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투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투어파는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의 한 어파로, 쿠이어, 브루어, 따오이어, 카투어, 파코어 등 5개의 주요 계열로 분류된다. 1960년대 언어학자들은 이 어파를 인식했으며, 1990년대 라오스가 외국 연구자들에게 개방된 이후 연구가 활발해졌다. 폴 시드웰은 카투어파를 재분류하고 원시 카투어파의 자음 목록을 재구성하는 등 연구를 진행했으며, 카투어파는 고유 어휘와 바흐나어족, 베트어족 등 다른 어군과의 어휘 공유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니코바르어파
    니코바르어파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
카투어파
개요
언어 유형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하위 그룹
사용 민족카투어족
사용 지역인도차이나
언어 계통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어파카투어파
하위 언어
종류카투어
쿠이-브루어 (서부)
파코어
타오이-크리앙
조상 언어원시 카투어
통계 정보
Glottologkatu1271
Glottolog 참조 이름카투어파

2. 언어 분류

카투어파는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분류 체계가 제시되고 있다. 1966년 여름 언어 연구소(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의 언어학자 데이비드 토마스와 리처드 필립스는 동남아시아 본토의 다양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에 대한 어휘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카투어파와 바나어파라는 두 가지 새로운 하위 분류를 제안했다.[1]

2. 1. Sidwell (2005)의 분류

1990년대 라오스가 외국 연구자들에게 개방된 이후 카투어파 언어에 대한 자료가 풍부해지면서, 시드웰은 카투어파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1] 시드웰(2009)은 이 중 카투어군을 가장 보수적인 아분류로 분석하였다.[1]

  • 서카투어군:
  • 쿠이어파: 쿠이어, 소에이어
  • 브루어파: 브루어, 소어 등
  • 따오이어군:
  • 타오이어, 카탕어, 탈란/옹/이르어/인어
  • 크리앙어/응에크어
  • 카투어군:
  • 카투어, 프엉어, 칸투어, 트리우어, 닥캉어
  • 파코어군:
  • 파코어

2. 2. Gehrmann (2019)의 분류

Gehrmann (2019)은 다음과 같이 카투어파 분류를 제안했다.[3]

  • 원카투어
  • * 서카투어 조어
  • ** 쿠아이어군
  • ** 브루어군
  • * 파코-타오이 조어
  • ** 타오이어군
  • ** 파코어군
  • 크리앙어군
  • 카투어군


쿠이어와 브루어는 각각 약 50만 명의 화자가 있고, 타오이어군은 약 20만 명의 화자가 있다.

2. 3. 기타 분류

Ethnologue영어는 카상어(타리앙어)를 카투어파로 분류하지만, 시드웰(Sidwell, 2003)은 이를 바나어군 언어로 분류한다.[4] 레(Lê) 외 (2014)는 베트남 프엉디엔현 산악 지역에 거주하는 "바히"라는 카투어 아군을 보고했지만, 왓슨(Watson, 1996)은 "파코 파히"를 파코어 방언으로 언급한다.[5]

쿠이어와 브루어는 각각 약 50만 명의 화자가 있고, 따오이어군은 약 20만 명의 화자가 있다.

3. 원시 카투어파

원시 카투어파 또는 그 하위 분류의 재구성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시드웰(Sidwell) (2005)은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의 재구성과 동일하게 원시 카투어파의 자음 목록을 재구성하였으나, 은 예외였다. 은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 어족보다 카투어파 언어에서 더 잘 보존되어 있으며, 시드웰은 이것이 원시 몬-크메르어에도 존재했다고 믿는다.

3. 1. 연구사


  • 토마스 (1967): ''원시 동카투어파 음운론적 재구성''
  • 디플로스 (1982): ''등록, 무성화, 모음 음색: 카투어파에서의 역사''
  • 예피노프 (1983): ''원시 카투어파 언어의 음운론적 재구성 문제''
  • 페이로스 (1996): ''카투어파 비교 사전''
  • 테라파한 L-통쿰 (2001): ''라오스 남부 섹콩 주의 부족 언어들''
  • 폴 시드웰 (2005): ''카투어파 언어: 분류, 재구성 및 비교 어휘집''


시드웰(2005)은 원시 카투어파의 자음 목록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했다.

colspan="2" |순음치음경구개음후음성문음
파열음무성*p*t*c*k
유성*b*d
격착
비음*m*n
유음*w*l, *r*j
마찰음*s*h



이는 을 제외하고는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의 재구성과 동일하다. 은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 어족보다 카투어파 언어에서 더 잘 보존되어 있으며, 시드웰은 이것이 원시 몬-크메르어에도 존재했다고 믿는다.

3. 2. 음운 체계

시드웰(2005)은 원시 카투어파의 자음 목록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했다.

col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무성*p*t*c*k
유성*b*d
내파음
비음*m*n
유음*w*l, *r*j
마찰음*s*h



이는 *ʄ을 제외하고는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의 재구성과 동일하다. *ʄ은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족보다 카투어파 언어에서 더 잘 보존되어 있으며, 시드웰은 이것이 원시 몬-크메르어에도 존재했다고 믿는다.[1]

4. 어휘적 특징

폴 시드웰과 제라르 디플로스 등 언어학자들은 카투어파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구별되는 고유한 어휘적 특징을 갖는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들은 카투어파가 프로토 오스트로아시아어에서 변화한 고유 어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바흐나어족, 베트어족과 공유하는 어휘도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6][9] 이러한 어휘적 특징은 카투어파의 기원과 다른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4. 1. 카투어파 고유 어휘

폴 시드웰(2015)은 원래의 프로토 오스트로아시아어 형태를 대체한 카투어어 고유의 어휘 혁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6]

카투어 고유 어휘 혁신
의미프로토 카투어어[7]프로토 오스트로아시아어
아내*kɗial*kdɔːr
*kmɔɔ*cnam
코브라*duur*ɟaːt
버섯*trɨa*psit
*ʔŋhaaŋ*cʔaːŋ
여섯*tbat*tpraw
여덟*tgɔɔl*thaːm
머리[8]*pləə*b/ɓuːk; *kuːj


4. 2. 다른 어군과의 어휘 공유

폴 시드웰(Paul Sidwell) (2015:173)은 카투어어와 바흐나어족이 공유하는 다음과 같은 어휘 등어선을 제시했다.[6]

의미프로토 카투어어프로토 바흐나어어참고
나무껍질*ʔnɗɔh*kɗuh
발톱/손톱*knrias*krʔniəh비교: 크메르어 kiəh '긁다'
가죽*ʔŋkar*ʔəkaːr
일어서다*dɨk*dɨk참어족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 있음
나무/목재*ʔalɔːŋ*ʔlɔːŋ비교: 프로토 크무어족 *cʔɔːŋ
석궁*pnaɲ*pnaɲ비교: 구 몬어 pnaɲ '군대'
*ʔakiː*ʔəkɛː
손바닥, 발바닥*trpaːŋ*-paːŋ
소금*bɔːh*bɔh
훔치다*toŋ*toŋ
*ɟit*cit



제라르 디플로스(Gerard Diffloth) (1992)는 '지네', '뼈', '기침하다', '방귀뀌다', '숨쉬다', '피'라는 단어를 카투어어와 베트어족이 공유하는 등어선으로 제시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Austroasiatic https://glottolog.or[...] 2024-11-04
[2] 웹사이트 Austroasiatic Languages https://www.language[...] 2024-11-04
[3] 논문 On the Origin of Rime Laryngealization in Ta’oiq: A Case Study in Vowel Height Conditioned Phonation Contrasts 2019
[4] 서적 Các dân tộc ít người ở Việt Nam: các tỉnh phía nam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2014
[5] 간행물 Why three phonologies for Pacoh? 1996
[6] 서적 The Handbook of Austroasiatic Languages Brill 2015
[7] 문서 Reconstructions are from Sidwell (2005) 2005
[8]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De Gruyter 2021
[9] 논문 Vietnamese As a Mon-Khmer Language http://sealang.net/s[...] Arizona State University, Program for Southeast Asian Studies 1992
[10] 논문 The Vieto-Katuic Hypothesis: Lexical Evidence http://sealang.net/s[...]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