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어는 미얀마와 태국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미얀마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2세기까지 이라와디강 유역의 공용어였으며, 버간 왕국에서도 사용되었다. 몬어는 몬 문화를 존중한 쨘시타 왕 시대에 번성했으며, 몬 비문이 많이 남겨졌다. 버마어의 부상으로 사용이 점차 줄었지만, 한타와디 왕국 시기에는 다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미얀마 남부와 태국에 분포하며,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몬어는 세 개의 주요 방언을 가지며, 몬 문자는 버마 문자에 영향을 주었다. 문법적으로는 굴절 형태가 적고, 주어-동사-목적어 순의 문장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참고 문헌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족 - 툰쿠 압둘 라만
    툰쿠 압둘 라만은 말레이시아의 초대 총리로서 독립을 선포하고 연방을 수립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UMNO 의장으로서 연합당을 결성하여 총선에서 승리, 아세안 창설을 주도하는 등 외교적으로도 활약했지만 싱가포르 분리와 5·13 사건을 겪은 후 총리직에서 물러나 말레이시아 스포츠 발전에도 기여한 인물이다.
  • 몬족 - 라보 왕국
    라보 왕국은 450년경 프라야 카라바나디트가 세운 도바라바티 도시 국가로, 롭부리 지역에서 번성했으며 몬족이 주도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면서 크메르 제국의 영향으로 힌두교와 대승 불교 문화가 유입되었지만 상좌부 불교를 주요 종교로 유지하다 수코타이 왕조와 아유타야 왕국을 거치며 멸망했다.
  • 태국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태국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몬어
일반 정보
반 탈랏 몬 비문
반 탈랏 몬 비문
화자 수 (2014년)약 1,851,000명
사용 국가미얀마
태국
사용 지역미얀마 저지대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어파몬어파
문자
문자 체계몬-버마 문자 (몬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mnw
Glottolog현대 몬어: monn1252
고대 몬어: oldm1242
방언
현대 몬어mnw
고대 몬어omx
지도 정보
기타
소멸 위기 정도 (UNESCO)취약
참고 자료


2. 역사

몬어는 미얀마 역사에서 중요한 언어 중 하나였다. 12세기까지는 이라와디 계곡 일대의 공용어였으며, 이라와디 하류 지역의 몬족 계통 왕국들뿐만 아니라 상류 지역의 버마족 계통의 버간 왕국에서도 그러한 지위를 가졌다. 1057년에 몬족의 따통 왕국이 버간에게 멸망한 이후에도 몬어, 특히 문어(文語)는 여전히 높은 지위로 여겨지는 언어였다. 버간의 쨘시타 왕(재위 1084–1113)은 몬족 문화를 존경하고 몬어를 지원하였다. 쨘시타 왕은 몬어로 많은 비문을 남겼다. 이 시기 조각된 먀제디 비문에는 4면에 각각 팔리어, 쀼어, 몬어, 버마어로 동일한 이야기가 새겨져 있다.[5]

몬 먀제디 비문 (서기 1113)은 미얀마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석비이다.


그러나 그의 사후부터는 버마족 사이에서 몬어의 사용이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버마어가 몬어와 쀼어의 공용어적 지위를 대체해 가기 시작하였다.[5]

드바라바티 왕국 폐허의 몬 비문도 태국 곳곳에 퍼져있다. 그러나 그 주민이 몬족인지, 몬족과 말레이족의 혼합인지, 크메르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후기 비문과 라보와 같은 왕국은 크메르 제국에 종속적이었다.

버간의 멸망 이후, 몬어는 다시 오늘날의 하미얀마에 위치하던 한타와디 왕국 (1287 ~ 1539)의 공용어가 되었으며, 1800년대까지도 이 지역에서 몬어는 주류 언어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부터 버마어가 상미얀마의 전통적인 심장부에서 하미얀마로 그 범위를 확장했다.

이 지역의 몬어에서 버마어로의 언어 전환은 인구 대체, 통혼, 증가하는 몬-버마어 이중 언어 집단의 자발적 정체성 전환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다. 특히 1757년 신 한타와디 왕국이 멸망하면서 이 변화는 확실히 가속화되었다. 페구의 함락 이후 많은 몬족이 난민이 되어 오늘날의 태국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이주하여 재정착하였다.[6] 1830년에는 하미얀마 인구의 약 90%가 버마어를 말하는 버마족이 되었는데, 곧 이라와디 삼각주 상류에서 바세인(현 파테인)과 랑군(현 양곤)을 포함하여 타라와디, 퉁구, 프로메(현 ), 헨자다(현 힌타다)까지 이르는 광대한 몬어 사용 지역이 모두 버마어 우세 지역이 된 것이다. 또한 19세기 내내 이어진 대영제국의 점진적인 버마 합병은 상미얀마의 경제·정치적 불안정성(예: 버마 왕실에 대한 세금 부담 증가, 영국의 쌀 생산 인센티브 등)과 더불어 하미얀마로의 이주를 가속화했다.[7]

몬어는 상미얀마와 하미얀마에서 사용되는 버마어 방언 간의 미묘한 문법적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8] 하미얀마 방언에서 동사 ပေး(주다)는 구어체적으로 관대하게 사동 표지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다른 동남아시아 언어에서 흔한 특징이나 다른 티베트-버마어에서는 보이지 않는다.[8] 이러한 용법은 상미얀마 방언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비표준 문법으로 간주된다.[8]

1972년, 신몬주당(New Mon State Party)은 반군이 통제하는 지역에서 몬어를 교육 매체 언어로 사용하는 몬 국립학교 시스템을 수립했다.[9] 1995년 중앙 정부와의 휴전 이후 이 교육 시스템은 몬 주 전역으로 확대되었다.[9] 이제 몬 주는 몬어를 초등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몬 국립학교 체계와 정부 커리큘럼에 몬어 교과과정을 추가하는 "혼합 학교" 시스템을 병행하고 있다.[9] 2015년 몬어 교과는 주 전체의 초등교육으로 확대 시행되었다.[10] 이 시스템은 몬어로 학습받은 어린이들이 고등 교육 수준에서 주류 버마 교육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미얀마의 교육 체계에서 모국어 교육의 한 모델로 인식되었다.[11][9] 2013년 몰라먀잉에 기반을 둔 탄윈 타임즈가 몬어로 뉴스 전달을 시작하며 1962년 이후 미얀마 최초의 몬어 출판이 되었다.[12]

3. 지리적 분포

미얀마 남부(몬 주, 카렌 주, 타닌타리 지역)는 북쪽의 시타웅 강에서 남쪽의 므에이(머귀)와 커텅에 이르기까지 몬어의 전통적인 거점이다.[13] 그러나 이 지역에서는 몬 주의 주도인 마울라먀잉과 같은 도시 지역에서 미얀마어가 선호된다.[13]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몬어 사용이 미얀마에서 감소했다.[14]

태국은 역사적인 이주 물결로 인해 상당한 몬족 인구가 있지만, 타이화와 몬족의 주류 태국 사회로의 동화로 인해 몬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소수(추정 6만에서 8만 명 사이)에 불과하다.[17] 태국 몬어 사용자는 주로 꼬 껫에 집중되어 있다.[15][17] 나머지 태국 몬어 사용자는 사뭇 사콘, 사뭇 송크람, 나콘 파톰, 그리고 미얀마와 접경한 서부 지역(깐짜나부리, 펫차부리, 쁘라쭈압 키리 칸, 랏차부리)에 위치해 있다.[17] 태국의 작은 민족 집단이 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냐 꾸르어를 사용한다. 그들은 몬어를 사용하는 드바라바티 왕국의 후손들이다.[16]

미얀마태국에 화자가 있다. 두 나라에 추정 100만 명 가까운 화자가 있지만, 대부분은 미얀마 남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태국에는 중부에 소수의 공동체가 존재할 뿐이다.[23] 미얀마에서는 몬 주와 카렌 주, 나아가 타닌타리 지역 북부에서도 사용된다.[22] 태국에서는 태국 중부의 깐짜나부리 주, 빠툼타니 주, 랏차부리 주, 사뭇사콘 주, 나콘빠톰 주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22]

미얀마에서는 여러 공동체에서 이중 언어 사용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안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3] 한편, 태국의 몬 공동체의 대부분에서는 이미 제1 언어가 몬어에서 태국어언어 교체되어 몬어가 안정적이라고 할 수 없는 상황이며,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화자들도 2015년까지 60세를 넘어섰다.[23]

4. 방언

몬어는 버마에 세 가지 주요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몬족이 거주하는 여러 지역에서 왔다. 이들은 모타마와 마울라먀잉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중부 방언, 바고 방언, 예 방언이다.[17] 이들은 모두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에스노로그''는 몬어 방언을 마르타반-마울메인(중부 몬어, 몬 테), 페구(몬 탕, 북부 몬어), 예(몬 냐, 남부 몬어)로 분류하며, 이들 간에는 높은 상호 이해도가 있다.

태국의 몬어는 버마 몬어 방언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서로 이해하기 쉽다. 태국의 몬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로 간주된다.[16]

몬어에는 표준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음운과 어휘의 차이가 심한 방언이 여러 개 존재한다.[25] 어떤 마을과 다른 마을끼리는 물론이고, 작은 마을과 다른 작은 마을끼리도 어떤 방언 차이가 존재한다.[26][27] 몬어 관련 저술가들은 대부분 몬어를 바고 방언(Pegu; 북부 방언)과 모타마 방언(Martaban; 남부 방언)으로 크게 분류하는 견해에 일치하지만, 관계 의문사 rao의 발음 차이로 인해 전자를 "몬 로"(Mon Ro), 후자를 "몬 라오"(Mon Rao)라고도 부른다.[28] ''에스노로그'' 제18판에서는 모타마·몰라먀잉 방언(Martaban-Moulmein), 바고 방언, 예 방언(Ye)의 3가지가 존재한다고 한다.[22]

미얀마의 몬어와 태국의 몬어의 큰 차이는 차용어와 번역 차용어에서 나타난다.[26]

또한 몬어에서는 다양한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을 넘어 '읽기 발음'(reading pronunciation영어)이라고 할 수 있는, 구어보다 철자에 가까운 문어에 가까운 발음이 통용되며, 승려의 독송 시나 그 외 공식적인 자리, 현대 음악에서도 사용된다.[27]

'읽기 발음'과 자연스러운 구어 사이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28]

}

| style="text-align:center;" |

|

| 왕

|-

! သ္ၚိ|mnw

| 라는 발음도 있지만 보통

|

| 집

|-

! တၠ|tlamnw

| style="text-align:center;" |

|

| 주인

|-

! လ္ပ|lpamnw

| style="text-align:center;" |

|

| …하지 마라

|-

! ပ္ဍဲ|pḍaymnw

| style="text-align:center;" |

|

| [장소 전치사]…에

|-

! ဇကု|jakumnw

| style="text-align:center;" |

|

| 몸, 자신

|}

5. 문자

몬 문자는 6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언어 중 가장 이른 시기에 문어를 가진 언어 중 하나이다.[34] 가장 오래된 몬 문자 비문은 태국의 나콘 파톰과 사라 부리에서 발견되었다. 현대 몬 문자는 버마어 문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버마어에는 없는 여러 글자와 분음 부호를 사용한다. 몬 문자는 기록된 형태와 음성 형태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자음 결합을 나타내기 위해 자음 겹침을 사용한다.

미얀마인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몬 문자를 채택하면서, 몬 문자는 현재와 같이 둥근 형태를 띠게 되었다.[36] 미얀마 역사에서 몬족, 샨족, 빌마족의 삼파전 끝에 빌마족이 승리하면서, 몬족을 포함한 미얀마 내 모든 민족 집단이 빌마족의 문자를 따르게 되었고, 원래 몬어를 위해 존재했던 문자가 빌마 문자를 모방한 형태로 변질되는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36]

몬 문자 체계는 아부기다이다.[37]

5. 1. 자음

몬어 알파벳에는 35개의 자음(제로 자음 포함)이 있다.[68][69] 몬어의 자음은 회색으로 표시된 호흡 레지스터에 속한다.[68][69]

문어'읽기 발음'구어어구 풀이
{{lang|mnw|သၟိၚ်|}
몬어 자음 목록[38]
자음라틴 문자 표기IPA
ကmnwka
mnwkha
mnwga
mnwgha
mnw[39]ṅa
mnwca
mnwcha
mnwja
mnw[40]jha
mnwña
mnwṭa
mnwṭha
mnwḍa
mnwḍha
mnwṇa
mnwta
mnwtha
mnwda
mnwdha
mnwna
mnwpa
mnwpha
mnwba
mnwbha
mnwma
mnwya
mnwra
mnwla
mnwwa
mnwsa
mnwha
mnwḷa
mnwḅa
mnwʔa
mnwmba



일부 자음에는 앞의 다른 자음에 붙는 개자음 형태도 존재한다.[38]

개자음 목록[38]
개자음대응하는 자음음가사용 예
္ၚmnw[41]mnwတ္ၚဲmnw (날)
mnwmnwတၞံmnw (식물)
mnwmnwသၟိၚ်mnw (왕)
mnwmnwဖျာmnw (시장)
mnwmnwခြာmnw
mnwmnwကၠmnw (호랑이)
mnwmnwကွာmnw
mnwmnwမှာmnw (틀리다)


5. 2. 모음

몬어는 버마어와 마찬가지로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분음 부호를 사용한다.[42] 모음자 및 모음 기호는 다음과 같다. 모음자는 음절 처음에 사용되는 형태이지만, 대부분 인도 기원의 차용어이며, 몬어 고유어에는 표준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라틴 문자 전사는 존재하지만, 같은 모음 기호가 사용되더라도 음절 첫 자음의 레지스터 차이 및 음절 말 자음의 차이에 따라 실제 모음 발음은 다양하게 변화한다.

모음자 및 모음 기호
모음자모음 기호라틴 문자 전사
mnwa
အာmnwmnwā
mnwmnwi
ဣဳmnwmnwī
mnwmnwu
ဥူmnwmnwū
mnwေ, ဵmnwe
mnwောmnwo
အဲmnwmnway
အဴmnwmnwau
အံmnwmnwaṁ
အးmnwmnwaḥ
အဵုmnwိုmnwui (iu); ə



위 표 중 ံmnw가 사용되는 단어에는, 실제로는 로 끝나는 〈(…할) 수 있다〉와 로 끝나는 〈남자, 남편〉과 같은 예도 있다.

또한 ိmnw i와 ုmnw u를 조합한 ိုmnw는 실제로는 ဂစို'''တ်'''mnw gacə'''t'''〈죽이다〉, 〈쓸모없다〉, klə'''w'''〈개〉처럼 반드시 말 자음 등의 요소를 동반한다.[43]

그리고 위의 표에 나타낸 모음 기호 중 ဲmnw ay나 ံmnw aṁ는 다른 모음 기호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mnw aymnw aṁ
mnw āာဲmnw āyာံmnw āṁ
mnw uုဲmnw uyုံmnw uṁ
mnw eေဲmnw eyေံmnw eṁ
ောmnw oောဲmnw oyောံmnw oṁ
ိုmnw əိုဲmnw əy



또한 일부 철자에는 생략된 표기 방법이 존재한다.[44]

6. 음운론

몬어는 주변의 미얀마어 및 태국어와 달리 성조 언어가 아니다. 많은 몬크메르어와 마찬가지로 몬어는 모음 발성 또는 모음 음성 자질 체계를 사용하며, 모음을 발음할 때 목소리의 질이 음소적이다. 몬어에는 맑은 목소리와 거친 목소리의 두 가지 음성 자질이 있다.[18]

태국 몬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일부 음절 환경에서 거친 목소리 모음을 가진 단어는 맑은 모음 대응어를 가진 유사한 단어보다 음의 높이가 현저히 낮았다. 특정 환경에서의 음의 높이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음의 높이만으로 구별되는 최소 대립쌍은 없다. 대조적인 메커니즘은 모음 발성이다.[18]

몬어에서는 다양한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을 넘어 '읽기 발음'이라고 할 수 있는, 구어보다 철자에 가까운 문어에 가까운 발음이 통용되며, 승려의 독송 시나 그 외 공식적인 자리, 현대 음악에서도 사용된다.[27] 이는 결코 자연스러운 구어는 아니지만, 일부 몬족은 이를 권위 있는 발음으로 여기며, 지역 방언에 비해 명확한 발음이라고 생각한다.[27]

'읽기 발음'과 구어 사이의 차이 예시는 다음과 같다.[28]

문어'읽기 발음'구어어구 풀이
သၟိၚ်|smiṅmnwstyle="text-align:center;" |
သ္ၚိ|sṅimnw라는 발음도 있지만 보통
တၠ|tlamnwstyle="text-align:center;" |주인
လ္ပ|lpamnwstyle="text-align:center;" |…하지 마라
ပ္ဍဲ|pḍaymnwstyle="text-align:center;" |[장소 전치사]…에
ဇကု|jakumnwstyle="text-align:center;" |몸, 자신



일부 자음에는 앞의 다른 자음에 붙는 개자음 형태도 존재한다.[38]

개자음 목록
개자음대응하는 자음음가사용 예
္ၚ|ṅ|ŋmnw [41]ၚ|ṅamnwတ္ၚဲ|tṅaymnw 〈날〉
ၞ|n|nmnwန|namnwတၞံ|tnaṁmnw 〈식물〉
ၟ|m|mmnwမ|mamnwသၟိၚ်|smiṅmnw 〈왕〉
ျ|y|jmnwယ|yamnwဖျာ|phyāmnw 〈시장〉
ြ|r|rmnwရ|ramnwခြာ|khrāmnw
ၠ|l|lmnwလ|lamnwကၠ|klamnw 〈호랑이〉
ွ|w|wmnwဝ|wamnwကွာ|kwāmnw
ှ|h|hmnwဟ|hamnwမှာ|mhāmnw 〈틀리다〉


6. 1. 자음

몬어 자음 설명


몬어 자음은 양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분류된다.



# 는 버마어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38]

# 내파음은 많은 방언에서 소실되어 파열음으로 변한다.[38]

다음은 자음 목록이다.[38]

자음 목록
က|ka|kaʔmnwခ|kha|khaʔmnwဂ|ga|kɛ̤ʔmnwဃ|gha|khɛ̤ʔmnwၚ|ṅa|ŋɛ̤ʔmnw[39]
စ|ca|caʔmnwဆ|cha|chaʔmnwဇ|ja|cɛ̤ʔmnwၛ|jha|chɛ̤ʔmnw[40]ည|ña|ɲɛ̤ʔmnw
ဋ|ṭa|taʔmnwဌ|ṭha|thaʔmnwဍ|ḍa|ɗaʔmnwဎ|ḍha|thɛ̤ʔmnwဏ|ṇa|naʔmnw
တ|ta|taʔmnwထ|tha|thaʔmnwဒ|da|tɛ̤ʔmnwဓ|dha|thɛ̤ʔmnwန|na|nɛ̤ʔmnw
ပ|pa|paʔmnwဖ|pha|phaʔmnwဗ|ba|pɛ̤ʔmnwဘ|bha|phɛ̤ʔmnwမ|ma|mɛ̤ʔmnw
ယ|ya|jɛ̤ʔmnwရ|ra|rɛ̤ʔmnwလ|la|lɛ̤ʔmnwဝ|wa|wɛ̤ʔmnwသ|sa|saʔmnw
ဟ|ha|haʔmnwဠ|ḷa|laʔmnwၜ|ḅa|ɓaʔmnwအ|ʔa|ʔaʔmnwၝ|mba|ɓɛ̤ʔmnw



현대 몬어의 정자법은 중기 몬어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중기 몬어 이후로 파열음이 전체적으로 무성음화되었다.[37]

6. 2. 모음

몬어의 모음은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분류된다.

! 중설! 후설
고모음
중고모음
저중모음
개모음


7. 문법

몬어는 문법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몬어의 대명사는 아래 표와 같다.[50]

몬어 동사는 인칭에 따라 굴절되지 않으며, 시제는 입자를 통해 나타낸다. 일부 동사는 /pə-/ 접두사를 붙여 사역형을 만들 수 있다.[50]

파생되지 않은 동사의미사역 동사의미
chɒt죽다kəcɒt죽이다
lɜm망하다pəlɒm파괴하다
khaɨŋ굳다pəkhaɨŋ굳게 만들다
tɛm알다pətɛm알리다



몬어 명사는 단수와 복수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으며[51], 형용사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52]

prɛ̤a ce|여자 아름다운|아름다운 여자mnw

지시사는 명사 뒤에 온다.[52]

ŋoa nɔʔ|날 이|이 날mnw

몬어는 명사가 수사와 함께 나타날 때 분류사를 사용하며, 분류사는 명사의 의미에 따라 달라진다.[1]

예시는 다음과 같다.


  • kaneh mo̤a tanəng|kaneh mo̤a tanəng|펜 하나mnw[1]
  • chup mo̤a tanɒm|chup mo̤a tanɒm|나무 한 그루mnw[1]


몬어는 전치사 언어이다.[1]

doa əma|호수에mnw[1]

몬어 문장의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다.[1]

:အဲ ရာန် သ္ၚု တုဲ ယျ|ʔoa ran hau toa ya|나는 쌀을 샀다.mnw

:ညး တံ ဗ္တောန် ကဵု အဲ ဘာသာ အၚ်္ဂလိက်|Nyeh tɔʔ paton kɒ ʔua pʰɛ̤asa ʔengloit|그들은 나에게 영어를 가르쳤다.mnw

예/아니오 질문은 종결 입자 'ha'로 표시한다.[1][2]

  • ဗှ်ေ စ ပုင် တုဲ ယျ ဟာ|be̤ shea pəng toa ya ha?|밥을 먹었니?mnw
  • အပါ အာ ဟာ|əpa a ha?|아버지가 가실 건가요?mnw


의문사 질문은 종결 입자 'rau'를 사용하며, 의문사는 문장 앞으로 이동하지 않는다.[3]


7. 1. 대명사

몬어번역
အဲ|애mnw
ဒဒက်တဴကဵုအဲ|더덱 따우 꼬우 애mnw나의, 내 것
ဟိုန်အဲ|호안 애mnw나를
မိန်အဲ|메인 애mnw나에 의해
ကုအဲ|꼬우 애mnw나로부터
ပိုဲ|뽀mnw우리
ဟိုန်ပိုဲ|호안 뽀mnw우리를
ဒဒက်တဴကဵုပိုဲ|더덱 따우 꼬우 뽀mnw우리의, 우리 것
ကုပိုဲ|꼬우 뽀mnw우리에게
မိန်ပိုဲညးဂမၠိုၚ်|메인 뽀 냐 꼬우랑mnw우리에 의해
နူပိုဲညးဂမၠိုၚ်|누 뽀 냐 꼬우랑mnw우리로부터
တၠအဲ၊ ဗှေ်|따 애, 베mnw너; 그대
ဒဒက်တဴကဵုတၠအဲ|더덱 따우 꼬우 따 애mnw너의, 네 것; 당신의, 당신 것
ဟိုန်တၠအဲ|호안 따 애mnw너를; 그대를
မိန်တၠအဲ|메인 따 애mnw너에 의해 (죄); 그대에 의해
နူတၠအဲ|누 따 애mnw너로부터
ကုတၠအဲ|꼬우 따 애mnw너에게
ၚ်မၞးတံညးဂမၠိုၚ်|응 마나 땀 냐 꼬우랑mnw너희들
ဟိုန်မၞးတံ|호안 마나 땀mnw너희들을 (목적어)
ဒဒက်တဴကဵုမၞးတံ|더덱 따우 꼬우 마나 땀mnw너희들의, 너희 것
ကုမၞးတံ|꼬우 마나 땀mnw너희들에게
မိန်မၞးတံ|메인 마나 땀mnw너희들에 의해
နူမၞးတံ|누 마나 땀mnw너희들로부터
ၚ်ညးဂှ်|응 냐 꼬mnw
ဒဒက်တဴကဵုညးဂှ်|더덱 따우 꼬우 냐 꼬mnw그의
ဟိုန်ညးဂှ်|호안 냐 꼬mnw그를
ကုညးဂှ်|꼬우 냐 꼬mnw그에게
နူညးဂှ်|누 냐 꼬mnw그로부터
ၚ်ညးတံဂှ်|응 냐 땀 꼬mnw그들
ဟိုန်ညးတံဂှ်|호안 냐 땀 꼬mnw그들을
ဒဒက်တဴကဵုညးတံဂှ်|더덱 따우 꼬우 냐 땀 꼬mnw그들의, 그들 것
ကုညးတံဂှ်|꼬우 냐 땀 꼬mnw그들에게
မိန်ညးတံဂှ်|메인 냐 땀 꼬mnw그들에 의해
နူညးတံဂှ်|누 냐 땀 꼬mnw그들로부터
ၚ်ညးဗြဴဂှ်|응 냐 브레아 꼬mnw그녀
ကုညးဗြဴဂှ်|꼬우 냐 브레아 꼬mnw그녀의, 그녀 것
မိန်ညးဗြဴဂှဲ၊ပ္ဍဲ|메인 냐 브레아 꼬, 쁘다mnw그녀에 의해; 그녀 안에
နူညးဗြဴဂှ်|누 냐 브레아 꼬mnw그녀로부터
ၚ်ဗြဴတံဂှ်|응 브레아 땀 꼬mnw그들 (여성)
ဟိုန်ညးဗြဴတံဂှ်|호안 냐 브레아 땀 꼬mnw거기
ကုညးဗြဴတံဂှ်|꼬우 냐 브레아 땀 꼬mnw그들에게
နူညးဗြဴတံဂှ်|누 냐 브레아 땀 꼬mnw그들로부터
ပ္ဍဲညးဗြဴတံဂှ်|쁘다 냐 브레아 땀 꼬mnw그들 안에


7. 2. 동사

몬어 동사는 인칭에 따라 굴절되지 않으며, 시제는 입자를 통해 나타낸다.

일부 동사는 형태론적 사역형을 가지며, 이는 가장 흔하게 /pə-/ 접두사이다[50].

파생되지 않은 동사의미사역 동사의미
chɒt죽다kəcɒt죽이다
lɜm망하다pəlɒm파괴하다
khaɨŋ굳다pəkhaɨŋ굳게 만들다
tɛm알다pətɛm알리다


7. 3. 명사

몬어 명사는 수에 따라 굴절되지 않는다. 즉, 단수와 복수에 대한 별도의 형태가 없다.[51]

7. 4. 형용사

몬어에서 형용사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52]

prɛ̤a ce|여자 아름다운|아름다운 여자mnw

7. 5. 지시사

지시사는 명사 뒤에 온다.[52]

ŋoa nɔʔ|날 이|이 날mnw

7. 6. 수분류사

몬어는 명사가 수사와 함께 나타날 때 사용되는 분류사를 가지고 있다. 분류사의 선택은 관련된 명사의 의미에 따라 달라진다.[1]

예시는 다음과 같다.

  • kaneh mo̤a tanəng|kaneh mo̤a tanəng|펜 하나mnw[1]
  • chup mo̤a tanɒm|chup mo̤a tanɒm|나무 한 그루mnw[1]

7. 7. 전치사

몬어는 전치사 언어이다.[1]

doa əma|호수에mnw[1]

7. 8. 문장 구조

몬어 문장의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며, 다음 예시와 같다.

:အဲ ရာန် သ္ၚု တုဲ ယျ|ʔoa ran hau toa yamnw[1]

:'나는 쌀을 샀다.'[1]

:ညး တံ ဗ္တောန် ကဵု အဲ ဘာသာ အၚ်္ဂလိက်|Nyeh tɔʔ paton kɒ ʔua pʰɛ̤asa ʔengloitmnw[2]

:'그들은 나에게 영어를 가르쳤다.'[2]

7. 9. 의문문

예/아니오 질문은 종결 입자 'ha'로 표시한다.

  • ဗှ်ေ စ ပုင် တုဲ ယျ ဟာ|be̤ shea pəng toa ya ha?|밥을 먹었니?mnw[1]
  • အပါ အာ ဟာ|əpa a ha?|아버지가 가실 건가요?mnw[2]


의문사 질문은 다른 종결 입자 'rau'를 사용한다. 의문사는 wh-이동을 겪지 않는다. 즉,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8. 어휘

몬어는 미얀마어에서 몬족을 မွန်(လူမျိုး)|Mvanʻ (lū myui")my (IPA: [mʊ̀ɰ̃ (lùmjó)])로, 몬어를 မွန်ဘာသာစကား|Mvanʻ bhāsā ca kā"my (IPA: [mʊ̀m bàd̪à zəgá])로 부른다. 19세기에는 영어 문헌에서 Peguan language영어(페구의 언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도 했다[20]

찬시타의 신 왕궁(서기 1102년 건조로 추정) 비문에는 민족명으로 rmeñ([rmɔɲ])이라고 표기되어 있다[21]

그 외에 Aleng, Mou, Raman, Rman, Rmen, Takanoon, Taleng, Teguan 등의 별칭도 존재한다[22]

8. 1. 다른 언어에 끼친 영향

12세기까지 이라와디 계곡 일대의 공용어였던 몬어는 버마 역사에서 중요한 언어 중 하나이다. 몬어는 버마어를 비롯한 주변 언어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버마어 어휘 중에는 몬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많이 존재한다.[66][67] 예를 들어 버마어에서 '물고기'를 뜻하는 단어는 ငါးmy (응아) 외에 몬어 ကmnw (까)에서 차용된 ကmy (까)도 있다. 이 단어는 몬어와 버마어 모두에서 여러 물고기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의 첫 번째 요소로 사용된다.

1057년 몬족의 따통 왕국이 버간 왕국에 멸망한 이후에도 몬어는 높은 지위를 유지했다. 버간의 장싯타 왕(재위 1084년 ~ 1113년)은 몬족 문화를 존중하고 몬어를 지원하여 먀제디 비문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장싯타 왕 사후 버마족 사이에서 몬어 사용은 감소하였고, 버마어가 몬어와 쀼어의 공용어적 지위를 대체해 갔다.

드바라바티 왕국 폐허의 몬 비문이 태국 곳곳에 퍼져있지만, 그 주민이 몬족인지, 몬족과 말레이족의 혼합인지, 크메르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버간 멸망 이후, 몬어는 하미얀마에 위치하던 한타와디 왕국 (1287년 ~ 1539년)의 공용어가 되었으며, 1800년대까지 이 지역의 주류 언어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부터 버마어가 상버마에서 하버마로 범위를 확장했다.

몬어에서 버마어로의 언어 전환은 인구 대체, 통혼, 몬-버마어 이중 언어 집단의 자발적 정체성 전환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일어났다. 특히 1757년 신 한타와디 왕국이 멸망하면서 이 변화는 가속화되었다. 페구 함락 이후 많은 몬족이 난민이 되어 오늘날의 태국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이주하여 재정착하였다. 1830년에는 하미얀마 인구의 약 90%가 버마어를 사용하는 버마족이 되었다. 이라와디 삼각주 상류에서 바세인(현 파테인)과 랑군(현 양곤)을 포함하여 타라와디, 퉁구, 프로메(현 ), 헨자다(현 힌타다)까지 이르는 광대한 몬어 사용 지역이 모두 버마어 우세 지역이 되었다. 19세기 대영제국의 버마 합병은 상미얀마의 경제·정치적 불안정성과 더불어 하미얀마로의 이주를 가속화했다.

몬어는 상미얀마와 하미얀마에서 사용되는 버마어 방언 간의 미묘한 문법적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하미얀마 방언에서 동사 ပေး(주다)는 구어체적으로 관대하게 사동 표지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동남아시아 언어에서 흔한 특징이나 다른 티베트-버마어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1972년, 신몬주당은 반군 통제 지역에서 몬어를 교육 매체 언어로 사용하는 몬 국립학교 시스템을 수립했다. 1995년 중앙 정부와의 휴전 이후 이 교육 시스템은 몬 주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2015년 몬어 교과는 주 전체 초등교육으로 확대 시행되었다. 이 시스템은 미얀마 교육 체계에서 모국어 교육의 한 모델로 인식되었다. 2013년 몰라먀잉에 기반을 둔 탄윈 타임즈가 몬어로 뉴스 전달을 시작하며 1962년 이후 미얀마 최초의 몬어 출판이 되었다.

9. 참고 문헌

몬어 연구를 위한 다양한 참고 문헌이 존재하며, 특히 영어, 미얀마어, 일본어, 태국어로 된 사전은 다음과 같다.
영어:


  • H.L. Shorto (1962). ''A Dictionary of Modern Spoken M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코차이크 마을(Kaw Kyaik; ကအ်ကျာ်၊ ကွာန်|kʼɔ̀ cɛ̀a, kʷàanmnw)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항목 데이터는 Mon-Khmer Language DatabaseSEAlang Library Mon Lexicography 에서 열람 가능하다.
  • H.L. Shorto (1971). ''A Dictionary of the Mon Inscriptions''.

미얀마어:

  • ဦးထွန်းရွှေ|우 툰쉐my (1968). ''မွန်ကျောက်စာအဘိဓါန်'' (몬 비문 사전). ရန်ကုန်: ဦးထွန်းရွှေ မွန်တိုင်းရင်းသားစာပေနှင့် ယဉ်ကျေးမှုဆပ်ကော်မီတီ.
  • နိုင်ထွန်းဝေ|나이 툰웨my (1977). ''မွန်-မြန်မာအဘိဓါန် အင်္ဂလိပ်-မြန်မာနှုတ်ထွက်သံပါ''. ရန်ကုန်.

일본어:

  • 坂本恭章|사카모토 교쇼일본어 (1994). 《몬어 사전》. 아시아·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태국 논타부리 주팍크렛 군 클리앙 출신 화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다.
  • 坂本恭章|사카모토 교쇼일본어 (1996). 《일본어-몬어 사전》. 아시아·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1994년) 사전의 자매편.

태국어:

  • จำปี ซือสัตย์|참피 쑤삿th (2008). ''พจนานุกรมไทย-มอญ สำเนียงมอญลพบุรี'' (롭부리 주 방언 기반 태국어-몬어 사전). ปทุมธานี: วัดจันทน์กะพ้อ.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http://www.rlpd.go.t[...] 2011-07-28
[2]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20-06-03
[3] 논문 Contact and convergence: The Mon language in Burma and Thailand https://brill.com/vi[...] 2013-05-13
[4] 웹사이트 The Mon Language http://www.mrc-usa.o[...] Monland Restoration Council
[5] 서적 Imperial Pagan: Art and Architecture of Burma University of Hawaii Press
[6] 서적 Ethnic Groups Across National Boundaries in Mainl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 서적 The Burma Delta: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on an Asian Rice Frontier, 1852–1941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11-04-20
[8] 논문 The Mon language:recipient and donor between Burmese and Thai http://www.lc.mahido[...] 2013
[9] 논문 Comparing Models of Non-state Ethnic Education in Myanmar: The Mon and Karen National Education Regimes 2014-04-03
[10] 웹사이트 Mon language classes to launch at state schools https://www.mmtimes.[...] 2015-03-11
[11] 웹사이트 Mother tongue education: the Mon model https://www.mmtimes.[...] 2012-08-20
[12] 뉴스 First Mon language newspaper in 50 years to be published http://archive-2.miz[...] 2013-02-13
[13] 논문 A Short Introduction to the Mon Language http://www.uzh.ch/sp[...] Mon Culture and Literature Survival Project (MCL)
[14] 웹사이트 Mon: A language of Myanmar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6-07-09
[15] 논문 Ethnic Identity of the Mons in Thailand http://www.siamese-h[...] 1973
[16]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unesdoc.unes[...] UNESCO 2010
[17] 서적 Mon Nationalism and Civil War in Burma: The Golden Sheldrake Routledge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36] 간행물 世界の文字研究会 編 2009
[37] 간행물 Jenny 2015
[38] 간행물 Jenny 2015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간행물 Jenny 2015
[43] 문서
[44] 간행물 Haswell 1874
[45] 문서
[46] 간행물 Jenny 2015
[47] 간행물 Jenny 2015
[48] 간행물 Jenny 2015
[49] 간행물 Jenny 2005
[50] 간행물 Jenny 2015
[51] 간행물 Jenny 2015
[52] 간행물 Jenny 2015
[53] 서적 Cambidian: Khmer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54] 간행물 Jenny 2005
[55] 간행물 Bauer 1982
[56] 간행물 坂本 1994
[57] 간행물 Sujaritlak Deepadung 1996
[58] 간행물 Jenny 2005
[59] 문서
[60] 논문 The Association's Alphabet 1976-06
[61] 문서
[62] 간행물 Bauer 1982
[63] 간행물 Bauer 1982
[64] 간행물 Jenny|McCormick 2015
[65] 간행물 Bauer 1982
[66] 간행물 Haswell 1874
[67] 서적 The Judson Burmese-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68] 웹인용 Mon Consonants Characters https://www.scribd.c[...] '' 2010-09-12
[69] 웹인용 Romanization for Mon Script by Transliteration Method https://www.scribd.c[...] '' 2010-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