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자어는 고립어로 분류되며, 한때 인접한 산다웨어와 함께 흡착음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코이산어족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다른 언어와의 연관성이 불분명하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의 유사성이 제기되었으나, 차용어의 가능성이 높다는 비판도 있다. 하자어에는 방언 차이가 없으며, 문법적으로는 머리표지 언어이고, VSO를 기본 어순으로 사용하지만 유연성이 있다. 어휘로는 고유 숫자와 차용어가 있으며, 죽은 동물의 이름을 기리는 독특한 어휘가 존재한다. 하자어는 인류 초기 언어와의 관련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흡착음의 기원에 대한 가설은 경험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이산 제어 - 산다웨어
    산다웨어는 탄자니아에서 쓰이는 고립된 언어로, 복잡한 음운 체계, SOV 어순, 명사 성별 구분을 특징으로 하며, 코에어와 친족 관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코이산 제어 - 투어족
    투어족은 칼라하리 사막 인근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다른 어족과의 계통적 관계가 불분명하며, 코이산어족 및 크사어족과 언어적 유사성을 공유하나 이는 언어 접촉의 결과로 보이고, 타어파와 !크위어파로 나뉘며 소멸 위기에 처한 어족이다.
  • 탄자니아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탄자니아의 언어 - 구자라트어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 주를 중심으로 약 6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로, 12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어휘를 가진, 인도 헌법 지정 언어이자 구자라트 주의 공용어이다.
  • VSO형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VSO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하자어
개요
언어 이름하자어
고유어 이름Hazane
사용 국가탄자니아
사용 지역싱기다 주, 에야시 호 남동쪽; 마Manyara 주, 이람바 및 음불루 지역; 시니앙가 주, 마사와 지역
사용자 수1,000+ 명 (2012년)
하자베족 인구1,200–1,300 명 (2012년 인구 조사)
탄자니아의 하자어 분포 (짙은 회색)
하자어는 유네스코 세계 멸종 위기 언어 지도에 의해 취약한 언어로 분류됨
언어학적 정보
언어 계통고립어
ISO 639-3hts
Glottologhadz1240
GlottopediaHadza
보존 상태
UNESCO취약

2. 분류

하자어는 고립어이다. 한때 하자어는 이웃한 산다웨어와 함께 흡착음을 지녔다는 이유로 코이산어족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하자어는 산다웨어나 다른 코이산 제어와 공유하는 어휘가 거의 없으며, 동계어라고 제안된 어휘도 의심스럽다. 예를 들어 하자어와 산다웨어가 공유하는 어휘는 대체로 쿠시어파 차용어이고, 남아프리카의 코이산 제어와 공유한다고 주장된 어휘는 그 수도 적고 단어의 길이도 짧아서(단음절 자음-모음 구조인 것이 많다)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이 크다. 오로폼어와 비슷한 단어도 있지만 오로폼어 자체가 미상 언어로 여겨진다. 수사 '하나'를 뜻하는 ''itchâme'' 와 '둘'을 뜻하는 ''piye'' 는 콰자어와 비슷해 보이는데, 콰자어는 최근에 쿠시어파로 언어 전환을 겪은 수렵채집민 부족의 언어이다.

여러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의 유사성이 수집되었다. 하자어를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특히 차드어족과 가깝다고 보는 어휘통계학적 제안은 하자어와 쿠시어 전문가들에게서 차용어의 여러 층과 우연의 유사성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음운 대응의 불충분한 규칙성과 관계에 대한 문법적 증거의 부족 때문이다. 게오르기 스타로스틴은 하자어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관계 가설을 이론적으로 타당하다고 보지만,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의 재구성이 여전히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어휘 비교를 통한 입증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

하자어에는 방언 차이가 없다. 다만 지역에 따라 어휘에 약간 차이가 있는데, 특히 반투어군 차용어는 이중언어 화자의 비율이 높은 남부와 서부에서 더 많이 쓰인다.

2. 1. 다른 언어와의 관계

하자어는 고립어이다. 한때 하자어는 이웃한 산다웨어와 함께 흡착음을 지녔다는 이유로 코이산어족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하자어는 산다웨어나 다른 코이산 제어와 공유하는 어휘가 거의 없으며, 동계어라고 제안된 어휘도 의심스럽다. 예를 들어 하자어와 산다웨어가 공유하는 어휘는 대체로 쿠시어파 차용어이고, 남아프리카의 코이산 제어와 공유한다고 주장된 어휘는 그 수도 적고 단어의 길이도 짧아서(단음절 자음-모음 구조인 것이 많다)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이 크다. 오로폼어와 비슷한 단어도 있지만 오로폼어 자체가 미상 언어로 여겨진다. 수사 '하나'를 뜻하는 ''itchâme'' 와 '둘'을 뜻하는 ''piye'' 는 콰자어와 비슷해 보이는데, 콰자어는 최근에 쿠시어파로 언어 전환을 겪은 수렵채집민 부족의 언어이다.

여러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의 유사성이 수집되었다. 하자어를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특히 차드어족과 가깝다고 보는 어휘통계학적 제안은 하자어와 쿠시어 전문가들에게서 차용어의 여러 층과 우연의 유사성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음운 대응의 불충분한 규칙성과 관계에 대한 문법적 증거의 부족 때문이다. 게오르기 스타로스틴은 하자어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관계 가설을 이론적으로 타당하다고 보지만,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의 재구성이 여전히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어휘 비교를 통한 입증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

하자어에는 방언 차이가 없다. 다만 지역에 따라 어휘에 약간 차이가 있는데, 특히 반투어군 차용어는 이중언어 화자의 비율이 높은 남부와 서부에서 더 많이 쓰인다.

하자족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B 계통이 58%[17]의 높은 빈도로 관찰된다. 이 유형은 피그미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유형이며, 현재는 고유 언어를 상실한 피그미이지만, "원 피그미어"는 하자어와 근연 관계였을 가능성이 있다.(참조: 부어 가설)

3. 음운론

하자어의 음절은 모두 CV 구조이다. 비모음을 음절말 비음으로 분석한다면 CVN 구조도 가능하다. 어두에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나타나지 않고, 어중에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은 와 대립하지 않는다.

하자어는 형태소 중간에 흡착음이 나타난다. 이는 산다웨어나 응우니어군 언어도 갖고 있는 특징이지만, 남아프리카의 코이산 제어는 형태소의 처음에만 흡착음이 나타난다. 어중에 흡착음이 나타나는 단어 중 일부는 역사적으로 어두 흡착음에서 왔음을 알 수 있지만(예컨대 접두사가 붙거나 첩어화된 것) 나머지는 기원을 알 수 없다. 산다웨어처럼 하자어의 어중 흡착음은 대부분 성문음화되었지만 전부 그렇지는 않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단어가 있다. puche ‘비장’, tanche ‘겨냥하다’, tacce ‘띠’, minca ‘입술을 핥다’, laqo ‘발을 걸다’, keqhe-na ‘느린’, penqhenqhe ~ peqeqhe ‘서두르다’, haqqa-ko ‘돌’, shenqe ‘응시하다’, exekeke ‘듣다’, naxhi ‘북적이다’, khaxxe ‘뛰다’, binxo ‘사냥감을 허리띠에 달고 다니다’.

하자어에는 성조나 음정강세가 없다.

== 모음 ==

하자어에는 /i e a o u///i e a o u/und의 다섯 모음이 있다. 같은 모음 사이의 /ɦ///ɦ/und가 탈락하면 장모음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kʰaɦa ~ kʰaː/[kʰaɦa] ~ [kʰaː]und는 ‘오르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몇몇 단어는 /ɦ///ɦ/und가 있는 형태가 관찰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boːko/[boːko]und ‘그녀’는 boko/[boko]und ‘아프다’와 대립한다. 모음은 (성문음화된) 비 흡착음 앞에서 비음화되는데, 하자어 화자들은 이것을 비모음으로 듣기도 하고 모음-비음 연쇄로 듣기도 한다. 성문음을 제외한 자음 앞에서는 CṼ/[CṼ]und와 CVN/[CVN]und이 자유변이한다. 그러나 어말에서는 CṼ/[CṼ]und는 나타나지만 CVN/[CVN]und은 나타날 수 없다. 즉 하자어의 비모음은 모두 VN 연쇄로 분석할 수 있다.

== 자음 ==

하자어의 자음은 아래 표와 같다.[20][4]

하자어 자음과 그 표기
rowspan="2"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중설음설측음중설음설측음기본양순음화
흡착음유기음 ch qh xh
무기음 c q x
비음화( mcw)1 nc nq nx
성문음화 비음화1 cc qq xx
파열음유기음 ph th kh khw
무기음 p t k kw
유성음 b d g gw
방출음 bb2
선비음화 유기음 mp nt nk
선비음화 무기음 mb nd ng ngw
비음 m n ny ngʼ ngʼw
파찰음유기음 tsh tch tlh3
무기음 ts tc z j
방출음 zz jj gg4 ggw
선비음화 유기음 nts/ns ntc
선비음화 무기음 nz nj
마찰음 f s sl sh( hh)6
접근음 l, r5( y)7( w)7 h7



각주1 성문음화 비 흡착음의 비음성은 선행 모음에 나타나지만 흡착음 자체가 발음되는 동안에는 성문이 닫혀 있으므로 나타나지 않는다. 양순 흡착음 (또는 )은 단 하나의 의성의태어에만 나타나며 와 교체 가능하다.2 양순 방출음 는 적은 수의 단어에만 나타난다.3 경구개 파찰음은 치경음으로 시작할 수 있지만( 등), 필수적이지는 않다.4 연구개 방출음 은 파열음 , 중설 파찰음 , 설측 파찰음 , 마찰음 로 발음될 수 있다. 다른 중설 파찰 방출음도 마찰 방출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5 설측 접근음 은 모음 사이나 기타 환경에서 탄음 가 되기도 한다. 특히 빠르게 말할 때 그렇다. 휴지 다음이나 반복되는 음절에서는 가 가장 일반적인 발음이다(예: lola, 토끼의 일종). 설측 탄음 도 나타난다.6 무성 연구개 마찰음 은 단 하나의 단어에만 나타나며, 와 교체 가능하다.7 는 자유롭게 탈락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는 의 변이음일 수도 있다.

하자어 자음은 차용어에만 나타나거나 NC 시퀀스에 속하며, 이는 단일 분절이 아닌 표기를 설명하기 위해 위에 나열되어 있다. 유성 장애음과 비음 그리고 어쩌면 도 차용된 음소로 보인다.[20]

== 음운 현상 ==

하자어는 어휘 성조나 고저 강세가 나타나지 않는다. 알려진 어휘 최소 대립쌍이나 강세/성조의 문법적 사용도 없다.

3. 1. 모음

하자어에는 /i e a o u///i e a o u/und의 다섯 모음이 있다. 같은 모음 사이의 /ɦ///ɦ/und가 탈락하면 장모음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kʰaɦa ~ kʰaː/[kʰaɦa] ~ [kʰaː]und는 ‘오르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몇몇 단어는 /ɦ///ɦ/und가 있는 형태가 관찰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boːko/[boːko]und ‘그녀’는 boko/[boko]und ‘아프다’와 대립한다. 모음은 (성문음화된) 비 흡착음 앞에서 비음화되는데, 하자어 화자들은 이것을 비모음으로 듣기도 하고 모음-비음 연쇄로 듣기도 한다. 성문음을 제외한 자음 앞에서는 CṼ/[CṼ]und와 CVN/[CVN]und이 자유변이한다. 그러나 어말에서는 CṼ/[CṼ]und는 나타나지만 CVN/[CVN]und은 나타날 수 없다. 즉 하자어의 비모음은 모두 VN 연쇄로 분석할 수 있다.

3. 2. 자음

하자어의 자음은 아래 표와 같다.[20][4]

하자어 자음과 그 표기
rowspan="2"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중설음설측음중설음설측음기본양순음화
흡착음유기음 ch qh xh
무기음 c q x
비음화( mcw)1 nc nq nx
성문음화 비음화1 cc qq xx
파열음유기음 ph th kh khw
무기음 p t k kw
유성음 b d g gw
방출음 bb2
선비음화 유기음 mp nt nk
선비음화 무기음 mb nd ng ngw
비음 m n ny ngʼ ngʼw
파찰음유기음 tsh tch tlh3
무기음 ts tc z j
방출음 zz jj gg4 ggw
선비음화 유기음 nts/ns ntc
선비음화 무기음 nz nj
마찰음 f s sl sh( hh)6
접근음 l, r5( y)7( w)7 h7



각주1 성문음화 비 흡착음의 비음성은 선행 모음에 나타나지만 흡착음 자체가 발음되는 동안에는 성문이 닫혀 있으므로 나타나지 않는다. 양순 흡착음 (또는 )은 단 하나의 의성의태어에만 나타나며 와 교체 가능하다.2 양순 방출음 는 적은 수의 단어에만 나타난다.3 경구개 파찰음은 치경음으로 시작할 수 있지만( 등), 필수적이지는 않다.4 연구개 방출음 은 파열음 , 중설 파찰음 , 설측 파찰음 , 마찰음 로 발음될 수 있다. 다른 중설 파찰 방출음도 마찰 방출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5 설측 접근음 은 모음 사이나 기타 환경에서 탄음 가 되기도 한다. 특히 빠르게 말할 때 그렇다. 휴지 다음이나 반복되는 음절에서는 가 가장 일반적인 발음이다(예: lola, 토끼의 일종). 설측 탄음 도 나타난다.6 무성 연구개 마찰음 은 단 하나의 단어에만 나타나며, 와 교체 가능하다.7 는 자유롭게 탈락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는 의 변이음일 수도 있다.

하자어 자음은 차용어에만 나타나거나 NC 시퀀스에 속하며, 이는 단일 분절이 아닌 표기를 설명하기 위해 위에 나열되어 있다. 유성 장애음과 비음 그리고 어쩌면 도 차용된 음소로 보인다.[20]

3. 3. 음운 현상

하자어는 어휘 성조나 고저 강세가 나타나지 않는다. 알려진 어휘 최소 대립쌍이나 강세/성조의 문법적 사용도 없다.

4. 문법

하자어는 절과 명사구 모두에서 머리표지 언어이다. 어순은 유연하다. 기본 구성 요소 순서는 VSO이지만 VOS와 SVO로의 전치도 매우 흔하다. 관형사, 명사, 형용사구의 순서도 다양하지만 형태론적 결과가 따릅니다. 형용사구(핵심 명사)와 동사(주어) 모두에서 수 일치와 성 일치가 나타난다.[6]

단어의 첫 음절을 반복하여, 대개 강세와 긴 모음을 동반하여 '단지' (의미는 '단순히' 또는 '오로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명사와 동사 모두에서 나타나며, 반복은 습관 접미사 ''-he-'' 또는 복수 동사 내삽 ''''와 같은 다른 사항을 강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 명사 ===

하자어의 명사는 문법적 성(남성, 여성)과 수(단수, 복수)를 갖는다. 명사의 성과 수는 접미사로 표시된다.

단수복수
남성-bii
여성-ko-bee



여성 복수 접미사 '-bee'는 하자족(''Hazabee'')과 같이 혼합된 성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많은 동물의 경우, 문법적 단수는 영어의 무수명사처럼 사용된다. 예를 들어 ''dongoko''는 '얼룩말'(하나 또는 여러 마리)을 의미한다. 남성 복수 접미사 '-bii'는 모음 조화를 일으켜 ''dongobee''(얼룩말들)을 ''dungubii''(수컷 얼룩말)로 변화시킬 수 있다. 몇몇 친족 용어와 지소사 ''-nakwe''는 남성 단수에서 '-te'를 취한다.

성은 은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 명사로 사용되는 단어가 가늘면 남성 명사로, 남성 명사로 사용되는 단어가 둥글면 여성 명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덩굴은 남성, 덩이줄기는 여성, 열매 나무는 여성, 열매는 남성으로 구분된다. ''ati''(비), ''atiko''(샘)와 비교했을 때 ''atibii''(물)처럼 질량 명사는 문법적으로 복수형을 띤다.

죽은 동물에 대해 보고된 이름은 일반적인 명사 패턴을 따르지 않고 명령형 동사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죽은 얼룩말은 ''hantayii''(남성 ''hantayee'', 복수형(희귀) ''hantayetee'' 및 ''hantayitchii'') 형태를 사용한다.

하자어에서 명사의 ''-phee''와 ''-phii'' 형태는 서술어이다. ''dongophee''는 '그들은 얼룩말이다'라는 뜻이다. 서술어 접미사는 1인칭에서 포괄성뿐만 아니라 모든 인칭에서 성별을 구별한다.

남성 단수여성 단수여성 복수남성 복수
1.배타적-nee-neko-'ophee-'uphii
1.포괄적-bebee-bibii
2-tee-teko-tetee-titii
3-a-ako-phee-phii



높은 모음(''i, u'')을 가진 형태는 앞의 중간 모음을 높은 모음으로 올리는 경향이 있다. 3인칭 단수 서술어는 높은 모음과 종종 중간 모음 뒤에서 ''-ya(ko)'' 또는 ''-wa(ko)''처럼 들린다.

=== 대명사 ===

하자어의 개인칭 및 지시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대명사
rowspan="2" colspan="2" |단수복수
1인칭onoonokoôbeeûbii
onebeeunibii
2인칭thethekoethebeeithibii
3인칭hamahakohabeehabii
bamibôkobeebii
nahanâkonâbeenâbii
himiggêhimiggîkohimiggêbeehimiggîbii



몇 가지 추가적인 3인칭 대명사가 있으며, 일부는 복합 형태를 띈다. 3인칭 형태에 장소 부사 '-na'를 추가하여 부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hamana'는 '여기', 'beena'는 '거기', 'naná'는 '저기', 'himiggêna'는 '거기 안/뒤에'를 의미한다.

=== 동사 ===

하자어에는 몇 개의 조동사가 있다. 순차적 ''ka-''와 ''iya-'' ~ ''ya-'' '그리고 나서', 부정 ''akhwa-'' '아니다', 그리고 가정법 ''i-''가 있다. 이들의 굴절은 불규칙적이거나 어휘 동사의 굴절 종결과 다른 굴절 종결을 가질 수 있다.[7]

어휘 동사의 굴절은 다음과 같다.

하자어 시제-상-법 굴절
선행/과거 아님후행/과거잠재적
조건
진실적
조건
명령법/
권유법
목적
(가정법)
1인칭 단수-ˆta-naa-nee-nikwi-na
1인칭 복수(배타)-'ota-'aa-'ee-'ukwi-ya
1인칭 복수(포괄)-bita-baa-bee-bikwi(2인칭 복수 사용)-ba
2인칭 단수-tita ~ -ita-taa-tee-tikwi-'V-ta
2인칭 복수(여성)-(e)têta-(e)tea-etee-ˆtîkwi-(ˆ)te
2인칭 복수(남성)-(i)tîta-(i)tia-itii-(ˆ)si
3인칭 남성 단수-eya-amo-heso-kwiso-ka-so
3인칭 여성 단수-ako-akwa-heko-kwiko-kota-ko
3인칭 여성 복수-ephee-ame-hese-kwise-keta-se
3인칭 남성 복수-iphii-ami-hisi-kwisi-kitcha-si



선행 및 후행의 기능은 조동사 간에 다르다. 어휘 동사의 경우, 과거가 아니다와 과거이다. 잠재적 및 진실적 조건은 어떤 일이 발생했을 정도를 반영한다. 1인칭 단수.npst ''-ˆta'' 와 몇몇 다른 형태는 앞의 모음을 길게 한다. ''-ya''를 제외한 1인칭 배타 형태는 성문 파열음으로 시작한다. imp.sg는 반향 모음 다음에 오는 성문 파열음이다.

습관형은 이 종결 앞에 ''-he''를 취하며, 이는 긴 모음으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일부 동사에서는 습관형이 어휘화되어 실제 습관형은 두 번째 ''-he''를 취한다. 다양한 복합 시제-상-법이 굴절 종결을 두 배로 하여 발생한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몇 가지 추가 굴절이 있다.

굴절 종결은 구두점이며 동사 앞에 있는 부사에 나타날 수 있으며, 맨 동사 어간(동사 어근 + 목적어 접미사)을 남긴다.

동사는 직접 목적어(DO)와 간접 목적어(IO)에 최대 두 개의 목적어 접미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1인칭 배타와 3인칭 단수에서만 다르다. 간접 목적어 접미사는 또한 소유를 나타내기 위해 명사에도 사용된다.

목적어/소유격 접미사
rowspan=2|단수복수
직접 목적어간접 목적어직접 목적어간접 목적어
1인칭 배타-kwa-oba-ya
1인칭 포괄-ona ~ -yona
2인칭 여성-ena-ina
2인칭 남성-na
3인칭 남성-a ~ -ya ~ -na-ma-itcha
3인칭 여성-ta-sa-eta



두 개의 목적어 접미사는 첫 번째 (직접 목적어)가 3인칭인 경우에만 허용된다. 이러한 경우 직접 목적어는 속성 접미사 형태인 ''-e'' (3인칭 남성 단수 / 3인칭 여성 복수) 또는 ''-i'' (3인칭 여성 복수 / 3인칭 남성 단수)로 축소된다. 문맥을 통해서만 어떤 수와 성의 조합이 의도되었는지 알 수 있다. 3인칭 단수 직접 목적어는 명령형 단수에서도 이 형태로 축소된다; 3인칭 복수는 모음을 바꾸지만 단수와 병합되지 않는다.

내부 모음 kV는 동사의 첫 음절 뒤에 나타나 다수 행위를 나타낸다.

=== 형용사 ===

하자어에는 명사 앞에서 사용되는 형용사가 몇 개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속성은 성 및 수에 따른 접미사를 취하는데, '-e'(남성 단수 및 여성 복수) 또는 '-i'(여성 단수 및 남성 복수)가 있으며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한다.[7] '-i' 형태는 모음 조화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7] 예를 들어 'one-' '달콤한' 형용사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7]

''one'' '달콤한'
단수복수
남성onê (onehe)unîbii
여성unîkoonêbee



'-ko/-bee/-bii' 어미는 보어로 대체될 수 있지만, 'e/i' 성 및 수 표시는 유지된다.[7]

지시사, 형용사 및 기타 속성은 명사 앞이나 뒤에 나타날 수 있지만, 명사는 명사구에서 먼저 나타날 때만 성 및 수 어미를 취한다.[7] ''Ondoshibii unîbii'' '달콤한 코르디아 열매', ''manako unîko'' '맛있는 고기'와 같이 사용되지만, ''unîbii ondoshi'' 및 ''unîko mana''와 같이 명사가 뒤에 올 때는 어미가 생략된다.[7] 마찬가지로, ''dongoko bôko''이지만 ''bôko dongo'' '저 얼룩말'과 같이 순서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7]

동사 또한 속성이 될 수 있다.[7] ''dluzîko akwiti'' '말하고 있는 여성 (''akwitiko'')'처럼 사용되며, 'dlozo' '말하다'에서 파생된다.[7] 이 속성 형태는 진행상을 형성하기 위해 보어와 함께 사용된다.[7] ''dlozênee'' '나는 말하고 있다'(남성 화자), ''dluzîneko'' '나는 말하고 있다'(여성 화자)와 같이 사용된다.[7]

=== 어순 ===

하자어에서 명사구 내 단어 순서를 결정하는 요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구성 요소 순서는 새롭거나 강조된 주어의 경우 SXVO (X는 보조사)를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주어가 뒤로 이동하거나 (XSVO, XVSO, XVOS), 또는 단순히 언급되지 않는(XVO) 경향은 주어의 정보가 확립되어 있을수록 강하다. 문맥, 의미, 동사 접사가 의미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할 경우, ''동사-명사-명사''의 순서가 VSO로 이해된다.

4. 1. 명사

하자어의 명사는 문법적 성(남성, 여성)과 수(단수, 복수)를 갖는다. 명사의 성과 수는 접미사로 표시된다.

단수복수
남성-bii
여성-ko-bee



여성 복수 접미사 '-bee'는 하자족(''Hazabee'')과 같이 혼합된 성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많은 동물의 경우, 문법적 단수는 영어의 무수명사처럼 사용된다. 예를 들어 ''dongoko''는 '얼룩말'(하나 또는 여러 마리)을 의미한다. 남성 복수 접미사 '-bii'는 모음 조화를 일으켜 ''dongobee''(얼룩말들)을 ''dungubii''(수컷 얼룩말)로 변화시킬 수 있다. 몇몇 친족 용어와 지소사 ''-nakwe''는 남성 단수에서 '-te'를 취한다.

성은 은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 명사로 사용되는 단어가 가늘면 남성 명사로, 남성 명사로 사용되는 단어가 둥글면 여성 명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덩굴은 남성, 덩이줄기는 여성, 열매 나무는 여성, 열매는 남성으로 구분된다. ''ati''(비), ''atiko''(샘)와 비교했을 때 ''atibii''(물)처럼 질량 명사는 문법적으로 복수형을 띤다.

죽은 동물에 대해 보고된 이름은 일반적인 명사 패턴을 따르지 않고 명령형 동사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죽은 얼룩말은 ''hantayii''(남성 ''hantayee'', 복수형(희귀) ''hantayetee'' 및 ''hantayitchii'') 형태를 사용한다.

하자어에서 명사의 ''-phee''와 ''-phii'' 형태는 서술어이다. ''dongophee''는 '그들은 얼룩말이다'라는 뜻이다. 서술어 접미사는 1인칭에서 포괄성뿐만 아니라 모든 인칭에서 성별을 구별한다.

남성 단수여성 단수여성 복수남성 복수
1.배타적-nee-neko-'ophee-'uphii
1.포괄적-bebee-bibii
2-tee-teko-tetee-titii
3-a-ako-phee-phii



높은 모음(''i, u'')을 가진 형태는 앞의 중간 모음을 높은 모음으로 올리는 경향이 있다. 3인칭 단수 서술어는 높은 모음과 종종 중간 모음 뒤에서 ''-ya(ko)'' 또는 ''-wa(ko)''처럼 들린다.

4. 2. 대명사

하자어의 개인칭 및 지시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대명사
rowspan="2" colspan="2" |단수복수
1인칭onoonokoôbeeûbii
onebeeunibii
2인칭thethekoethebeeithibii
3인칭hamahakohabeehabii
bamibôkobeebii
nahanâkonâbeenâbii
himiggêhimiggîkohimiggêbeehimiggîbii



몇 가지 추가적인 3인칭 대명사가 있으며, 일부는 복합 형태를 띈다. 3인칭 형태에 장소 부사 '-na'를 추가하여 부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hamana'는 '여기', 'beena'는 '거기', 'naná'는 '저기', 'himiggêna'는 '거기 안/뒤에'를 의미한다.

4. 3. 동사

하자어에는 몇 개의 조동사가 있다. 순차적 ''ka-''와 ''iya-'' ~ ''ya-'' '그리고 나서', 부정 ''akhwa-'' '아니다', 그리고 가정법 ''i-''가 있다. 이들의 굴절은 불규칙적이거나 어휘 동사의 굴절 종결과 다른 굴절 종결을 가질 수 있다.[7]

어휘 동사의 굴절은 다음과 같다.

하자어 시제-상-법 굴절
선행/과거 아님후행/과거잠재적
조건
진실적
조건
명령법/
권유법
목적
(가정법)
1인칭 단수-ˆta-naa-nee-nikwi-na
1인칭 복수(배타)-'ota-'aa-'ee-'ukwi-ya
1인칭 복수(포괄)-bita-baa-bee-bikwi(2인칭 복수 사용)-ba
2인칭 단수-tita ~ -ita-taa-tee-tikwi-'V-ta
2인칭 복수(여성)-(e)têta-(e)tea-etee-ˆtîkwi-(ˆ)te
2인칭 복수(남성)-(i)tîta-(i)tia-itii-(ˆ)si
3인칭 남성 단수-eya-amo-heso-kwiso-ka-so
3인칭 여성 단수-ako-akwa-heko-kwiko-kota-ko
3인칭 여성 복수-ephee-ame-hese-kwise-keta-se
3인칭 남성 복수-iphii-ami-hisi-kwisi-kitcha-si



선행 및 후행의 기능은 조동사 간에 다르다. 어휘 동사의 경우, 과거가 아니다와 과거이다. 잠재적 및 진실적 조건은 어떤 일이 발생했을 정도를 반영한다. 1인칭 단수.npst ''-ˆta'' 와 몇몇 다른 형태는 앞의 모음을 길게 한다. ''-ya''를 제외한 1인칭 배타 형태는 성문 파열음으로 시작한다. imp.sg는 반향 모음 다음에 오는 성문 파열음이다.

습관형은 이 종결 앞에 ''-he''를 취하며, 이는 긴 모음으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일부 동사에서는 습관형이 어휘화되어 실제 습관형은 두 번째 ''-he''를 취한다. 다양한 복합 시제-상-법이 굴절 종결을 두 배로 하여 발생한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몇 가지 추가 굴절이 있다.

굴절 종결은 구두점이며 동사 앞에 있는 부사에 나타날 수 있으며, 맨 동사 어간(동사 어근 + 목적어 접미사)을 남긴다.

동사는 직접 목적어(DO)와 간접 목적어(IO)에 최대 두 개의 목적어 접미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1인칭 배타와 3인칭 단수에서만 다르다. 간접 목적어 접미사는 또한 소유를 나타내기 위해 명사에도 사용된다.

목적어/소유격 접미사
rowspan=2|단수복수
직접 목적어간접 목적어직접 목적어간접 목적어
1인칭 배타-kwa-oba-ya
1인칭 포괄-ona ~ -yona
2인칭 여성-ena-ina
2인칭 남성-na
3인칭 남성-a ~ -ya ~ -na-ma-itcha
3인칭 여성-ta-sa-eta



두 개의 목적어 접미사는 첫 번째 (직접 목적어)가 3인칭인 경우에만 허용된다. 이러한 경우 직접 목적어는 속성 접미사 형태인 ''-e'' (3인칭 남성 단수 / 3인칭 여성 복수) 또는 ''-i'' (3인칭 여성 복수 / 3인칭 남성 단수)로 축소된다. 문맥을 통해서만 어떤 수와 성의 조합이 의도되었는지 알 수 있다. 3인칭 단수 직접 목적어는 명령형 단수에서도 이 형태로 축소된다; 3인칭 복수는 모음을 바꾸지만 단수와 병합되지 않는다.

내부 모음 kV는 동사의 첫 음절 뒤에 나타나 다수 행위를 나타낸다.

4. 4. 형용사

하자어에는 명사 앞에서 사용되는 형용사가 몇 개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속성은 성 및 수에 따른 접미사를 취하는데, '-e'(남성 단수 및 여성 복수) 또는 '-i'(여성 단수 및 남성 복수)가 있으며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한다.[7] '-i' 형태는 모음 조화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7] 예를 들어 'one-' '달콤한' 형용사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7]

''one'' '달콤한'
단수복수
남성onê (onehe)unîbii
여성unîkoonêbee



'-ko/-bee/-bii' 어미는 보어로 대체될 수 있지만, 'e/i' 성 및 수 표시는 유지된다.[7]

지시사, 형용사 및 기타 속성은 명사 앞이나 뒤에 나타날 수 있지만, 명사는 명사구에서 먼저 나타날 때만 성 및 수 어미를 취한다.[7] ''Ondoshibii unîbii'' '달콤한 코르디아 열매', ''manako unîko'' '맛있는 고기'와 같이 사용되지만, ''unîbii ondoshi'' 및 ''unîko mana''와 같이 명사가 뒤에 올 때는 어미가 생략된다.[7] 마찬가지로, ''dongoko bôko''이지만 ''bôko dongo'' '저 얼룩말'과 같이 순서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7]

동사 또한 속성이 될 수 있다.[7] ''dluzîko akwiti'' '말하고 있는 여성 (''akwitiko'')'처럼 사용되며, 'dlozo' '말하다'에서 파생된다.[7] 이 속성 형태는 진행상을 형성하기 위해 보어와 함께 사용된다.[7] ''dlozênee'' '나는 말하고 있다'(남성 화자), ''dluzîneko'' '나는 말하고 있다'(여성 화자)와 같이 사용된다.[7]

4. 5. 어순

하자어에서 명사구 내 단어 순서를 결정하는 요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구성 요소 순서는 새롭거나 강조된 주어의 경우 SXVO (X는 보조사)를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주어가 뒤로 이동하거나 (XSVO, XVSO, XVOS), 또는 단순히 언급되지 않는(XVO) 경향은 주어의 정보가 확립되어 있을수록 강하다. 문맥, 의미, 동사 접사가 의미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할 경우, ''동사-명사-명사''의 순서가 VSO로 이해된다.

5. 어휘

5. 1. 수사

하자어에는 고유 숫자로 '하나'를 뜻하는 ''itchâme''와 '둘'을 뜻하는 ''piye''가 있다. '셋'을 뜻하는 ''sámaka''는 다토가어에서 차용되었으며, '넷'을 뜻하는 ''bone'', '다섯'을 뜻하는 ''bothano'', '열'을 뜻하는 ''ikhumi''는 수쿠마어에서 차용되었다. '다섯'은 ''bothano'' 대신 ''aso'' '많음'이 흔히 사용된다. 스와힐리어가 도입되기 전에는 숫자를 세지 않았으며, 스와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숫자를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없다.

도로테아 블리크는 ''piye''가 반투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가장 가까운 지역어로는 냐투루어의 ''-βĩĩ''가 있다고 제안했다. 샌즈는 Kwʼadza와 '하나'와 '둘'의 유사성을 처음으로 인식했다. 밀리타레프는 차드어군에 ''piye''와 유사한 형태가 있다고 지적하며, 하우사어의 ''bíyúú'' '둘'을 예로 들었다.

5. 2. 차용어

5. 3. 죽은 동물 이름

하자어는 죽은 동물의 이름을 축하하는 12개의 이름으로 주목을 받는다.[8][9][10] 이 이름들은 사냥이나 발견을 알릴 때 사용된다.

동물일반 이름승리의 이름
얼룩말동고코/dóngokohts한타이/hantáyiihts
기린조콰나코/zzókwanakohts하와이/háwayiihts
버팔로나고마코/naggomakohts티슬리/tísliihts
표범응케, 찬자이/nqe, tcanjaihts헨케/henqêehts
사자세세메/sésemehts후부웨/hubuweehts
영양코마티코/khomatikohts후부위/hubuwiihts
임팔라포포코/p(h)óphokohts들룬쿠위/dlunkúwiihts

하테비스트
비소코/bisokohts
켈레코/qqelekohts
조노위/zzonowiihts
다른 큰 영양헤페/hephêehts
작은 영양힝치예/hingcíyeehts
코뿔소틀라카테/tlhákatehts후쿠웨/hukhúweehts
코끼리
하마
베가우코/beggáwukohts
웨자이코/wezzáyikohts
카풀라이/kapuláyiihts
사냥멧돼지
멧돼지
들라하/dláhahts
콰이/kwa'ihts
하차예/hatcháyeehts
개코원숭이네코/neekohts응코호위/nqokhówiihts
타조케낭구/khenanguhts후슈웨/hushúweehts



이 단어들은 다소 일반적인데, 예를 들어 헨케/henqêehts는 어떤 점박이 고양이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후슈웨/hushuweehts는 어떤 지상 조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자'와 '영양'은 같은 어원을 사용한다. 블렌치는 이 지역에서 영양이 마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11]

IO 접미사는 사냥한 사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룩말'을 뜻하는 ''hanta-''와 '운반하다'를 뜻하는 ''qhasha'', '주다'를 뜻하는 ''kw-'' 동사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12]


  • ''hanta-i-i'' (얼룩말이다!)
  • ''hanta-ta-te'' (내가 얼룩말을 잡았다!)[13]
  • ''qhasha-i-i'' (그것을 운반해라!)
  • ''kw-i-ko-o'' (그것을 나에게 줘!)

6. 사회문화적 특징

6. 1. 사용자

6. 2. 방언

6. 3. 보존 노력

7. 기타

7. 1. 인류 초기 언어와의 관련성

2003년, 알렉 나이트와 조안나 마운틴의 스탠퍼드 대학교 연구진은 최초의 인류 언어에 흡착음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발표했고, 이는 언론에서 널리 보도되었다.[14] 주ǀʼ호안어와 하자어를 사용하는 화자는 현존하는 인간 집단 중 가장 분화된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들이 인류의 계통수에서 처음으로, 혹은 적어도 처음 중 하나로 분리되어 생존한 민족임을 시사한다. 인류의 세 가지 주요 유전적 분기 중 두 집단이 흡착음을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인류의 조상 언어인 이들의 공통 조상 언어에도 흡착음이 있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학적 해석 외에도, 이 결론은 몇 가지 근거 없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두 집단 모두 인류의 나머지 집단과 분리된 이후 언어 교체 없이 자신들의 언어를 유지해 왔다는 가정이 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언어 공동체의 일환으로 흡착음을 차용하지 않았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혹은 주ǀʼ호안족의 조상이나 하자족의 조상이 다민어를 만든 사람들과 같이 흡착음을 독립적으로 개발하지 않았다는 가정도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 중 어느 것도 옳거나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는 없다. 언어학자들은 흡착 자음이 인간 언어에서 비교적 늦게 발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음성보다 변화에 더 저항적이거나 언어적 유물일 가능성이 더 높지 않으며, 쉽게 차용된다고 본다. 적어도 하나의 코이산어인 ǁ세그위어는 반투어에서 흡착음을 다시 차용했는데, 반투어는 이전에 코이산어에서 흡착음을 차용했다고 여겨진다. 나이트와 마운틴의 논문은 원시인들이 원시 언어를 사용한다는 구시대적 발상에 의해 주로 동기 부여된, 흡착 자음의 원시적 기원에 대한 오랜 추측의 최신판이며, 이는 경험적 근거가 없다.[14]

하자족에게서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B 계통이 58%[17]의 높은 빈도로 관찰된다. 이는 피그미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유형이며, 현재는 고유 언어를 상실한 피그미이지만, "원 피그미어"는 하자어와 근연 관계였을 가능성이 있다.(참조: 부어 가설)

7. 2. 대중문화

피터 왓츠의 SF 소설 ''맹목''에서 하자어는 흡혈귀의 조상 언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간 언어로 제시되었으며,[15] 사냥에 효과적이라는 부정된 가설을 인용했다.[16]

참조

[1] 간행물 Skaanes 2015
[2]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unesdoc.unes[...]
[3] 웹사이트 Hadza https://www.ethnolog[...] 2017-01-17
[4] 문서
[5] 간행물 Miller 2013
[6] 간행물 Miller 2008
[7] 문서
[8] 서적 Limits of Language: Almost Everything You Didn't Know You Didn't Know about Language and Languages Battlebridge Publications 2006
[9] 간행물 Tucker 1977
[10] 간행물 Blench 2008
[11] 간행물 Blench 2008
[12] 간행물 Miller 2009
[13] 문서
[14] 간행물 Sands 2009
[15] 웹사이트 Blindsight https://rifters.com/[...]
[16] 간행물 Pennisi 2004
[17] 문서
[18] 문서
[19] 웹사이트 http://www.unesco.or[...]
[2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