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 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 도로는 1428년부터 1430년 사이에 베네치아 귀족 콘타리니 가문을 위해 지어진 베네치아의 궁전이다. 조반니 본과 바르톨로메오 본이 건축을 담당했으며, 베네치아 고딕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꼽힌다. 1922년 국가에 유증되어 현재는 카 도로 조르조 프란케티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안드레아 만테냐의 《성 세바스티아노》 등 다양한 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7년 설립 - 회사령 인도
    회사령 인도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인도 아대륙에서 수행한 통치로, 1600년 시작하여 1857년 세포이 항쟁 이후 1858년 영국 왕실에 통치권을 넘겨주며 종식되었으며, 행정, 군사, 사법, 재정 제도 구축과 사회, 경제적 변화를 가져왔다.
  • 콘타리니가 - 안드레아 콘타리니
  • 콘타리니가 - 야코포 콘타리니
    야코포 콘타리니는 1275년부터 1280년까지 재임한 베네치아 공화국의 제47대 도제로, 콘타리니 가문 출신으로는 처음 도제가 되었으며, 이스트라반도와 아나코나 간의 전쟁을 겪고 건강 악화와 홍수로 인해 사임 후 사망했다.
  • 1430년 완공된 건축물 -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성당 (베네치아)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성당은 1430년에 완공된 베네치아 최대 규모의 이탈리아 고딕 양식 교회로, 베네치아 도제들의 장례가 거행된 곳이자 조반니 벨리니, 틴토레토, 파올로 베로네세 등 유명 화가들의 작품과 도제들의 기념물이 소장되어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 1430년 완공된 건축물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전라남도 강진군에 위치한 무위사의 가장 오래된 건물로, 1430년에 건립되어 조선 전기 건축 양식을 대표하며, 아미타삼존불과 벽화가 있었고 주심포 양식의 특징을 갖는다.
카 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카 도로 파사드, 대운하가 내려다보임
카 도로 파사드, 대운하가 내려다보임
위치베네치아, 베네토
주소칸나레조 3932 (칼레 카 도로)
국가이탈리아
웹사이트카 도로 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유형원래 궁전, 현재는 박물관
건축 양식비잔틴 건축, 고딕 건축, 이슬람 건축
착공1421년
완공1437년
건축가조반니 본, 바르톨로메오 본, 마테오 라베르티
원래 의뢰인마리노 콘타리니

2. 역사

카 도로는 1428년부터 1430년에 걸쳐 베네치아 귀족 콘타리니 가문을 위해 조반니 본과 그의 아들 바르톨로메오 본이 건축했다. 콘타리니 가문은 1043년부터 1676년 사이에 8명의 베네치아 도제를 배출하였는데, 도제가 된 사람은 두칼레 궁전으로 이주하는 것이 관례였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카 도로는 여러 소유자에게 넘어갔다. 19세기 소유자 중 한 명인 마리 탈리오니는 안뜰의 고딕 양식 계단과 발코니를 제거하는 등 건물을 훼손하기도 했다.

1922년 조르조 프란케티 남작은 카 도로를 국가에 기증했다. 이후 대대적인 복원 작업을 거쳐 현재는 갤러리로서 일반에 공개되어 안드레아 만테냐의 『성 세바스티아누스』 등의 회화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2. 1. 콘타리니 가문과 카 도로 건설

카 도로는 1428년부터 1430년에 걸쳐 베네치아 귀족 콘타리니 가문을 위해 지어졌다. 콘타리니 가문은 1043년부터 1676년 사이에 8명의 베네치아 도제를 배출하였다. 도제가 된 사람은 궁전에서 나가 두칼레 궁전으로 이주하는 것이 관례였다. 카 도로의 건축을 한 것은 조반니 본과 그의 아들 바르톨로메오 본이다.
Ca' d'Oro 앞에서 곤돌라를 타는 곤돌리에


건물의 후원자는 콘타리니 가문의 마리노 콘타리니였다. 콘타리니 가문은 1043년부터 1676년까지 8명의 베네치아 공작을 배출하며 오랫동안 베네치아를 섬겨온 존경받는 가문이었다. 마리노 콘타리니는 Ca' d'Oro 건물을 통해 베네치아 사회에서 가문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그들의 부와 지위를 과시하고자 했다.[4] 이 메시지는 또한 궁전이 베네치아의 주요 간선 도로였고 지금도 그러한 베네치아 대운하의 좌안, 리알토 다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세워지면서 전달되었다.[4] Ca' d'Oro는 1421년에서 1437년 사이에 마리노 콘타리니를 위해 지어졌으며, 그의 결혼을 통해 소라다모레 제노로부터 물려받은 건물을 기초로 삼았다. 이 건물은 제노 가문의 오래된 궁전의 일부였다.[1] 새로운 궁전의 후원자였던 콘타리니는 건물의 주요 설계자였으며, 그는 전체 프로젝트를 감독했다.[4] 그는 또한 수 세기에 걸쳐 남아있는 전체 과정에 대한 기록과 장부를 보관하여 학자들에게 건물의 건설에 대한 놀라운 통찰력을 제공했다.[2]

2. 2. 소유권 변천과 훼손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카 도로는 여러 소유자에게 넘어갔다. 1846년 알레산드로 트루베츠코이가 폐허 상태였던 궁전을 매입하여 발레리나 마리 탈리오니에게 선물했지만, 탈리오니는 건물의 주요 건축적 특징들을 팔아버렸다.[2]

이후 건축가 트루베츠코이의 무모한 개조 공사로 인해 궁전은 더욱 훼손되었고, 트루베츠코이는 파손 혐의로 투옥되기도 했다. 내부 안뜰의 계단과 발코니를 포함한 많은 고딕 양식의 특징들이 이 과정에서 제거되었다.

1894년, 조르조 프란체티 남작이 궁전을 인수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프란체티는 마리 탈리오니가 팔았던 건축 요소들, 예를 들어 바르톨로메오 본이 제작한 적색 베로나 대리석 우물머리 등을 되찾아왔다.[2]

프란체티는 평생 동안 수집한 미술품을 보관하고, 계단을 재건하고, 고대 대리석을 사용한 코스마테스크 양식의 안뜰을 복원하는 등 대대적인 복원 작업을 직접 감독했다. 1916년 그는 카 도로를 이탈리아 정부에 기증했고, 현재 이곳은 카 도로 조르조 프란체티 미술관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2. 3. 복원과 미술관

1922년 조르조 프란케티 남작은 1894년부터 소유해오던 카 도로를 국가에 기증했다. 프란체티 남작은 1923년 12월 17일 사망할 때까지 카 도로의 복원을 이끌었다.[1] 그는 세부 사항에 매우 민감했고 이전의 뛰어난 건축가들의 기법을 재현하고자 했다.[1] 그는 Ferdinando Forlati에게 복원을 지원하도록 위임했으며, 프란체티가 사망한 후 폴라티가 이 프로젝트의 리더십을 맡게 되었다.[1] 폴라티의 조수 안토니오 나르도 역시 프란체티에 의해 이 임무를 위임받았으며, 프란체티는 나르도가 카 도로의 보존가라는 칭호를 받기를 요청했다.[1]

건물 복원 작업 동안 조르지오 프란체티는 마리 탈리오니 소유 하에 제거된 부분을 복원할 수 있었다.[2] 이 조각품에는 특히 바르톨로메오 본이 조각한 적색 베로나 대리석 우물머리가 포함되어 있었다.[2] 프란체티는 또한 그리스 대리석과 베로나에서 가져온 붉은 대리석으로 만든 현관의 모자이크 포장을 직접 만들었다.[1] 그는 벽을 개별적으로 독특하게 조각했으며,[1] 1층은 원래 실용적인 기능으로 사용되었지만 프란체티는 이 역할을 숨기는 대리석 외장을 추가했다.[2]

프란체티는 건축가 트루베츠코이의 무모한 개조 공사로 인해 궁전을 복원했는데, 이는 트루베츠코이가 파손 혐의로 투옥되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내부 안뜰의 계단과 안뜰을 내다보는 발코니를 포함한 많은 고딕 양식의 특징들이 제거되었다.

1916년 프란체티는 카 도로를 이탈리아 정부에 유증했다. 현재 이곳은 카 도로 조르조 프란체티 미술관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안드레아 만테냐의 『성 세바스티아누스』 등의 회화가 있다.

3. 건축



카 도로는 1421년에서 1437년 사이에 콘타리니 가문의 마리노 콘타리니를 위해 지어졌다. 콘타리니 가문은 1043년부터 1676년까지 8명의 베네치아 공작을 배출한 유서 깊은 가문이었다. 마리노 콘타리니는 이 건물을 통해 가문의 지위를 과시하고자 했다.[4] 카 도로는 베네치아 대운하의 좌안, 리알토 다리 근처에 위치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리했다.[4]

건축은 조반니 본과 그의 아들 바르톨로메오 본이 담당했다. 마리노 콘타리니는 결혼을 통해 물려받은 건물을 기초로 새로운 궁전을 지었으며, 건물의 주요 설계자로서 전체 프로젝트를 감독했다.[1][4] 그는 또한 건축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2] 콘타리니는 조반니 본(아들 바르톨로메오 본과 함께), 마테오 라베르티 두 명의 주요 건축가를 고용했다.[1][4] 라베르티는 주 로지아의 트레이서리와 육지 입구 위에 있는 아치형 고딕 팀파눔을 만들었다.[4] 조반니 본과 바르톨로메오 본은 두칼레 궁전의 카르타 문(Porta della Carta)을 만들었고, 마테오 라베르티는 밀라노 대성당의 조각가로도 활동했다.[1][4]

카 도로는 인접 건물과의 근접성 때문에 측면 창문이 비실용적인 방에서 빛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비대칭적인 정면을 가지고 있다.[4] 건물의 아트리움 (''androne'')은 다중 아치형 로지아를 통해 운하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넓은 개방형 홀이다.[4] 아트리움은 선적을 받고 수출하는 데 사용되었다.[4] 아트리움 위에는 ''gran salone'' (주요 리셉션 홀)이 있고, ''피아노 노빌레''(귀족 층)를 차지하고 있다. 상층에는 가족을 위한 개인 거주 공간이 있었다.[4]

이 궁전은 작은 안뜰을 가지고 있으며, 인접한 궁전은 팔라초 주스티니안 페사로이다. 중앙 안뜰은 곤돌라 착륙장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빛과 통풍을 제공한다.[4]

3. 1. 베네치아 고딕 양식

카 도로 파사드의 정면


마리노 콘타리니는 비잔틴 건축 양식에 당시 유행하던 고딕 건축 양식, 그리고 이슬람 건축의 요소를 혼합하여 건물을 지었다.[5] 동로마 제국의 일부였던 베네치아는 고전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이어진 비잔틴 역사를 따랐지만, 피렌체, 시에나, 밀라노는 그리스-로마 전통을 더 중시했다.[5]

파사드는 하단 로지아(지붕이 있는 복도), 중간 발코니, 상단 발코니의 세 개의 뚜렷한 층으로 나뉜다.[5] 이와 유사한 양식의 인근 건물로는 바르바로 궁전과 주스티니안 궁전이 있다. 베네치아 건축가들이 선호했던 이러한 선형 양식은 15세기 말 또는 그 이후까지 베네치아 르네상스 건축에 의해 대체되지 않았다.

궁전의 아치, 창문, 로지아는 베네치아에서 가장 인상적인 궁전 중 하나로 만드는 다양한 장식을 제공한다. 파사드의 각 층이 상단으로 갈수록 더욱 화려해지면서 수직적인 강조가 만들어지고, 발코니의 난간과 지붕 선의 큰 처마 장식으로 수평적인 강조가 만들어진다.[5][6]

운하를 마주보고 있는 길게 늘어선 아치와 창문들은 실내에 풍부한 자연 채광을 제공한다.[6] 하단 로지아에는 뾰족 아치로 만들어진 여러 개의 아치형 입구가 있으며, 이 입구는 곤돌라 착륙장이 있는 운하로 열려 있다. 하단 로지아의 다중 아치 입구는 중앙의 넓은 아치와 각 측면에 좁은 아치로 구성되어 있다.[5][6] 착륙장은 우물머리, 계단, 작은 정원이 있는 안뜰로 이어진다.[6]

1층에는 움푹 들어간 기둥이 있는 로지아가 운하에서 직접 입구 홀(''포르테고 데 메초'')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기둥 위에 있는 것은 ''피아노 노빌레''의 주요 살롱의 밀폐된 발코니이다. 이 발코니의 기둥과 아치에는 코린트식 오더의 주두가 있으며, 그 위에 콰트르포일 창문이 놓여 있다. 이 발코니 위에는 유사하지만 더 가벼운 디자인의 또 다른 밀폐된 발코니 또는 로지아가 있다.

뾰족 아치의 조개 껍질 모양의 쿠스핑은 대위법 효과를 가능하게 하며, 궁전 오른쪽의 창문 트레이서리 패턴은 고딕 요소를 반영한다.[6] 최상층에는 아래의 콰트르포일 패턴의 연장인 첨탑 열이 있다.[4][6] 순전히 미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첨탑의 각 로브 위의 공은 금박 잎으로 덮여 있었다.[6]

궁전은 파사드의 원래 흰색과 옅은 붉은색 돌에 금색으로 칠해진 장식을 사용하여 이름을 얻었다.[6] 금은 1431년 콘타리니의 화가 조안 디 프란차와 함께 건물에 추가되었다.[1] 미적 매력을 높이기 위해 파사드는 흰색 연백과 기름으로 처리된 이스트리아산 석재로 제작되어 대리석과 같은 광택을 냈고, 붉은 베로나 대리석 세부 사항은 풍부한 색조를 나타내기 위해 오일을 칠했다.[4] 난간 공, 창문 꼭대기, 주두, 몰딩과 같은 건축 요소는 모두 금박을 입혀 호화로운 외관을 더했다.[4] 이러한 실용적인 디자인과 화려한 장식의 조합은 카 도로가 기능적인 공간이자 부와 지위를 과시하는 곳이라는 이중적인 목적을 강조한다.[4]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햇빛에 노출되어 흰색과 옅은 붉은색 돌은 퇴색되었고 파사드의 금색 요소는 더 이상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1][6] 실제로 1600년까지 외부에 금 장식이 남아 있지 않았지만, 궁전의 황금색 파사드가 이미 매우 유명했기 때문에 카 도로라는 명칭을 유지했다.[1]

카 날 그란데(Canal Grande)에 면한 카 도르(Ca' d'Oro)의 주 파사드는 보노 부자에 의한 베네치아풍의 꽃무늬를 사용한 고딕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근에는 이와 유사한 양식의 Palazzo Barbaro a San Vidal|바르바로 궁전it과 Palazzo Giustinian Pesaro|주스티니안 페자로 궁전it이 있다. 이 우아한 선형의 양식은 베네치아의 건축가들이 선호했으며, 16세기 말까지 바로크 양식의 발흥에도 견뎌내며 존속했다.

베네치아의 고딕 양식은 비잔틴 건축의 영향을 받고 있다. 카 도르의 지상층에는 열주를 갖추고 건축선에서 후퇴한 로지아가 있어, 운하와 엔트런스 홀을 직접 연결하고 있다. 이 주랑 상부는 주 층 (피아노 노빌레)의 주 살롱의 발코니이다. 이 발코니의 주열은 아치로 연결된 주두를 가지며, 이것들은 섬세한 사변화상의 개구 열을 지지하고 있다. 이 발코니 상부에는 한 층 더, 다소 경쾌하지만 공통된 디자인의 발코니(혹은 로지아)가 있다. 이 저택의 건축 양식을 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중세의 교회와 무어풍의 신전의 융합"과 같은 풍취이다. 화려한 외장은 이 저택이 많은 저택과 마찬가지로 작은 안뜰을 둘러싸고 있다는 것을 전혀 느끼게 하지 않는다.

3. 2. 구조 및 특징

카 도로는 베네치아 고딕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로, 조반니 본과 그의 아들 바르톨로메오 본이 1421년에서 1437년 사이에 건축했다. 콘타리니 가문의 마리노 콘타리니가 의뢰했으며, 결혼을 통해 물려받은 건물을 기초로 삼았다.[1] 콘타리니는 건물의 주요 설계자로서 전체 프로젝트를 감독하고, 건축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2][4]

이 건물은 비잔틴 건축 양식에 당시 유행하던 고딕 건축 양식과 이슬람 건축의 요소가 혼합된 것이 특징이다.[5] 동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은 베네치아는 비잔틴 양식을 따랐지만, 카 도로는 고딕 양식과 무어풍의 특징을 융합하여 독특한 외관을 자랑한다.

파사드는 하단 로지아, 중간 발코니, 상단 발코니의 세 개 층으로 나뉜다.[5] 바르바로 궁전, 주스티니안 궁전과 유사한 선형 양식은 15세기 말까지 베네치아 르네상스 건축에 영향을 주었다.

각 층은 위로 갈수록 화려해지며, 발코니의 난간과 지붕 선의 큰 처마 장식으로 수평적인 강조를 준다.[5][6] 운하를 마주보는 아치와 창문은 실내에 풍부한 자연 채광을 제공하며,[6] 하단 로지아에는 뾰족 아치로 만들어진 여러 개의 아치형 입구가 있다.[5][6]

1층의 움푹 들어간 기둥이 있는 로지아는 운하에서 입구 홀(''포르테고 데 메초'')로 직접 연결된다. 이 기둥 위에는 코린트식 오더의 주두가 있는 발코니가 있고, 그 위에 콰트르포일 창문이 있다. 뾰족 아치의 조개 껍질 모양 쿠스핑은 대위법 효과를 내며, 오른쪽 창문 트레이서리 패턴은 고딕 요소를 반영한다.[6] 최상층에는 첨탑 열이 있고, 첨탑의 각 로브 위 공은 금박 잎으로 덮여 있었다.[4][6]

원래 파사드는 흰색과 옅은 붉은색 돌에 금색 장식을 사용했다.[6] 1431년 화가 조안 디 프란차가 금을 추가했고,[1] 이스트리아산 석재는 흰색 연백과 기름으로 처리하여 대리석 같은 광택을 냈다. 붉은 베로나 대리석은 오일을 칠해 풍부한 색조를 냈고, 건축 요소는 금박을 입혔다.[4] 시간이 지나면서 색이 바래고 금색 요소는 사라졌지만, '카 도로'라는 이름은 유지되었다.[1][6]

카 도로의 주 파사드는 베네치아풍 꽃무늬를 사용한 고딕 양식으로, 바로크 양식의 발흥에도 불구하고 16세기 말까지 존속했다. 비잔틴 건축의 영향을 받은 고딕 양식은 열주를 갖춘 로지아를 통해 운하와 엔트런스 홀을 직접 연결한다.

3. 3. 장식



카 도로는 비잔틴 건축, 고딕 건축, 이슬람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지어졌다.[5] 파사드는 하단 로지아(지붕이 있는 복도), 중간 발코니, 상단 발코니의 세 개 층으로 나뉜다.[5]

궁전의 아치, 창문, 로지아는 다양한 장식을 통해 베네치아에서 가장 인상적인 궁전 중 하나로 꼽힌다. 파사드의 각 층은 위로 갈수록 화려해지며, 발코니의 난간과 지붕 선의 큰 처마 장식은 수평적인 강조를 만든다.[5][6]

운하를 마주보는 아치와 창문은 실내에 풍부한 자연 채광을 제공한다.[6] 하단 로지아에는 뾰족 아치 형태의 여러 아치형 입구가 있으며, 곤돌라 착륙장이 있는 운하로 연결된다.[5][6]

1층 로지아는 운하에서 ''포르테고 데 메초'' (입구 홀)로 바로 연결된다. 이 위에는 ''피아노 노빌레'' 주요 살롱의 밀폐된 발코니가 있다. 발코니 기둥과 아치에는 코린트식 오더 주두가 있고, 그 위에 콰트르포일 창문이 있다. 이 위에는 더 가벼운 디자인의 밀폐된 발코니 또는 로지아가 있다.

뾰족 아치의 조개 껍질 모양 쿠스핑은 대위법 효과를 내며, 궁전 오른쪽 창문 트레이서리 패턴은 고딕 요소를 반영한다.[6] 최상층에는 콰트르포일 패턴이 연장된 첨탑 열이 있다.[4][6] 첨탑 로브 위 공은 금박 잎으로 덮여 있었다.[6]

궁전 이름은 파사드의 흰색, 옅은 붉은색 돌과 금색 장식에서 유래했다.[6] 금은 1431년 콘타리니의 화가 조안 디 프란차와 함께 추가되었다.[1] 파사드는 흰색 연백과 기름으로 처리된 이스트리아산 석재로 제작되어 대리석 광택을 냈고, 붉은 베로나 대리석은 오일을 칠해 풍부한 색조를 냈다.[4] 난간 공, 창문 꼭대기, 주두, 몰딩은 금박을 입혀 화려함을 더했다.[4] 시간 경과에 따라 햇빛에 노출되어 흰색과 옅은 붉은색 돌은 퇴색되었고, 금색 요소는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1][6]

4. 미술관

카 도로 갤러리에는 조르지오 프란케티가 평생 수집한 미술 작품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1916년 이탈리아에 기증된 후, 이 컬렉션에는 전시된 청동 조각과 조각품 대부분, 베네치아 및 플랑드르 회화 작품이 포함된 일부 국가 컬렉션이 추가되었다.

4. 1. 주요 소장품

카 도로 갤러리에는 안드레아 만테냐의 《성 세바스티아노》와 안톤 반 다이크의 《마르첼로 두라초의 초상》이 가장 가치 있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조르지오 프란케티가 평생 수집한 미술 작품 컬렉션은 1916년 이탈리아 국가에 기증되었다. 박물관 준비 과정에서 프란케티 컬렉션에는 전시된 청동 조각과 조각품 대부분, 그리고 수많은 베네치아 및 플랑드르 회화 작품이 포함된 일부 국가 컬렉션이 추가되었다.

박물관에는 전시실 외에도 미술품 보존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소가 있다.[2]

4. 2. 연구 및 복원

카 도로의 복원은 1923년 12월 17일 사망할 때까지 조르지오 프란체티 남작이 이끌었다.[1] 프란체티는 세부 사항에 매우 신경을 썼고 이전의 뛰어난 건축가들의 기법을 재현하고자 했다.[1] 그는 Ferdinando Forlati에게 복원을 지원하도록 위임했으며, 프란체티가 사망한 후 폴라티가 이 프로젝트를 이끌게 되었다.[1] 폴라티의 조수 안토니오 나르도 역시 프란체티에 의해 이 임무를 위임받았으며, 프란체티는 나르도가 카 도로의 보존가라는 칭호를 받기를 요청했다.[1]

건물 복원 작업 동안 조르지오 프란체티는 마리 탈리오니 소유 하에 제거된 부분을 복원할 수 있었다.[2] 여기에는 특히 바르톨로메오 본이 조각한 붉은 베로나 대리석 우물머리가 포함되어 있었다.[2] 프란체티는 또한 그리스 대리석과 베로나에서 가져온 붉은 대리석으로 만든 현관의 모자이크 포장을 직접 만들었다.[1] 이러한 특징과 함께 그는 벽을 개별적으로 독특하게 조각했다.[1] 1층은 원래 실용적인 기능으로 사용되었지만 프란체티는 이 역할을 숨기는 대리석 외장을 추가했다.[2] 카 도로의 복원 프로젝트와 함께 조르지오 프란체티 남작은 1916년에 이 건물을 대중에게 기증했으며 박물관으로 개조되었다.

박물관에는 전시실 외에도 미술품 보존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소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Ca' D'Oro https://books.google[...] Review "le tre Venezie" 1927
[2] 간행물 Ca' d'Oro https://login.sandi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 웹사이트 The cost of Venice's worst floods since 1966 https://www.theartne[...] 2020-02-04
[4] 서적 Art in Renaissance Italy Prentice Hall
[5] 웹사이트 Smarthistory – Ca' d'Oro https://smarthistory[...] 2024-12-12
[6] 서적 History of Italian Renaissance art: painting, sculpture, architecture https://www.worldcat[...] Prentice Hall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