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필수 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소 필수 배지(MEM)는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합성 배지 중 하나로, 세포 생존에 필요한 다양한 성분을 제공한다. MEM은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염류, 포도당 등을 포함하며, 세포의 종류와 배양 조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배지를 사용한다. MEM, BME, MEMa, DMEM 등이 있으며, 각 배지 종류는 구성 성분의 함량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배양 - 3D 세포 배양
3D 세포 배양은 세포의 생체 내 환경을 모방하여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재현하는 기술로, 약리학 및 독성학 연구, 고속 대량 스크리닝 등에 활용되지만, 프로토콜 표준화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세포 배양 -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VEC)는 혈관 신생,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반응, 거대 분자 전달 연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쉽게 얻을 수 있는 혈관 내피 세포로, 약물 스크리닝, 질병 모델링, 유전자 치료 연구에도 기여하며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 연구에 활용되지만, 생체 내 환경과의 차이로 연구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최소 필수 배지 | |
---|---|
기본 정보 | |
![]() | |
특징 | |
종류 | 세포 배양 배지 |
개발자 | 해리 이글 |
개발 연도 | 1959년 |
용도 | 다양한 포유류 세포 배양 |
기본 구성 성분 |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염 포도당 |
추가 성분 | 혈청 (일반적으로 FBS) 항생제 |
변형 | |
종류 | α-MEM DMEM GMEM |
역사 | |
개발 배경 | 1955년, 해리 이글은 L 세포와 헬라 세포 배양에 필요한 특정 아미노산을 밝힘. 이를 바탕으로 더 간단한 배지 개발을 시도. |
개발 과정 | 기존 배지(기초 필수 배지)에 특정 영양소를 추가하여 세포 생존율과 성장률을 향상시킴. 혈청 단백질 함량을 줄이기 위해 배지 조성 최적화. |
초기 사용 | 폴리오바이러스 연구에 활용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1] [2] [3] [4] [5] [6] [7] [8] [9] |
2. 구성 성분
최소 필수 배지(MEM)는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염류, 포도당 등 세포 배양에 필요한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다.[11][12][13][6] 이러한 구성 성분들은 세포의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MEM에는 페놀 레드(pH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 피루브산 나트륨(세포의 에너지 생성), 리포산(세포를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 등도 포함되어 있다.
2. 1. 아미노산
아미노산 | BME[11] | MEM[12] | α-MEM[13] | DMEM[6] |
---|---|---|---|---|
글라이신 | 50 | 30 | ||
L-알라닌 | 25 | |||
L-아르기닌 염산염 | 21 | 126 | 126 | 84 |
L-아스파라진-H2O | 50 | |||
L-아스파르트산 | 30 | |||
L-시스테인 염산염-H2O | 100 | |||
L-시스틴 2HCl | 16 | 31 | 31 | 63 |
L-글루탐산 | 75 | |||
L-글루타민 | 292 | 292 | 292 | 584 |
L-히스티딘 | 8 | 31 | 42 | |
L-히스티딘 염산염-H2O | 42 | 42 | ||
L-아이소류신 | 26 | 52 | 52 | 105 |
L-류신 | 26 | 52 | 52 | 105 |
L-라이신 염산염 | 36.47 | 73 | 73 | 146 |
L-메사이오닌 | 7.5 | 15 | 15 | 30 |
L-페닐알라닌 | 16.5 | 32 | 32 | 66 |
L-프롤린 | 40 | |||
L-세린 | 25 | 42 | ||
L-트레오닌 | 24 | 48 | 48 | 95 |
L-트립토판 | 4 | 10 | 10 | 16 |
L-타이로신 이나트륨 이수화물 | 26 | 52 | 52 | 104 |
L-발린 | 23.5 | 46 | 46 | 94 |
2. 2. 비타민
배지 | BME[11] | MEM[12] | α-MEMa[13] | DMEM[6] |
---|---|---|---|---|
아스코르브산 | 50mg | |||
비오틴 | 1mg | 0.1mg | ||
염화콜린 | 1mg | 1mg | 1mg | 4mg |
D-칼슘 판토텐산염 | 1mg | 1mg | 1mg | 4mg |
엽산 | 1mg | 1mg | 1mg | 4mg |
나이아신아마이드 | 1mg | 1mg | 1mg | 4mg |
피리독살 수화염화물 | 1mg | 1mg | 1mg | 4mg |
리보플라빈 | 0.1mg | 0.1mg | 0.1mg | 0.4mg |
염산티아민 | 1mg | 1mg | 1mg | 4mg |
비타민 B12 | 1.36mg | |||
i-이노시톨 | 2mg | 2mg | 2mg | 7.2mg |
2. 3. 무기염류
염화 칼슘(CaCl2), 황산 마그네슘(MgSO4), 염화 포타슘(KCl), 탄산수소 나트륨(NaHCO3), 염화 나트륨(NaCl), 인산 일수소 나트륨(NaH2PO4-H2O)은 최소 필수 배지(MEM)를 구성하는 주요 무기염류이다. 각 배지 1리터에 포함된 무기염류의 양(mg)은 다음과 같다.[11][12][13][6]성분 | BME | MEM | MEMa | DMEM |
---|---|---|---|---|
염화 칼슘 (CaCl2) | 200 | 200 | 200 | 200 |
황산 마그네슘 (MgSO4) | 97.67 | 97.67 | 97.67 | 97.67 |
염화 포타슘 (KCl) | 400 | 400 | 400 | 400 |
탄산 수소 나트륨 (NaHCO3) | 2200 | 2200 | 2200 | 3700 |
염화 나트륨 (NaCl) | 6800 | 6800 | 6800 | 6400 |
인산 일수소 나트륨 (NaH2PO4-H2O) | 140 | 140 | 140 | 125 |
2. 4. 포도당
D-포도당(덱스트로스)은 BME, MEM, α-MEMa, DMEM 배지에 공통적으로 1리터당 1000mg이 포함되어 있다.[11][12][13][6]
2. 5. 기타 성분
Phenol Red|페놀 레드영어는 pH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지시약으로 사용된다.[11][12][13][6] Sodium pyruvate|피루브산 나트륨영어은 해당 과정의 중간 대사 산물로, 세포의 에너지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13][6] Lipoic acid|리포산영어은 항산화 작용을 하는 조효소로, 세포를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13]2. 6. 배지 구성표
성분 | BME[11] | MEM[12] | α-MEM[13] | DMEM[6] |
---|---|---|---|---|
글라이신 | 50 | 30 | ||
L-알라닌 | 25 | |||
L-아르기닌 염산염 | 21 | 126 | 126 | 84 |
L-아스파라진-H2O | 50 | |||
L-아스파르트산 | 30 | |||
L-시스테인 염산염-H2O | 100 | |||
L-시스테인 2HCl | 16 | 31 | 31 | 63 |
L-글루탐산 | 75 | |||
L-글루타민 | 292 | 292 | 292 | 584 |
L-히스티딘 | 8 | 31 | 42 | |
L-히스티딘 염산염-H2O | 42 | 42 | ||
L-아이소류신 | 26 | 52 | 52 | 105 |
L-류신 | 26 | 52 | 52 | 105 |
L-라이신 염산염 | 36.47 | 73 | 73 | 146 |
L-메티오닌 | 7.5 | 15 | 15 | 30 |
L-페닐알라닌 | 16.5 | 32 | 32 | 66 |
L-프롤린 | 40 | |||
L-세린 | 25 | 42 | ||
L-트레오닌 | 24 | 48 | 48 | 95 |
L-트립토판 | 4 | 10 | 10 | 16 |
L-타이로신 이나트륨 이수화물 | 26 | 52 | 52 | 104 |
L-발린 | 23.5 | 46 | 46 | 94 |
아스코르브산 | 50 | |||
비오틴 | 1 | 0.1 | ||
염화콜린 | 1 | 1 | 1 | 4 |
D-판토텐산 칼슘 | 1 | 1 | 1 | 4 |
엽산 | 1 | 1 | 1 | 4 |
나이아신아마이드 | 1 | 1 | 1 | 4 |
피리독살 염산염 | 1 | 1 | 1 | 4 |
리보플라빈 | 0.1 | 0.1 | 0.1 | 0.4 |
티아민 염산염 | 1 | 1 | 1 | 4 |
비타민 B12 | 1.36 | |||
i-이노시톨 | 2 | 2 | 2 | 7.2 |
염화 칼슘 (CaCl2, 무수.) | 200 | 200 | 200 | 200 |
질산 제이철 (Fe(NO3)3·9H2O) | 0.1 | |||
황산 마그네슘 (MgSO4, 무수.) | 97.67 | 97.67 | 97.67 | 97.67 |
염화 포타슘 (KCl) | 400 | 400 | 400 | 400 |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 2200 | 2200 | 2200 | 3700 |
염화 나트륨 (NaCl) | 6800 | 6800 | 6800 | 6400 |
인산 일수소 나트륨 (NaH2PO4-H2O) | 140 | 140 | 140 | 125 |
D-포도당 (덱스트로스) | 1000 | 1000 | 1000 | 4500 |
리포산 | 0.2 | |||
페놀 레드 | 10 | 10 | 10 | 15 |
피루브산 나트륨 | 110 | 110 |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최소 필수 배지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3. 주요 배지 종류
각 배지에 대한 자세한 성분 조성은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3. 1. BME (Basal Medium Eagle)
BME(Basal Medium Eagle)는 최소 필수 배지 중 하나로, 각 배지 1리터에 포함된 성분은 아래 표와 같다.[11]
성분 | 양 (mg) |
---|---|
L-아르기닌 염산염 (L-Arginine hydrochloride) | 21 |
L-시스테인 2HCl (L-Cysteine 2HCl) | 16 |
L-글루타민 (L-Glutamine) | 292 |
L-히스티딘 (L-Histidine) | 8 |
L-아이소류신 (L-Isoleucine) | 26 |
L-류신 (L-Leucine) | 26 |
L-라이신 염산염 (L-Lysine Hydrochloride) | 36.47 |
L-메사이오닌 (L-Methionine) | 7.5 |
L-페닐알라닌 (L-Phenylalanine) | 16.5 |
L-트레오닌 (L-Threonine) | 24 |
L-트립토판 (L-Tryptophan) | 4 |
L-타이로신 다이나트륨염 이수화물 (Tyrosine Disodium Salt Dihydrate) | 26 |
L-발린 (L-Valine) | 23.5 |
비오틴 (Biotin) | 1 |
염화콜린 (Choline Chloride) | 1 |
D-칼슘 판토텐산염 (D-Calcium pantothenate) | 1 |
엽산 (Folic Acid) | 1 |
나이아신 아마이드 (Niacinamide) | 1 |
피리독살 수화염화물 (Pyridoxal hydrochloride) | 1 |
리보플라빈 (Riboflavin) | 0.1 |
염산치아민 (Thiamine hydrochloride) | 1 |
i-이노시톨 (i-Inositol) | 2 |
염화 칼슘 (Calcium Chloride, CaCl2) | 200 |
황산 마그네슘 (Magnesium Sulfate, MgSO4) | 97.67 |
염화 포타슘 (Potassium Chloride, KCl) | 400 |
탄산수소 나트륨 (Sodium Bicarbonate, NaHCO3) | 2200 |
염화 나트륨 (Sodium Chloride, NaCl) | 6800 |
Sodium Phosphate monobasic (NaH2PO4-H2O) | 140 |
D-포도당(덱스트로스) (D-Glucose, Dextrose) | 1000 |
페놀 레드 (Phenol Red) | 10 |
3. 2.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MEM(Minimum Essential Medium)은 BME와 유사하지만,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농도가 더 높다. MEM은 다양한 포유류 세포 배양에 사용된다.각 배지 1리터에 포함된 성분은 다음과 같다 (단위: mg).
성분 | BME | MEM | MEMα |
---|---|---|---|
글라이신 | 50 | ||
L-알라닌 | 25 | ||
L-아르기닌 염산염 | 21 | 126 | 126 |
L-아스파라진-H2O | 50 | ||
L-아스파르트산 | 30 | ||
L-시스테인 염산염-H2O | 100 | ||
L-시스테인 2HCl | 16 | 31 | 31 |
L-글루탐산 | 75 | ||
L-글루타민 | 292 | 292 | 292 |
L-히스티딘 | 8 | 31 | |
L-히스티딘 염산염-H2O | 42 | 42 | |
L-아이소류신 | 26 | 52 | 52 |
L-류신 | 26 | 52 | 52 |
L-라이신 염산염 | 36.47 | 73 | 73 |
L-메사이오닌 | 7.5 | 15 | 15 |
L-페닐알라닌 | 16.5 | 32 | 32 |
L-프롤린 | 40 | ||
L-세린 | 25 | ||
L-트레오닌 | 24 | 48 | 48 |
L-트립토판 | 4 | 10 | 10 |
L-타이로신 다이나트륨염 이수화물 | 26 | 52 | 52 |
L-발린 | 23.5 | 46 | 46 |
아스코르브산 | 50 | ||
비오틴 | 1 | 0.1 | |
염화콜린 | 1 | 1 | 1 |
D-칼슘 판토텐산염 | 1 | 1 | 1 |
엽산 | 1 | 1 | 1 |
나이아신 아마이드 | 1 | 1 | 1 |
피리독살 수화염화물 | 1 | 1 | 1 |
리보플라빈 | 0.1 | 0.1 | 0.1 |
티아민 염산염 | 1 | 1 | 1 |
비타민 B12 | 1.36 | ||
i-이노시톨 | 2 | 2 | 2 |
염화 칼슘 | 200 | 200 | 200 |
황산 마그네슘 | 97.67 | 97.67 | 97.67 |
염화 포타슘 | 400 | 400 | 400 |
탄산수소나트륨 | 2200 | 2200 | 2200 |
염화 나트륨 | 6800 | 6800 | 6800 |
인산 나트륨 일염기 (NaH2PO4-H2O) | 140 | 140 | 140 |
D-포도당 (덱스트로스) | 1000 | 1000 | 1000 |
리포산 | 0.2 | ||
페놀 레드 | 10 | 10 | 10 |
피루브산 소듐 | 110 |
3. 3. MEMa (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
MEMa (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는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의 한 종류이다. MEMa 배지 1리터에 포함된 성분과 양 (mg)은 아래 표와 같다.성분 | 양 (mg) |
---|---|
글라이신 (Glycine) | 50 |
L-알라닌 (L-Alanine) | 25 |
L-아르기닌 염산염 (L-Arginine hydrochloride) | 126 |
L-아스파라진-H2O (L-Asparagine-H2O) | 50 |
L-아스파르트산 (L-Aspartic acid) | 30 |
L-시스테인 염산염-H2O (L-Cysteine Hydrochloride-H2O) | 100 |
L-시스테인 2HCl (L-Cysteine 2HCl) | 31 |
L-글루탐산 (L-Glutamate) | 75 |
L-글루타민 (L-Glutamine) | 292 |
L-히스티딘 (L-Histidine) | 31 |
L-히스티딘 염산염-H2O (L-Histidine-H2O) | 42 |
L-아이소류신 (L-Isoleucine) | 52 |
L-류신 (L-Leucine) | 52 |
L-라이신 염산염 (L-Lysine Hydrochloride) | 73 |
L-메사이오닌 (L-Methionine) | 15 |
L-페닐알라닌 (L-Phenylalanine) | 32 |
L-프롤린 (L-Proline) | 40 |
L-세린 (L-Serine) | 25 |
L-트레오닌 (L-Threonine) | 48 |
L-트립토판 (L-Tryptophan) | 10 |
L-타이로신 다이나트륨염 이수화물 (Tyrosine Disodium Salt Dihydrate) | 52 |
L-발린 (L-Valine) | 46 |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 50 |
비오틴 (Biotin) | 0.1 |
염화콜린 (Choline Chloride) | 1 |
D-칼슘 판토텐산염 (D-Calcium pantothenate) | 1 |
엽산 (Folic Acid) | 1 |
나이아신 아마이드 (Niacinamide) | 1 |
피리독살 수화염화물 (Pyridoxal hydrochloride) | 1 |
리보플라빈 (Riboflavin) | 0.1 |
염산치아민 (Thiamine hydrochloride) | 1 |
비타민 B12 (Vitamin B12) | 1.36 |
i-이노시톨 (i-Inositol) | 2 |
염화 칼슘 (Calcium Chloride, CaCl2) | 200 |
황산 마그네슘 (Magnesium Sulfate, MgSO4) | 97.67 |
염화 포타슘 (Potassium Chloride, KCl) | 400 |
탄산수소 나트륨 (Sodium Bicarbonate, NaHCO3) | 2200 |
염화 나트륨 (Sodium Chloride, NaCl) | 6800 |
Sodium Phosphate monobasic (NaH2PO4-H2O) | 140 |
D-포도당(덱스트로스) (D-Glucose, Dextrose) | 1000 |
리포산 (Lipoic Acid) | 0.2 |
페놀 레드 (Phenol Red) | 10 |
피루브산 소듐 (Sodium Pyruvate) | 110 |
3. 4.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은 BME 배지에서 아미노산과 비타민 농도를 4배, 포도당 농도를 최대 4배까지 높인 배지이다.[6] DMEM은 원래 포도당 농도가 낮고(1g/L) 피루브산 나트륨이 없지만, 종종 피루브산 나트륨을 첨가하여 제조되기도 한다.[6]각 배지 리터당 (밀리그램) 성분은 다음과 같다.
3. 5. RPMI 1640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RPMI 1640은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배지의 약자이며, 림프 세포용 배지이다.4. 대한민국의 세포 배양 연구 현황 및 과제
요약(summary)이 없어 본문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참조
[1]
논문
Amino acid metabolism in mammalian cell cultures.
https://pubmed.ncbi.[...]
[2]
논문
Animal-cell culture media: History, characteristics, and current issues.
2017-04
[3]
논문
The specific amino acid requirements of a mammalian cell (strain L) in tissue culture.
[4]
논문
The specific amino acid requirements of a human carcinoma cell (Stain HeLa) in tissue culture
[5]
논문
Plaque production by the polyoma virus
[6]
웹사이트
11885 - DMEM, low glucose, pyruvate (Formulation)
https://www.thermofi[...]
2021-12-28
[7]
논문
Two types of ribosome in mouse-hamster hybrid cells
[8]
웹사이트
α-MEM
https://www.itwreage[...]
[9]
웹사이트
Alpha MEM with Nucleosides
https://www.stemcell[...]
Stem Cell Tech.
[10]
웹사이트
Glasgow's Modified Eagle's Medium 51492C
https://www.sigmaald[...]
2018-11-04
[11]
웹사이트
Basal Medium Eagle (BME)
https://www.thermofi[...]
[12]
웹사이트
MEM
https://www.thermofi[...]
[13]
웹사이트
MEM α, no nucleosides
https://www.thermofi[...]
[14]
논문
Amino acid metabolism in mammalian cell cultures.
https://www.ncbi.nlm[...]
[15]
논문
Animal-cell culture media: History, characteristics, and current issues.
2017-04
[16]
논문
The specific amino acid requirements of a mammalian cell (strain L) in tissue culture.
https://www.ncbi.nlm[...]
[17]
논문
The specific amino acid requirements of a human carcinoma cell (Stain HeLa) in tissue culture.
https://www.ncbi.nlm[...]
[18]
논문
Amino acid metabolism in mammalian cell cultures.
https://www.ncbi.nlm[...]
[19]
논문
Plaque production by the polyoma virus.
https://www.ncbi.nlm[...]
[20]
논문
Two types of ribosome in mouse-hamster hybrid cells.
https://www.ncbi.nlm[...]
[21]
웹인용
α-MEM
https://www.itwreage[...]
[22]
웹인용
Alpha MEM with Nucleosides
https://www.stemcell[...]
Stem Cell Te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