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모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모세는 이집트 제17왕조 말기에 힉소스의 지배에 맞서 통치한 파라오이다. 그의 치세는 3년으로 알려져 있지만, 누비아에 대한 두 번째 원정을 시작한 것으로 보아 1~2년 더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다. 카모세는 군비 확장을 통해 힉소스와의 전쟁을 준비했으며, 누비아 원정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그는 힉소스와의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해 민족적 자부심과 이집트 통일을 내세웠으며, 힉소스의 수도 아바리스를 공격했으나 완전히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카모세의 미라는 람세스 9세 치세에 언급되었으며, 드라 아부 엘-나가에서 발견되었고, 카모세의 석비는 힉소스와의 전투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카모세
기본 정보
이름 (출생명)카모세
이름 (출생명, 히에로글리프)D28:D52-F31-s-A24 (Kȝ ms(=w), 그는 황소에게서 태어난 자)
즉위명와즈케페르레
즉위명 (히에로글리프)N5-M13-M40-L1 (W3ḏ-ḫpr-Rˁ, 레의 현현은 번성한다)
황금 호루스명비크 네부 세헤루-타위
황금 호루스명 (히에로글리프)S29-O4:D21-Y1-N17:N17:N23*N23 (bjk nbw shrw-t3wj, 두 땅을 만족시키는 황금 매)
네브티명 (두 여신 이름)웨헴-메누
네브티명 (히에로글리프)F25-Y5:N35-W24:W24*W24 (Wḥm-mnw, 요새를 갱신하는 자)
호루스명카헤르네세테프
호루스명 (의미)Ḫˁj-ḥr-nst=f (그의 왕좌에 나타나는 자)
호루스명 (세레크)N28:D36-D2:Z1-W11*t:f 세제파타위 (Sḏf3-t3wj, 두 땅을 양육하는 자)
호루스명 (세레크)s-D:f-D40:N16:N16 네페르카브타위 (Nfr-ẖ3b-t3wj, 두 땅을 길들이는 완벽한 호루스)
호루스명 (세레크)F35-K4:G1-D58-N11:N17:N17
카모세의 석관
카모세의 석관,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
통치
통치 기간기원전 1555년–기원전 1550년
선임 파라오세케넨레 타오
후임 파라오아흐모세 1세
가족
배우자아호테프 2세 (?)
자녀아흐모세-시트카모세 (?)
아버지세케넨레 타오?
어머니아호테프 1세?
기타 정보
왕조이집트 제17왕조
사망기원전 1550년
매장지드라 아부 엘-나가'

2. 치세

카모세에게 봉헌된 배의 그림


카모세의 통치는 이집트 제17왕조 말기, 힉소스의 지배하에 있던 혼란스러운 시기에 이루어졌다. 그의 재위 기간은 3년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1~2년 더 통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8] 이는 그가 누비아인을 상대로 두 번째 원정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카모세의 3년 차에 제작된 두 번째 석비에는 힉소스 왕 아포피가 쿠시 왕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내용의 편지가 기록되어 있다. 이 편지에서 아포피는 카모세가 자신의 땅을 공격하고 황폐화시켰다고 언급하며, 이는 카모세가 쿠시를 상대로 첫 번째 원정을 시작했음을 시사한다.[18]

누비아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두 개의 비문에는 카모세와 야흐모스 1세의 이름이 나란히 새겨져 있고, 두 왕 모두에게 '생명을 부여받은'이라는 칭호가 부여되었다.[19] 이는 두 왕이 공동 통치자였음을 나타내며, 카모세의 이름이 먼저 기록된 것으로 보아 그가 선임 통치자였을 것이다.[19] 그러나 카모세의 3년 차 석비에는 아흐모세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카모세가 누비아에 대한 두 번째 원정을 시작하기 전 3년 차 이후에 아흐모세를 후임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카모세의 두 번째 누비아 원정은 부헨 요새를 목표로 했을 가능성이 있다.[21] 누비아인들이 요새를 탈환한 후 카모세의 카르투슈가 새겨진 석비가 의도적으로 지워졌고, 요새 자체에 화재 피해가 있었기 때문이다.[21]

도널드 레드포드는 카모세가 왕족의 우라에우스조차 없는, 금박을 입히지 않은 기본 관으로 검소하게 매장되었다고 지적한다.[23] 이는 그가 쿠시와 힉소스와의 전쟁에 참여했기 때문에 매장 준비를 제대로 할 시간이 없었음을 암시할 수 있다.

카모세는 힉소스의 제15왕조와 싸웠으며, 아포피 왕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이 승리는 카르나크 신전에 봉납된 기념비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카모세는 개선 직후 사망하여 힉소스를 완전히 몰아내지 못했고, 그의 뒤를 이은 야흐모스 1세가 이 과업을 완수하게 된다.

2. 1. 배경

200px


카모세는 테베에서 이어진 이집트 출신 왕들의 마지막 왕이었다. 원래 테베의 이집트 제17왕조 통치자들은 선왕 세케넨레 타오 재위 이전에는 북쪽의 힉소스 왕국과 평화를 유지했다.[7] 그들은 상 이집트를 엘레판티네까지 통제했으며, 중 이집트 지역은 쿠사에까지 다스렸다.[8]

카모세 이전, 테베를 중심으로 한 제17왕조는 북쪽의 힉소스 왕조와 불안정한 평화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테베의 왕자들은 힉소스 통치자들이 통제하는 중 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통과하는 통행권과 비옥한 나일 삼각주에서의 목초지 이용 권리를 포함하는 힉소스 통치자들과 실질적인 ''모두스 비벤디''(modus vivendi, 잠정적 합의)를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9]

선왕 세케넨레 타오는 힉소스와의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카모세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이집트의 통일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카모세는 자신의 통치를 하 이집트 전역으로 확장하려 했으나, 이는 그의 신하들에게 많은 반대에 부딪힌 것으로 보인다.[9]

카모세의 기록은 '카나본 석판'(이 텍스트는 카모세의 테베 석비에도 병행 기록되어 있다)에서 힉소스에 대한 전쟁 전망에 대한 이 왕의 심경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 "보라, 모든 것이 쿠사까지 충성스럽다. 우리는 이집트의 우리 지역에서 평온하다. 제1 폭포에 있는 엘레판티네는 강하고, 중앙 부분(의 땅)은 쿠사까지 우리와 함께 한다. 사람들이 우리를 위해 그들의 가장 좋은 땅을 경작한다. 우리의 소들은 파피루스 늪에서 풀을 뜯는다. 옥수수는 우리 돼지들을 위해 보내진다. 우리의 소가 빼앗기지 않는다... 그는 아시아인들의 땅을 소유하고, 우리는 이집트를 소유하고 있다..."[10]

그러나 카모세의 이러한 진술은 그의 선조인 세케넨레 타오가 이미 힉소스와 (알 수 없는 이유로) 분쟁을 벌이다가 전투에서 죽었기 때문에 그의 명성을 드높이기 위한 선전일 수 있다. 카모세는 그가 정당하다고 생각한 것, 즉 하 이집트와 상 이집트의 왕권을 무력으로 되찾으려 했다.[9]

> "아바리스의 족장, 그리고 쿠시 왕국의 또 다른 족장이 있고, 내가 아시아인과 누비아인과 함께 앉아 각자 이집트의 일부를 소유하고, 멤피스까지 그 옆을 지나갈 수 없다면, 나의 이런 힘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아시아인들의 세금으로 약탈당하면 아무도 정착할 수 없다. 나는 그와 맞붙어 그의 배를 찢어 놓을 것이다! 나의 소원은 이집트를 구하고 아시아인을 쳐부수는 것이다!"[10]

카모세는 힉소스 공격 이유를 민족적 자부심이라고 밝히고 있다. 오랫동안 선왕 세켄엔라 타아 2세의 아들이자, 제18왕조의 야흐모스 1세의 형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선왕의 동생이었다는 설이 유력해지고 있다.

선왕을 도발하여 유인, 전사시킨 힉소스의 제15왕조와 싸웠다. 이 싸움에서 왕은 몸소 선두에 서서 진격하여 아포피스 왕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카르나크 신전의 아문 신전에 봉납된 승리의 기념비는 이때의 승리를 기념한 것이다. 그러나 개선 직후 사망하여 힉소스를 완전히 멸망시키지는 못했다. 비원 달성은 야흐모스 1세에게 계승된다.

2. 2. 군비 확장과 누비아 원정

카모세는 즉위 초기에 힉소스와의 전쟁을 준비하며 군비 확장에 힘을 쏟았지만, 신하들의 이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모세는 누비아 원정을 감행하여 성공적으로 속국화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17] 이 성과는 제20왕조 시대까지 이어졌다.

카모세의 3년차 이전, 쿠시트족에 대한 원정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힉소스 왕이 카모세에게 보복하기 위해 쿠시트족에게 도움을 요청한 사실에서 기인한다.[17] 아포피스가 포획한 편지에는 힉소스 왕이 쿠시 왕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카모세의 3년 차 두 번째 석비에 기록되어 있다.

ⲉⲛⲧⲁ ⲡⲉⲭⲁⲥⲉ ⲛⲁⲕ ⲛⲉⲙ ⲡⲉⲕⲣⲁⲛ ⲛⲓⲙ|En-ta-pe-kha-se nak nem pek-ran nim|네가 나에게 한 모든 행위와 네 모든 이름에 대하여cop

ⲁⲛⲟⲕ ⲁⲓⲣⲓ ⲛⲁⲕ ⲛⲧⲉⲓ ⲧⲁⲥ|Anok a-iri nak n-tei tas|나는 너에게 이와 같이 행하리라cop

카모세는 누비아 깊숙한 곳의 아르미나와 토슈카에서 발견된 두 개의 바위 비문을 통해 아흐모세와 공동 통치자였음을 알 수 있다.[19] 두 비문에서 아흐모세의 이름은 카모세의 이름 바로 아래에 새겨져 있으며, 두 왕 모두에게 '생명을 부여받은'이라는 칭호가 부여되었다.[19] 카모세의 이름이 먼저 기록되었기 때문에 그가 선임 공동 통치자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카모세의 3년 차 석비에는 아흐모세에 대한 언급이 없어, 카모세가 누비아에 대한 두 번째 군사 작전을 시작하기 전 3년 차 이후에 아흐모세를 후임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음을 알 수 있다.[20]

카모세의 두 번째 누비아 원정은 부헨 요새를 목표로 했을 가능성이 있다.[21] 누비아인들이 카모세의 군대로부터 요새를 탈환한 후, 카모세의 카르투슈가 새겨진 석비가 의도적으로 지워졌고 요새 자체에 화재 피해가 있었기 때문이다.[21]

2. 3. 힉소스와의 전쟁

카모세는 테베에서 나일 강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하며 힉소스에 맞선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먼저 쿠사 북쪽에 위치한 네프루시를 점령했는데, 이곳은 힉소스에 충성하는 이집트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었다.[11] 메자이 병력의 별동대가 수비대를 공격하여 점령했다.[11] 카모세는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작은 마을을 쉽게 점령하고 작은 힉소스 수비대를 소탕했으며, 도시가 저항하면 북쪽에 있는 도시를 점령하여 힉소스 왕국과의 연결을 끊는 전략을 사용했다. 이러한 전술로 그는 나일 강을 따라 매우 빠르게 이동할 수 있었다.[12]

힉소스에 대한 승리를 기록한 카모세의 두 번째 석비(룩소 박물관).


카모세의 두 번째 석비(테베에서 발견됨)는 아바리스에 대한 공격을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멤피스나 북쪽에 있는 다른 주요 도시가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카모세가 실제로 아바리스를 공격했는지에 대한 의혹이 있었다.[11] 킴 릴홀트는 카모세가 중부 이집트의 안푸 또는 키노폴리스 노메(파이윰과 사카 도시 주변) 이상으로 진격하지 않았고, 나일 삼각주나 하 이집트 자체에는 들어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3]

네프루시 북쪽으로 이동한 후, 카모세의 병사들은 힉소스 왕 아우세레 아포피가 아바리스에서 쿠쉬의 통치자에게 보낸, 카모세에 맞서 긴급 지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자를 포획했다. 카모세는 즉시 군대의 별동대를 파견하여 북-남 사막 길을 통제하는 바하리야 오아시스를 점령하고 파괴했다. 그 후 남쪽으로 항해하여 나일 강을 따라 테베로 돌아와, 힉소스에 대한 군사적 성공을 거둔 후, 기쁨에 찬 승리 축하를 했다. 이 사코는 현재 테베 제17왕조와 힉소스 제15왕조 사이의 새로운 국경을 형성했다.[14]

릴홀트는 카모세가 그의 두 번째 석비에서 아바리스 ''내부''의 어떤 것도 공격했다고 주장하지 않고, 단지 "아바리스에 속한 모든 것(''nkt hwt-w'rt'', 직접 소유격), 즉 그의 군대가 빼앗아 간 전리품"이라고 주장한다고 언급한다.[15]

카모세의 군사 활동이 아바리스 도시 자체가 아닌 키노폴리테 노메에만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카모세가 아포피에게 편지를 돌려보냈을 때, 그것을 아바리스에서 남쪽으로 약 100마일 떨어진 아트피로 보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아트피는 축소된 힉소스 왕국과 카모세의 확장되는 제17왕조 국가 사이의 새로운 경계 또는 ''무인지대''를 형성했다. 카모세는 그의 두 번째 석비에서 편지를 돌려보낸 의도가 힉소스 사자로 하여금 테베 왕의 승리를 아포피에게 알리게 하는 것이었다고 언급했다. ''"과거에 그의 소유였던 키노폴리스 지역에서."''[16] 이 정보는 카모세가 그의 3년차에 그의 활동을 이집트 노메로 제한하고 아바리스 도시 자체에는 접근하지 않았음을 확인해 준다.

카모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누비아 원정을 감행하여 속국화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성과는 제20왕조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그는 또한 수군을 이끌고 나일강을 따라 북상하며 각지의 군단을 합류시키면서 제15왕조의 영역으로 진격했다. 국경을 넘어 누비아로부터 제15왕조에 대한 군사 원조를 차단한 후, 적의 수도 아바리스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사전 준비가 불충분하여 병력과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함락시키지는 못하고 철수했다.

2. 3. 1. ''Casus Belli''(개전 명분)

카모세는 힉소스와의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해 민족적 자부심과 이집트의 통일이라는 명분을 내세웠다. 카나본 석판과 카모세의 석비에는 힉소스에 대한 카모세의 적대감과 이집트 통일에 대한 열망이 기록되어 있다.[10]

카모세의 기록인 카나본 석판(이 텍스트는 카모세의 테베 석비에도 병행 기록되어 있다)에는 힉소스에 대한 전쟁 전망에 대한 왕의 심경이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카모세의 이러한 진술은 그의 선조인 세케넨레 타오가 이미 힉소스와 전투를 벌이다가 전사했기 때문에, 자신의 명성을 높이기 위한 선전일 수 있다. 카모세는 하 이집트와 상 이집트의 왕권을 무력으로 되찾는 것이 정당하다고 생각했다.[9] 그는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답했다.

카모세는 힉소스 공격 이유를 민족적 자부심이라고 밝히고 있다.

3. 매장

카모세의 미라는 람세스 9세 치세 동안 무덤 도굴 사건을 조사한 기록인 애보트 파피루스에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아흐모세가 매장된 지 약 400년 후의 일이다. 그의 무덤은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언급되었지만,[24] 이후 어느 시점에 미라가 옮겨진 것이 분명하다. 1857년 드라 아부 엘-나가에서 마치 의도적으로 잔해 더미 속에 숨겨진 듯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채색되고 회반죽 칠을 한 관은 초기 이집트 학자 오귀스트 마리에트와 하인리히 브루크쉬가 발견했는데, 그들은 미라의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미라와 함께 금과 은으로 된 단검, 부적, 스카라브, 청동 거울, 그리고 그의 후계자이자 형제인 아흐모세의 이름을 새긴 카르투슈 모양의 가슴받이가 매장되어 있었다.[25]

관은 이집트에 남아 있으며, 단검은 브뤼셀에, 가슴받이와 거울은 루브르 박물관에 있다. 관에 새겨진 파라오의 이름은 최초 발견 50년 후에야 인지되었는데, 그 즈음에는 미라가 발견된 잔해 더미에 방치되어 있었기에 거의 확실하게 사라졌을 것이다.[25]

카모세의 최초 매장 장소는 불분명하지만, 그의 관은 신왕국 시대의 공동 묘지 드라 아부 엘 나가에서 발견되었다. 그 안에는 왕의 미라가 안치되어 있었지만 이미 부서져 원형을 유지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피장자를 나타내는 카르투슈도 판독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발굴을 주도한 오귀스트 마리에트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이 발견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미라는 현장에 다시 매장되었다.

관이 카모세의 것이라는 점과 그 안의 미라가 왕 본인이라는 사실은 발견 약 50년 후에 밝혀졌다. 그 무렵에는 출토 장소의 기록도 사라졌고, 미라는 행방불명되었다.

4. 업적 및 평가

카모세는 힉소스에 맞서 싸워 이집트 통일의 기반을 다진 파라오로 평가된다. 그의 군사적 업적은 이후 아흐모세 1세의 힉소스 축출과 이집트 신왕국 시대의 번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카모세는 선왕 세켄엔라 타아 2세를 도발하여 전사시킨 힉소스의 제15왕조와 싸웠다. 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아포피스 왕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며, 이 승리를 기념하여 카르나크 신전의 아문 신전에 기념비를 세웠다. 그러나 개선 직후 사망하여 힉소스를 완전히 멸망시키지는 못했고, 이 과업은 아흐모세 1세에게 계승되었다.[18]

카모세의 통치 기간은 5년 정도로 추정되며, 누비아에 대한 두 차례의 원정을 통해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특히 두 번째 원정은 부헨 요새를 목표로 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누비아인들이 탈환한 후 카모세의 카르투슈(왕의 이름을 새긴 상형문자)가 새겨진 석비가 의도적으로 지워지고 요새 자체에 화재 피해가 있었기 때문이다.[21]

도널드 레드포드는 카모세가 왕족의 우라에우스(왕관에 붙이는 뱀 모양 장식)조차 없는 기본 관에 검소하게 매장되었다고 지적하는데, 이는 그가 쿠시테와 힉소스와의 전쟁에 참여했기 때문에 매장 장비를 완성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음을 암시할 수 있다.[23]

최근 연구에서는 카모세가 세켄엔라 타아 2세의 아들이 아니라 동생이었을 가능성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4. 1. 석비

카모세는 테베에 두 개의 석비를 세웠는데, 이 석비들은 그가 힉소스를 물리친 일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첫 번째 석비는 마지막 부분이 유실되었지만, 카나본 석판이 석비의 일부 내용을 보존하고 있다.[26]

1916년, 앨런 가디너는 제1 카나본 석비가 파라오 카모세의 기념비 사본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추정은 프랑스 이집트학자 라코와 슈브리에가 카르나크에서 두 개의 석비 조각을 발견하면서 확인되었다. 가장 작은 조각은 1932년에 발견되었고, 1935년에는 더 큰 조각이 발견되었다. 이로써 카나본 석비의 텍스트가 카모세의 석비에서 복사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7] 이 새로운 텍스트는 1939년에 출판되었다.[27][28]

최근에는 카모세의 다른 비문들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2004년에는 카모세의 두 여인 이름이 새겨진 파편화된 비문이 카르나크에서 발견되어 카모세의 세 번째 비석으로 명명되었으며, 2008년에는 카모세의 또 다른 비문이 아르만트에서 발견되었다.[29]

참조

[1]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and Hudson Ltd 2006
[2] 간행물 Ein thebanischer Grabfund aus dem Anfang des Neuen Reiches
[3] 서적 L'Egypte et la vallée du Nil. Tome 2: De la fin de l'Ancien Empire à la fin du Nouvel Empire Paris 1995
[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Political Situatio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Carsten Niebuhr Institute Publications, Museum Tusculanum Press 1997
[6] 간행물 Scarabs and cylinders with names https://archive.org/[...] 1917
[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8] 간행물 Egypt: From the Expulsion of the Hyksos to Amenophis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5
[9] 문서 Cambridge 2:1 290
[10]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11] 간행물 Egypt: From the Expulsion of the Hyksos to Amenophis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5
[12] 서적 War in Ancient Egypt Blackwell Publishing 2005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서적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Eighteenth Dynasty of Egypt: Seven Studies Toronto 1967
[24] 웹사이트 The Abbott Papyrus http://www.reshafim.[...] 2007-01-04
[25] 서적 Egyptian Mummies William Morrow and Company, Inc. 1994
[26]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27]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28] 간행물 ASAE 1939
[29] 간행물 Second Intermediate Period http://digital2.libr[...] Los Angele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