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밀로 호세 셀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밀로 호세 셀라는 스페인의 소설가로, 1916년 스페인 갈리시아에서 태어나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다. 그는 1942년 첫 소설 《파스쿠알 두아르테의 가족》을 출간하며 작가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 《벌집》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셀라는 프랑코 시대에 검열관으로 활동했으며, 스페인 상원 의원과 1978년 헌법 초안 작성에도 참여했다. 198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0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여행 작가 -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는 스페인 역사, 문화, 사회 문제를 다룬 소설을 쓰고 영화로 각색되기도 한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이며,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활동한다.
  • 스페인의 여행 작가 - 알라르콘 이 아리사
    페드로 안토니오 데 알라르콘 이 아리사는 스페인의 소설가, 언론인, 정치인이며, 스페인-모로코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전쟁 증인의 일기』를 저술하고, 대표작 『삼각모자』를 통해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한 사실주의 문학의 선구자이다.
  • 스페인의 검열 - 발타사르 가르손
    발타사르 가르손은 스페인 판사로, 국립고등법원 판사 임명 후 ETA 추적, 피노체트 체포영장 발부 등 국제 범죄 수사로 명성을 얻었으나 프랑코 정권 범죄 수사 시도와 불법 도청 혐의로 판사 자격이 박탈되었으며 현재는 어산지 변호사로 활동한다.
  • 스페인의 검열 - 비리디아나
    루이스 부뉴엘 감독의 1961년 영화 비리디아나는 수녀가 되기 직전 삼촌을 방문한 비리디아나를 중심으로 신앙, 욕망,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나 신성 모독 논란으로 상영 금지되기도 했다.
  • 스페인 팔랑헤주의자 - 프란시스코 프랑코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스페인 내전에서 승리 후 1939년부터 1975년 사망할 때까지 스페인을 독재 통치한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 스페인 팔랑헤주의자 - 파울리노 알칸타라
    파울리노 알칸타라는 FC 바르셀로나에서 399경기 395골이라는 기록을 세우고 스페인, 필리핀, 카탈루냐 대표팀에서 활약한 필리핀계 스페인 축구 선수이자 의사이자 정치인이다.
카밀로 호세 셀라
기본 정보
카밀로 호세 셀라
카밀로 호세 셀라
존칭 접두사가장 뛰어난
본명카밀로 호세 셀라 이 트룰록
출생일1916년 5월 11일
출생지이리아 플라비아, 갈리시아, 스페인
사망일2002년 1월 17일
사망지마드리드, 스페인
안장 장소이리아 플라비아 묘지
직업소설가
단편 소설 작가
수필가
언어스페인어
대표 작품파스쿠알 두아르테의 가족
벌집
배우자마리아 델 로사리오 콘데 피카베아 (1944년 결혼, 1990년 이혼)
마리나 콘셉시온 카스타뇨 로페스 (1991년 결혼)
자녀카밀로 호세 셀라 콘데
수상노벨 문학상 (1989년)
카스텔라오 메달 (1988년)
산트 조르디 십자 훈장 (1986년)
서명
스페인 왕립 학술원
자리Q석
임기 시작1957년 5월 26일
임기 종료2002년 1월 17일
이전라파엘 에스트라다 아르나이스
다음es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법kamilo xoˈse ˈθela
노벨상 웹사이트노벨 문학상 1989
스페인어권의 성명세라 트룰록
일본어 정보
이름카밀로 호세 셀라
이미지 크기180px
출생지아코루냐 주파드론
장르소설
수상아스투리아스 왕자상 (1987년)
노벨 문학상 (1989년)
플라네타상 (1994년)
세르반테스상 (1995년)
배우자로사리오 콘데 (1944년-1990년)
마리나 카스타뇨 (1991년-2002년)
자녀en (작가)
기타 정보
스페인 연대기 작가셀라: 스페인의 단호한 연대기 작가
노벨상 수상자1989년 노벨 문학상
인간의 취약성에 대한 도전적인 비전을 형성하는, 자제된 연민을 포함한 풍부하고 철저한 산문

2. 성장 배경

1916년 5월 11일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아 코루냐 주 파드론의 이리아 플라비아에서 태어나, 1925년 9세에 가족과 함께 마드리드로 이주했다.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종교단체에서 세운 에스꼴라삐오스데뽀르리에르 학교에 입학했다. 1931년 폐결핵으로 과다라마 보건소에 입원하여 요양 기간 동안 오르떼가 이 가셋 전집과 리바데네이라 판 스페인 고전문학 선집을 읽었다. 1936년 마드리드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다.[2][3]

같은 해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국민병을 조직해 참전, 전쟁의 비극을 체험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16년 5월 11일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아 코루냐 주 파드론의 이리아 플라비아(Iria Flavia)에서 아홉 자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2][3] 아버지는 갈리시아 출신이었고, 어머니는 잉글랜드와 이탈리아 혈통을 가진 갈리시아인이었다. 셀라의 가족은 중상류층이었으며, 그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너무 행복해서 성장하기 어려울 정도였다"고 묘사했다.[3]

1925년 9세에 가족과 함께 마드리드로 이주하여 에스꼴라삐오스데뽀르리에르 학교에 입학했는데, 이 학교는 당시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종교단체에서 세운 학교였다. 1931년 폐결핵으로 과다라마(Guadarrama) 보건소에 입원하게 되고, 이 요양 기간 동안 오르떼가 이 가셋(Ortega y Gasset) 전집과 리바데네이라(Rivadeneyra) 판 스페인 고전문학 선집을 독파하기 시작했다.

1936년 마드리드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였다.

3. 작가 경력

셀라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지만, 문학부 문학 강좌에도 관심을 가지고 수업에 참석했다.[17] 1936년, 20세 때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반란군 지역으로 피신하여 병사로 입대했지만, 부상으로 로그로뇨에서 입원했다.

1939년 스페인 내전이 끝나고 마드리드 대학교에서 법학 공부를 시작했지만, 집필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17] 1954년에는 발레아레스 제도의 마요르카 섬으로 이주했다.[17] 프랑코 체제 아래였던 1956년에는 반파시즘 성격의 문예지 『알마단스 정원』을 창간하여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젊은 작가들에게 발표의 장을 제공했다.[16][17]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친분이 있었고, 그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16]

1960년대 후반 ''산 카밀로, 1936'' 출판 이후 셀라의 작품은 점점 더 실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1988년 그는 ''그리스도 대 애리조나'' ()를 썼는데, 이 작품은 100페이지가 넘는 한 문장으로 O.K. 목장 총격전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말년에 셀라는 파격적인 발언으로 유명해졌다. 스페인 국영 방송의 메르세데스 밀라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항문을 통해 리터 단위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고 자랑하며 시범을 보이겠다고 제안했다.[9] 또한 Diccionario secretoes (비밀 사전, 1969-1971)과 같은 속어와 금기어 사전을 통해 스페인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1998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탄생 100주년 기념식에서 동성애자 단체들의 참석에 불편함을 표하며, "그들의 행동을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10]

3. 1. 초기 작품 활동

1939년 스페인 내전이 끝난 후, 셀라는 섬유 산업국에서 일하면서 첫 소설 La familia de Pascual Duartees(''파스쿠알 두아르테의 가족'')을 쓰기 시작했고, 1942년에 출판했다. 이 소설의 주인공 파스쿠알 두아르테는 도덕관에 회의를 느껴 살인을 포함한 범죄를 저지르지만 아무런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읽히는 스페인 문학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페인 소설의 방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1943년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서 검열관이 되었지만,[4] 그의 대표작 대부분은 이 시기에 쓰여졌다. 1944년에는 마리아 델 로사리오 콘데 피카베아와 결혼했고, 1946년에는 아들 카밀로 호세 셀라 콘데가 태어났다.

195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출판된 La colmenaes(''벌집'')은 300명이 넘는 등장인물과 사실주의적인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에로틱한 내용 때문에 스페인에서는 금지되었다.[5][6] 셀라는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 충성하며 비밀경찰의 정보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7][8]

3. 2. 검열과 해외 출판

셀라는 1943년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서 검열관이 되었다.[4]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인 La colmenaes(''벌집'')은 에로틱한 주제를 다루어 부도덕하다는 이유로 스페인에서 금지되었고, 195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출판되었다. 이로 인해 그의 이름은 인쇄 매체에 더 이상 실릴 수 없게 되었다.[5][6] 이 소설은 300명이 넘는 등장인물과 스페인 사실주의와 현대 영어 및 프랑스어 작가들의 영향을 보여주는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셀라의 독특한 스타일—냉소적이고 종종 그로테스크한 사실주의의 형태—는 La colmenaes에서 잘 나타난다. 셀라는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 충성을 유지했으며, 반체제 집단의 활동을 보고하고[7] 동료 지식인들을 배신하는 등 스페인 비밀경찰의 정보원으로도 일했다.[8]

3. 3. 문학적 성취와 실험

1939년 스페인 내전이 끝난 후, 셀라는 그의 첫 번째 소설인 La familia de Pascual Duartees(''파스쿠알 두아르테의 가족'')을 쓰기 시작했고, 26세가 되던 1942년에 출판했다. 파스쿠알 두아르테는 전통적인 도덕관에 타당성을 찾지 못하고 살인을 포함한 여러 범죄를 저지르지만, 아무런 감정도 느끼지 않는 인물이다. 이 소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페인 소설의 방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셀라는 1943년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서 검열관이 되었다.[4]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는 La colmenaes(''벌집'')인데, 이 소설은 에로틱한 주제를 언급하는 내용의 부도덕성 때문에 스페인에서 금지되었고, 195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출판되었다.[5][6] 300명이 넘는 등장인물과 스페인 사실주의와 현대 영어 및 프랑스어 작가들의 영향을 보여주는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셀라의 독특한 스타일—냉소적이고 종종 그로테스크한 사실주의의 형태—는 La colmenaes에서 잘 나타난다.[7][8]

1960년대 후반부터 ''산 카밀로, 1936''의 출판과 함께 셀라의 작품은 점점 더 실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1988년 그는 ''그리스도 대 애리조나'' ()를 썼는데, 이 작품은 100페이지가 넘는 한 문장으로 O.K. 목장 총격전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3. 4. 노벨 문학상 수상과 후기 활동

1957년 5월 26일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 회원으로 추대되었다.[1]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스페인 상원 의원을 지냈으며, 스페인 1978년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1] 1984년 『두 죽은 자를 위한 마주르카』(원제: *Mazurca para dos muertos*)로 스페인 국민 문학상을, 1987년에는 아스투리아스 황태자상 문학 부문을 수상했다.[1] 1989년 『파스쿠알 두알테의 가족』(원제: *La familia de Pascual Duarte*)과 『두 죽은 자를 위한 마주르카』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1]

1990년 로사리오 콘데와 이혼하고, 1991년 자신보다 41살 어린 저널리스트 마리나 카스타뇨(Marina Castaño)와 재혼했다.[1] 1994년 플라네타사(Planeta)의 플라네타상을 수상했다.[1] 1996년 세르반테스상을 수상하고, 같은 해 오랜 기간의 문학 활동 공로를 인정받아 스페인 국왕으로부터 이리아 플라비아 후작(Marquesado de Iria Flavia) 작위를 받았다.[1] 1999년 일본 간사이가쿠인대학(関西外国語大学)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0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사립대학인 카밀로 호세 셀라 대학교(Universidad Camilo José Cela)가 개교했다.[1]

4. 사회 활동과 정치적 입장

셀라는 스페인 내전 이후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 충성하며 검열관으로 일했고, 비밀경찰의 정보원으로 활동하며 반체제 인사들을 감시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8] 이러한 그의 행적은 진보 진영에서 그를 비판하는 주된 근거가 된다.

1960년대 후반부터 셀라의 작품은 실험적인 성격을 띠기 시작했다. 1988년에는 100페이지가 넘는 한 문장으로 O.K. 목장 총격전의 이야기를 담은 ''그리스도 대 애리조나''를 발표하기도 했다.

4. 1. 논란과 비판

1943년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서 검열관으로 일했다.[4]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인 La colmenaes(《벌집》)는 에로틱한 주제를 다루어 스페인에서 금지되었고, 195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출판되었다. 이로 인해 그의 이름은 인쇄 매체에 실릴 수 없게 되었다.[5][6] 《La colmenaes》는 300명이 넘는 등장인물과 스페인 사실주의와 현대 영미, 프랑스 작가들의 영향을 받은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냉소적이고 종종 그로테스크한 사실주의를 보여준다. 셀라는 프랑코 시대 스페인에 충성했으며, 반체제 집단의 활동을 보고하고[7] 동료 지식인들을 배신하는 등 스페인 비밀경찰의 정보원으로도 일했다.[8]

말년에 셀라는 파격적인 발언으로 유명해졌다. 스페인 국영 방송의 메르세데스 밀라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항문을 통해 리터 단위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고 자랑하며 시범을 보이겠다고 제안했다.[9] 또한, 《Diccionario secretoes》(비밀 사전, 1969-1971)와 같은 속어와 금기어 사전을 통해 스페인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1998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탄생 100주년 기념식에서 동성애자 단체들의 참석에 대해 "동성애자들에게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의 행동을 받아들일 수는 없다."라며 불편함을 표했다.[10]

5. 작품 목록

카밀로 호세 셀라는 소설, 여행기, 수필, 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주요 작품 목록
연도작품명
1942『파스쿠알 두아르테의 가족』
1943『휴양소』
1944『라사리요 데 또르메스의 새로운 사건과 불운들』
1948『알까리아로의 여행』
1951『벌집』
1952『미뇨에서 비다소아까지』
1953『콜드웰 부인이 아들과 나누는 대화』
1955『라 까띠라』
1956『유태인, 모로 인, 기독교인들』
1959『안달루시아의 첫 여행』
1960『구아다라마의 노트』
1965『레리다에서 피레네 산맥까지 여행』
1969『1936년, 산 까밀로』
1973『어둠의 작업 5』
1983『두 명의 사자를 위한 마수르카』
1986『알까리아로의 새로운 여행』



이 외에도 El bonito crimen del carabinero, y otras invencioneses, El gallego y su cuadrillaes 등 다수의 작품이 있으며, 일본어로 번역된 작품으로는 『축구와 11가지 우화』, 『소풍』, 『축제』 등이 있다.

5. 1. 소설

카밀로 호세 셀라는 다양한 소설을 통해 20세기 스페인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들은 스페인 내전 전후의 사회상과 인간의 실존적 고뇌를 날카롭게 묘사하며, 때로는 실험적인 기법을 통해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 파스쿠알 두아르테의 가족 (1942): 전후 소설사에 있어서 첫 번째 큰 사건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에스트레마두라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고통스럽고 격정적인 이야기를 다루며, 주인공이 처한 극한 상황과 범죄를 통해 실존의 비극을 드러낸다.[1]
  • 휴양소 (1943)
  • 라사리요 데 또르메스의 새로운 사건과 불운들 (1944)
  • 벌집 (1951): 스페인 내전 직후 마드리드 사회 저변의 군상들을 조명하며 실의와 허무에 빠진 마드리드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296명에 달하는 등장인물(그 중 50명은 실존 인물)을 통해 사회의 잔혹성을 드러내며, 독자에게 씁쓸한 웃음과 아픔을 전달한다.[1] 스페인 내에서 금지되어 아르헨티나에서 출판되었다.[1]
  • 콜드웰 부인이 아들과 나누는 대화 (1953): 죽은 아들에게 보내는 상상 속의 편지들을 통해 잠재의식을 표출하는 작품이다. 짧은 장으로 구성된 산문시 형식이며, 꿈속의 상상으로 가득 차 있다.
  • 라 까띠라 (1955): 스페인 비평문학상을 받은 작품으로, 베네수엘라를 배경으로 중남미 스페인어로 씌어진 리얼리즘 계열의 소설이다.
  • 유태인, 모로 인, 기독교인들 (1956)
  • 1936년, 산 까밀로 (1969): 스페인 내전 이전의 사회적 분위기를 기술한 작품이다.
  • 어둠의 작업 5 (1973)
  • 두 명의 사자를 위한 마수르카 (1983): 살인과 복수극을 초현실주의 기법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 알까리아로의 새로운 여행 (1986)

5. 2. 기타 작품

카밀로 호세 셀라는 소설, 여행기, 수필, 시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다음은 그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 1942년 『빠스꾸알 두아르떼의 가족』
  • 1943년 『휴양소』
  • 1944년 『라사리요 데 또르메스의 새로운 사건과 불운들』
  • 1948년 『알까리아로의 여행』
  • 1951년 『벌집』
  • 1952년 『미뇨에서 비다소아까지』
  • 1953년 『콜드웰 부인이 아들과 나누는 대화』
  • 1955년 『라 까띠라』
  • 1956년 『유태인, 모로 인, 기독교인들』
  • 1959년 『안달루시아의 첫 여행』
  • 1960년 『구아다라마의 노트』
  • 1965년 『레리다에서 피레네 산맥까지 여행』
  • 1969년 『1936년, 산 까밀로』
  • 1973년 『어둠의 작업 5』
  • 1983년 『두 명의 사자를 위한 마수르카』
  • 1986년 『알까리아로의 새로운 여행』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제목출판사출판 위치출판 연도
El bonito crimen del carabinero, y otras invencioneses호세 하네스(José Janés)바르셀로나1947
El gallego y su cuadrillaes리카르도 아길레라(Ricardo Aguilera)마드리드1949
Baraja de invencioneses카스타리아(Castalia)발렌시아1953
El molino de viento y otros novelas cortases노게르(Noguer)바르셀로나1956
Nuevo retablo de Don Cristobita: Invenciones, figuraciones y alucinacioneses데스티노(Destino)바르셀로나1957
Pisando la dudosa luz del diaesEd. del Zodíaco바르셀로나1945
Cancionero de la AlcarriaesNorte산세바스티안1948
María SabinaesPapeles de Son Armadans팔마데마요르카1967
El caro de heno o El inventor de la guillotinaesPapeles de Son Armadans팔마데마요르카1969
María Sabina; El carro de heno o El inventor de la guillotinaes (2판)Alfaguara마드리드1970
Poesía completaesCírculo de lectores바르셀로나1996
La extracción de la piedra de la locura o El inventor del garroteesSeix Barral바르셀로나1999
Viaje a la AlcarriaesRevista de Occidente마드리드, 바르셀로나1948
AvilaesNoguer바르셀로나1952
Del Miño al Bidasoa: Notas de un vagabundajeesNoguer바르셀로나1952
Vagabundo por CastillaesSeix Barral바르셀로나1955
Judíos, moros y cristianos: Notas de un vagabundaje por Avila, Segovia y sus tierrasesDestino바르셀로나1956
Primer viaje andaluz : notas de un vagabundaje por Jaén, Córdoba, Sevilla, Segovia, Huelva y sus tierrasesNoguer바르셀로나1959
Viaje al Pirineo de Lérida : notas de un paseo a pie por el Pallars, Sobirá, el Valle de Arán y el Condado de RibagorzaesAlfaguara마드리드1965
Nuevo viaje a la AlcarriaesPlaza & Janés바르셀로나1986
Mesa revueltaes에디시오네스 데 로스 에스투디안테스 에스파뇰레스(Ediciones de los Estudiantes Españoles)마드리드1945
Cajón de sastreesCid마드리드1957
La rueda de los ocioses마테우(Mateu)바르셀로나1957
Cuatro figuras del 98: Unamuno, Valle-Inclán, Baroja, Azorín, y otros retratos y ensayos españolesesAedos바르셀로나1961
비밀 사전알파과라(Alfaguara)마드리드1968 (초판 이후 업데이트됨.)
에로티시즘 백과사전세드마이(Sedmay)마드리드1977 (전 4권)
Cachondeos, escarceos y otros meneoses [서문 및 비밀 어휘, 페드로 아바드 콩트레라스(Pedro Abad Contreras)]에디시오네스 테마스 데 오이(Ediciones Temas de Hoy)마드리드1991
스페인 지리 백과사전에디토리얼 노에시스(Editorial Nóesis)마드리드1998
La cucaña: Memorias de Camilo José CelaesDestino바르셀로나1959
Memorias, entendimientos y voluntadesesPlaza & Janés바르셀로나1993
망명 작가들과의 서신Destino바르셀로나2009 (셀라가 망명한 13명의 스페인 작가들과 주고받은 서신)
서신: 카밀로 호세 셀라, 안토니오 비야노바PPU바르셀로나2012
전집에디시오네스 데스티노바르셀로나1962 (1962년부터 완성된 권으로 출판됨.)
Iria Flavia로의 귀환: 산발적이고 잊힌 작품, 1940-2001es알바렐로스 에디토라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2006



일본어로 번역된 작품으로는 『축구와 11가지 우화』(노타니 후미아키(野谷文昭)・호시노 토모유키(星野智幸) 공역, 아사히 신문사, 1997년), 『소풍』(오쿠보 미쓰오(大久保光夫) 역, 『세계 단편 명작선 스페인 편』, 신일본출판사, 1978년 수록), 『축제』(『세계 단편 문학 전집 [9] 남유럽 문학 근대』, 슈에이샤 수록) 등이 있다.

6. 작품 경향 및 문학적 특징

카밀로 호세 셀라는 소설의 각기 다른 기법을 사용하며, 소설이라는 장르의 개방성과 변형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의 소설 세계는 삐오 바로하의 실존적 페시미즘처럼 잔혹하고 신랄하지만, 인간의 고통에 대한 애정과 동정심도 담고 있다. 그의 문체는 과거의 미학주의를 벗어나 다양하고 심화된 경향을 보이며, 시적 기법과 수사학적 기교를 통해 해학, 풍자, 블랙 유머, 익살스러운 재치를 함께 연출하여 아이러니한 상황을 만들어낸다. 그의 작품에서는 고통스러운 냉혹함, 탁한 유머, 서정적 어조가 혼합되어 나타난다.

6. 1. 전율주의(Tremendismo)

그의 소설들은 각기 다른 소설 기법을 따른다. 그가 내린 소설 정의에 따르면 "소설은 제목 하에서 그리고 괄호에 넣어 덧붙여서 <소설>이라는 단어를 인정하는, 책이라는 형태로 출판된 모든 것이다."라고 한다. 이는 소설이라는 장르의 개방된 특징과 변형 가능성에 대한 그의 확신을 보여준다. 삐오 바로하의 실존적 페시미즘을 연상케 하는 그의 소설 세계는 잔혹하고 신랄한 모습을 띠고 있지만, 인간의 고통 앞에 미약하나마 존재하고 있는 애정, 무한한 동정심의 창구를 열어놓고 있다. 과거의 미학주의를 청산하고 새로운 세대로 전환하고자 하는 그의 문체 역시 정형화, 고착화된 모습보다는 오히려 다양하고 심화된 경향을 보인다. 그는 초기 작품 활동 중에 시를 썼으며 시적 기법에 익숙했던 만큼 시어가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소설에서도 인위적으로 보여주려 한다. 또한 작가의 감정을 강조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사용한 갖가지 수사학적인 기교는 때때로 해학과 함께 시니컬한 풍자, 블랙 유머, 익살스러운 재치가 같이 연출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빚어내기도 한다. 그의 작품에서는 고통스러운 냉혹함, 탁한 유머, 서정적 어조가 서로 혼합된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그의 작품 경향을 말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전율주의란 셀라 소설의 문체적 미학을 말하는 것으로, 냉혹하고 잔인한 인간 실존의 양상을 자세하고 치밀하게, 그리고 한 오라기 감상적 해석이나 평가 없이 지극히 객관적이거나 혹은 아이러니컬하게 제시할 때 오는 소름 끼치는 사실감을 말한다.

6. 2. 사회 비판적 사실주의

그의 소설들은 각기 다른 소설 기법을 따른다. 그가 내린 소설 정의에 따르면 "소설은 제목 하에서 그리고 괄호에 넣어 덧붙여서 <소설>이라는 단어를 인정하는, 책이라는 형태로 출판된 모든 것이다."라고 한다. 이는 소설이라는 장르의 개방된 특징과 변형 가능성에 대한 그의 확신을 보여준다. 삐오 바로하의 실존적 페시미즘을 연상케 하는 그의 소설 세계는 잔혹하고 신랄한 모습을 띠고 있지만, 인간의 고통 앞에 미약하나마 존재하는 애정과 무한한 동정심의 창구를 열어놓고 있다. 과거의 미학주의를 청산하고 새로운 세대로 전환하고자 하는 그의 문체 역시 정형화, 고착화된 모습보다는 오히려 다양하고 심화된 경향을 보인다. 그는 초기 작품 활동 중에 시를 썼으며 시적 기법에 익숙했던 만큼 시어가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소설에서도 인위적으로 보여주려 한다. 또한 작가의 감정을 강조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사용한 갖가지 수사학적인 기교는 때때로 해학과 함께 시니컬한 풍자, 블랙 유머, 익살스러운 재치가 같이 연출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빚어내기도 한다. 그의 작품에서는 고통스러운 냉혹감, 탁한 유머, 서정적 어조가 서로 혼합된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그의 작품 경향을 말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전율주의란 셀라 소설의 문체적 미학을 말하는 것으로, 냉혹하고 잔인한 인간 실존의 양상을 자세하고 치밀하게 그리고 한 오라기 감상적 해석이나 평가 없이 지극히 객관적이거나 혹은 아이러니컬하게 제시할 때 오는 소름 끼치는 사실감을 말한다.

6. 3. 문체 실험

그의 소설들은 각기 다른 소설 기법을 따른다. 그가 내린 소설 정의에 따르면 "소설은 제목 하에서 그리고 괄호에 넣어 덧붙여서 <소설>이라는 단어를 인정하는, 책이라는 형태로 출판된 모든 것이다."라고 한다. 이는 소설이라는 장르의 개방된 특징과 변형 가능성에 대한 그의 확신을 보여준다. 삐오 바로하의 실존적 페시미즘을 연상케 하는 그의 소설 세계는 잔혹하고 신랄한 모습을 띠고 있지만, 인간의 고통 앞에 미약하나마 존재하는 애정과 무한한 동정심의 창구를 열어놓고 있다. 과거의 미학주의를 청산하고 새로운 세대로 전환하고자 하는 그의 문체 역시 정형화, 고착화된 모습보다는 다양하고 심화된 경향을 보인다. 그는 초기 작품 활동 중에 시를 썼으며 시적 기법에 익숙했던 만큼 시어가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소설에서도 인위적으로 보여주려 한다. 또한 작가의 감정을 강조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사용한 갖가지 수사학적인 기교는 때때로 해학과 함께 시니컬한 풍자, 블랙 유머, 익살스러운 재치가 같이 연출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빚어내기도 한다. 그의 작품에서는 고통스러운 냉혹감, 탁한 유머, 서정적 어조가 서로 혼합된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그의 작품 경향을 말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전율주의란 셀라 소설의 문체적 미학을 말하는 것으로, 냉혹하고 잔인한 인간 실존의 양상을 자세하고 치밀하게, 그리고 한 오라기 감상적 해석이나 평가 없이 지극히 객관적이거나 혹은 아이러니컬하게 제시할 때 오는 소름 끼치는 사실감을 말한다.

7. 한국 내 번역본


  • 파수쿠알 두아르테 가족
  • 플로라의 시계
  • 어둠의 작업5
  • 벌집
  • 흘러가는 저 구름들
  • 두 망자를 위한 마주르카

8. 수상 내역

연도비고
1956년스페인어 문학 비평가 상(Premio de la Crítica de narrativa castellana)
1980년이사벨라 가톨리카 훈장(Orden de Isabel la Católica)
1984년스페인 국립 문학상(Premio Nacional de Narrativa (España))
1986년산 조르디 문학상(Premio Sant Jordi de las Letras)
1986년라몬 데 카란사 상(Premio Ramón de Carranza)
1987년아스투리아스 공주상 문학 부문
1989년노벨 문학상[11]
1992년칼로스 3세 훈장(Orden de Carlos III)[19]
1992년마리아노 데 카비아 언론상(Premio Mariano de Cavia de Periodismo)
1994년플라네타 상[12]
1995년세르반테스 상[13]
1996년이리아 플라비아 후작세습 작위
1999년간사이가쿠인대학 명예 박사 학위


9. 사망

셀라는 2002년 1월 17일 마드리드의 세르트로 병원에서 85세의 나이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14] 사망 당시 카스티야-라 만차 주 과달라하라 주 과달라하라에 거주하고 있었다.[17] 그는 고향인 산타 마리아 데 아디나의 교구 묘지에 매장되었다.[14]

셀라의 유언장은 첫 번째 부인 로사리오 콘데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카밀로 호세 셀라 콘데보다 그의 미망인이자 두 번째이자 나이가 더 어린 아내 마리나 카스타뇨에게 유산을 더 많이 남긴다는 이유로 분쟁이 발생했다.[15] 호세 세라 사후, 일리아 플라비아 후작 작위는 호세 세라 콘데에게 계승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obel Prize in Literature 1989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8-10-17
[2] 웹사이트 Camilo José Cela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6-07-13
[3] 뉴스 Obituary: Camilo José Cela https://www.theguard[...] 2002-01-18
[4] 웹사이트 El censor censurado; cien añ0s de Camilo José Cela http://www.eldiario.[...]
[5] 웹사이트 The art of fiction no. 145- Camilo José Cela http://www.theparisr[...]
[6] 웹사이트 The modern novel: Camilo José Cela: La colmena (The hive) https://www.themoder[...]
[7] 서적 Unearthing Franco's Legac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8] 웹사이트 Spanish novelist spied for Franco's regime https://www.theguard[...] 2004-09-25
[9] 웹사이트 Todos los títulos fueron suyos http://www.lavozdega[...] La Voz de Galicia 2002-01-18
[10] 웹사이트 Artículo homófobo sobre Lorca http://www.libertadd[...]
[11] 웹사이트 Nobel prize citation http://nobelprize.or[...]
[12] 웹사이트 Camilo José Cela https://web.archive.[...] 2012-05-31
[13] 뉴스 La leyenda del gran provocador http://www.elmundo.e[...] El Mundo 2002-01-18
[14] 웹사이트 BBC obituary http://news.bbc.co.u[...]
[15] 웹사이트 Viuda e hijo, enfrentados por su herencia http://www.libertadd[...]
[16] 웹사이트 Cela: Spain's unflinching chronicler http://news.bbc.co.u[...] 2002-01-17
[17] 웹사이트 Camilo José Cela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6-07-13
[18] 뉴스 Obituary: Camilo José Cela https://www.theguard[...] 2002-01-18
[19] 간행물 Real Decreto 346/1992 https://www.boe.es/b[...] BOE 1992-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