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루는 항문 주변에 생기는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으로, 항문과 항문 바깥 피부 사이에 비정상적인 통로(누공)가 형성되어 고름이나 분비물이 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원인은 항문샘의 감염으로, 설사 등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항문주위농양을 형성하고 고름이 배출되면서 누공이 생기는 것이다. 진단은 신체 검사, 누공 탐침, 항문경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초음파 검사나 MRI 검사를 시행한다. 치루는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으므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누공 절개 개방술, 괄약근 보존 수술, 세톤법, LIFT 기법, 클립 폐쇄술, VAAFT, 피브린 접착제 주입, 플러그 삽입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사용된다. 치루는 남성에게 더 흔하며, 30~40대에서 발병률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문 - 좌약
    좌약은 약물을 체내로 전달하기 위해 항문, 질, 요도 등에 삽입하는 고체 형태의 약제이며, 국소적 또는 전신적 효과를 위해 사용되고,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 항문 - 관장
    관장은 액체를 항문을 통해 직장에 주입하여 배변, 대장 세척, 약제 투여, 수분·영양 보급 등에 사용되는 의료 행위로, 변비 치료, 대장 내시경 검사 전 처치 등에 활용되며 다양한 종류와 방법이 있지만 부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그 역사는 고대부터 이어져 왔다.
치루
질병 정보
질병 이름치루
영어 이름Anal fistula
다른 이름항문루, 치루관
분야일반외과
증상 및 합병증
증상(정보 없음)
합병증(정보 없음)
발병 및 지속 기간
발병 시기(정보 없음)
지속 기간(정보 없음)
유형 및 원인
유형(정보 없음)
원인(정보 없음)
위험 요소 및 진단
위험 요소(정보 없음)
진단(정보 없음)
감별 진단(정보 없음)
예방 및 치료
예방(정보 없음)
치료(정보 없음)
약물(정보 없음)
예후 및 빈도
예후(정보 없음)
빈도(정보 없음)
사망률(정보 없음)
그림
다양한 유형의 치루
다양한 유형의 치루

2. 원인 및 증상

치루의 일반적인 원인과 증상은 다음과 같다.[2]


  • 피부 침식
  • 고름, 장액, 또는 드물게 대변이 배출될 수 있으며, 출혈이나 화농성을 띨 수 있다.
  • 항문 가려움증
  • 감염 여부와 정도에 따라 통증, 부기, 압통, 발열, 불쾌한 냄새가 나타날 수 있다.
  • 해당 부위를 습하게 만드는 진한 분비물이 나온다.


대부분 설사 등으로 항문샘에 변이 들어가 세균이 항문 주위로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항문주위농양이 발생한 후 고름이 배출되면서 누공이 생겨 치루가 된다. 누공은 자연적으로 닫히지 않으며, 완치를 위해서는 수술이 필요하다. 피부나 육아조직이 누공 부위를 막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체내 누공이 막힌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항문 주위 깊은 곳에서 농양이 발생하면 고름이 자연 배출되지 않고, 발열 등으로 중증화되어 패혈증이나 가스괴저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는 절개하여 고름을 배출해야 하며, 이로 인해 생긴 개구부도 치루라고 부른다. 항문 주위가 아닌 직장 주위로 염증이 퍼지면 직장 주위 농양이 되어 중증화될 수 있다.

2. 1. 합병증

항문 주위 농양과 고름 배출이 반복되기 쉽고, 항문 주위 농양으로 통증 등이 발생하며, 고름 배출로 인해 속옷이 더러워지거나 악취가 나는 경우도 흔하다.[2] 방치하면 여러 개의 누공이 형성되거나 누공이 가지를 쳐 그물 모양이 될 수도 있다. 드물게 치루에서 암(치루암)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조기 진찰 및 치료가 바람직하다.[2]

3. 진단

진단은 외래 또는 마취하(검사 시 마취하 검사(Examination Under Anaesthesia, EUA)로 불림)에서 신체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누공은 누공 탐침(가는 기구)을 사용하여 탐색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두 개의 개구부를 모두 찾을 수 있다. 검사는 항문경 검사일 수 있다. 누공조영술, 직장경 검사 및/또는 S상 결장경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을 보조할 수 있다.

하부 항문관의 간문괄약근 사이 누공. 누공이 F로 표시된 초음파 영상.


가능한 소견은 다음과 같다.

  • 피부에 드러난 누공 개구부 관찰
  • 검사 시 통증
  • 발적
  • 경화 부위 촉진 (만성 감염으로 인한 두꺼워짐)
  • 분비물 관찰

3. 1. 감별 진단

꼬리뼈 농양은 항문 주위에 감염된 "구멍"이나 개구부가 있는 질환으로 치루와 감별이 필요하다.[1]

대부분 문진, 항문 내 촉진, 항문경을 이용한 관찰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원발성 병소(농의 발생 원인) 및 누공의 상태를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항문 에코 검사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1]

1차 진찰에서 누공 형성이 확실히 확인되면 항문 주위에 열린 누공 부위에 탐침(존데)이라고 불리는 금속 막대를 삽입하여 누공의 경로를 검사하기도 한다. 하지만 누공 형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심한 고통을 수반하므로 탐침 검사는 충분한 마취하에 수술 중에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1]

검사에서 누공의 형태나 일차 개구부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 수술이 불가능해져 정기적으로 절개 및 배농을 해야 할 수도 있지만, 항문 에코 검사나 MRI 검사 등 진단 기술의 향상으로 이러한 경우는 비교적 드물어지고 있다. 그러나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 등을 원인으로 발생한 치루의 경우, 원인 질환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으면 언제든지 재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수술 적응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1]

4. 분류

치루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파크 분류 (Parks classification): 1976년 영국의 알란 가이엇 파크(Alan Guyatt Parks) 등이 자기공명영상(MRI)이나 내항문초음파가 사용되기 전에 개발한 분류이다.[4] 괄약근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치루를 4등급으로 분류한다.[4]
  • 세인트 제임스 대학병원 분류 (St. James's University Hospital classification): 2000년 모리스(Morris) 등이 개발한 MRI 기반 분류로, 파크 분류를 개선하였다.[5] 치루를 5등급으로 분류한다.
  • 가르그 분류 (Garg classification): 2017년 판카지 가르그(Pankaj Garg)가 개발한 분류로, 파크 분류와 세인트 제임스 대학병원 분류를 모두 개선하였다.[6] 치루를 5등급으로 분류하며, 질병의 중증도와 상당히 잘 일치한다. I, II등급은 단순 치루로 치루절개술로 치료 가능하나, III~V등급은 복잡 치루로 치루 전문가가 치료해야 한다.
  • 스미고시 분류: 일본에서 사용되는 분류로, 증상을 기준으로 치루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 I형: 매우 얕은 피하를 누공이 지나는 치루
  • II형: 항문 주위 근육 사이를 누공이 지나는 치루
  • III형: 항문 주위 근육 사이를 누공이 지나고, 원발소가 깊은 위치에 있는 치루
  • IV형: 항문 주위 근육 사이를 누공이 복잡하게 지나고, 원발소가 깊은 위치에 있는 치루


I형 및 II형 치루는 누공 절개 개방술(개방 수술)로, II형의 일부, III형, IV형 치루는 항문 괄약근 보존 수술로 치료한다.

4. 1. 유형 (괄약근과의 관계에 따른 분류)

내항문괄약근과 외항문괄약근과의 관계에 따라 치루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괄약근외 누공(Extrasphincteric fistula): 직장 또는 S상결장에서 시작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 거상근을 통과하여 항문 주위 피부로 열린다. 치상선(항문샘이 위치한 곳)에서 발생하지 않으며, 크론병, 맹장, 게실 농양과 같은 염증 과정의 이차적인 결과로 발생한다.[7][8][9]
  • 괄약근상 누공(Suprasphincteric fistula): 내항문괄약근과 외항문괄약근 사이에서 시작하여 위쪽으로 연장되어 치골직장근을 가로지르고, 치골직장근과 거상근 사이로 아래쪽으로 진행하여 항문에서 2.5c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열린다.[7][8][9]
  • 괄약근관통 누공(Transphincteric fistula): 내항문괄약근과 외항문괄약근 사이 또는 항문 뒤쪽에서 시작하여 외항문괄약근을 가로질러 항문에서 2.5c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열린다. 'U'자 모양을 취하고 여러 개의 외측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말굽형 누공(horseshoe fistula)'이라고도 한다.[7][8][9][10]
  • 괄약근간 누공(Intersphincteric fistula): 내항문괄약근과 외항문괄약근 사이에서 시작하여 내항문괄약근을 통과하여 항문에 매우 가까이 열린다.[7][8][9]
  • 점막하 누공(Submucosal fistula): 점막하층 아래 표면적으로 지나가며 어떤 괄약근도 가로지르지 않는다.[9]

5. 치료

항문루의 근본적인 치료는 수술이며, 재발 방지가 중요하다. 치료 방법은 누공의 위치, 괄약근과의 관계,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11]

항문루가 있는 경우 일부는 활동성 감염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확정적인 치료를 결정하기 전에 치료해야 한다. 다른 감염과 마찬가지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감염을 치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농양 형성으로 이어지는 항문루 내 고름 축적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는 세톤으로 가능하다.

치루는 증상에 따라 스미고시 분류로 4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유형누공의 경로 및 원발소 위치수술 방법
I형매우 얕은 피하를 누공이 지나는 치루누공 절개 개방술
II형항문 주위 근육 사이를 누공이 지나는 치루누공 절개 개방술 또는 항문 괄약근 보존 수술
III형항문 주위 근육 사이를 누공이 지나고, 원발소가 깊은 위치에 있는 치루항문 괄약근 보존 수술, 세톤법
IV형항문 주위 근육 사이를 누공이 복잡하게 지나고, 원발소가 깊은 위치에 있는 치루항문 괄약근 보존 수술, 세톤법



II형이라도 항문 전방측(복부측)에 누공이 존재하는 경우나 III형 및 IV형 등의 경우에는 항문의 변형 및 항문 괄약근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세톤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5. 1. 수술적 치료

치루의 수술적 치료는 재발을 막고 항문 기능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항문루의 위치와 괄약근의 어느 부분을 통과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수술 방법이 사용된다.

  • 누공 절개 개방술 (Fistulotomy): 항문루를 절개하여 개방하는 방법이다. 수술 후 상처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치유되도록 거즈를 채워 넣는다. 흉터가 남을 수 있으며, 괄약근 손상 시 실금이 발생할 수 있다. 내괄약근 및 외괄약근 전체를 가로지르는 항문루에는 적합하지 않다. 주로 I형, II형 치루에 사용된다.[11]

  • 항문 괄약근 보존 수술 (Core-out, くりぬき法): 괄약근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누공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주로 II형 일부, III형, IV형 치루에 시행된다.

  • 세톤법 (Seton techniques):
  • 절단 세톤: 항문루가 높이 위치하고 괄약근을 많이 통과하는 경우 사용된다. 가는 관(세톤)을 항문루관을 통해 삽입하고 몸 밖에서 끝을 묶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세톤을 조여 괄약근을 서서히 절단하고 치유시킨다. 흉터는 적지만 방귀 실금이 발생할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되었고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체계화되었다.[11]
  • 배액 세톤 (세톤 봉합): 항문루를 통해 루프된 봉합사는 항문루를 열어 고름 배출을 돕는다.
  • LIFT 기법 (Ligation of intersphincteric fistula tract, 괄약근간 누공관 결찰술): 괄약근 사이 접근법을 통해 내부 개구부를 폐쇄하고 감염된 조직을 제거한다. 태국의 Arun Rojanasakul이 개발했으며, 초기 보고에서 94%의 치유율을 보였다.[14]

  • 항문루 클립 폐쇄술 (OTSC Proctology): 초탄성 클립(OTSC)을 사용하여 내부 항문루 개구부를 폐쇄한다. 독일의 Ruediger Prosst가 개발했다.[16][17] 초기 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항문루의 성공률은 90%,[18] 재발성 항문루의 성공률은 70%이다.[19]

  • VAAFT (Video-assisted anal fistula treatment, 비디오 보조 항문루 치료): 비디오 텔레스코프(항문루경)를 이용하여 항문루 내부를 보면서 수술한다. 내부 관 고주파 절제, 세척, 봉합 등을 시행한다.

  • 기타 치료법:
  • 피브린 접착제 주입: 생분해성 접착제를 주입하여 항문루를 봉합한다.
  • 항문루 플러그: 소장 점막하층으로 만든 기구를 사용하여 항문루를 막는다. 미국 FDA 승인을 받은 두 가지 플러그가 있다. 장 실금 위험이 없다.
  • 직장 내측 전진 피판술: 항문루 내부 개구부를 확인하고 점막 조직 피판을 만들어 내부 개구부를 덮는 방법이다.

5. 2. 비수술적 치료

피브린 접착제 주입은 항문루 치료를 위해 연구된 방법 중 하나다. 생분해성 접착제를 항문루에 주입하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봉합하고 자연 치유되도록 한다. 이 방법은 성공하면 실금의 위험을 피하고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다른 방법보다 먼저 시도하는 것이 좋다.

항문루 플러그는 소장 점막하층으로 만든 기구를 사용하여 항문루를 막는 방법이다. 봉합사를 사용하여 항문 내부에서 플러그를 고정한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이 방법의 성공률은 80%에 달하며, 여러 번 입원해야 하는 수술과 달리 약 24시간만 입원하면 된다.[12] 현재 미국에서는 항문직장 항문루 치료를 위해 FDA 승인을 받은 두 가지 항문루 플러그가 있다. 이 치료법은 장 실금의 위험이 없다.

5. 3. 감염 치료

항문루가 있는 경우 일부는 활동성 감염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확정적인 치료를 결정하기 전에 치료해야 한다.

다른 감염과 마찬가지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감염을 치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농양 형성으로 이어지는 항문루 내 고름 축적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는 세톤으로 가능하다.

6. 역학

2018년에 발표된 문헌 검토에 따르면 치루 발생률은 10만 명당 최대 21명이다.[20] 항문루는 여성보다 남성에게 2~6배 더 많이 발생하며, 30~40대에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20]

참조

[1] 서적 Goldman-Cecil Medicine Elsevier 2020
[2] 서적 Anal abscess and fistula https://www.ncbi.nlm[...] Zuckschwerdt 2001-01-01
[3] 웹사이트 Anorectal Fistula http://www.merckmanu[...] 2016-06-27
[4] 논문 A classification of fistula-in-ano 1976
[5] 논문 MR imaging classification of perianal fistulas and its implications for patient management 2000-05-01
[6] 논문 Comparing existing classifications of fistula-in-ano in 440 operated patients: Is it time for a new classification? 2017-04-13
[7] 웹사이트 Colorectal Surgery – Anal Fistula http://colorectal.su[...] 2016-07-03
[8] 논문 A classification of fistula-in-ano 1976-01-01
[9] 논문 Idiopathic fistula-in-ano 2011-07-28
[10] 웹사이트 Anorectal sinuses and fistulae http://www.meb.uni-b[...] 2016-07-03
[11] 웹사이트 Hippocrates, "On Fistulae", translation by Francis Adams, Internet Classics Archiv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ttp://classics.mit.[...]
[12] 논문 The efficacy of anal fistula plug in fistula-in-ano: a systematic review 2010-10-01
[13] 논문 LIFT procedure: a simplified technique for fistula-in-ano 2009-09-01
[14] 논문 Total anal sphincter saving technique for fistula-in-ano; the ligation of intersphincteric fistula tract 2007-03-01
[15] 논문 Is it possible to improve the outcome of transanal advancement flap repair for high transsphincteric fistulas by additional ligation of the intersphincteric fistula tract? 2012-02-01
[16] 논문 The anal fistula claw: the OTSC clip for anal fistula closure 2012-09-01
[17] 논문 The OTSC Proctology clip system for anorectal fistula closure: the 'anal fistula claw': case report 2012-07-01
[18] 논문 The OTSC Proctology clip system for anal fistula closure: first prospective clinical data 2013-09-01
[19] 논문 The OTSC(®) proctology clip system for the closure of refractory anal fistulas 2015-04-01
[20] 논문 PRACTICE GUIDELINES-Japanese Practice Guidelines for Anal Disorders II. Anal fistula 2018-07-25
[21] 웹인용 Anorectal Fistula http://www.merckmanu[...] 2016-06-27
[22] 웹인용 Colorectal Surgery - Anal Fistula http://colorectal.su[...] 2016-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