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취청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취청이과(Latridae)는 농어목 농어아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이다. 전통적으로 Cheilodactylidae 과와 구별되었으나,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Cheilodactylidae에 속했던 대부분의 종이 취청이과로 재분류되었다. 현재는 Chirodactylus, Dactylophora, Goniistius, Latridopsis, Latris, Mendosoma, Morwong, Nemadactylus, Pseudogoniistius 등 9개의 속으로 구성되며, 29종이 포함된다. 취청이과는 주로 남반구의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암초 지대나 해조류가 무성한 얕은 바다에 서식한다. 일부 종은 스포츠 낚시 대상 어종으로 중요하며, 한국에서는 자리돔이 식용으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취청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줄무늬통구이 (Latris lineata), 태즈메이니아 북동부 플린더스 연방 해양 보호 구역의 깊은 암초 - 깊이 160m
학명Latridae
명명자T. N. Gill, 1862
영명Morwong
분류
본문 참조

2. 분류

취청이과(Latridae)는 농어목 농어아목에 속하는 Cirrhitoidea 상과의 일부이다.[2]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 이 상과는 단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Centrarchiformes 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3] 그러나 ''Fishes of the World'' 제5판과 같은 주요 분류 체계에서는 여전히 농어목으로 분류하며, 이 상과 내 분류군의 관계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1] 취청이과는 1862년 시어도어 니콜라스 길이 처음 과(科)로 설정하였다.[1]

전통적으로 취청이과는 다동가리과(Cheilodactylidae)와 형태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구분되었으나, 최근 유전학 연구는 이러한 구분을 지지하지 않는다.[4][5] 이에 따라 과거 다동가리과에 속했던 많은 종들이 취청이과로 재분류되는 경향이 있으며, 기존의 ''Cheilodactylus'' 속은 다계통군으로 여겨지고 있다.[4][6] 이러한 변화는 분류 체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과거 '꿈자리돔과'로 불리던 Latridae가, 주요 속인 아홉동가리속(Goniistius) 등이 포함되면서 '자리돔과'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6] 최근 연구는 취청이과 내에 더 많은 속을 인정하고 있으며, 일부 속이 재정의되거나 신설되기도 하였다.[15] 현재 FishBase에서는 9속 29종을 취청이과로 분류하고 있다.[17]

2. 1. 전통적 분류

이 과와 다동가리과(Cheilodactylidae)의 전통적인 구분은 형태학적 차이에 기반하였으나, 이러한 차이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4][5] 전통적인 분류 방식에 따르면 취청이과(Latridae)에는 다음 세 개의 속이 포함되었다:[1][7]

  • ''Latridopsis'' (시어도어 니콜라스 길, 1862)
  • ''Latris'' (존 리처드슨 (박물학자), 1839)
  • ''Mendosoma'' (알퐁스 기쇼, 1848)

2. 2. 최근 분류

전통적으로 취청이과(Latridae)와 다동가리과(Cheilodactylidae)는 형태학적 차이를 바탕으로 구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학적 차이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었고, 유전학 연구 결과 역시 이 구분을 지지하지 않았다.[4][5] 이에 따라, 과거 다동가리과로 분류되었던 종의 상당수를 취청이과로 재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동가리과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연안에 서식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Cheilodactylus fasciatus''와 ''C. pixi'' 두 종만이 남게 된다.[4] 이는 기존에 넓은 의미로 사용되던 ''Cheilodactylus'' 속이 실제로는 여러 계통이 섞인 다계통군임을 시사한다.[4][6] 과거 ''Cheilodactylus'' 속으로 분류되었던 다른 종들은 이 두 종과는 별개로, 취청이과 내의 여러 다른 속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정확한 속의 수와 경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4]

Ludt, Burridge, Chakrabarty (2019)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 이 분류에 따르면 취청이과에는 다음 9개의 속이 포함된다.[1][8]

  • ''Chirodactylus'' Gill, 1862
  • ''Dactylophora'' De Vis, 1883
  • ''Goniistius'' Gill, 1862
  • ''Latridopsis'' Gill, 1862
  • ''Latris'' Richardson, 1839
  • ''Mendosoma'' Guichenot, 1848
  • ''Morwong'' Whitley, 1957
  • ''Nemadactylus'' Richardson, 1839
  • ''Pseudogoniistius'' Ludt, Burridge & Chakrabarty, 2019


아래는 FishBase(2023년 1월 기준)에 따른 취청이과의 9속 29종 목록이다.[17]

FishBase (2023년 1월 기준)에 따른 취청이과 분류[17]
종 목록
ChirodactylusC. brachydactylus, C. grandis, C. jessicalenorum, C. spectabilis
DactylophoraD. nigricans
GoniistiusG. zonatus, G. zebra, G. quadricornis, G. francisi, G. gibbosus, G. plessisi, G. rubrolabiatus, G. vestitus, G. vittatus
LatridopsisL. ciliaris, L. forsteri
LatrisL. lineata, L. pacifica
MendosomaM. lineatum
MorwongM. ephippium, M. fuscus
NemadactylusN. bergi, N. douglasii, N. gayi, N. macropterus, N. monodactylus, N. valenciennesi, N. vemae
PseudogoniistiusP. nigripes


2. 3. 한국 서식 어종

취청이과(Latridae)에 속하는 어류 중, 한국에는 다음 속의 어종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리돔속(Goniistius)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포함된다.[17]

  • 자리돔 ''Goniistius zonatus'': 일본 혼슈 연안 등지에서 흔히 관찰된다.[13]
  • 미기마키 ''Goniistius zebra''
  • 유우다치타카노하 ''Goniistius quadricornis''
  • ''Goniistius francisi''
  • ''Goniistius gibbosus''
  • ''Goniistius plessisi''
  • ''Goniistius rubrolabiatus''
  • ''Goniistius vestitus''
  • ''Goniistius vittatus''


꿈자리돔속(Latridopsis)에는 다음 종들을 포함한다.[17]

  • 꿈자리돔 ''Latridopsis ciliaris''
  • ''Latridopsis forsteri''

3. 형태

취청이과 어류는 다소 납작한 도미 모양의 몸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종인 Chirodactylus grandis는 몸길이가 1.8m까지 자란다.[17] 입은 작고 입술은 두껍다.[13]

등지느러미는 하나이며, 14~22개의 가시와 19~39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다.[12]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7~19개의 연조가 있지만, 세 번째 가시는 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12] 다 자란 물고기의 가슴지느러미 아래쪽 4~7개 지느러미 줄기는 갈라지지 않고 두꺼워지며 눈에 띄게 길어지는데, 서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12] 입천장의 서골과 구개골에는 이빨이 없으며, 척추뼈는 보통 24개이다.[12]

4. 분포 및 생태

취청이과는 주로 남반구온대 해역, 특히 남대서양, 남태평양, 남인도양에서 발견되며,[1] 일본, 중국 대륙하와이 제도의 연안 해역에도 분포한다.[12] 이들은 온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얕은 바다에 많이 서식하며, 열대성 종은 비교적 적다.[12]

주로 암초 지대나 해조류가 무성한 얕은 바다의 바닥 근처에서 생활하며, 특징적으로 긴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몸을 지탱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13] 먹이로는 주로 바닥에 사는 갑각류와 같은 무척추동물포식하는 것으로 보인다.[13]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어류이며, 밤에는 물체 뒤에 숨어서 휴식을 취한다.[13]

5. 어업

취청이과에는 스포츠 낚시에 중요한 종들이 포함되어 있다.[1]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www.research[...] 2021-07-24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3] 논문 Mitogenomic phylogeny of the Percichthyidae and Centrarchiformes (Percomorphaceae): comparison with recent nuclear gene-based studies and simultaneous analysis
[4]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heilodactylidae and Latridae (Perciformes: Cirrhitoidea) with notes on taxonomy and biogeography
[5] 서적 Reef and Shore Fishes of the Hawaiian Islands Sea Grant College Program, University of Hawaiʻi
[6]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antitropical subgenus Goniistius (Perciformes: Cheilodactylidae: Cheilodactylus): evidence for multiple transequatorial divergences and non-monophyly http://ecite.utas.ed[...]
[7] Family 2021-08-08
[8] 논문 A taxonomic revision of Cheilodactylidae and Latridae (Centrarchiformes: Cirrhitoidei) using morphological and genomic characters
[9] 웹사이트 Latridae https://www.encyclop[...] 2021-08-09
[10] FishBase family
[11] 서적 New Zealand fishes. Volume 2: A field guide to less common species caught by bottom and midwater fishing
[12]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13] 서적 日本の海水魚
[14] 논문 Comparative morphology and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families Cheilodactylidae and Latridae (Perciformes: Cirrhitoidea), and proposal of a new classification https://biotaxa.org/[...] 2018-12-21
[15] 논문 A taxonomic revision of Cheilodactylidae and Latridae (Centrarchiformes: Cirrhitoidei) using morphological and genomic characters https://biotaxa.org/[...] 2019-04-11
[16] 서적 魚類学雑誌 日本魚類学会 2019-04-25
[17] 웹사이트 FAMILY Details for Latridae - Trumpeters - FishBase https://www.fishbase[...] FishBase 2023-01-08
[18] FishBase 과
[19]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heilodactylidae and Latridae (Perciformes: Cirrhitoidea) with notes on taxonomy and biogeography.
[20] 서적 Reef and Shore Fishes of the Hawaiian Islan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