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콰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콰디어는 7개의 구두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가지며, 두 개 이상의 성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다. 자음 체계는 다양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원시 코에-콰디의 특정 자음은 다른 자음으로 대체되었다. 콰디어는 1, 2인칭에서 단수, 이중수, 복수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고,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구분한다. 명사는 남성, 여성, 공통의 세 가지 성과 단수, 양수, 복수의 세 가지 수를 구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에어족 - 코에코에어
    코에코에어는 코에어족 언어로서 과거 주어족 언어를 사용하던 하이옴족이 언어 전환한 언어이며,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나미비아의 국어이자 공용어이지만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코에어족 - 코에콰디어족
    코에콰디어족은 코에어족과 콰디어의 언어 가설로서, 대명사 체계, 어휘, 동사 구문 등의 유사성을 근거로 제시되며, 의존 동사가 접미사 *-(a)Ra로 표시되는 특징을 보인다.
  • 앙골라의 언어 - 콩고어
    콩고어는 콩고 왕국의 언어였으며, 16세기부터 라틴 문자로 표기되었고,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등에서 사용되며,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어 여러 크리올어에 영향을 미친 반투어이다.
  • 앙골라의 언어 -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는 로마 제국 시대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게르만족과 아랍인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 대항해시대를 거쳐 여러 대륙으로 확산되어 현재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로망스어이다.
  • 아프리카의 사어 - 반달어
    반달어는 동게르만어에 속하며, 과거 반달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언어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고트어 방언이었다는 설 등이 존재하며, 현재는 단편적인 구절을 통해서만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아프리카의 사어 - 관체어
    관체어는 카나리아 제도의 원주민인 관체족이 사용했던 사멸한 언어로, 베르베르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지만 명확히 확정되지는 않았으며, 14세기 초 10진법 숫자 체계와 실보 고메로어 형태가 확인되고 리비코-베르베르 문자와 푸니 문자의 흔적이 남아있다.
콰디어
기본 정보
고유 이름ǃKwaǀtse
다른 이름조로투아
사용 국가앙골라
사멸 시기1960년대 ~ 1980년대
사용자 집단콰디족
언어학적 분류
어족코에콰디어족
언어 코드
ISO 639-3kwz
Glottologkwad1244

2. 음운

콰디어의 음운 체계는 제한된 자료와 녹음 품질 저하로 인해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

2. 1. 모음

콰디어는 7개의 구두 모음(/a ɛ e i ɔ o u/)과 3개의 비모음(/ã ĩ ũ/)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모음은 /ai/, /ao/, /au/, /oa/, /oe/, /oɛ/, /ua/, /ui/와 /ãĩ/, /ũã/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ao/의 지위는 불확실하며, /oa/, /ua/는 이음일 수 있다.

2. 2. 자음

콰디어에서 나타나는 자음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자음은 단일 어휘에서만 발견되거나 다른 자음의 이음(어떤 음소의 변이음)일 수 있어 확실하지 않다.[2]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설측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
mbndɲɟ
파열음,, tsʷ, kʷ(q),
, dʷ, ʷ
ᵑ̊ǀʰ
ᵑ̊ǀˀ
파찰음(pf)(kx)
(tɬʰ)
qχ’
마찰음f()( )χ
()
전동음ʀ̥
접근음



치경 설측 탄음만이 남아있다. 원시 코에-콰디어의 흡착음 *ǃ, *ǂ, *ǁ는 와 같은 탄음이 아닌 자음으로 바뀌었다.[6]

두 음절로 된 단어에서 두 번째 자음은 주로 /m/, /n/, /l/, /d/, /b/이며, 이는 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고유어 형태소(의미를 가지는 가장 작은 단위) 내에서 허용되는 유일한 자음일 가능성이 있다.[2]

2. 3. 성조

콰디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성조(높음과 낮음)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6]

  • '개', '물고기'
  • '고기', '남자'

3. 형태

콰디어는 세 개의 성(남성, 여성, 공통)과 세 개의 수(단수, 양수, 복수)를 구분하는 명사를 사용한다.[9] 일부 명사는 보충법을 사용하여 복수를 형성한다. (예: ''tçe'' "여자" 대 ''tala kwaʼe'' "여자들")

콰디어는 1인칭과 2인칭에서 단수, 이중수, 복수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며,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갖는다.[7] 1인칭 복수는 포괄/배타를 구별한다. 3인칭 대명사는 지시사로, 지시 기저 "ha-"에 성/수 접미사를 붙여 형성한다.[8] 알려진 소유격 대명사는 '내'를 뜻하는 ''tʃi''와 '그의'를 뜻하는 ''ha''이다.

3. 1. 대명사

콰디어는 1인칭과 2인칭에서 단수, 이중수, 복수 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 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갖는다.[7] 1인칭 복수는 포괄/배타를 구별한다. 목적격 대명사는 1인칭 이중 목적격 대명사 "mu"를 제외하고 접미사 "-le/-de"를 사용한다. 소유격 대명사는 1인칭 단수 소유격 대명사 "tʃi"를 제외하고 주격 형태와 동일하다. 3인칭 대명사는 지시사로, 지시 기저 "ha-"에 성/수 접미사를 붙여 형성한다.[8]

인칭 대명사
colspan=2|단수이중수복수
1인칭taʔamu ~ hamuʔala (배타)
ʔuhina, hina (포괄?)
2인칭uwa ~ huwaʔu ~ hu
3인칭남성hádehawahau
여성hɛɛ (< ha-e)haʔe



알려진 소유격 대명사는 '내'를 뜻하는 ''tʃi''와 '그의'를 뜻하는 ''ha''이다.

3. 2. 명사

콰디어 명사는 세 개의 성(남성, 여성, 공통)과 세 개의 수(단수, 양수, 복수)를 구분한다.[9] 일부 명사는 보충법을 사용하여 복수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tçe'' "여자" 대 ''tala kwaʼe'' "여자들"과 같이 표현한다. 남성 및 여성 명사의 명사 접미사의 증명된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다.

단수양수복수
남성-dɛ-wa-u
여성-e-ʔɛ
공통-(n)dɛ-ʔV


4. 추가 정보

콰디어는 자료 부족으로 인해 상세한 연구가 어렵다. 추가적인 자료 발견 및 연구를 통해 콰디어의 언어적 특징을 더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문화 다양성과 소수 언어 보존을 주요 정책 과제로 삼고 있으며, 콰디어와 같은 소멸 위기 언어 연구를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참조

[1] Glottolog Khoe–Kwadi
[2] 논문 Lost in translation: A historical-comparative reconstruction of Proto-Khoe-Kwadi based on archival data 2023
[3] Conference Changing profile when encroaching on hunter-gatherer territory?: towards a history of the Khoe–Kwadi family in southern Africa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06-08
[4] 서적 Challenging Elusiveness: Central African Hunter-Gatherers in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1-10-26
[5] 웹사이트 Kwadi: Zorotua language https://globalrecord[...] 2024-06-22
[6] 문서 Towards a reconstruction of Proto Khoe-Kwadi: The challenges (and benefits!) of applying the historical-comparative method to archival data 2020-10-15
[7] 서적 The Khoesan Languages Routledge
[8] Conference Preliminary notes on Kwadi grammar and implications for the morphological reconstruction of proto Khoe-Kwadi Berlin Colloquium on African Linguistics 2020-11-24
[9] 문서 Westphal 1971: 395
[10] Conference Changing profile when encroaching on hunter-gatherer territory?: towards a history of the Khoe–Kwadi family in southern Africa.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06-08
[11]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rogerblen[...] 2011-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