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술은 1740년 중국 하북성에서 태어나 1816년 사망한 청나라 시대의 학자이다. 그는 고증학에 전념하여 34종 88권의 저술을 남겼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선진 시대를 고증한 ≪고신록≫이 있다. 56세에 관직에 나아가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75세에 저술을 완성하고 제자에게 책을 남긴 후 생을 마감했다.

2. 생애

최술은 평생 고증학에 전념하여 34종 88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술 중 핵심은 ≪고신록≫인데, 이는 중국 선진사(先秦史) 전반을 철저히 고증한 역작으로 총 12종 36권이다. ≪고신록≫ 중 가장 잘 알려진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공자와 제자들의 행적을 고증한 ≪수사고신록≫·≪수사고신여록≫과, 맹자의 행적을 고증한 ≪맹자사실록≫이 있다. 또한, ≪논어≫에 대한 고증서인 ≪논어여설≫이 있다.

2. 1. 출생과 성장

1740년 청나라 하북성(河北省) 대명부(大名府) 위현(魏縣)에서 태어나, 1816년 2월 6일 7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1]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소문나 14세에 대명부 동자시(童子試)에서 장원을 했고, 20세 때에는 순천부(順天府) 향시에서 부방(副榜)을 해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두 차례 과거에서 낙방하자, 30세 무렵부터 철저한 고증학을 무기로 위서(僞書)의 견강부회를 바로잡고 이단(異端)의 망언들을 도려낼 ‘고신록’ 제서(諸書)를 집필할 생각을 하였다.

1762년 거인(擧人)이 되었고, 1796년 56세에 복건성(福建省) 나원현(羅源縣) 지현(知縣)에 제수되어 처음으로 관직에 나아갔다. 1799년 4년 후 상항현(上杭縣)으로 옮겨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당시 무력을 가진 무리들이 해적 퇴치를 명목으로 상선을 붙잡아 약탈하는 사건이 잇따랐는데, 최술은 이를 평정하여 공적을 세웠다. 같은 해 상갱관세(上杭關稅)가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학자로서 생애를 마쳤다.

2. 2. 학문적 정진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소문나 14세에 대명부 동자시(童子試)에서 장원을 했고, 20세 때에는 순천부(順天府) 향시에서 부방(副榜)을 해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두 차례 과거에서 낙방하자, 30세 무렵부터 철저한 고증학을 무기로 위서(僞書)의 견강부회를 바로잡고 이단(異端)의 망언들을 도려낼 ‘고신록’ 제서(諸書)를 집필할 생각을 하게 되었다.[1] 이후 고증에 필요한 자료를 모으고, 열정적으로 저술에 전념했다.[1]

2. 3. 관직 생활과 말년

1796년 56세에 복건성나원현 지현(知縣)에 제수되어 처음으로 관직에 나아갔고, 4년 후에는 상항현으로 옮겨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풀었다.[1] 그러나 정사에 바쁜 와중에도 결코 저술 작업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1799년 상갱관세가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학자로서 생애를 마쳤다.

당시 무력을 가진 무리들이 해적 퇴치를 명목으로 상선을 붙잡아 약탈하는 사건이 잇따랐는데, 최술은 이를 평정하여 공적을 세웠다.[1]

1815년 75세 때 자신의 전집 34종 88권을 완성해 총목록을 정리했다. 그리고 모든 책들을 애제자인 진이화에게 전해 줄 것을 부탁하고, 이듬해인 1816년 세상을 마쳤다. 사후 그의 저서는 부탁대로 제자인 진이화가 판각해 세상에 전했다.

3. 연구 방법론

최술은 사서오경 등의 경서를 연구의 중심 방법으로 삼고, 경서와 모순되는 기존의 주석(전주)은 배제하였다. 그는 "역경복희까지만, 춘추황제까지만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후세 사람이 옛사람보다 더 많이 알 수는 없다. 따라서 위서에 나오는 십기나 《사기》의 '천황·지황·인황'은 거짓이다"라고 주장했다.[1]

3. 1. 의고학파(疑古學派)에 미친 영향

최술의 방법은 경서(사서오경 등의 경전)를 주로 하고, 전주(지금까지 전해진 경서의 주석)에서 경서와 모순되는 것은 배제하는 것이었다. "역경복희까지밖에 거슬러 올라가지 않고, 춘추는 황제까지밖에 거슬러 올라가지 않는다. 후세가 옛사람보다 더 많이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위서에 적혀 있는 십기와 《사기》에 쓰인 '천황·지황·인황'은 망설이라고 단정한다."라고 하였다. 당시로서는 실증적이라고 할 수 있는 최술의 탁견은 일본의 나카 미치요에 의해 재평가되었고, 나카 미치요에 의한 《최동벽선생유서》(1906년, 메구로 서점)의 간행은 후스나 구지에강 등 의고학파에 속하는 학자들의 주의를 끌게 되었다.

4. 주요 저서

최술은 평생 고증학에 전념하여 34종 88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75세 때인 1815년에 저술을 완성하여 총목록을 정리했고, 사후 제자인 진이화에 의해 판각되어 세상에 전해졌다.

《고신록》에 포함되지 않은 최술의 기타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권수비고
동익록(同翼録)10권
구황책(救荒策)
고고제요(考古提要)
교전승필(荍田賸筆)2권
잡록(雑録)2권
쇄기(瑣記)2권
철어(綴語)2권
대괴담(大恠談)
섭세잡담(渉世雑談)
문견잡기(聞見雑記)4권


4. 1. 《고신록(考信錄)》

최술의 저술 중 핵심은 《고신록》인데, 이는 중국 선진사(先秦史) 전반을 철저히 고증한 역작으로 총 12종 36권이다. 최술은 30세 무렵부터 철저한 고증학을 무기로 위서(僞書)의 견강부회를 바로잡고 이단(異端)의 망언들을 도려낼 ‘고신록’ 제서(諸書)를 집필할 생각을 하였다.

《고신록》에는 공자와 제자들의 행적을 고증한 《수사고신록》·《수사고신여록》과, 맹자의 행적을 고증한 《맹자사실록》, ≪논어≫에 대한 고증서인 ≪논어여설≫ 등이 있다.

《고신록》에 포함된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권수비고
수사고신록(洙泗考信錄)32권진리화에 의해 출판
맹자사실록(孟子事實錄)2권
논어여설(論語餘說)
고고속설(考古続説)2권
왕정삼대전고(王政三大典考)3권
독풍우식(読風偶識)4권
상서변위(尚書辨偽)2권
독경여론(読経餘論)2권
역괘도설(易卦圖説)
오복이동휘고(五服異同彙考)3권


4. 1. 1. 《수사고신록(洙泗考信錄)》·《수사고신여록(洙泗考信餘錄)》

최술의 저술 중 핵심은 ≪고신록≫인데, 이는 중국 선진사(先秦史) 전반을 철저히 고증한 역작으로 총 12종 36권이다. 이 ≪고신록≫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지고 대표적인 저작은 공자와 제자들의 행적을 고증한 ≪수사고신록≫·≪수사고신여록≫과, 맹자의 행적을 고증한 ≪맹자사실록≫이다. 그리고 ≪논어≫에 대한 고증서인 ≪논어여설≫이 있다.

  • 『수사고신록(洙泗考信錄)』 32권 - 제자인 진리화에 의해 출판되었다.

4. 1. 2. 《맹자사실록(孟子事實錄)》

孟子事實錄|맹자사실록중국어은 최술이 맹자의 행적을 고증한 책으로,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술의 저술 중 핵심인 《고신록》 12종 36권 중 하나이며, 《고신록》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지고 대표적인 저작이다. 《고신록》에는 孟子事實錄|맹자사실록중국어 외에도 공자와 제자들의 행적을 고증한 《수사고신록》, 《수사고신여록》과, 《논어》에 대한 고증서인 《논어여설》이 있다.

4. 1. 3. 《논어여설(論語餘說)》

최술은 평생 고증학에 전념하여 34종 88권의 방대한 저술을 남겼는데, 그중 ≪논어≫에 대한 고증서인 ≪논어여설(論語餘說)≫이 있다.

4. 2. 기타 저서

wikitext

제목권수비고
『수사고신록(洙泗考信録)』32권진리화에 의해 출판됨
『동익록(同翼録)』10권
『구황책(救荒策)』
『고고제요(考古提要)』
『맹자사실록(孟子事実録)』2권
『고고속설(考古続説)』2권
『왕정삼대전고(王政三大典考)』3권
『독풍우식(読風偶識)』4권
『상서변위(尚書辨偽)』2권
『논어여설(論語餘説)』
『독경여론(読経餘論)』2권
『역괘도설(易卦圖説)』
『오복이동휘고(五服異同彙考)』3권
『대명수도고(大名水道考)』
『교전승필(荍田賸筆)』2권
『잡록(雑録)』2권
『쇄기(瑣記)』2권
『철어(綴語)』2권
『대괴담(大恠談)』
『섭세잡담(渉世雑談)』
『문견잡기(聞見雑記)』4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