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어족은 ǂʼ암코에어와 ǃ쿵어 방언연속체로 나뉘는 언어 그룹이다. 카어족이라는 명칭은 언어들이 공유하는 단어인 kxʼà (흙, 땅)에서 유래했다. Honken & Heine (2010)은 카어조어의 6개 흡착음 조음 위치를 재구성했으며, 양순 흡착음의 기원에 대한 이견과 순음화된 흡착음에 대한 가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어족 - ǂʼ암코이어
    ǂʼ암코이어는 보츠와나 남동부에서 사용되며 ǂ호안어와 방언 관계에 있는 소멸 위기의 언어로, 세 개의 방언, 5개의 모음과 세 가지 음소 성조, 다양한 자음 체계, SVO 어순, 후치사 사용, 복잡한 복수 체계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카어족 - ǃ쿵어
    ǃ쿵어는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로, 클릭음을 특징으로 하며, 원시 ǃ쿵어에서 분화되어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이다.
  • 코이산 제어 - 산다웨어
    산다웨어는 탄자니아에서 쓰이는 고립된 언어로, 복잡한 음운 체계, SOV 어순, 명사 성별 구분을 특징으로 하며, 코에어와 친족 관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코이산 제어 - 하자어
    하자어는 탄자니아 하자족의 고립어로, 과거 코이산어족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계통적 연관성이 불분명하며, 단순한 음절 구조와 형태소 중간 흡착음, 문법적 성과 수, 최대 두 개의 목적어를 가질 수 있는 동사 특징을 지닌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카어족
언어 정보
이름Kx'a어족 (카어족)
다른 이름주–ǂ호안어족 (Ju–ǂHoan)
사용 지역앙골라, 나미비아, 보츠와나
계통 분류주요 어족 중 하나 (전통적으로 코이산어족으로 분류)
하위 언어!쿵어 (Juu)
ǂʼ암코이어 (ǂHoan)
Glottologkxaa1236
Glottolog 참조Kxa
남아프리카에서 카어족의 분포
카어족의 분포 (주황색)

2. 언어

카어족은 크게 ǂʼ암코에어와 ǃ쿵어 방언연속체로 나뉜다. Honken & Heine (2010)은 읽기 어렵고 !쿵어와 혼동하기 쉬운 주ǂ오앙어족이라는 이름을 대신해 '카어족'(Kxʼa)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지었다. 이 이름은 카어족 언어들이 공유하는 kxʼà|흙, 땅art에서 따온 것이다. 이웃 언어인 콰디어 등도 이 단어를 공유한다.[3]

은땸꼬에어는 과거에 투어족으로 분류되었으나, 은땸꼬에어와 투어족은 양순 흡착음 따위의 지역적 특징을 공유할 뿐이다.

2. 1. ǂʼ암코에어

ǂʼ암코에어는 이전에 투어족과 묶여 있었는데, 아마도 방언 이름 ǂHȍȁn과의 혼동 때문일 것이나, 그들이 공유하는 유일한 점은 유형론적 특징, 예를 들어 양순 파열음과 같은 특징이다.[1] ǂʼ암코에어는 3개의 방언(ǂHȍȁn영어, Nǃaqriaxe, Sàs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멸 직전에 놓여 있었다.[4]

2. 2. ǃ쿵어 방언연속체

ǃ쿵어는 ǃXun 또는 Ju라고도 불리며, 과거에는 '북부 코이산어'로 분류되기도 했다. ǃ쿵어는 방언연속체를 이루고 있다.

3. 명칭

Honken & Heine (2010)은 읽기 어렵고 ǃ쿵어와 혼동하기 쉬운 '주ǂ오앙어족'이라는 이름을 대신해 '카어족'(Kxʼa)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제안했다. '카어족'이라는 명칭은 카어족 언어들이 공유하는 단어인 kxʼà|흙, 땅und에서 유래했다.[1] 이 단어는 이웃 언어인 콰디어 등에서도 나타난다.[1]

4. 음운 재구

Honken & Heine (2010)은 카어조어의 6개 흡착음 조음 위치를 재구성했다. 중앙 ǃ쿵어에서 나타나는 5개의 관상 위치와 ǂʼ암코에어의 양순 흡착음이 그것이다. 이들은 조상 양순 흡착음이 ǃ쿵어에서 치음으로 변화했다고 가정한다.[2]

4. 1. 양순 흡착음의 기원에 대한 이견

스타로스틴(2003)은 양순 흡착음이 ǂʼ암코에어에서 이차적으로 발달했다고 주장한다.[2] 그는 ǂʼ암코에어의 '하나'와 '둘'에 해당하는 단어 ŋ͡ʘũ|ŋ͡ʘũqsm과 ʘoa|ʘoaqsm를 근거로 제시하는데, 다른 코이산어에는 이 숫자 단어에 순음(양순음)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4. 2. 순음화된 흡착음 가설

Sands (2014)는 ǂʼ암코에어 양순 흡착음이 구개음을 제외한 ǃ쿵어의 모든 흡착음 위치에 해당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녀는 이것들이 Proto-Kxʼa의 순음화된 흡착음 *ǀʷ *ǃʷ *‼ʷ *ǁʷund를 반영한다고 가정한다. 이것들은 ǂʼ암코에어에서 양순음이 되었고, ǃ쿵어에서 순음화의 유일한 흔적은 이중 모음이다. Proto-Kxʼa *‼ʷund의 예로, '꼬리'는 ǂ호안어 ʘχúìxuu, 주ǀʼ호안어 ǃxúiktz 및 에코카어 ǁxóeekg (Proto-Ju *‼xoeund에서 유래: 반전 흡착음은 남부 ǃ쿵어에서 치조음과, 북부 ǃ쿵어에서 측음과 합쳐졌으며, 중앙 ǃ쿵어에서만 반전음으로 남았다)가 있다. *ǂʷund가 없다는 것은 언어 간에 순음화된 구개음이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점을 고려할 때 놀라운 일이 아니다.[3]

참조

[1] 논문 The Kxʼa Family: A New Khoisan Genealogy http://repository.tu[...]
[2] 논문 A lexicostatistical approach towards reconstructing Proto-Khoisan http://starling.rine[...]
[3] 간행물 Adoption, maintenance and loss of click contrasts http://linguistics.b[...] 2014-05-30
[4] 논문 The Kx'a Family : A New Khoisan Genealogy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5] 논문 The Kxʼa Family: A New Khoisan Genealogy http://repository.tu[...] 2018-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