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타원 곡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타원 곡선은 체 K 위의 스킴 C, 매끄러운 사상 φ: C → SpecK, 그리고 차수 2의 유한 사상 f: C → P1K로 정의되는 기하학적 대상이다. 특히 대수적으로 닫힌 체에서는 크룰 차원이 1인 정칙 기약 스킴 K와 차수 2의 유한 사상 f: C → P1K로 정의된다. 초타원 곡선은 종수 g에 따라 특정 방정식 형태로 표현되며, 표수가 2가 아닌 경우와 2인 경우에 따라 방정식의 형태가 달라진다. 이 곡선은 분지점과 모듈러스 공간을 가지며, 19세기 괴펠과 로젠하인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리만-휘르비츠 공식을 통해 초타원 곡선이 차수 2g+2인 방정식으로 정의됨을 유도할 수 있으며, 암호 시스템, 정수론 문제, 아벨 미분 모듈러스 공간 구성 등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 곡선 - 원뿔 곡선
원뿔 곡선은 평면과 이중 원뿔의 교차로 생기는 타원, 포물선, 쌍곡선 세 종류의 곡선이며, 이차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천체의 궤도나 광학 기기 설계 등에 응용된다. - 대수 곡선 - 클라인 4차 곡선
클라인 4차 곡선은 2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에서 정의되는 4차 동차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복소 사영 대수 곡선이며, 종수 3의 콤팩트 리만 곡면이고, 크기가 168인 PSL(2;F7)과 동형인 방향 보존 리만 곡면 자기 동형군을 갖는다. - 대수기하학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대수기하학 - 매끄러운 함수
매끄러운 함수는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k번 미분 가능하고 그 미분 함수가 연속일 경우 Ck로 표기하며,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를 의미하고, 곡선의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초타원 곡선 | |
---|---|
수학적 정보 | |
분야 | 대수기하학 |
연관된 분야 | 암호학, 정수론 |
일반적인 형태 | |
방정식 | y² = f(x), 여기서 f(x)는 홀수 차수의 다항식임 |
종수(genus) | g ≥ 2 |
군 구조 | |
군 연산 | 디비소 덧셈 |
군 | 야코비 다양체의 점 |
예시 | |
예시 방정식 | y² = x⁵ + 1 |
다른 예시 | y² + y = x⁵ + x³ + 1 |
관련 주제 | |
관련 개념 | 타원 곡선 |
관련 개념 | 초타원 곡선 암호 |
2. 정의
체 K 위의 '''초타원 곡선'''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4]
- 크룰 차원이 1인 스킴 C
- 매끄러운 사상 φ: C → SpecK. 또한, φ가 기하학적 기약 사상(geometrically irreducible morphism영어)이라고 가정한다. (즉, C⊗K¯¯¯K는 기약 스킴이다.)
- * 이 조건에 따라서 C는 기약 스킴이자 축소 스킴이다.
- K 위의, 차수가 2인 분해 가능 유한 사상 f: C→ P1K. (즉, 체의 확대 K(C) / K는 2차 분해 가능 확대이다.) 여기서 P1K는 사영 직선이다.
- * 이 조건에 따라서 φ는 유한형 사상이다.
특히, K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라면, 그 위의 초타원 곡선은 다음과 같다.
- 크룰 차원이 1인 정칙 기약 스킴 K
- K 위의, 차수 2의 유한 사상 f: C → P1K
2. 1. 기본 정의
체 위의 '''초타원 곡선'''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4]- 크룰 차원이 1인 스킴
- 매끄러운 사상 . 또한, 가 기하학적 기약 사상(geometrically irreducible morphism영어)이라고 가정한다. (즉, 은 기약 스킴이다.)
- * 이 조건에 따라서 는 기약 스킴이자 축소 스킴이다.
- 위의, 차수가 2인 분해 가능 유한 사상 . 여기서 는 사영 직선이다.
- * 이 조건에 따라서 는 유한형 사상이다.
특히, 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라면, 그 위의 초타원 곡선은 다음과 같다.
- 크룰 차원이 1인 정칙 기약 스킴
- 위의, 차수 2의 유한 사상
이 모델은 초타원 곡선을 설명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이러한 방정식은 사영 평면에서 ''무한대''에 특이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비특이 곡선을 지정하기 위해 이러한 방정식을 제공할 때는, birational 기하학의 의미에서 동등한, 비특이 모델 (매끄러운 완비화)을 의미하는 것으로 거의 항상 가정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이 방정식은 '''C'''(''x'')의 이차 확장을 정의하며, 그 의미는 함수 필드이다. 무한대에서의 특이점은 정규화 (적분 폐포) 과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3. 분류
종수 의 초타원 곡선 는 특정 방정식 꼴로 표현될 수 있다.
== 방정식 표현 ==
종수 의 초타원 곡선 는 다음과 같은 꼴로 표현될 수 있다. 우선, 에서 아핀 좌표
:
:
를 고른다.
만약 인 경우, 는 두 아핀 열린집합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
:
:
:
:
:
이 경우 를 구성하는 두 아핀 열린집합은 , 와 같이 붙여진다.
표수가 2인 경우, 는 두 아핀 열린집합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
:
:
:
:
:
:
:
이 경우 를 구성하는 두 아핀 열린집합은 , 와 같이 붙여진다.
표수가 2가 아닌 경우, 항상
:
를 통해 으로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변환을 하더라도 이로서 정의되는 초타원 곡선은 동형이다.
::
:: ,
즉, 이 경우 가중 사영 공간
:
속에서 부분 대수다양체
:
를 이룬다. 이 경우 는
:
:
이다.
== 분지점 ==
표수가 2가 아닌 대수적으로 닫힌 체에서, 초타원 곡선은 짝수 개의 분지점을 갖는다. 분지점은 P의 근 또는 대합의 고정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수가 2가 아닌 경우, 분지점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deg P = 2g+2`라면, 분지점은 P의 `2g+2`개의 근이다.
- `\deg P = 2g+1`라면, 분지점은 P의 `2g+1`개의 근 및 `\infty`이다.
이는 가중 사영 공간에서 대합 `[s,t,u] \mapsto [s,-t,u]`의 고정점이다.
표수가 2인 경우, 분지점은 Q의 근이며, 이는 가중 사영 공간에서 대합 `[s,t,u] \mapsto [s,t+Q(s/u)u^{g+1},u]`의 고정점이다.
분지점의 수가 `r`이고 `|K| > r`인 경우, `\mathbb P^1_K \setminus\{\infty\} = \mathbb A^1_K = \operatorname{Spec}K[x]` 위에서 `f`는 `y^2 = f(x) = \sum_{i=0}^d a_dx^d` (`f \in K[x]`) 꼴이 된다.
== 모듈러스 공간 ==
가 표수가 2가 아닌 대수적으로 닫힌 체이며 종수가 일 때, 초타원 곡선은 그 개의 분지점의 집합만으로 완전하게 결정된다. 즉, 그 모듈라이 공간은
:
이다. 그 차원은
:
이다.
표수가 2가 아닌 체에서, 초타원 곡선은 가중 사영 공간에서
:
의 꼴로 표현되며, 는 (종수 의 경우) 차 2변수 형식(binary form영어)이다. 따라서 그 분류는 2변수 형식의 분류로 귀결된다.
주어진 종수 ''g''의 초타원 곡선은 차수 2''g''+2의 이항 형식 불변량 고리와 밀접하게 관련된 모듈 공간을 갖는다.
3. 1. 방정식 표현
종수 의 초타원 곡선 는 다음과 같은 꼴로 표현될 수 있다. 우선, 에서 아핀 좌표:
:
를 고른다.
만약 인 경우, 는 두 아핀 열린집합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
:
:
:
:
:
이 경우 를 구성하는 두 아핀 열린집합은 , 와 같이 붙여진다.
표수가 2인 경우, 는 두 아핀 열린집합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
:
:
:
:
:
:
:
이 경우 를 구성하는 두 아핀 열린집합은 , 와 같이 붙여진다.
표수가 2가 아닌 경우, 항상
:
를 통해 으로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변환을 하더라도 이로서 정의되는 초타원 곡선은 동형이다.
::
:: ,
즉, 이 경우 가중 사영 공간
:
속에서 부분 대수다양체
:
를 이룬다. 이 경우 는
:
:
이다.
3. 2. 분지점
표수가 2가 아닌 대수적으로 닫힌 체에서, 초타원 곡선은 짝수 개의 분지점을 갖는다. 분지점은 P의 근 또는 대합의 고정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표수가 2가 아닌 경우, 분지점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deg P = 2g+2`라면, 분지점은 P의 `2g+2`개의 근이다.
- `\deg P = 2g+1`라면, 분지점은 P의 `2g+1`개의 근 및 `\infty`이다.
이는 가중 사영 공간에서 대합 `[s,t,u] \mapsto [s,-t,u]`의 고정점이다.
표수가 2인 경우, 분지점은 Q의 근이며, 이는 가중 사영 공간에서 대합 `[s,t,u] \mapsto [s,t+Q(s/u)u^{g+1},u]`의 고정점이다.
분지점의 수가 `r`이고 `|K| > r`인 경우, `\mathbb P^1_K \setminus\{\infty\} = \mathbb A^1_K = \operatorname{Spec}K[x]` 위에서 `f`는 `y^2 = f(x) = \sum_{i=0}^d a_dx^d` (`f \in K[x]`) 꼴이 된다.
3. 3. 모듈러스 공간
가 표수가 2가 아닌 대수적으로 닫힌 체이며 종수가 일 때, 초타원 곡선은 그 개의 분지점의 집합만으로 완전하게 결정된다. 즉, 그 모듈라이 공간은:
이다. 그 차원은
:
이다.
표수가 2가 아닌 체에서, 초타원 곡선은 가중 사영 공간에서
:
의 꼴로 표현되며, 는 (종수 의 경우) 차 2변수 형식(binary form영어)이다. 따라서 그 분류는 2변수 형식의 분류로 귀결된다.
주어진 종수 ''g''의 초타원 곡선은 차수 2''g''+2의 이항 형식 불변량 고리와 밀접하게 관련된 모듈 공간을 갖는다.
4. 역사
초타원 함수는 19세기 아돌프 괴펠(Adolph Göpel)과 요한 G. 로젠하인(Johann G. Rosenhain)의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괴펠은 1847년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에 "Abelsche Transcendenten erster Ordnung"(제1종 아벨 초월 함수)을 발표하며 초타원 함수를 처음 소개했다. 로젠하인은 1851년 "Umkehrungen ultraelliptischer Integrale erster Gattung"(제1종 초타원 적분의 역)을 발표하며 독자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5. 리만-휘르비츠 공식
리만-휘르비츠 공식을 사용하면 종수 ''g''인 초타원 곡선이 차수 ''n'' = 2''g'' + 2인 방정식으로 정의됨을 유도할 수 있다. ''f'' : ''X'' → P1이 분기 덮개이고 분기 차수가 ''2''이며, 여기서 ''X''는 종수 ''g''인 곡선이고 P1은 리만 구라고 가정한다. ''g''1 = ''g''이고 P1의 종수 ''g''0 ( = 0 )이라고 하면, 리만-휘르비츠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s''는 ''X''의 모든 분기점을 의미한다. 분기점의 수는 ''n''이고, 각 분기점 ''s''에서 ''es'' = 2이므로, 공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따라서 ''n'' = 2''g'' + 2이다.
6. 응용
초타원 곡선은 이산 로그 문제를 기반으로 하는 암호 시스템인 초타원 곡선 암호에 사용될 수 있다.[2]
정수론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초타원 곡선 위의 정수점과 유리점에 대한 연구이다.[1]
비특이 초타원 곡선은 종수가 2 이상이므로, 정수점에 대한 지겔의 정리에 따라 정수점 (일반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정수환 위의 점)은 유한 개만 존재한다.[1] 또한, 베이커의 정리로부터 정수점의 크기에 대한 상계를 실제로 구할 수 있다.[1]
팔팅스의 정리에 의해 유리점 (일반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대수체 위의 점)도 유한 개만 존재한다.[1] 그러나 유리점의 개수에 대한 구체적인 상한을 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유리점의 크기에 대한 상계를 얻을 수는 없다.[1] 따라서, 이 정리를 사용하여 유리점을 모두 구할 수는 없다.[1]
샤보티(Chabauty)와 콜먼(Coleman)의 방법은 특정 경우에 유리점의 개수 상계를 구하거나 유리점을 모두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예를 들어, 샤보티(1941a, 1941b)는 초타원 곡선의 야코비 다양체의 계수가 작을 때 유리점의 개수의 상계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했고, 콜먼(1985)은 실제로 몇몇 경우에 구체적인 상계를 얻었다. 더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점을 모두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rant(1994)는 방정식
:y2=x(x-1)(x-2)(x-5)(x-6)
의 유리점이 (''x'', ''y'') = (0, 0), (1, 0), (2, 0), (5, 0), (6, 0), (3, ±6), (10, ±120)뿐임을 밝혔다.[1]
초타원 곡선은 또한 아벨 미분 모듈러스 공간의 특정 층의 전체 연결 성분을 구성하는 데에도 나타난다.[2]
종수 2 곡선의 초타원성은 그로모프의 채움 면적 추측을 종수 = 1의 채움의 경우에 증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6. 1. 암호학
초타원 곡선은 이산 로그 문제를 기반으로 하는 암호 시스템인 초타원 곡선 암호에 사용될 수 있다.6. 2. 정수점 및 유리점
정수론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초타원 곡선 위의 정수점과 유리점에 대한 연구이다.[1]비특이 초타원 곡선은 종수가 2 이상이므로, 정수점에 대한 지겔의 정리에 따라 정수점 (일반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정수환 위의 점)은 유한 개만 존재한다.[1] 또한, 베이커의 정리로부터 정수점의 크기에 대한 상계를 실제로 구할 수 있다.[1]
팔팅스의 정리에 의해 유리점 (일반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대수체 위의 점)도 유한 개만 존재한다.[1] 그러나 유리점의 개수에 대한 구체적인 상한을 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유리점의 크기에 대한 상계를 얻을 수는 없다.[1] 따라서, 이 정리를 사용하여 유리점을 모두 구할 수는 없다.[1]
샤보티(Chabauty)와 콜먼(Coleman)의 방법은 특정 경우에 유리점의 개수 상계를 구하거나 유리점을 모두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예를 들어, 샤보티(1941a, 1941b)는 초타원 곡선의 야코비 다양체의 계수가 작을 때 유리점의 개수의 상계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했고, 콜먼(1985)은 실제로 몇몇 경우에 구체적인 상계를 얻었다. 더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점을 모두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rant(1994)는 방정식
:
의 유리점이 (''x'', ''y'') = (0, 0), (1, 0), (2, 0), (5, 0), (6, 0), (3, ±6), (10, ±120)뿐임을 밝혔다.[1]
7. 예시
볼차 곡면은 초타원 곡선의 한 예시이다.
8. 추가 설명
8. 1. 종수
다항식의 차수는 곡선의 종수를 결정한다. 2g + 1 또는 2g + 2 차수의 다항식은 종수 g의 곡선을 제공한다. 차수가 2g + 1과 같을 때, 곡선은 허수 초타원 곡선이라고 불린다. 한편, 2g + 2 차수의 곡선은 실수 초타원 곡선이라고 불린다. g = 1 인 경우, 그러한 곡선은 타원 곡선이라고 불린다.8. 2. 모델 선택
초타원 곡선을 설명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y2 = f(x) 형태의 방정식이지만, 이 방정식은 사영 평면에서 무한대에 특이점을 갖는다. ''n'' > 3인 경우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기 때문에, 비특이 곡선을 나타내기 위해 이 방정식을 사용할 때는 birational 기하학에서 동등한 비특이 모델 (매끄러운 완비화)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더 정확하게는, 이 방정식은 '''C'''(''x'')의 이차 확장을 정의하며, 이는 함수 필드를 의미한다. 무한대에서의 특이점은 정규화 (적분 폐포) 과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곡선은 두 개의 아핀 차트, 즉 y2 = f(x)와 w2 = v2g+2f(1/v)로 덮을수 있다. 두 차트 사이의 접착 맵은 (x,y) ↦ (1/x, y/xg+1)와 (v,w) ↦ (1/v, w/vg+1)로 주어진다.
기하학적으로 곡선 ''C''는 사영 직선의 분기된 이중 덮개로 정의되며, 분기는 ''f''의 근과 홀수 ''n''의 경우 무한대 점에서도 발생한다. n = 2g + 1, 2g + 2 인 경우를 통합할수 있는데, 사영평면의 자동형사상을 사용하여 모든 분기점을 무한대에서 이동할수 있기 때문이다.
참조
[1]
논문
Schottky's form and the hyperelliptic locus
[2]
논문
Connected components of the moduli spaces of Abelian differentials with prescribed singularities
[3]
서적
Algebraic Aspects of Cryptography
Springer-Verlag
2019-01-28
[4]
서적
Algebraic geometry and arithmetic curves
http://www.math.u-bo[...]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