을 기술할 때, 뉴턴 방정식에서는 세로축과 가로축 방향의 두 변수(데카르트 좌표)가 필요하여 식이 복잡해진다. 하지만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사용하면 단진자의 각도라는 하나의 변수(일반화 좌표)만으로 운동을 기술할 수 있어 더 간단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단진자의 길이는 일정하다고 가정) 물론 뉴턴 방정식으로 식을 세운 후 극좌표로 변환하여 같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지만,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이러한 변환 없이 처음부터 각도에 대한 방정식을 직접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6.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
작용의 최소 원리는 뉴턴 역학(광학의 페르마의 원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에서 발견되었지만, 전자기학, 상대성이론 등 다른 분야에서도 적용된다.[9]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서도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과 유사한 방정식을 만들 수 있으며, 이 방정식들은 해당 분야의 기본 방정식과 동일하다.
뉴턴 역학의 경우, 라그랑지안을 르장드르 변환하여 해밀토니안(에너지)을 얻고,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해밀토니안을 사용하여 다시 쓰면 해밀턴의 정준 방정식을 얻는다. 그러나 뉴턴 역학 이외의 분야에서는 라그랑지안-해밀토니안 변환이 쉽지 않다.
새로운 물리학 분야를 연구할 때, 라그랑지안이나 해밀토니안을 정의하면,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나 정준 방정식에 해당하는 방정식을 공식화할 수 있어, 미지의 영역에서 기본 방정식을 유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6. 1. 라그랑주 역학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1750년대에 오일러와 라그랑주가 타우토크론 문제 연구와 관련하여 개발되었다. 이 문제는 가중치가 있는 입자가 출발점에 관계없이 고정된 시간에 고정된 지점으로 낙하하는 곡선을 결정하는 문제이다.[3]
라그랑주는 1755년에 이 문제를 해결하고 그 해결책을 오일러에게 보냈다. 두 사람 모두 라그랑주의 방법을 더욱 발전시켜 역학에 적용했고, 이는 라그랑주 역학의 공식화로 이어졌다. 그들의 서신은 궁극적으로 1766년 오일러 자신이 만든 용어인 변분법으로 이어졌다.[3]
라그랑주 역학에서 함수 는 '''일반화 좌표''' 이며, 그 변수는 시간 t이다. 일반화 좌표의 차원 f를 계의 (역학적인) 자유도라고 한다. 함수 F는 '''라그랑지안''' L이 그 역할을 한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점은 시간에 대한 미분을 나타낸다. 이 식을 특히 '''라그랑주의 운동 방정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화 운동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것을 사용하면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
위 식의 우변을 '''일반화 힘'''이라고 부르면, 위 방정식은 「일반화 운동량의 미분 = 일반화 힘」을 의미한다.
뉴턴 방정식은 「운동량의 미분 = 힘」이었으므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뉴턴 방정식을 일반화 좌표로 확장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6. 2. 해밀턴 역학
라그랑지안을 르장드르 변환하면 해밀토니안(에너지에 대응하는 함수)을 얻을 수 있으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해밀턴의 정준 방정식으로 다시 쓸 수 있다.[8] 이 방정식들은 뉴턴 역학의 기본 방정식 중 하나이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나 정준 방정식으로 기술한 뉴턴 역학을 해석역학이라고 한다. 뉴턴 역학 이외의 분야에서는 라그랑지안에서 해밀토니안으로(혹은 그 역) 쉽게 변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7. 일반화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여러 변수를 갖는 함수, 여러 함수, 그리고 함수의 고계 도함수를 포함하는 경우 등 다양하게 일반화될 수 있다.
여러 함수와 여러 변수의 경우
- 여러 개의 함수와 여러 개의 변수가 있는 경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각 함수에 대한 편미분 항을 포함하는 연립 방정식 형태로 확장된다.[5]
- 예를 들어, m개의 함수 \(f_1, \dots, f_m\)과 n개의 변수 \(x_1, \dots, x_n\)이 있다면, 각 함수 \(f_i\)에 대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mathcal{L}\)은 라그랑지언이고, \(f_{i,j} := \cfrac{\partial f_i}{\partial x_j}\) 이다.
7. 1. 고계 도함수를 포함하는 경우
범함수가 함수의 고계 도함수를 포함하는 경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고계 도함수에 대한 편미분 항을 포함하는 형태로 확장된다.함수형식
:
의 정류값은 다음의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5]
:
단, 함수 자체뿐만 아니라 처음 개의 도함수에 대해 고정된 경계 조건이 주어져야 한다. 최고차 도함수 의 끝점 값은 유동적이다.
두 변수 '''x'''1과 '''x'''2에 의존하는 미지 함수 '''f'''가 하나 있으며, 함수가 '''f'''의 '''n'''차까지의 고계도함수에 의존하는 경우, 즉
:
이면,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5]
:
이는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는 변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 경우 1부터 2까지의 값을 가진다. 과 같이 동일한 편도함수를 여러 번 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표에 대한 합은 에 대해서만 계산된다.
7. 2. 여러 함수와 여러 변수의 경우
여러 개의 함수와 여러 개의 변수가 있는 경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확장된다.[5]:
여기서 이다. 이것은 각 함수 에 대한 편미분 항을 포함하는 연립 방정식 형태이다. 즉, 여러 변수 과 여러 함수 에 대해, 각 함수 에 대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 시스템을 이룬다.
7. 3. 장 이론
위에서는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의 물리학적 측면을 설명했지만, 방정식 자체는 물리학과 무관하게 정식화할 수 있으므로, 먼저 물리학적 배경에서 벗어나 방정식을 설명하고, 그 후에 방정식의 뉴턴 역학적 해석을 설명한다.C1급 함수
: u영어: R|d영어 → R|f영어;
: x영어 = (x|1영어, …, x|d영어) ↦ u영어(x) = (u|1영어(x), …, u|f영어(x))
를 생각한다.
: F영어: R|f영어 × R|fd영어 × R|d영어 → R영어;
: (v, m, x) ↦ F영어(v,m,x)
라고 할 때,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u(x)영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연립 편미분 방정식이다.
:
\right )= 0 \quad (i=1, \ldots, f)
여기서 는 x에 대한 편미분
:
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는 기호를 간략하게 사용하여 위의 방정식을
:
과 같이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 표기에서는 F에 대입되는 값으로서의 u|i영어, ∂|μ영어u|i영어가 F의 변수로서의 v|i영어, m|i,μ영어와 혼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벡터 표기를 사용하여 f개의 식을 일괄적으로
:
\right )= 0}}
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alculus of variations
Courier Dover Publications
[2]
서적
Classical Mechanics
Addison Wesley
[3]
웹아카이브
A short biography of Lagrange
http://numericalmeth[...]
2007-07-14
[4]
harvnb
[5]
서적
Methods of Mathematical Physics
Interscience Publishers, Inc
[6]
서적
Calculus of Variations with Applications to Physics and Engineering
https://archive.org/[...]
McGraw-Hill
[7]
서적
Classical Dynamics: A contemporary approach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9-12
[8]
문서
뉴턴의 운동 방정식, 맥스웰 방정식, 아인슈타인 방정식
[9]
문서
라그랑지안에 대한 설명
[10]
문서
변분학의 기본 보조정리, Fundamental lemma of calculus of vari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