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로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그로뇨는 스페인 라리오하 자치 지역의 주도이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켈트족, 나바라 왕국, 카스티야 왕국을 거치며 발전해왔으며, 1095년 알폰소 6세에 의해 특허장을 수여받았다. 1833년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로그로뇨 주가 설치되었고, 1982년 라리오하 자치주가 설립되면서 주도가 되었다. 주요 산업은 와인 생산이며, 산티아고 순례길이 도시를 통과한다. 산 베르나베 축제와 산 마테오 축제가 유명하며, 산타 마리아 데 라 론다 대성당, 산 바르톨로메 교회 등 역사적인 건축물과 다양한 스포츠 클럽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리오하주 (스페인)의 자치체 - 아르네도
아르네도는 스페인 라 리오하 주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사다시아로 불렸고, 현재 이름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무어인의 지배를 받기도 했고, 19세기 산업화와 사회적 격변을 거쳐 현재는 역사적 건축물과 산업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라리오하주 (스페인)의 자치체 - 아로
아로는 에브로 강과 티론 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스페인 도시로, 지중해성 및 해양성 기후의 영향과 다양한 문화적 역사, 리오하 와인의 중심지로서의 명성, 그리고 다채로운 관광 명소와 축제를 자랑한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 로그로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 |
![]() | |
![]() | |
![]() | |
| 국가 | 스페인 |
| 자치 공동체 | 라 리오하 |
| 시장 | 콘라도 에스코바르 (PP) |
| 지리 | |
| 면적 | 79.57 km² |
| 고도 | 384 m |
| 인구 | |
| 2020년 | 152,485명 |
| 메트로 인구 | 197,000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CET (UTC+1) |
| 서머 타임 | CEST (UTC+2)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수호 성인 | 산 베르나베, 비르헨 데 라 에스페란사 |
2. 역사
로그로뇨는 고대 정착지로, 처음에는 로마인들이 바레이아(Vareia)[4]라는 이름으로 상업 항구로 사용했고, 그 다음에는 켈트족이 사용했다. 10세기부터 나바라 왕국과 카스티야 왕국의 왕들 사이에 로그로뇨 소유권을 두고 분쟁이 있었으며, 결국 카스티야 왕국에 병합되었다. 알폰소 6세 (카스티야)는 1095년에 로그로뇨에 다른 스페인 도시의 모델이 된 특허장을 수여했다.
1431년 후안 2세는 팔렌시아를 도시로 승격시켰다. 1444년 코르테스에서 로그로뇨에 "매우 고귀한"(muy noble)과 "매우 왕에게 충실한"(muy leal)이라는 칭호를 수여했는데, 이는 나바라 왕후안 2세 군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카스티야 왕에게 충성을 다한 주민들의 공로를 기린 것이다.
1523년 카를 1세는 1521년 프랑스군의 침공에 저항한 것을 기려 로그로뇨 문장에 3개의 백합 꽃을 그리는 것을 허락했다.
1609년과 1610년 로그로뇨는 바스크 마녀 재판의 주요 장소였으며, 이는 스페인 종교 재판의 일부였다.
1854년 콜레라 유행 당시 주민들의 행동을 기려 이사벨 2세는 로그로뇨에 엑셀렌시아 훈장을 수여했다.
2. 1. 어원
이 지명의 기원은 다른 많은 지명들과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지 않다. 965년 팜플로나의 가르시아 1세가 이른바 이 지역을 산 밀란 수도원에 기증한 문서에서 ''루크로니오''(Lucronio)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다.[1] 1095년 로그로뇨의 푸에로(특권)에서는 '일로 그로니오'(illo Gronio)라고 한 번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 '로그로니오'(Logronio)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그로니오'(Gronio)/'그론노'(Gronno)라는 고대 지명에 관사 "''lo/illo''"를 접두하여 늦은 라틴화를 거친 것이라는 주장으로 보인다.[1] 이 단어는 켈트어 기원으로 '여울' 또는 '고개'를 의미한다. 이 이름은 이곳이 에브로 강을 건너는 데 자주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다른 역사가들은 '루쿠스 브룬'(Lucus Brun) 또는 '루쿠스 베로니우스'(Lucus Beronius)("베로니아 숲의 성스러운 장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 등 다른 이론들을 제안했지만, 어원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2]
2. 2. 고대
이 지명의 기원은 다른 많은 지명들과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지 않다. ''루크로니오''(Lucronio)라는 이름은 965년 팜플로나의 가르시아 1세가 이른바 이 지역을 산 밀란 수도원에 기증한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 1095년 로그로뇨의 푸에로에서는 '일로 그로니오'(illo Gronio)라고 한 번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 '로그로니오'(Logronio)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그로니오'(Gronio)/'그론노'(Gronno)라는 고대 지명에 관사 "''lo/illo''"를 접두하여 늦은 라틴화를 거친 것이라는 주장으로 보인다.[1] 이 단어는 켈트어 기원으로 '여울' 또는 '고개'를 의미한다. 이 이름은 이곳이 에브로 강을 건너는 데 자주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다른 역사가들은 '루쿠스 브룬'(Lucus Brun) 또는 '루쿠스 베로니우스'(Lucus Beronius)("베로니아 숲의 성스러운 장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 등 다른 이론들을 제안했지만, 어원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2]
로그로뇨는 고대 정착지로, 처음에는 로마인들이 바레이아(Vareia)라는 이름으로 상업 항구로 사용했고, 그 다음에는 켈트족이 사용했다. 10세기부터 로그로뇨의 소유권을 두고 나바라 왕국과 카스티야 왕국의 왕들 사이에 분쟁이 있었으며, 결국 이 지역은 카스티야 왕국에 병합되었다. 도시 이름은 le와 Groin이 합쳐져 시간이 지나면서 Logroño가 된 것이다.

로마 시대에 건설된 바레이아(Vareia, 현재는 도시의 한 지구)가 로그로뇨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당시 주민은 칸타브리아에서 온 켈트이베리아인이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바레이아의 존재와, 항해 가능한 강으로서의 에브로 강에 대해 기술을 남겼다. 바레이아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군대에서 물류 지원을 받았으며,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시대에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중세 시대부터 11세기경까지, 칸타브리아 산맥과 에브로 강을 잇는 위치에 다리가 놓여 있었고, 로마 속주 히스파니아의 다른 도시와의 무역에 이용되었다. 로마 시대에 건설된 것은 만티브레 다리였다(현재 알라바 현과의 현 경계 근처). 현재 로그로뇨 근교에는 카이사르 아우구스타(현재 사라고사의 일부)에서 카라그리스(현재 칼라오라)를 잇고,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로 향하던 로마 가도가 남아 있다.
2. 3. 중세
이 지명의 기원은 다른 많은 지명들과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지 않다. ''루크로니오''(Lucronio)라는 이름은 965년 팜플로나의 가르시아 1세가 이 지역을 산 밀란 수도원에 기증한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 1095년 로그로뇨의 푸에로에서는 '일로 그로니오'(illo Gronio)라고 한 번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 '로그로니오'(Logronio)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그로니오'(Gronio)/'그론노'(Gronno)라는 고대 지명에 관사 "''lo/illo''"를 접두하여 늦은 라틴화를 거친 것이라는 주장으로 보인다.[1] 이 단어는 켈트어 기원으로 '여울' 또는 '고개'를 의미하며, 에브로 강을 건너는 데 자주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다른 역사가들은 '루쿠스 브룬'(Lucus Brun) 또는 '루쿠스 베로니우스'(Lucus Beronius)("베로니아 숲의 성스러운 장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 등 다른 이론들을 제안했지만, 어원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2]
중세 시대 동안 로그로뇨는 카스티야, 나바라, 아라곤의 세 왕국이 접경하는 지역이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이 지나가는 곳이었다. 인구가 증가하고 전략적 요충지가 되면서 레온 왕 알폰소 6세는 1095년 로그로뇨에 푸에로 (특권)를 부여했다. 이 특권은 본질적으로 알폰소 6세 이전부터 행사되었으며, 로그로뇨 주변 지역 대부분에서 시행되었다.
현재의 산타 마리아 데 라 레돈다 부주교좌 성당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19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로마 시대에 기원을 둔 원형 건물로만 이름이 남아 있다.
2. 4. 근세
후안 2세는 1431년 2월 7일 팔렌시아를, 2월 20일에는 바야돌리드를 "도시"로 승격시켰다.[3] 1444년 7월 20일, 아라곤의 후안 2세에 맞선 주민들의 충성심을 기려 로그로뇨에 "매우 고귀한(Muy Noble)"과 "매우 충성스러운(Muy Leal)" 칭호를 추가했다. 도시는 ''«긴 전쟁, 상처와 죽음, 강탈, 화재, 피해 및 압제»''에도 불구하고 카스티야 왕에 대한 충성을 유지했다.[3]1523년 7월 5일, 프랑수아 1세는 1521년 프랑스 포위 공격 당시의 저항을 기리기 위해 도시의 방패에 세 개의 백합 문양을 부여했다.[3]
코무네로스의 반란 중기인 1521년,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 군과 로그로뇨 시민들은 대치했다. 아스파로토 장군이 이끄는 30,000명의 병력이 로그로뇨를 포위했고, 5월 25일에 전투가 시작되었다. 시민대장 베레스 데 게바라가 방위군을 조직했고, 산티아고 교회에서 시 전체 회의가 소집되었다. 회의에서 "로그로뇨는 적에게 문을 열지 않을 것이다. 주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싸울 의지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로그로뇨를 사수할 것이다."라는 서한이 아스파로토 장군에게 보내졌다.
5월 24일에 설치된 방호 울타리와 29회의 포탄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6월 10일, 로그로뇨 시민들과 전투원들이 프랑스 군을 기습하여 혼란에 빠뜨렸다. 나헤라 공작 만리케 데 라라가 2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접근하자, 아스파로토 장군은 봉쇄선을 철수하고 패주했다. 6월 11일, 시는 승리를 축하하며 성 바르나바 숭배를 맹세했다. 카를로스 1세는 로그로뇨의 승리를 기억하기 위해 시의 문장에 세 개의 백합을 추가하도록 명령했고, 이는 1523년 7월 5일에 성립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은 프랑스 군에 포위된 시의 오래된 문을 장식했던 것으로, 1522년부터 건설되었다.
1523년, 카를로스 1세는 나헤라와 로그로뇨를 방문하여 레벨린 성벽의 문 등에 국왕의 문장을 장식했다. 1592년, 펠리페 2세는 펠리페 왕자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공주를 동반하여 로그로뇨를 방문했고, 왕가는 시장과 축제에 대한 양보를 했다. 이 시대에 로그로뇨에 처음으로 예수회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1570년에는 로그로뇨에서 종교재판 법정이 열렸다. 1610년 11월 7일과 8일에는 아우토 다 페가 열려 부주교좌 성당 앞 광장에서 6명의 마녀들이 화형에 처해졌다.
이사벨 2세는 1854년 12월 6일 왕령으로 도시를 황폐화시킨 콜레라 유행 기간 동안의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로그로뇨에 "탁월(Excellence)"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3]
2. 5. 근대
1833년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스페인 전역에 49개의 주가 설치되었다. 카스티야 라 비에하 지역에는 로그로뇨 주가 설치되었고, 로그로뇨가 그 주도가 되었다. 19세기의 군인이자 정치가인 발도메로 에스파르테로는 만년을 로그로뇨에서 보냈으며, 1879년 로그로뇨에서 사망했다. 현재 로그로뇨 시는 에스파르테로에 관한 기념물을 보존하고 있으며, 에스포론 거리에는 에스파르테로의 기마상이 설치되어 있고, 에스파르테로 저택은 라 리오하 박물관이 되었다. 1895년 4월, 현재 플라세테스 마테오 사가스타 연구소가 된 역사적 건축물의 건설이 시작되었다.[4]
1930년대에 로그로뇨의 인구는 3만 명을 넘어섰다. 스페인 제2공화국 사회주의자 동란기인 1936년 3월 18일, 산티아고 교회와 라 리오하 신문사가 입주한 피아스 신학교 건물이 불탔다. 1936년 8월 20일에 라 리오하 신문사는 재개되었는데, 당시 이미 중앙 정부의 합법화에 대한 반란은 주 내에서 승리를 거두고 있었다.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스페인 내전이 일어났지만, 로그로뇨나 라 리오하 지역에서는 큰 전투는 일어나지 않았다. 1944년, 옛 메르세드 수도원이었던 교회가 방화되었고, 후에 담배 공장이 되었다. 작가인 헤수스 비센테 아기레는 프랑코 치하의 스페인에서의 탄압으로 라 리오하 지역 전체에서 약 2,000명이 살해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4]
2. 6. 현대
1982년 6월 9일, 자치주로 라리오하주가 설치되면서 로그로뇨는 그 주도가 되었다. 1833년의 지방 행정 구분에 따르면 카스티야 라 비에하 지방의 일부였으나, 카스티야이레온주에 포함되지 않고 단독으로 자치주를 형성했다. 1978년에는 담배 공장이 폐쇄되었고, 1984년 라리오하 주 정부가 원래의 수도원을 개조할 계획을 시작하면서, 현재 건물은 공공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1992년에는 라리오하주 최초의 공립 대학인 라리오하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2012년에는 "스페인 미식 수도"로 선정되었다.3. 지리
로그로뇨는 라리오하 북부의 에브로 강변에 위치하며, 해발 384m이다. 산티아고 순례길이 도시를 통과한다. 지리적 좌표는 북위 42° 27′, 서경 2° 29′이다.
빌바오에서 152km, 사라고사에서 172km, 마드리드에서 336km, 바르셀로나에서 468km 떨어져 있다. 동쪽의 사라고사나 서쪽의 카스티야 이 레온 주 부르고스로는 도로와 철도로 이동하기 쉽지만, 북쪽의 칸타브리아 산맥과 남쪽의 이베리코 산계 때문에 남북 방향 이동은 어렵다.
3. 1. 기후
에브로 강 유역의 평야에 위치한 로그로뇨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서안 해양성 기후(Cfb)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3.9°C이다.[5][6] 연평균 강수량은 404.7mm로 적은 편이며, 계절에 따른 강수량 변동은 크지 않다.로그로뇨의 기후는 대서양 연안과의 거리, 에브로 강의 흐름에 따른 위치로 인해 온대 해양성 기후에서 강 유역 남동부 지중해성 기후 지역의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까지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기상 관측소는 한랭 반건조 기후(BSk)로 아열대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5][6]
겨울철에는 드물게 기온이 -5°C 이하로 떨어지기도 하며, 여름철에는 최고 기온이 38°C를 넘어서기도 한다. 건조한 시기에는 강수량이 20mm에서 25mm 정도이며, 강수량이 가장 많은 시기에는 45mm에서 50mm 정도이다.[6]
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으로는 북풍인 시에르조, 남풍인 아브레고, 동풍인 솔라노, 서풍인 카스테야노가 있다. 그 외에도 북동풍인 나바리코, 북서풍인 레가뇽, 남서풍인 부르갈레스, 남동풍인 소리아노 등 다양한 바람이 분다.
4. 정치
| 시장 | 정당 |
|---|---|
| 미겔 앙헬 마린 | 민주중앙연합 |
| 마누엘 사인스 오초아 | 스페인 사회노동자당 |
| 호세 루이스 베르메호 | 국민당 |
| 훌리오 레부에르타 | 국민당 |
| 토마스 산토스 | 스페인 사회노동자당 |
| 쿠카 가마라 | 국민당 |
| 파블로 에르모소 데 멘도사 | 스페인 사회노동자당 |
| 콘라도 에스코바르 | 국민당 |
5. 경제
로그로뇨는 라리오하의 상업과 금융 중심지이며, 스페인 와인 최대 생산지인 리오하(DOC)가 있어 와인 산업이 발달했다. 특히 리오하 D.O.가 가장 인기있다. 로그로뇨-아곤시요 공항을 통해 마드리드와 연결된다. 주요 산업으로는 식품 가공업, 기계 공업, 제화업 등이 있다.
6. 교통
도시는 로그로뇨 기차역과 로그로뇨-아곤시요 공항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곳에서 이베리아 항공을 통해 마드리드로 가는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1923년에는 아곤시요의 자치구역에 군용 공항으로 레카호 비행장이 개항했으며, 1932년에는 아곤시요 비행장으로 개칭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스페인 공군이 이 비행장을 사용하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민간 공항인 로그로뇨-아곤시요 공항으로 전환되었다. 마드리드의 아돌포 수아레스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을 향하는 정기편이 운항되고 있지만, 2018년의 여객 수는 21,381명으로 적었다.
고속도로로는 나바라 주의 주도 팜플로나와 카스티야 이 레온 주부르고스 주의 주도 부르고스를 향하는 A-12호선, 아라곤 주의 주도 사라고사와 부르고스 주 미란다 데 에브로를 향하는 A-68호선이 통과하고 있다.
7. 문화
로그로뇨 시내 중심가 근처에는 50개 이상의 타파스 레스토랑(타페리아es)이 밀집해 있다. 이 식당들은 주로 핀초(pintxo)라고 불리는 한 입 크기의 타파스나 작은 타파스 접시(미디어 라시온es)를 전문으로 하며, 리오하 D.O. 와인을 곁들여 제공한다.
카예 델 라우렐(Calle del Laurel)은 "코끼리 길"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카예 산 후안(Calle San Juan)과 더불어 스페인 북부에서 훌륭한 핀초와 타파스를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구시가지의 중심 거리인 카예 포르탈레스(Calle Portales)는 산책을 즐기거나 테라스에 앉아 식사와 와인을 즐기는 사람들로 붐빈다. 카예 마르케스 데 산 니콜라스(Calle Marqués de San Nicolás)(카예 마요르)는 주말 밤 문화를 즐기는 주요 장소이다.
베르가라 공작(El Espolón) 산책로는 도시의 금융 중심지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에스파테로 장군 동상이 있다. 아윤타미엔토 광장은 평화의 거리에 있으며, 라파엘 모네오가 설계한 현대적인 로그로뇨 시청이 있는 넓은 광장이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행사, 축제, 전시회, 콘서트가 열리며, 크리스마스에는 실물 크기의 구유 장면이 설치된다.
카르멘 공원은 버스 터미널 근처에 위치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다. 메르카도 광장은 포르탈레스 거리 근처, 둥근 대성당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로그로뇨의 야간 축제가 열리는 장소이다. 마요르 거리(마르케스 데 산 니콜라스 거리)도 근처에 있다.
에브로 강 인근에는 넓은 에브로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휴식을 취하기 좋은 식물들이 많고 자전거 도로도 마련되어 있다. 에브로 공원 옆에는 최근에 리베라 공원이 조성되었으며, 리베라 투우장 옆에는 많은 정원이 있다. 리오하포럼 (리오하 의회 및 강당 궁전)도 이곳에 위치한다. 산 미겔 공원도 가볼 만한 곳이다.
7. 1. 축제 및 전통

로그로뇨의 수호 성인은 성모 마리아 데 라 에스페란자이다.
로그로뇨의 가장 중요한 축제는 다음과 같다.
- 산 베르나베 축제: 6월 11일에 열리며, 1521년 5월과 6월에 도시를 포위한 프랑스 프랑수아 1세 치하의 프랑스 침략자에 맞선 로그로뇨의 승리와 저항을 기념한다. 이 축제 기간 동안에는 생선 형제단이 튀긴 송어와 빵, 와인을 제공하는데, 이는 포위 기간 동안 로그로뇨에서 구할 수 있었던 유일한 식량이라고 한다. 1521년 앙드레 드 푸아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군에 대한 로그로뇨 포위 공격의 승리를 기념하며, 축제 기간 동안 생선 가게 조합은 생선 튀김과 빵을 제공한다. 이는 프랑스 침공 당시 로그로뇨 주민들이 식량으로 삼았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시민들은 중세 의상을 입고 로그로뇨 시민과 프랑스 군대 간의 대결을 재현하는 행사에 참여한다. 2015년에는 스페인 정부 관광청에 의해 국민 관광 축제로 지정되었다.
- 산 마테오 축제: 9월 20일부터 9월 26일 사이에 열린다. 2006년부터 축제는 9월 21일 (성 마태오 축일) 전 토요일에 시작하여 일주일 동안 진행된다.
1월 첫째 주에는 "ACTUAL"로 알려진 음악, 연극 및 미술 축제가 열린다.
7. 2. 명소
- 산타 마리아 데 라 론다 대성당
- 산 바르톨로메 교회
- 산티아고 교회
- 팔라시오 교회
- 라리오하 박물관
- 라리오하 의회는 국영 담배 회사인 타바칼레라의 오래된 공장이다.
- 레벨린 성벽
- 리오하의 저명한 인물들의 분수. 로그로뇨 또는 라리오하와 관련된 왕족들이 청동으로 표현되어 있다. 인물들이 대중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뒤로 많은 물줄기가 쏟아져 내려서, 이 분수는 일반적으로 "젖은 등" 분수로 알려져 있다.

- 만티블 다리: 엘 코르티호 지구에 위치. 로마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1983년 1월 25일에 문화재 범주로 국가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브레톤 데 로스 에레로스 극장
- 베르가라 공작(El Espolón) 산책로: 수도의 금융 중심지에 위치해 있으며, 에스파테로 장군 동상이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 아윤타미엔토 광장: 평화의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건축가 라파엘 모네오가 설계한 현대적인 로그로뇨 시청이 있는 넓은 광장으로, 수년 동안 수많은 공공 행사, 축제, 전시회, 콘서트가 열렸으며, 최근 몇 년 동안 크리스마스에는 실물 크기의 구유 장면이 재현되었다.
- 카르멘 공원: 버스 터미널 근처에 위치한 이 공원에는 오리와 새를 포함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 메르카도 광장: 도시에서 가장 유명한 거리 중 하나인 포르탈레스 거리 근처, 둥근 대성당 기슭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로그로뇨의 야간 축제가 열리는 곳이며, 마요르 거리(마르케스 데 산 니콜라스 거리) 근처에 있다.
- 에브로 공원: 에브로 강 근처에 위치한 넓은 공원으로, 휴식을 취하기에 이상적인 식물로 가득하다. 공원을 가로지르는 자전거 도로도 있다.
- 리베라 공원: 에브로 공원 옆에 최근에 건설되었다. 이곳에서는 많은 정원이 리베라 투우장 옆에 있다. 또한 리오하포럼 (리오하 의회 및 강당 궁전)이 있다.
- 산 미겔 공원

- 산타 마리아 데 라 레돈다 부주교좌 성당 - 중요 문화재(BIC). "로그로뇨 대성당"이라고도 한다. 1516년부터 약 3세기에 걸쳐 건설되었다. 18세기에는 2개의 탑이 추가되었다. 볼거리는 성가대석, 17세기부터의 거대한 제단,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작품인 그리스도 십자가 처형상이다.
- 산티아고 엘 레알 교회 - 중요 문화재(BIC). 1500년부터 1527년에 건설되었으며, 17세기에 성 야고보의 상이 세워진 바로크 양식의 파사드가 추가되었다.
- 산 바르톨로메 교회 - 중요 문화재(BIC). 로그로뇨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건물 일부는 1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로마네스크 건축도 사용되었다.
- 산타 마리아 데 팔라시오 교회 - 중요 문화재(BIC). 12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건설되었다. 1130년, 카스티야 왕 알폰소 7세가 자신의 궁전으로 건설을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카스티야 왕국에서의 성묘 교회로 할 목적이 있었다.
- 레벨린 요새 - 원래 이 지역에는 중세 성벽이 있었다. 1520년의 코무네로스 반란 후, 앙드레 드 푸아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로그로뇨 시를 포위했기 때문에 1522년에 레벨린 요새 건설이 시작되었다.
- 피에드라 다리 - 로그로뇨 시가지에서 에브로 강에 걸린 4개의 다리 중 하나. 1871년에 오래된 다리가 붕괴된 후, 1884년에 건설되었다.
- 만티블레 다리 - 중요 문화재(BIC). 에브로 강에 걸려 있다. 건설 연대는 고대 로마 시대의 2세기 전반 또는 아르가 강에 레이나 다리 (푸엔테 라 레이나)가 놓인 시기인 11세기라고 추정된다.
7. 3. 사회 생활
카예 델 라우렐(Calle del Laurel)은 "코끼리 길"로 알려져 있으며, 카예 산 후안(Calle San Juan)과 함께 스페인 북부 최고의 핀초와 타파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레스토랑과 타파스 바가 있는 전형적인 거리이다. 카예 포르탈레스(Calle Portales)는 구시가지의 주요 거리로, 사람들이 산책하거나 테라스에 앉아 식사를 하거나 와인을 즐기는 곳이다. 카예 마르케스 데 산 니콜라스(Calle Marqués de San Nicolás)(일명 카예 마요르(Calle Mayor))는 사람들이 주말 밤을 보내는 주요 지역이다.8. 스포츠
로그로뇨를 연고로 하는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 종목 | 팀명 | 리그 | 웹사이트 |
|---|---|---|---|
| 핸드볼 | CB 시우다드 데 로그로뇨 | 리가 ASOBAL | [http://www.cbclogrono.com CB 시우다드 데 로그로뇨] |
| 배구 | 클루브 볼레이볼 로그로뇨 | 수페르리가 페메니나 데 볼레이볼 | [http://www.voleibollogrono.es/ 클루브 볼레이볼 로그로뇨] |
| 여자 축구 | EDF 로그로뇨 | 프리메라 디비시온 | [http://www.escuelasdefutbol.es/ EDF 로그로뇨] |
| 축구 | UD 로그로녜스 |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 [http://www.uniondeportivalogroñes.es// UD 로그로녜스] |
| 축구 | SD 로그로녜스 |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 [http://www.sdlogrones.com SD 로그로녜스] |
| 축구 | 야궤 CF | 테르세라 페데라시온 |
세단뛰기 선수 카를로타 카스트레야나와 브라이턴 & 호브 알비온의 미드필더 다비드 로페스 모레노가 로그로뇨 출신이다.
1940년에 설립된 CD 로그로녜스는 1987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처음 승격하여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까지 9시즌 동안 프리메라에 소속되었으나, 2009년 재정난으로 해산되었다. 2009년에는 UD 로그로녜스와 SD 로그로녜스가 설립되었으며, 두 팀 모두 세군다 디비시온 B(3부)나 테르세라 디비시온(4부)에 소속되어 있다. 2002년에는 CD 로그로녜스의 홈 경기장으로 에스타디오 라스 가우나스가 개장했으며, UD 로그로녜스도 라스 가우나스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4년에 설립된 여자 배구 클럽 CV 무리요는 수페르리가(1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3-14 시즌부터 국내 리그에서 5연패를 달성했다.
1967년에 설립된 농구 클럽 CB 클라비호는 LEB 오로(2부)나 LEB 플라타(3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4,500명 수용 가능한 팔라시오 데 로스 데포르테스 데 라 리오하(Palacio de los Deportes de La Rioja)를 홈 아레나로 사용하고 있다.
2003년에 설립된 핸드볼 클럽 CB 시우다드 데 로그로뇨는 리가 ASOBAL(1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CB 클라비호와 마찬가지로 팔라시오 데 로스 데포르테스 데 라 리오하를 홈 아레나로 사용하고 있다.
9. 자매 도시
로그로뇨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10. 저명한 출신 인물
- 후안 페르난데스 데 나바레테(1526–1579), 매너리즘 화가.
- 알폰소 나바레테(1571-1617), 선교사이자 사회 사업가, 도미니코회 수사.
- 로리고 데 아리아가(1592–1667) 철학자, 신학자, 예수회 수사.
- 마리아 데 아르부루(1610년 로그로뇨에서 사망), 마녀 혐의.
- 파우스토 엘후야르(1755–1833)와 후안 호세 엘후야르(1754–1796), 화학자, 텅스텐 발견자.
- 마르틴 수르바노(1788–1845) 자유주의 군인.
- 발도메로 에스파르테로(1793–1879) 장군, 자유주의 정치인.
- 코스메 가르시아 사에스(1818–1874) 기술자, 최초의 잠수함 발명가.
- 일데폰소 수비아(1819–1891) 약사이자 식물학자.
- 훌리오 레이 파스토르(1888–1962) 수학자.
- 마리아 테레사 레온(1903–1988) 27 세대 작가.
- 라몬 카스트로비에호(1904–1987) 안과 의사.
- 마리아 테레사 길 데 가라테(1906–1985) 교육자.
- 헤라르도 사크리스탄(1907–1964) 화가.
- 롤라 로드리게스 아라곤(1910–1984) 소프라노 가수이자 기업가.
- 페페 블랑코(1911–1981) 가수, 배우.
- 디에스 델 코랄(1911-1998) 철학자, 역사학자.
- 엔리케 블랑코 라크(1914–1994) 화가.
- 마누엘 할론(1925–2011) 기술자, 발명가.
- 라파엘 아스코나(1926–2008) 시나리오 작가, 소설가.
- 솔레다드 브라보(1943–) 스페인 출신 베네수엘라 가수.
- 예수스 비센테 아기레(1948–) 싱어송라이터, 작가.
- 페드로 J. 라미레스(1952–) 언론인, ''El Español'' 편집인.
- 루이스 부르고스(1957–) 구상 회화 화가.
- 가스파르 야마사레스(1957–) 의사, 열린 좌파 정치인.
- 안헬라 무로(1962–) 배우, 가수, 작곡가.
- 페페 비유엘라(1963–) 배우, 코미디언.
- 에두아르도 사엔스 데 카베손(1972–) 수학자, 과학 커뮤니케이터.
- 하비에르 데 페드로(1973-) 축구 선수.
- 파블로 사인스 빌레가스(1977–) 클래식 기타 연주자.
- 다니엘 아란수비아(1979–) 전 축구 선수.
- 카를로스 콜로마 니콜라스(1981–) 크로스컨트리 산악 자전거 선수.
- 파우 케마다(1983–) 필드 하키 선수.
- 알베르토 가르손(1985–) 경제학자, 연합 좌파 정치인.
참조
[1]
간행물
Colección diplomática medieval de La Rioja
Logroño
[2]
서적
Studia palaeohispanica et indogermanica J. Untermann ab amicis hispanicis oblata
https://books.google[...]
Edicions Universitat Barcelona
[3]
문서
Rolled leather parchment sealed with lead and the royal seal. Valladolid, 20 February 1431. Logroño municipal register
[4]
웹사이트
Places: 246729 (Vareia?)
http://pleiades.stoa[...]
Pleiades
2013-08-27
[5]
웹사이트
Weather in Logroño
http://www.logrono-h[...]
2012-06-12
[6]
웹사이트
Standard Climate Values for Logroñ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5-06-05
[7]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Moyennes 1991/2020 Espagne (page 2)
http://meteo-climat-[...]
2022-06-08
[8]
웹사이트
Extreme Climate Values for Logroñ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5-06-05
[9]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und Internationales
http://www.darmstadt[...]
2013-07-26
[10]
웹사이트
Actos del 50 Aniversario del hermanamiento entre Dax y Logroño - laRioja.com. Foto 1 de 38
http://www.larioja.c[...]
[11]
문서
A-Z Twinning and Networking
http://www.fife.org.[...]
2010-11-02
[12]
웹사이트
Ayuntamiento de Logroño | Hagunia
http://www.xn--logro[...]
Xn--logroo-0wa.es
2018-05-11
[13]
웹사이트
Ayuntamiento de Logroño | Libourne
http://www.xn--logro[...]
Xn--logroo-0wa.es
2018-05-11
[14]
웹사이트
Ayuntamiento de Logroño | Rancagua
http://www.xn--logro[...]
Xn--logroo-0wa.es
2018-05-11
[15]
웹사이트
National Commission for Decentralised cooperation
http://www.cncd.fr/f[...]
2013-12-26
[16]
웹인용
Standard Climate Values for Logroñ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5-06-05
[17]
웹인용
Extreme Climate Values for Logroñ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5-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