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보디아 내전은 1970년부터 1993년까지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일련의 무력 분쟁을 의미한다. 1949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캄보디아는 노로돔 시하누크 국왕의 통치 하에 있었으나, 왕정에 반대하는 파벌 간의 갈등과 베트남 전쟁의 영향으로 정세가 불안정해졌다. 1970년 론 놀의 쿠데타로 시아누크가 축출되고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내전이 본격화되었으며, 미국, 북베트남 등의 개입으로 더욱 복잡해졌다. 크메르 루주의 부상, 프놈펜 함락, 민주 캄푸치아 수립, 베트남의 개입과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수립 등의 과정을 거쳐 1991년 파리 평화 협정으로 종식되었다. 이후 유엔의 지원과 총선거를 통해 입헌군주제가 채택되었고, 1998년 폴 포트의 사망으로 크메르 루주 세력이 완전히 와해되면서 캄보디아는 안정을 되찾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 내전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캄보디아 내전 - 메뉴 작전
메뉴 작전은 닉슨 행정부의 명령으로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캄보디아 동부에서 비밀리에 진행된 폭격 작전으로,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의 은신처 파괴 및 베트남 전쟁에서의 미국 철수와 남베트남 베트남화 정책 지원을 목표로 했으나, 의회와 국민에게 비밀로 진행되어 닉슨 행정부에 대한 비판과 캄보디아 내전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으며 도덕성 논쟁이 있다. - 캄보디아가 참전한 전쟁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캄보디아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와 베트민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저항한 베트민의 독립 투쟁으로,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민의 승리 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분단되고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종식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공산주의 내전 - 라오스 내전
라오스 내전은 1945년부터 1975년까지 프랑스 식민 지배 종식 후 독립 운동 세력 등장, 공산주의 세력과 왕정 지지 세력 간 대립, 베트남 전쟁 연관, 그리고 1975년 파테트 라오 승리로 이어진 복잡한 무장 분쟁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적 재앙을 초래했다. - 공산주의 내전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캄보디아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캄보디아 내전 |
다른 명칭 | 크메르 내전 |
일부 | 베트남 전쟁 인도차이나 전쟁 중소 분쟁 아시아의 냉전 |
![]() | |
기간 | 1967년 3월 11일 – 1975년 4월 17일 |
장소 | 캄보디아, 이후 크메르 공화국 |
결과 | 크메르 루주 승리 캄보디아 왕국 멸망 크메르 공화국 수립 및 멸망 민주 캄푸치아 수립 캄보디아 학살 시작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및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시작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캄보디아 왕국 (1968–1970) 크메르 공화국 (1970–1975) 크메르 세레이 (1972년까지) 미국 남베트남 라오스 왕국 [[File:Flag of FULRO.svg|25px|border]] FULRO 지원 세력: 대만 대한민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대통령 통치 하) |
교전국 2 | 크메르 루주 GRUNK (1970–1975) FUNK 크메르 럼도 북베트남 베트콩 파테트 라오 지원 세력: 중국 태국 공산당 북한 알바니아 루마니아 |
지휘관 | |
지휘관 1 | 노로돔 시아누크 (1968–1970) 펜 누트 (1968-1970) 론 놀 청 헹 시소와트 시리크 마탁 소스테네 페르난데스 인 탐 항 툰 하크 롱 보렛 움 사부트 론 논 사우캄 코이 삭 수트사칸 손 응옥 탄 (1972년까지) 리처드 닉슨 헨리 키신저 로버트 맥나마라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프레더릭 C. 웨이랜드 클라크 클리퍼드 멜빈 로버트 레어드 응우옌 반 티에우 쩐 티엔 키엠 응우옌 카오 키 응우옌 반 비 응오 쾅 트루엉 응우옌 흐우 코 쩐 쾅 코이 도 카오 트리 쩐 반 돈 카오 반 비엔 응우옌 반 민 응우옌 반 히에우 수반나 푸마 [[File:Flag of FULRO.svg|25px|border]] 이 밤 에누올(사형) [[File:Flag of FULRO.svg|21px|border]] 레스 코셈 |
지휘관 2 | 폴 포트 키우 삼판 이엥 사리 누온 체아 타 목 손 센 노로돔 시아누크 (1970–1975) 펜 누트 (1970-1975) 손 산 (1970–1975) 레 주언 보 응우옌 지압 톤 득탕 쯔엉찐 반 티엔 중 레 트롱 탄 팜 반 동 응우옌 흐우 토 쩐 반 짜 후인 탄 팟 호앙 반 타이 팜 훙 응우옌 반 린 보 치 콩 수파누봉 카이손 폼비한 누학 품사반 |
병력 | |
병력 1 | 30,000명 (1968) 35,000명 (1970) 100,000명 (1972) 200,000명 (1973) 50,000명 (1974) |
병력 2 | 4,000명 (1970) 70,000명 (1972) 40,000–60,000명 (1975) |
사상자 | |
사상자 | 275,000–310,000명 사망 |
2. 배경
1949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로부터 독립한 캄보디아는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의 통치 하에 있었지만, 왕정에 반대하는 국내 파벌 간의 다툼으로 인해 국내 정세는 불안정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시아누크는 중립 외교 정책을 유지했으나, 1965년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베트콩)의 거점 활동을 묵인하면서 미국의 불만을 샀다.[11]
시아누크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인도차이나 반도를 장악할 것이라 확신하고, "우리의 이익은 언젠가는 아시아 전체를 지배할 진영과 거래하고 승리하기 전에 합의하여 가능한 한 최상의 조건을 얻는 것이 가장 잘 충족된다"고 판단했다.[12]
그러나 1966년, 시아누크는 친미 성향의 국방장관 론 놀이 좌익 활동을 단속하도록 허용하면서 국내 보수파의 지지를 잃었다.[14] 같은 해 9월 11일, 캄보디아의 첫 공개 선거에서 보수파는 국회 의석의 75%를 획득했고, 론 놀이 총리로 선출되었다.[15][16] 이러한 정치적 변화와 더불어 사회적 긴장은 농촌 지역에서 공산주의 반란이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17]
1967년 바탐방주 삼로트 지역에서 정부의 강제 미곡 수매에 반발한 농민 봉기가 발생했다.[143][144] 이는 캄보디아 내전의 전조로 여겨진다.
2. 1. 론 놀의 친미 쿠데타
1970년 3월 18일,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모스크바와 베이징을 방문하던 중, 캄보디아 하원은 갑작스럽게 소집되어 시아누크의 국가원수직 하야를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이 쿠데타의 주동자인 론 놀 장군은 비상시 권력을 부여받아 수상이 되었고, 10월에는 크메르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시아누크의 사촌 형제인 시리크 마타크는 대리 수상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론 놀의 수상 취임식 때, 미국은 론 놀을 지원하며 시아누크를 비판하는 삐라를 공중에서 살포했다. 새 정부는 미국의 보증을 통해 권력 이양의 유효성을 강조하며, 많은 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쿠데타 발생 며칠 후, 베이징에 있던 시아누크 국왕은 론 놀 정권에 저항할 것을 호소했고, 캄보디아 각지에서 이에 호응하는 시위와 폭동이 일어났다. 3월 29일에는 약 4만 명의 농민들이 시아누크의 복권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으나, 군대와의 충돌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론 놀은 다음 달인 4월, 베트남 전쟁의 호치민 루트를 분쇄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군의 캄보디아 침공을 허가하고 농촌 지역 곳곳에 공습을 실행하였다. 이로 인해 수십만 명의 농민이 희생되었고, 크메르 루주와 같은 공산주의 세력의 급격한 성장을 초래했다.
또한 론 놀은 격렬한 반(反)베트남 캠페인을 실시하여,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을 지원한다는 의심을 받는 캄보디아 거주 베트남계 주민들을 박해하고 학살했다. 플라스틱 소토, 네아크루, 타케오 등지의 강제수용소에서는 베트남계 주민들에 대한 집단 학살이 자행되었다. 이로 인해, 시아누크 시대에 50만 명이었던 캄보디아 거주 베트남인 중 20만 명이 1970년 한 해 동안 베트남으로 집단 귀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146]
3. 캄보디아 내전의 전개
1967년 캄보디아 북서부 바탐방 주에서 농민 봉기가 발생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다. 이 봉기는 초기에는 계획되지 않았지만, 크메르 루주는 이를 기회로 삼아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비록 이듬해 시도한 봉기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노로돔 시아누크 친왕이 프라체아 촌과 도시 공산주의자들을 숙청하면서 폴 포트, 이엥 사리, 손 센 등 마오이즘 지도부에게 경쟁자를 제거해 주는 결과를 낳았다.[25] 이들은 북동부 고지대와 저지대 크메르인, 중앙 정부 모두에게 적대적인 부족인 크메르 루의 땅으로 피신했다.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지 못한 크메르 루주는 재편성, 조직, 훈련에 집중했다. 하노이는 중국이 지원하는 크메르 루주를 무시했고, 1967년부터 1969년까지 이어진 반란에 대한 무관심은 크메르 루주 지도부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26][27]
1968년 1월 17일, 크메르 루주는 첫 공세를 시작했다. 당시 4,000~5,000명에 불과했던 반란군은 영토 장악보다는 무기 수집과 선전 활동에 집중했다.[28][29] 같은 달, 공산주의자들은 캄푸치아 혁명군을 창설했다. 시아누크는 바탐방 반란 이후 공산주의자들과의 관계를 재평가하기 시작했다.[30] 그는 중국과의 초기 합의가 북베트남을 억제하는 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크메르 루주를 통해 캄보디아 내 파괴 활동에 개입했다고 판단했다.[21]
론 놀과 보수 정치인들의 제안에 따라, 시아누크는 1969년 5월 11일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정상화하고 론 놀을 총리로 하는 새로운 구국 정부를 수립했다.[31] 그는 베트남 전쟁이 끝나기 전에 아시아 공산주의자들이 이미 캄보디아를 공격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고 판단했다.[32] 또한, PAVN과 베트콩은 크메르 루주보다 더 편리한 희생양이 될 것이며, 이들을 제거하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했다.[33]
3. 1. 크메르 루주의 부상
1970년 3월 18일,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중국 베이징을 방문 중이던 때, 캄보디아 하원은 시아누크의 국가원수직 하야를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론 놀 장군은 비상 권력을 부여받아 수상이 되었고, 10월에 크메르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론 놀의 수상 취임식 때, 미국은 시아누크를 비판하는 전단을 뿌리는 등 론 놀을 지원하였다.쿠데타 며칠 후, 시아누크는 베이징에서 론 놀에 대한 저항을 호소했고, 캄보디아 각지에서 이에 호응하는 시위와 폭동이 발생했다. 3월 29일에는 약 4만 명의 농민이 시아누크 복권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으나, 군대와 충돌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콤퐁참 주지사는 이 지역에서만 2~3만 명의 농민이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했다.[146] 타케오, 스바이리엥, 칸달 등 여러 주의 주도에서도 비슷한 봉기가 일어났지만 무력으로 진압되었다.
1970년 3월 29일, 북베트남은 캄보디아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공개된 소련 시대 기록 문서에 따르면, 이 공격은 크메르 루주의 누온 체아의 명확한 요구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한다.[147] 북베트남군은 캄보디아 동부에서 북동부에 걸친 대부분 지역을 점령하고, 콤퐁참 등의 도시를 포위하거나 점령했다. 캄보디아군을 격파한 후, 북베트남군은 획득한 지역을 현지 무장 세력에게 넘겨주었다. 한편, 크메르 루주는 북베트남군과는 독립적으로 활동하며 캄보디아 남부 및 남서부에 "해방구"를 건설했다.
론 놀은 북베트남의 공세에 맞서 강력한 반북베트남 캠페인을 벌이며,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 지원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는 캄보디아 거주 베트남계 주민을 박해하고 학살했다. 프레이 벤, 니악룬, 타케오 등지의 강제 수용소에서는 베트남계 주민이 집단 학살당했다. 이 때문에 시아누크 시대 50만 명에 달했던 캄보디아 거주 베트남인 중 20만 명이 1970년에 베트남으로 집단 귀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1970년 4월, 론 놀은 미국군의 캄보디아 침공을 허용했고, 미국은 북베트남 세력을 축출하기 위해 단기간 작전을 전개했다. 투하된 폭탄량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이 일본에 투하한 총량의 1.5배에 달했다. 그러나 그 후에도 론 놀에 반대하는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은 공산주의 세력 크메르 루주의 확장이 계속되었다.
쿠데타를 계기로 발생한 내전에서 수십만 명의 농민이 희생되었고, 1970년 봄 이후 불과 1년 반 만에 200만 명이 국내 난민이 되었다. 또한, 농업 기반 시설은 철저히 파괴되어, 1969년 249만 헥타르의 경작 면적을 보유하고 쌀 23만 톤을 수출했던 캄보디아는 1974년에는 경작 면적이 5만 헥타르로 줄어들고 쌀 28만 2000톤을 수입하게 되었으며, 쌀값은 1971년 10 리알에서 1975년 340리알까지 급등했다.[148] 1971년 미국 회계감사원 시찰단은 캄보디아의 심각한 식량 부족을 보고했다.[149]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도시 지역은 미국으로부터의 식량 지원으로 연명할 수 있었지만, 지원이 미치지 못하는 농촌 지역에서는 대규모 기근의 위기가 진행되고 있었다.
3. 2. 크메르 루주의 프놈펜 함락과 민주 캄푸챠
1975년 4월, 크메르 루주는 수도 프놈펜을 함락시키고 론 놀 정권을 무너뜨렸다. 론 놀은 하와이로 망명하였다.[146] 이웃 나라 베트남에서는 사이공이 함락되면서, 베트남 전쟁이 끝나게 되었다. 이후, 크메르 루주는 수도 프놈펜에 입성하였고, 1976년 1월에 〈캄보디아 민주헌법〉을 공포하여, 국명을 민주 캄푸챠로 개칭했다.프놈펜 함락 후, 크메르 루주는 "도시 주민의 양식은 도시 주민 자신이 경작한다."라고 선언하고,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 자본가, 기술자, 학자, 지식인 등의 모든 재산과 신분을 박탈하고 교외의 농촌으로 강제 집단 이주를 단행했다.[152] 이들은 농민으로서 농업에 강제 부역하였고, 반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대부분 처형되었다. 크메르 루주 내부에서 반란 주모자로 의심되는 간부도 살해당했다. 혁명 성공 후 귀국한 유학생이나 자본가도 모두 살해당했다.[153] 또한 아이는 부모로부터 격리되어 집단 생활을 하며, 어린 나이부터 농촌이나 공장에서 노동이나 군복무를 강요받았다.[160][161]
폴 포트 시대의 기아와 학살로 인한 사망자는 70만~300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캄보디아에서는 1968년 이후 국세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폴 포트 이전의 내전, 공습으로 인한 희생자와 난민 발생으로 인해 정확한 인구 통계가 없어 희생자 수를 추정하기 어렵다.
크메르 루주 통치 하의 잔학 행위에 관한 초기 기록 중 하나는 1973년 사린에 의해 쓰여졌다. 그는 크메르 루주 간부였으나 폴 포트 및 민주 캄푸챠에 환멸을 느껴 당을 떠났고, 9개월 후 비밀리에 프놈펜으로 돌아왔다. 그의 저서 《크메르의 영혼에 대한 후회》(Sranaoh Pralung Khmer)는 크메르 루주가 비밀로 한 상부 기구, 중앙위원회를 밝혔다.
3. 3. 베트남의 개입과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수립
1978년 1월부터 폴 포트는 베트남 영내 농촌을 공격하며 베트남과 단교를 선언했다. 당시 중소 대립이 심화되는 가운데, 베트남은 소련과 관계를 강화하고 있었고, 중국과 관계가 깊었던 폴 포트 정권과 대립하게 되었다. 1978년 5월, 베트남과 접경한 동부군 관할 구역의 크메르 루주 간부와 병사들이 폴 포트 파의 공격을 받아 내분에 빠졌다. 이로 인해 동부군 관할 구역 장병들이 대량 처형되고, 동부 지구 난민들이 베트남으로 대거 유입되었다. 베트남은 캄보디아 난민들을 캄푸치아 구국민족통일전선(KNUFNS)으로 조직하고, 헹 삼린을 수상으로 내세워 폴 포트 타도를 기치로 캄보디아를 침공했다.[169][170]1979년 1월, 베트남군이 프놈펜을 공략하자 크메르 루주 체제는 붕괴되었다. 베트남군은 폴 포트 일파를 태국 국경 근처 산악 지역까지 몰아냈고, 친베트남계 헹 삼린 정권(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베트남군은 밀림 깊숙이 숨은 폴 포트 파의 게릴라 활동에 시달리며 내전의 수렁에 빠졌다.
이듬해 2월, 중국군이 캄보디아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베트남을 공격했다. (중월전쟁) 그러나 베트남군은 전쟁 경험이 풍부하고, 사기와 숙련도가 높았다. 소련으로부터 받은 군사 원조와 미군이 남긴 대량의 병기를 가진 베트남군은 중국군을 격파하고, 3월에는 중국군을 국경 밖으로 몰아냈다.
이후 크메르 루주, 시아누크 국왕파, 론 놀파의 3개 파는 연합하여 베트남군과 헹 삼린 군에 맞서 내전을 계속했다. 프놈펜을 지배하던 헹 삼린은 베트남의 괴뢰 정권이라는 비난을 받았고, 베트남군의 장기 주둔은 베트남을 적대시하는 국가들의 비난을 초래했다.
3. 4. 내전의 종식과 평화 협정
1982년 2월, 반격을 도모하던 크메르 루주와 시아누크 국왕파, 론 놀파의 반베트남 3파는 베이징에서 회담을 열었고, 7월에는 반베트남 3파 연합정부인 민주 캄푸치아를 성립하여 캄보디아는 완전히 양분되었다. 1983년 2월에 열린 인도차이나 3국 정상 회담에서는 베트남군의 부분적 철수가 결의되었지만, 베트남은 이를 따르지 않고 3월에 폴 포트파의 거점을 공격했다. 1984년 7월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외상 회담에서는 주둔 베트남군에 대한 비난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그러나 베트남군은 내전에 계속 개입하며, 1985년 1월 대공세로 반베트남 3파의 민주 캄푸치아 거점인 말레이 산을 공략하였고, 3월에는 시아누크 국왕파의 거점을 제압하여 민주 캄푸치아 정부의 군사력은 거의 괴멸되었다.1986년 7월, 베트남을 이끌던 레주언 서기장이 사망했다. 후임 쯔엉찐 서기장은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를 본받아 〈도이모이 노선〉을 채택, 경제 개방과 국제 협력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1988년 6월, 베트남은 캄보디아 주둔군 철수를 시작하여 1989년 9월에 완료했다. 그 결과 베트남이라는 배경을 잃은 헹 삼린 정권은 약화되었고, 캄보디아는 국제사회에 의해 평화 공존의 길을 찾게 된다.
1990년 6월, 일본 도쿄에서 《캄보디아 평화 도쿄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듬해 1991년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캄보디아 평화 파리 국제 회의〉가 개최되어 국내 4파에 의한 최종 합의문을 이끌어 내며 20년에 걸친 캄보디아 내전이 종식되었다.
1992년 3월, 유엔의 ‘유엔 캄보디아 잠정 통치기구’(UNTAC)가 평화 유지 활동을 시작했다. 1993년 4월부터 6월까지 유엔 감시 하에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9월에 제헌 의회가 신헌법을 공포하고 입헌군주제를 채택하면서 시아누크가 국왕에 다시 즉위하였다.
4. 평화 정착 이후
1991년 10월 23일, 프랑스 파리에서 〈캄보디아 평화 파리 국제 회의〉가 개최되어 캄보디아 국내 4파 간의 최종 합의문이 도출되면서 20년에 걸친 캄보디아 내전이 종식되었다.[171]
1992년 3월 15일, 유엔의 유엔 캄보디아 잠정 통치기구(UNTAC)가 캄보디아에서 평화유지 활동을 시작했다.[171] 1993년 4월부터 6월까지 UNTAC의 감시 하에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총 120석 중 왕당파인 푼신펙당이 58석, 캄보디아 인민당이 51석, 손 산의 불교 자유 민주당이 10석, 기타 1석을 얻었다. 그 결과, 라나리드가 제1총리, 훈 센이 제2총리가 되는 "2인 총리제"가 채택되었다. 9월, 제헌의회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한 신헌법을 공포하고, 노로돔 시아누크가 국왕으로 다시 즉위했다.
1998년 4월, 폴 포트가 사망하면서 크메르 루주 세력은 완전히 와해되었다.
5.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인물 및 사건 관련)
노로돔 시아누크는 캄보디아의 독립과 중립을 위해 노력한 민족주의 지도자였으나, 냉전 시기 강대국들의 압력 속에서 정치적 입지가 불안정해졌다. 1970년 론 놀의 쿠데타로 실각한 이후 크메르 루주와 연합하여 반정부 투쟁을 벌였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캄보디아 국민들에게 더 큰 비극을 초래했다.[56]
론 놀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나,[58] 무능하고 부패한 통치로 인해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그의 친미 정책은 캄보디아를 냉전의 대리전으로 전락시켰으며, 크메르 루주의 발호를 막지 못했다.[44]
폴 포트는 극단적인 공산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캄보디아 사회를 개조하려 했으나, 그의 통치는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으로 얼룩졌다. 킬링필드는 인류 역사상 가장 잔혹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며, 폴 포트는 20세기 최악의 독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54]
헹 삼린은 베트남의 지원을 받아 크메르 루주 정권을 붕괴시키고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을 수립했으나, 베트남의 영향력 하에 있었기 때문에 완전한 자주성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참조
[1]
서적
Leaving the house of ghosts: Cambodian refugees in the American Midwest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7-12-05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12-05
[3]
서적
Forced Migration and Mortality
National Academies Press
[4]
서적
Genocide and Democracy in Cambodia: The Khmer Rouge, the United Na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Yale University Southeast Asia Studies
[5]
서적
Le Génocide Khmer Rouge: Une Analyse Démographique
L'Harmattan
[6]
웹사이트
Cambodia: U.S. Invasion, 1970s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2014-04-02
[7]
논문
The Khmer Rouge and the Vietnamese Communists: A History of Their Relations as Told in the Soviet Archives
www.yale.edu/gsp/pub[...]
[8]
웹사이트
Cambodia Diary 6: Child Soldiers – Driven by Fear and Hate
http://www.rfa.org/e[...]
2006-07-20
[9]
서적
Sideshow: Kissinger, Nixon and the Destruction of Cambodia
Simon and Schuster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Victory in Vietnam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간행물
Command History 1967
[36]
서적
Nalty
[37]
서적
United States and Cambodia: 1969–2000
Routledge
[38]
서적
Shawcross
[39]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Cambodia, 1969–2000: A Troubled Relationship
Routledge
[40]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Cambodia, 1969–2000: A Troubled Relationship
Routledge
[41]
서적
Massacres and Morality: Mass Atrocities in an Age of Civilian Immun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2]
웹사이트
Making More Enemies than We Kill? Calculating U.S. Bomb Tonnages Dropped on Laos and Cambodia, and Weighing Their Implications
http://apjjf.org/201[...]
2015-04-26
[43]
서적
Final Solutions: Mass Killing and Genocide in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44]
뉴스
The Crime of Cambodia: Shawcross on Kissinger's Memoirs
https://books.google[...]
New York Magazine
1979-11-05
[45]
뉴스
The Economist
1983-02-26
[46]
뉴스
Washington Post
1985-04-23
[47]
웹사이트
Returning to Cambodia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2007-08-23
[48]
서적
Vietnam: The Necessary War: A Reinterpretation of America's Most Disastrous Military Conflict
Free Press
[49]
서적
Brother Number One: A Political Biography of Pol Pot
Silkworm Books
[50]
서적
The Unexpected Vic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서적
Pribbenow
[52]
서적
Shawcross
[53]
서적
Deac
[54]
서적
Lipsman and Doyle
[55]
서적
Sutsakhan
[56]
서적
Lipsman and Doyle
[57]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Westview Press
[58]
서적
Shawcross
[59]
서적
Shawcross
[60]
서적
Lipsman and Doyle
[61]
서적
Deac
[62]
서적
Deac
[63]
서적
Deac
[64]
서적
Lipsman and Doyle
[65]
서적
Lipsman and Doyle
[66]
서적
The Tragedy of Cambodian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67]
서적
Chandler
[68]
서적
Chandler
[69]
서적
Osborne
[70]
서적
Chandler
[71]
서적
undefined
[72]
서적
Oxford Handbook in the History of Commu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3]
서적
undefined
[74]
서적
Victory in Vietnam: The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1954–1975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2
[75]
서적
undefined
[76]
서적
undefined
[77]
논문
The Khmer Rouge and the Vietnamese Communists: A History of Their Relations as Told in the Soviet Archives
2004
[78]
서적
undefined
[79]
서적
undefined
[80]
서적
undefined
[81]
서적
undefined
[82]
서적
undefined
[83]
서적
undefined
[84]
서적
undefined
[85]
서적
undefined
[86]
서적
undefined
[87]
서적
undefined
[88]
서적
undefined
[89]
서적
undefined
[90]
서적
undefined
[91]
서적
undefined
[92]
서적
undefined
[93]
서적
undefined
[94]
서적
undefined
[95]
서적
undefined
[96]
서적
War in the Shadows
Boston Publishing Company
1988
[97]
서적
War in the Shadows
[98]
서적
undefined
[99]
서적
undefined
[100]
서적
The Rise and Demise of Democratic Kampuchea
Westview
1984
[101]
서적
undefined
[102]
서적
undefined
[103]
서적
undefined
[104]
서적
undefined
[105]
서적
undefined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Murder of a Gentle Land
Reader's Digest Press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When the war was over: Cambodia and the Khmer Rouge Revolution
Public Affairs
[127]
뉴스
I watched them saw him 3 days
1974-07-14
[128]
뉴스
Khmer Rouge's Bloody War on Trapped Villagers
1974-07-14
[129]
뉴스
Priest Won't Leave Refugees Despite Khmer Rouge Threat
1975-03-17
[130]
서적
A Problem From Hell
Perennial Books
[131]
뉴스
The Agony of Phnom Penh
1974-01-28
[132]
서적
Murder of a Gentle Land
Reader's Digest Press
[133]
서적
Cambodia Year Zero
Holt, Rinehart and Winston
[134]
서적
River of Time: A Memoir of Vietnam and Cambodia
Berkley Trade
[135]
웹사이트
Global Report on Child Soldiers
https://www.child-so[...]
Coalition to Stop the Use of Child Soldiers
2018-05-16
[136]
웹사이트
カンボジア内戦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5-13
[137]
웹사이트
Khmer National Armed Forces
https://military-his[...]
Military Wiki
2023-05-13
[138]
웹사이트
The Khmer Rouge National Army: Order of Battle, January 1976
https://gsp.yale.edu[...]
이예일대학
2023-05-13
[139]
논문
The Demographic Analysis of Mortality in Cambodia
National Academy Press
[140]
서적
Le Génocide Khmer Rouge: Une Analyse Démographique
L’Harmattan
[141]
서적
After the Nightmare: The Population of Cambodia
Yale University Southeast Asia Studies
[142]
웹사이트
カンボジア紛争
https://kotobank.jp/[...]
2018-07-30
[143]
서적
禁じられた稲-カンボジア現代史紀行
連合出版
[144]
서적
NAM
同朋舎出版
[145]
서적
ポル・ポト伝
めこん
[146]
뉴스
Los Angeles Times
1970-03-30
[147]
서적
1970年4月から5月にかけて、ヌオン・チアによる要請を受け、多くの北ベトナム軍部隊がカンボジアに侵入した。Nguyen Co Thachは「ヌオン・チアからの要請を受け、我々は10日でカンボジアの5州を解放した」と回想している
http://www.yale.edu/[...]
Yale Genocide Studies Program Monograph Series
[148]
서적
インドシナ現代史
連合出版
[149]
서적
インドシナ現代史
連合出版
[150]
서적
なぜ同胞を殺したのか
日本放送出版協会
[151]
서적
激動の河メコン
日本放送出版協会
[152]
서적
The Pol Pot Regime: Race, Power, and Genocide in Cambodia under the Khmer Rouge, 1975–79
Yale University Press
[153]
서적
Cambodia, 1975–1978: Rendezvous with Death
Princeton UP
[154]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155]
서적
そうだったのか!現代史
集英社
[156]
뉴스
Year Zero: Reflections From Cambodia On Hatred, Blame, And U.S. Politics
https://www.huffpost[...]
2016-11-28
[157]
뉴스
People were killed for being academics during the 1970’s in Cambodia
https://www.thevinta[...]
2016-08-25
[158]
웹사이트
Trial of the Khmer Rogue
http://www.woroni.co[...]
[159]
간행물
Asian Survey
[160]
웹사이트
Global Report on Child Soldiers
https://www.child-so[...]
2001
[161]
웹사이트
Cambodia Diary 6: Child Soldiers — Driven by Fear and Hate
http://www.rfa.org/e[...]
2006-07-20
[162]
뉴스
Khmer Rouge prisoners had child medic
https://www.smh.com.[...]
2009-08-03
[163]
웹사이트
http://www.d.dccam.o[...]
[164]
간행물
The Demography of Genocide in Southeast Asia. The Death Tolls in Cambodia, 1975-79, and East Timor, 1975-80
[165]
서적
After the Killing Fields: Lessons from the Cambodian Genocide
Greenwood
[166]
간행물
'Between One and Three Million': Towards the Demographic Reconstruction of a Decade of Cambodian History (1970–79)
[167]
서적
Counting Civilian Casualties: An Introduction to Recording and Estimating Nonmilitary Deaths in Conflict
Oxford University Press
[168]
서적
After the Killing Fields: Lessons from the Cambodian Genocide
Praeger Publishers
[169]
뉴스
U.S. to Support Pol Pot Regime For U.N. Seat
https://www.washingt[...]
1980-09-16
[170]
웹사이트
日本・カンボジア関係略史
https://www.kh.emb-j[...]
[171]
서적
第12章 中国の国連 PKO政策──積極参与政策に転換した要因の分析
慶應義塾大学出版会
[172]
서적
The Demographic Analysis of Mortality in Cambodia
National Academy Press
[173]
서적
Le Génocide Khmer Rouge: Une Analyse Démographique
L’Harmattan
[174]
서적
After the Nightmare: The Population of Cambodia
Yale University Southeast Asia Stud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