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새는 국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인장으로,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령인 「국새규정」에 따라 헌법 공포문, 외교 문서, 훈장 등에 사용된다. 현재는 5대 국새가 사용 중이며, 훈민정음으로 "대한민국"이 새겨져 있다. 국새는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도 사용되었으며, 각 시대의 특성을 반영한다. 동아시아 국가들과 서양에서도 국새가 사용되며, 국가의 국장이나 의인화된 이미지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의 상징 - 국기
국기는 군기에서 시작하여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고, 18세기 말부터 국기 게양의 일반화와 함께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자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국기를 제정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디자인과 상징을 지닌 국기들이 존재하며, 각 국의 역사, 문화, 그리고 정치적 이념을 반영하고 있다. - 나라의 상징 - 국경일
국경일은 대한민국 법률에 의해 제정된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의 다섯 기념일로, 역사적 사건이나 민족적 가치를 기념하며 제헌절을 제외하고는 공휴일로 지정되어 국가 정체성을 되새기는 사회·문화적 행사이다. - 인장 - 대한민국의 국새
대한민국의 국새는 헌법 공포, 고위 공무원 임명장, 훈장 수여, 중요 외교 문서 등에 사용되는 공식 인장으로, 고조선부터 이어져 온 역사를 가지며 다섯 차례 디자인 변경을 거쳐 현재 다섯 번째 국새가 사용되고 있고, 훈민정음으로 "대한민국" 글씨와 봉황, 무궁화 장식이 새겨져 행정안전부 장관이 관리하며 이전 국새들은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다. - 인장 - 도장
도장은 개인이나 기관의 신분 증명과 문서의 진위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며,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제작되어 역사적으로 전 세계에서 사용되어 왔다.
국새 | |
---|---|
국새 | |
유형 | |
역사 | |
특징 | |
사용법 | |
종류 | |
보관 | |
상징성 | |
기타 | |
국새 | |
유형 | |
역사 | |
특징 | |
사용 | |
종류 | |
보관 | |
상징성 | |
한국의 국새 | |
기타 | |
국새 | |
유형 | |
역사 | |
특징 | |
사용 | |
종류 | |
보관 | |
상징성 | |
대한민국의 국새 | |
기타 | |
2. 한국의 국새
대한민국의 국새는 대통령령인 「국새규정」에 따라 헌법 공포문 전문, 중요한 외교 문서, 훈장·포장 증서 및 공무원 임명장 등에 사용된다. 현재의 국새는 5대째이며, 2011년 10월 25일부터 사용되고 있다. 인문은 훈민정음(한글)로 “대한민국”이라고 가로쓰기(2행 가로쓰기로 위쪽은 “대韓”, 아래쪽은 “민국”)로 새겨져 있다.
;1대
1대 국새는 1949년 5월에 제작되어 1962년 말까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행방불명 상태이다.[22] 6.6cm의 정사각형이며, 인문은 한자 전서체로 “大韓民國之璽”라고 새겨져 있었다. 손잡이 부분의 형태는 용의 형태로 알려져 있으나, 문화체육관광부(당시 문화공보부)가 국가기록원에 제출한 1958년 사진 자료에서는 손잡이 부분이 개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디자인 자체도 불분명하다. 추적 조사 결과, 국새 제작소가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의 “천상당”임이 밝혀졌다.[22] 행방불명된 1대 국새를 찾기 위해 현상금을 건다는 보도가 있었다.[23]
;2대
2대 국새는 1962년에 제작되어 1963년부터 1998년 말까지 사용되었다. 7cm의 정사각형이며, 인문은 한글 전서체로 “대한민국”이라고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재질은 은제이며, 손잡이에는 거북 무늬가 새겨져 있다.[24] 1대 국새를 분실한 이후로는, 사용이 끝난 국새는 국가기록원에서 영구 보존되고 있다.[25]
;3대
3대 국새는 1999년 1월 26일, 정부 수립 50주년 기념 사업의 하나로 행정자치부(당시: 현재의 행정안전부)의 의뢰로 제작되었다.[24] 10.1cm의 정사각형 금인으로 무게는 2.15kg이며, 인문의 글씨체는 훈민정음 해례본체이고, 손잡이에는 한 쌍의 봉황이 무궁화 꽃잎을 물고 하늘을 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당시 3800만 원 상당의 18금을 사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제작되었다.[24] 금 75.2%, 은 11.8%, 동 11.6%, 아연 1.4%의 18금으로, 1999년 당시 제작비는 5450만 원이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3대 국새는 연평균 1만 6000회 사용되었고, 9년간 약 14만 4000회 사용되었다.[25]
2005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보내 정밀 검사를 실시한 결과, 국새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 확인되어[26] 새로 제작하게 되었다. 3대 국새는 1999년 2월부터 2008년 2월 21일까지 사용되었다. 4대 국새가 폐기됨에 따라 5대 국새가 제작될 때까지 3대 국새를 레이저 용접으로 수리하여 사용하였다.[27]
;4대
4대 국새는 2005년 10월 제작이 결정되었고, 2006년 3월 국새 제작 자문위원회 설치, 같은 해 9월부터 11월까지 일반 공모(국새 모형 국민 대상) 등을 거쳐 서체(훈민정음체)와 제작 방법, 제원, 제작자(옥새 전각 장인 민홍규)를 결정한 후 2007년 4월부터 제작되었다.[28] 2008년 1월 30일 “4대 국새 헌정식”이 거행되었고, “국새 제작단”으로부터 4대 국새와 국새 의장품 16종이 인계되었다.[28] 봉황이 앉아 있는 형태의 손잡이가 있으며, 세로·가로·높이는 각각 9.9cm이고, 재질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금합금이다.[28] 또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실시한 비파괴검사에서도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28] 총 제작비는 2억 2000만 원으로 보도되었다.[28]
2010년 8월 20일, 4대 국새 제작단이 전통 방식이 아닌 현대식으로 국새를 제작하고, 남은 금을 횡령한 의혹과 관련하여 경찰청이 수사에 착수하였다.[29] 또한 남은 금으로 인감을 만들어 공직자에게 제공한 의혹도 제기되었다.[29] 민홍규는 처음에는 전통 방식으로 제작했다며 의혹을 부인했으나, 9월 2일 조사에서 “경기도 이천에 있는 작업장의 전기 가마에서 제작했다”, “국새를 제작하는 전통 기법은 모른다”고 증언하였다.[30] 10월 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새에 한글로 새겨진 ‘大’자 아래에 민홍규의 이름이 한자로 새겨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31] 이후 경찰 수사에서 국새 손잡이 봉황의 부리 아래에 민홍규의 성이 한자로 새겨져 있고, 봉황의 꼬리 안쪽 좌우에 세로쓰기로 “太平年”, “萬歲璽”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 것이 밝혀졌다.[32]
결국 4대 국새는 2008년 2월 22일부터 사용되었으나, 위 사건으로 인해 폐기되었다. 이는 국민의 혈세로 제작된 국새가 사기꾼의 손에 놀아난,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사건이었다.
;5대
2011년 10월 4일에 공개된 5대 국새는 세로·가로·높이가 각각 10.4cm이며, 무게는 3.38kg이다.[33][34] 금 2.6kg에 은, 동, 아연 등을 섞은 합금으로 제작되었으며, 강도를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이리듐도 포함되어 있다.[33][34] 손잡이에는 한 쌍의 봉황과 무궁화가 장식되어 있으며, 인문의 “대한민국” 글자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체를 따르고 있다.[33][34] 내부는 비어 있으며, 손잡이 부분과 인문이 일체로 주조되어 있다.[33][34] 제작비는 2억 1500만 원이다.[33][34]
2. 1.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국새
대한제국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황제지보(皇帝之寶)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 국새는 대한제국 시기 외교 문서 및 국내 행정 문서에 사용되었다.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가 대한제국의 국새를 대신하여 조선총독부의 인장을 사용하였다. 이는 대한제국의 국권이 상실되었음을 상징하며, 조선총독부의 인장은 일제의 식민 통치를 상징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2. 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새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수립 이후,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며 외교, 군사, 재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자신들의 정통성과 권위를 상징하는 인장을 사용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인장은 단순한 도장이 아니라, 독립운동의 의지와 희망을 담은 상징물이었다.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새는 독립운동의 정통성을 상징하며, 대한민국 건국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2. 3. 대한민국의 국새
대한민국의 국새는 대통령령인 「국새규정」에 따라 헌법 공포문 전문, 중요한 외교 문서, 훈장·포장 증서 및 공무원 임명장 등에 사용된다. 현재의 국새는 5대째이며, 2011년 10월 25일부터 사용되고 있다. 인문은 훈민정음(한글)로 “대한민국”이라고 가로쓰기(2행 가로쓰기로 위쪽은 “대韓”, 아래쪽은 “민국”)로 새겨져 있다.
;1대
1대 국새는 1949년 5월에 제작되어 1962년 말까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행방불명 상태이다.[22] 6.6cm의 정사각형이며, 인문은 한자 전서체로 “大韓民國之璽”라고 새겨져 있었다. 손잡이 부분의 형태는 용의 형태로 알려져 있으나, 문화체육관광부(당시 문화공보부)가 국가기록원에 제출한 1958년 사진 자료에서는 손잡이 부분이 개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디자인 자체도 불분명하다. 추적 조사 결과, 국새 제작소가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의 “천상당”임이 밝혀졌다.[22] 행방불명된 1대 국새를 찾기 위해 현상금을 건다는 보도가 있었다.[23]
;2대
2대 국새는 1962년에 제작되어 1963년부터 1998년 말까지 사용되었다. 7cm의 정사각형이며, 인문은 한글 전서체로 “대한민국”이라고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재질은 은제이며, 손잡이에는 거북 무늬가 새겨져 있다.[24] 1대 국새를 분실한 이후로는, 사용이 끝난 국새는 국가기록원에서 영구 보존되고 있다.[25]
;3대
3대 국새는 1999년 1월 26일, 정부 수립 50주년 기념 사업의 하나로 행정자치부(당시: 현재의 행정안전부)의 의뢰로 제작되었다.[24] 10.1cm의 정사각형 금인으로 무게는 2.15kg이며, 인문의 글씨체는 훈민정음 해례본체이고, 손잡이에는 한 쌍의 봉황이 무궁화 꽃잎을 물고 하늘을 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당시 3800만 원 상당의 18금을 사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제작되었다.[24] 금 75.2%, 은 11.8%, 동 11.6%, 아연 1.4%의 18금으로, 1999년 당시 제작비는 5450만 원이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3대 국새는 연평균 1만 6000회 사용되었고, 9년간 약 14만 4000회 사용되었다.[25]
2005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보내 정밀 검사를 실시한 결과, 국새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 확인되어[26] 새로 제작하게 되었다. 3대 국새는 1999년 2월부터 2008년 2월 21일까지 사용되었다. 4대 국새가 폐기됨에 따라 5대 국새가 제작될 때까지 3대 국새를 레이저 용접으로 수리하여 사용하였다.[27]
;4대
4대 국새는 2005년 10월 제작이 결정되었고, 2006년 3월 국새 제작 자문위원회 설치, 같은 해 9월부터 11월까지 일반 공모(국새 모형 국민 대상) 등을 거쳐 서체(훈민정음체)와 제작 방법, 제원, 제작자(옥새 전각 장인 민홍규)를 결정한 후 2007년 4월부터 제작되었다.[28] 2008년 1월 30일 “4대 국새 헌정식”이 거행되었고, “국새 제작단”으로부터 4대 국새와 국새 의장품 16종이 인계되었다.[28] 봉황이 앉아 있는 형태의 손잡이가 있으며, 세로·가로·높이는 각각 9.9cm이고, 재질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금합금이다.[28] 또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실시한 비파괴검사에서도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28] 총 제작비는 2억 2000만 원으로 보도되었다.[28]
2010년 8월 20일, 4대 국새 제작단이 전통 방식이 아닌 현대식으로 국새를 제작하고, 남은 금을 횡령한 의혹과 관련하여 경찰청이 수사에 착수하였다.[29] 또한 남은 금으로 인감을 만들어 공직자에게 제공한 의혹도 제기되었다.[29] 민홍규는 처음에는 전통 방식으로 제작했다며 의혹을 부인했으나, 9월 2일 조사에서 “경기도 이천에 있는 작업장의 전기 가마에서 제작했다”, “국새를 제작하는 전통 기법은 모른다”고 증언하였다.[30] 10월 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새에 한글로 새겨진 ‘大’자 아래에 민홍규의 이름이 한자로 새겨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31] 이후 경찰 수사에서 국새 손잡이 봉황의 부리 아래에 민홍규의 성이 한자로 새겨져 있고, 봉황의 꼬리 안쪽 좌우에 세로쓰기로 “太平年”, “萬歲璽”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 것이 밝혀졌다.[32]
결국 4대 국새는 2008년 2월 22일부터 사용되었으나, 위 사건으로 인해 폐기되었다. 이는 국민의 혈세로 제작된 국새가 사기꾼의 손에 놀아난,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사건이었다.
;5대
2011년 10월 4일에 공개된 5대 국새는 세로·가로·높이가 각각 10.4cm이며, 무게는 3.38kg이다.[33][34] 금 2.6kg에 은, 동, 아연 등을 섞은 합금으로 제작되었으며, 강도를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이리듐도 포함되어 있다.[33][34] 손잡이에는 한 쌍의 봉황과 무궁화가 장식되어 있으며, 인문의 “대한민국” 글자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체를 따르고 있다.[33][34] 내부는 비어 있으며, 손잡이 부분과 인문이 일체로 주조되어 있다.[33][34] 제작비는 2억 1500만 원이다.[33][34]
2. 3. 1. 1대 국새
1대 국새는 1949년 5월에 제작되어 1962년 말까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행방불명 상태이다.[22] 6.6cm의 정사각형이며, 인문은 한자 전서체로 “大韓民國之璽”라고 새겨져 있었다. 손잡이 부분의 형태는 용의 형태로 알려져 있으나, 문화체육관광부(당시 문화공보부)가 국가기록원에 제출한 1958년 사진 자료에서는 손잡이 부분이 개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디자인 자체도 불분명하다. 추적 조사 결과, 국새 제작소가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의 “천상당”임이 밝혀졌다.[22] 행방불명된 1대 국새를 찾기 위해 현상금을 건다는 보도가 있었다.[23]2. 3. 2. 2대 국새
2대 국새는 1962년에 제작되어 1963년부터 1998년 말까지 사용되었다. 7cm의 정사각형이며, 인문은 한글 전서체로 “대한민국”이라고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재질은 은제이며, 손잡이에는 거북 무늬가 새겨져 있다.[24] 1대 국새를 분실한 이후로는, 사용이 끝난 국새는 국가기록원에서 영구 보존되고 있다.[25]2. 3. 3. 3대 국새
3대 국새는 1999년 1월 26일, 정부 수립 50주년 기념 사업의 하나로 행정자치부(당시: 현재의 행정안전부)의 의뢰로 제작되었다.[24] 10.1cm의 정사각형 금인으로 무게는 2.15kg이며, 인문의 글씨체는 훈민정음 해례본체이고, 손잡이에는 한 쌍의 봉황이 무궁화 꽃잎을 물고 하늘을 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당시 3800만 원 상당의 18금을 사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제작되었다.[24] 금 75.2%, 은 11.8%, 동 11.6%, 아연 1.4%의 18금으로, 1999년 당시 제작비는 5450만 원이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3대 국새는 연평균 1만 6000회 사용되었고, 9년간 약 14만 4000회 사용되었다.[25]2005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보내 정밀 검사를 실시한 결과, 국새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 확인되어[26] 새로 제작하게 되었다. 3대 국새는 1999년 2월부터 2008년 2월 21일까지 사용되었다. 4대 국새가 폐기됨에 따라 5대 국새가 제작될 때까지 3대 국새를 레이저 용접으로 수리하여 사용하였다.[27]
2. 3. 4. 4대 국새
4대 국새는 2005년 10월 제작이 결정되었고, 2006년 3월 국새 제작 자문위원회 설치, 같은 해 9월부터 11월까지 일반 공모(국새 모형 국민 대상) 등을 거쳐 서체(훈민정음체)와 제작 방법, 제원, 제작자(옥새 전각 장인 민홍규)를 결정한 후 2007년 4월부터 제작되었다.[28] 2008년 1월 30일 “4대 국새 헌정식”이 거행되었고, “국새 제작단”으로부터 4대 국새와 국새 의장품 16종이 인계되었다.[28] 봉황이 앉아 있는 형태의 손잡이가 있으며, 세로·가로·높이는 각각 9.9cm이고, 재질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금합금이다.[28] 또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실시한 비파괴검사에서도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28] 총 제작비는 2억 2000만 원으로 보도되었다.[28]2010년 8월 20일, 4대 국새 제작단이 전통 방식이 아닌 현대식으로 국새를 제작하고, 남은 금을 횡령한 의혹과 관련하여 경찰청이 수사에 착수하였다.[29] 또한 남은 금으로 인감을 만들어 공직자에게 제공한 의혹도 제기되었다.[29] 민홍규는 처음에는 전통 방식으로 제작했다며 의혹을 부인했으나, 9월 2일 조사에서 “경기도 이천에 있는 작업장의 전기 가마에서 제작했다”, “국새를 제작하는 전통 기법은 모른다”고 증언하였다.[30] 10월 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새에 한글로 새겨진 ‘大’자 아래에 민홍규의 이름이 한자로 새겨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31] 이후 경찰 수사에서 국새 손잡이 봉황의 부리 아래에 민홍규의 성이 한자로 새겨져 있고, 봉황의 꼬리 안쪽 좌우에 세로쓰기로 “太平年”, “萬歲璽”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 것이 밝혀졌다.[32]
결국 4대 국새는 2008년 2월 22일부터 사용되었으나, 위 사건으로 인해 폐기되었다. 이는 국민의 혈세로 제작된 국새가 사기꾼의 손에 놀아난,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사건이었다.
2. 3. 5. 5대 국새
2011년 10월 4일에 공개된 5대 국새는 세로·가로·높이가 각각 10.4cm이며, 무게는 3.38kg이다.[33][34] 금 2.6kg에 은, 동, 아연 등을 섞은 합금으로 제작되었으며, 강도를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이리듐도 포함되어 있다.[33][34] 손잡이에는 한 쌍의 봉황과 무궁화가 장식되어 있으며, 인문의 “대한민국” 글자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체를 따르고 있다.[33][34] 내부는 비어 있으며, 손잡이 부분과 인문이 일체로 주조되어 있다.[33][34] 제작비는 2억 1500만 원이다.[33][34]3. 동아시아 국가들의 국새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현재 사각 인장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베트남의 공식 인장은 중앙에 베트남의 국장을 넣은 원형 모양이며, 정부 기관의 이름은 국가 휘장을 중심으로 반원형으로 배열한다.
중화민국의 국새는 중화민국지새(中華民國之璽)와 영전지새(榮典之璽) 두 종류가 있다.[21] 중국 국민당 정부가 북벌을 완료하고 중국 국토를 통일한 후 제작되었다.[21]
중화민국지새는 비취 재질의 13.3cm 정사각형 인장으로, 무게는 3.2kg이다. 1929년 10월 10일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국서, 비준서, 접수서, 전권 증서, 영사 증서, 영사 위임장 등에 사용된다.[21] 인문(印文)은 “中華民國之璽”이며, 3행 세로쓰기로 오른쪽에 “中華”, 가운데에 “民國”, 왼쪽에 “之璽”가 새겨져 있다.[21] 윗부분에는 청천백일 국장이 새겨져 있고, 보藍색 수(綬)가 묶여 있다.[21]
영전지새는 연옥 재질의 11.1cm 정사각형 인장으로, 무게는 4.3kg이다. 1931년 7월 1일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국가원수가 훈장을 수여할 때 사용되며, 훈장 증서, 포양령(포장) 등의 훈장 문서에 사용된다.[21] 인문(印文)은 “榮典之璽”이며, 2행 세로쓰기로 오른쪽에 “榮典”, 왼쪽에 “之璽”가 새겨져 있다.[21] 윗부분에는 청천백일 국장이 새겨져 있고, 보藍색 수(綬)가 묶여 있다.[21]
국공내전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동한 후에는 타이베이시의 총통부에서 보관하고 있다. 총통선거에서 중화민국 총통이 선출되면 신임 총통 취임식에서 입법원장으로부터 “중화민국지새” 및 “영전지새”가 국가 권력의 상징이자 정권 계승의 증표로 총통인(總統印)과 함께 신임 총통에게 전달된다.
1949년 제작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새는 청동 재질이며, 중화인민공화국중앙인민정부지인(中華人民共和國中央人民政府之印)이라는 인문이 새겨져 있다.[38] 1949년 6월 신정치협상회의 준비위원회 상무위원회가 설립된 후, 중국공산당은 국새 제작을 시작했다.[37] 같은 해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전체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국호와 국새에 새길 글자인 “中華人民共和國中央人民政府之印(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의 인장)”을 결정했다.[37] 10월 27일 국새 디자인이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에 의해 승인되었고, 10월 31일 완성되어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에 인계되었다.[37]
1954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54년 헌법)의 규정에 따라 국무원이 국가권력의 최고 집행 기관으로 설립되자 국새는 국무원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국새는 1954년에 제1차 전국인민대표자회의 이후 사용하지 않고 중국국가박물관에 1급 국가문물로 보관되어 있다.[38] 1959년 5월 국무원 총판공실은 국새를 중국국가박물관에 보관했다.[37]
7cm의 정사각형 각인으로, 인장 두께는 2cm, 손잡이 길이는 9.3cm이다. 인장의 글씨는 명조체(송체) 繁體字로 “中華人民共和國中央人民政府之印”(세 줄 세로쓰기로 오른쪽이 “中華人民共”, 가운데가 “和國中央人”, 왼쪽이 “民政府之印”)라고 새겨져 있다.[37]
일본의 국새는 금인[2]이며, 인문은 전서체로 "대일본국새"(大日本國璽)를 새겼다. 인면은 약 9.09cm의 정방형이며, 무게는 약 3.50kg이다.[3][4] 궁내청의 영문 표기는 “State Seal of Japan]]/:en:State Seal of Japan영어”[5]이다. 현행 국새는 1874년(메이지 7년) 4월에 제작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국새에 관한 법령은 없지만
3. 1. 베트남의 국새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현재 사각 인장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베트남의 공식 인장은 중앙에 베트남의 국장을 넣은 원형 모양이며, 정부 기관의 이름은 국가 휘장을 중심으로 반원형으로 배열한다.
3. 2. 중화민국의 국새
중화민국의 국새는 중화민국지새(中華民國之璽)와 영전지새(榮典之璽) 두 종류가 있다.[21] 중국 국민당 정부가 북벌을 완료하고 중국 국토를 통일한 후 제작되었다.[21]중화민국지새는 비취 재질의 13.3cm 정사각형 인장으로, 무게는 3.2kg이다. 1929년 10월 10일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국서, 비준서, 접수서, 전권 증서, 영사 증서, 영사 위임장 등에 사용된다.[21] 인문(印文)은 “中華民國之璽”이며, 3행 세로쓰기로 오른쪽에 “中華”, 가운데에 “民國”, 왼쪽에 “之璽”가 새겨져 있다.[21] 윗부분에는 청천백일 국장이 새겨져 있고, 보藍색 수(綬)가 묶여 있다.[21]
영전지새는 연옥 재질의 11.1cm 정사각형 인장으로, 무게는 4.3kg이다. 1931년 7월 1일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국가원수가 훈장을 수여할 때 사용되며, 훈장 증서, 포양령(포장) 등의 훈장 문서에 사용된다.[21] 인문(印文)은 “榮典之璽”이며, 2행 세로쓰기로 오른쪽에 “榮典”, 왼쪽에 “之璽”가 새겨져 있다.[21] 윗부분에는 청천백일 국장이 새겨져 있고, 보藍색 수(綬)가 묶여 있다.[21]
국공내전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동한 후에는 타이베이시의 총통부에서 보관하고 있다. 총통선거에서 중화민국 총통이 선출되면 신임 총통 취임식에서 입법원장으로부터 “중화민국지새” 및 “영전지새”가 국가 권력의 상징이자 정권 계승의 증표로 총통인(總統印)과 함께 신임 총통에게 전달된다.
3. 3.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새
1949년 제작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새는 청동 재질이며, 중화인민공화국중앙인민정부지인(中華人民共和國中央人民政府之印)이라는 인문이 새겨져 있다.[38] 1949년 6월 신정치협상회의 준비위원회 상무위원회가 설립된 후, 중국공산당은 국새 제작을 시작했다.[37] 같은 해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전체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국호와 국새에 새길 글자인 “中華人民共和國中央人民政府之印(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의 인장)”을 결정했다.[37] 10월 27일 국새 디자인이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에 의해 승인되었고, 10월 31일 완성되어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에 인계되었다.[37]1954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54년 헌법)의 규정에 따라 국무원이 국가권력의 최고 집행 기관으로 설립되자 국새는 국무원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국새는 1954년에 제1차 전국인민대표자회의 이후 사용하지 않고 중국국가박물관에 1급 국가문물로 보관되어 있다.[38] 1959년 5월 국무원 총판공실은 국새를 중국국가박물관에 보관했다.[37]
7cm의 정사각형 각인으로, 인장 두께는 2cm, 손잡이 길이는 9.3cm이다. 인장의 글씨는 명조체(송체) 繁體字로 “中華人民共和國中央人民政府之印”(세 줄 세로쓰기로 오른쪽이 “中華人民共”, 가운데가 “和國中央人”, 왼쪽이 “民政府之印”)라고 새겨져 있다.[37]
3. 4. 일본의 국새
일본의 국새는 금인[2]이며, 인문은 전서체로 "대일본국새"(大日本國璽)를 새겼다. 인면은 약 9.09cm의 정방형이며, 무게는 약 3.50kg이다.[3][4] 궁내청의 영문 표기는 “State Seal of Japan]]/:en:State Seal of Japan영어”[5]이다. 현행 국새는 1874년(메이지 7년) 4월에 제작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국새에 관한 법령은 없지만4. 서양의 국새
서양의 인장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접시 모양이고 뒷면에 도안이 새겨져있는 것도 있다. 또한 동양의 인장처럼 인주를 찍어 누르는 것이 아니라 녹은 밀랍 위에서 누르는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인영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부각이 되어있다.
공화국의 국새는 보통 국가의 국장(예: 미국 국새) 또는 의인화된 이미지(예: 프랑스)를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되는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국새 자체는 사용 빈도에 따라 마모되면 교체될 수 있다. 반대로 군주제에서는 국새가 종종 새로운 군주 즉위 후 얼마 후에 변경되는데, 국새에는 종종 재위 중인 군주가 전체 모습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현재 국새(그레이트실)를 사용하는 국가 등은 다음과 같다.
- 프랑스 (Grand sceau de France프랑스어)
- 영국(영국의 국새 참조)
- * 스코틀랜드 (Great Seal of Scotland)
- * 북아일랜드 (Great Seal of Northern Ireland)
- 아일랜드 (Seal of the President of Ireland)
- 미국 및 미국 내 각 주 (Seals of the U.S. states영어)
- 캐나다 (Great Seal of Canada)
- 오스트레일리아 국장
- 독일 연방 독수리 (독일)
- 캐나다 국장
- * 온타리오 국장
- * 퀘벡 국장
- 프랑스 국장
- 국가 대인장 (그리스)
- 아일랜드 대통령 인장
- 뉴질랜드 국장
- 영국 국왕 대인장 (영국)
- * 북아일랜드 국장
- * 스코틀랜드 국장
- * 웨일스 인장
- 국가 대인장 (페루)
- 필리핀 국장
- 미국 국장
- 대한민국 국새
- 중화민국 국장
- 일본 국장
역사적 인장
- 영국 연방 대인장 (1655)
- 남부연합국 국장
- 홍콩 공공 인장, 홍콩 주권 이양 이전의 공식 인장
- 아일랜드 자유국 대인장
- 네덜란드 대인장
- 솔로몬의 인장은 종종 대인장으로 언급됨
- 영국 왕실 보물 인장
4. 1. 영국의 국새

영국의 국새(Great Seal of the Realm/Great Seal of the Realm영어)는 대부분의 중요한 공문서에 찍히는 인장이다. 11세기에 에드워드 참회왕이 처음 사용했다고 전해지며, 영장과 포고령 등에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왕은 “즉위식을 거행하는 자신”의 모습을 새긴 국새를 사용했다. 역대 대법관이 웨스트민스터 대법관청에서 이를 관리해 왔으며, 현재에도 국가 및 영국 왕실의 공문서에는 목적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여 국새를 찍는다. 서양의 인장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접시 모양이고 뒷면에 도안이 새겨져있는 것도 있다. 또한 동양의 인장처럼 인주를 찍어 누르는 것이 아니라 녹은 밀랍 위에서 누르는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인영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부각이 되어있다.
영국에서는 영국 국왕 대인장이 현재 사용 중이며, 역사적으로는 영국 연방 대인장 (1655), 영국 왕실 보물 인장 등이 있었다.
4. 2. 미국의 국새
미국 국새(Great Seal of the United States)는 같은 문양이 국장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문양은 1782년 이후 변경되지 않았다.참조
[1]
웹사이트
Great Seal
https://en.oxforddic[...]
[2]
문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합금(18금)으로 제작된다.
[3]
문서
「국새어새주조·이조」의 회달문서에서는 방 3촌(약 9.09cm)이지만、『법규분류대전 제1편 정체문 3』이나『황실요전』에서는 방 2촌 9분(약 8.79cm)으로 되어 있다.
[4]
서적
御璽・国璽
황실사전
[5]
웹사이트
The Privy Seal and State Seal
https://www.kunaicho[...]
[6]
뉴스
幕末将軍家の銀印見つかる 国家元首の意思示す
https://r.nikkei.com[...]
日本経済新聞
2019-12-12
[7]
웹사이트
新出資料初公開のお知らせ 銀印「経文緯武」
http://www.tokugawa.[...]
2018-08
[8]
웹사이트
銅印「日本政府之印」
https://archive.fo/2[...]
[9]
서적
徳川政権と万国対峙
有志社
2011
[10]
웹사이트
天皇御璽ノ印影ヲ彫刻ス
https://www.digital.[...]
[11]
문서
임관 시에 주어지는 임명서.
[12]
문서
위계를 수여할 때 주어지는 문서.
[13]
서적
維新後印璽之制
図書寮記録. 上編 巻二
[14]
웹사이트
国璽御璽ヲ鋳造ス
https://www.archives[...]
[15]
웹사이트
御国璽ヲ彫刻ス
https://www.digital.[...]
[16]
문서
서훈자에게 훈장과 함께 주어지는 증서.
[17]
웹사이트
大勲位菊花章頸飾・同勲記
https://www.archives[...]
[18]
법률
관직 명령 중 개정 건 (쇼와 15년 칙령 제922호)에 따른 개정 후 조문.
[19]
웹사이트
2020년 봄 서훈을 수상한 원장 준웅 전 총장에게 훈기와 훈장을 전달했습니다
https://www.osakac.a[...]
2020-09-17
[20]
웹사이트
공익재단법인 전국방범협회연합회에 대한 지원(기부)에 대해, 감수표창이 수여되었습니다.
http://nikkoso.jp/ar[...]
2015-12-09
[21]
웹사이트
國璽
http://www.president[...]
[22]
뉴스
大韓民国国璽1号はいったいどこに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5-10-29
[23]
뉴스
政府、「行方不明の国璽1号」に懸賞金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05-11-28
[24]
뉴스
政府樹立50周年で国璽新調
http://www.mindan.or[...]
민단신문
1999-02-03
[25]
뉴스
第三代國璽被國家記錄院決定永久保
http://big5.yonhapne[...]
聯合ニュース
2008-03-23
[26]
뉴스
「ひび入った」国璽、新しく作る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05-09-22
[27]
뉴스
第3代国璽、レーザーで溶接して復元
http://japan.donga.c[...]
동아일보
2010-11-20
[28]
웹사이트
第4代国璽と国璽儀装品がついにその姿を
http://overseas.mofa[...]
2008-01-30
[29]
뉴스
国璽製作疑惑と政官界への金印鑑提供、警察が捜査に着手
http://japan.donga.c[...]
동아일보
2010-08-21
[30]
뉴스
国璽ロビー疑惑:閔弘圭氏「伝統技法は知らない」「うそをついて申し訳ない」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0-09-02
[31]
뉴스
「ミン・ホンギュ容疑者、国璽に自分の名前を刻んでいた」
http://japanese.join[...]
중앙일보
2010-10-05
[32]
뉴스
国璽ロビー疑惑:閔容疑者、取っ手に自分の名前を刻む
https://megalodon.jp[...]
조선일보
2010-10-15
[33]
뉴스
これが韓国の第5代国璽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1-10-05
[34]
뉴스
新しい国璽が完成
http://rki.kbs.co.kr[...]
KBS WORLD Radio
2011-10-06
[35]
서적
青い焔―満洲帝国滅亡記
[36]
서적
青い焔―満洲帝国滅亡記
[37]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之印”印章
https://www.chnmuseu[...]
[38]
방송
600년의 비전, 국새
http://www.kbs.co.kr[...]
2008-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