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 티베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 티베트어는 중국 티베트 자치구 동부, 칭하이성 남부, 쓰촨성 서부, 윈난성 북서부의 캄 지역과 부탄 동부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중앙, 남부, 북부/북동부, 동부, 서부 캄 방언 등 다섯 개의 주요 방언이 존재하며, 이들은 상호 이해도가 낮지만 일반적으로 단일 언어로 간주된다. 캄 티베트어는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방언에 따라 음운 변이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언어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티베트의 언어 - 중앙 티베트어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고,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양한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 부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부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캄 티베트어 | |
---|---|
지도 정보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캄 티베트어 |
다른 이름 | 캄 스카, 캄케 |
토착어 이름 | ཁམས་སྐད |
사용 지역 | 캄스 (티베트 자치구, 칭하이성, 쓰촨성, 윈난성 중국) 부탄 |
사용자 수 | 200만 명 (2022년 기준)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
어족 | 티베트-미얀마어족 |
어파 (추정) | 티베트-카나우리어족 |
어군 | 보드어군 |
하위 어군 | 티베트어군 |
문자 | 티베트 문자 |
언어 코드 (ISO 639-3) | khg |
언어 코드 (글로토로그) | kham1299 |
언어 코드 (ELP) | 4346 |
언어 코드 (ELP 이름) | 캄바 |
관련 언어 (ISO 639-3) | kbg (캄바어), tsk (체쿠어) |
2. 사용 지역
캄 티베트어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동부, 칭하이성 남부, 쓰촨성 서부, 윈난성 북서부에 걸쳐 있는 캄 지역에서 사용된다. 부탄 동부의 두 지역에 있는 약 1,000명의 사람들, 유목민 야크 목축 공동체의 후손들도 캄파 티베트어를 사용한다.[6]
캄 티베트어는 다음 3가지 주요 방언 그룹으로 나뉜다.
- 중앙 캄 – 더르게(쓰촨성 서부 및 티베트 자치구)와 창두(티베트 자치구) 지역.
- 남부 캄 – 더첸(윈난성 및 티베트 자치구) 지역.
- 북부 캄 – 낭첸과 유술(칭하이성 남부) 지역.
3. 하위 방언
캄 티베트어에는 다섯 가지 주요 방언이 있으며, 이들은 상호 이해도가 비교적 낮지만 일반적으로 단일 언어로 간주될 만큼 서로 가깝다. 캄바[7]와 체쿠어는 더 다르지만, 투르나드레에 의해 캄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8]
캄 지역에는 티베트인들이 사용하는 동왕 티베트어, 얄롱어족 등 다른 여러 언어들도 존재한다.[9]
스즈키 히로유키는 보드롱, 다르센도, 구드종, 큭포(크롬창), 라강 랑카카, 상담, 소그포, 스콥스텡, 스폼체라그, 차레통, 양탕 등 다양한 캄 티베트어 방언의 음운론과 어휘를 기록했다.[10]
다른 캄 티베트어 변종으로는 라강(미냐그 랍강 캄 방언)[12], 레통(남부 루트 캄 방언)[13], 초스와텡(셈스키닐라 캄의 걀탕 그룹)[14] 등이 있다.[11]
덩(2020)은 차와강, 상바탕촌, 롱부진의 세 가지 캄 티베트어 방언에서 1,707개의 단어를 기록했다.[15] 이들 방언은 중앙 캄, 남부 캄, 북부 캄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
3. 1. 중앙 캄 방언
더르게와 창두에서 사용된다.[7]3. 2. 남부 캄 방언
드첸 티베트족 자치주와 꽁포에서 사용된다. 산악 지형과 인근 언어 공동체와의 무역을 통한 언어 접촉으로 인해 여러 하위 방언이 존재한다.[7]3. 3. 북부 또는 북동부 캄 방언
(구)낭첸/낭첸 현과 현재 유술 티베트족 자치주에서 사용된다.[7]3. 4. 동부 캄 방언
간딩에서 사용된다.[7]3. 5. 서부 캄 방언
나추 현에서 사용된다.[7] 거르제 방언은 때때로 서부 캄 방언으로 간주된다.3. 6. 기타 방언
- 중앙 캄 방언: 덱게 현과 창두에서 사용된다.
- 남부 캄 방언: 드첸 티베트족 자치주와 꽁포에서 사용된다. 산악 지형과 인근 언어 공동체와의 무역을 통한 언어 접촉으로 여러 하위 방언이 존재한다.
- 북부 또는 북동부 캄 방언: (구)낭첸/낭첸 현과 현재 유술 티베트족 자치주에서 사용된다.
- 동부 캄 방언: 간딩에서 사용된다.
- 호르 또는 서부 캄 방언: 나추 현에서 사용된다.
- 거르제 방언은 때때로 서부 캄 방언으로 간주된다.
이들 방언은 상호 이해도가 비교적 낮지만, 일반적으로 단일 언어로 간주될 만큼 서로 가깝다. 캄바[7]와 체쿠어는 더욱 다르지만, 투르나드레에 의해 캄 방언으로 분류된다.[8]
캄 지역에서는 티베트인들이 사용하는 다른 여러 언어들, 즉 동왕 티베트어와 얄롱어족이 있다.[9]
보드롱, 다르센도, 구드종, 큭포(크롬창), 라강 랑카카, 상담, 소그포, 스콥스텡, 스폼체라그, 차레통, 양탕 등 캄 티베트어 방언들의 음운론과 어휘는 스즈키 히로유키에 의해 기록되었다.[10]
다른 캄 티베트어 변종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1]
덩(2020)은 다음 세 가지 캄 티베트어 방언에서 1,707개의 단어를 기록했다.[15]
방언 | 위치 |
---|---|
차와강 | 이칭향(益庆乡), 파쇼 현, 창두 현 |
상바탕촌 | 바탕향(巴塘乡), 유술 현, 칭하이 |
롱부진 | 소 현, 나추 현 |
4. 음운
캄 티베트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4. 1. 닿소리 (자음)
- 는 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 마찰음 로 발음된다.
- 구개 파열음 는 dGudzong 방언의 자음 목록에 포함되지만, 이러한 음가는 구개화된 연구개 파열음의 음성적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구개 파열음 계열은 일반적으로 구개 파열음의 음성적 변이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두 계열은 여전히 구별되지만, 가까운 미래에 연구개음으로 합쳐질 수 있다고 추정된다.[16]
- 는 rGyalrong 지역의 dGudzong 방언에서 파열음 로 들린다.
- 는 자유 변이에서 무성 측음 으로도 들릴 수 있다.[17]
4. 2. 홀소리 (모음)
- , , 는 성문 폐쇄음 앞에서는 로 발음된다.[18]
참조
[1]
논문
Variation, contact, and change in language: Varieties in Yul shul (northern Khams)
2017
[2]
논문
A bref comparison of register tone in central tibetan and kham tibetan
http://sealang.net/s[...]
1999
[3]
논문
The Amdo Dialect of Labrang
http://sealang.net/s[...]
1999
[4]
PhD thesis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in an Amdo Tibetan village: Gender, education and resistance
https://repository.l[...]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of Georgetown University
2012
[5]
웹사이트
China
https://web.archive.[...]
2016-09-09
[6]
웹사이트
Language Policy in Bhutan
https://web.archiv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2010-11-01
[7]
서적
Languages of the Himalayas
[8]
문서
2013
[9]
논문
L'aire linguistique tibétaine et ses divers dialectes
http://tournadre.nic[...]
2005
[10]
간행물
Asian and African Languages and Linguistics
http://www.aa.tufs.a[...]
[11]
논문
A Contrastive Approach to the Evidential System in Tibetic Languages: Examining Five Varieties from Khams and Amdo
https://www.jstage.j[...]
2021-03-30
[12]
논문
Language evolution and vitality of Lhagang Tibetan: a Tibetic language as a minority in Minyag Rabgang
2017
[13]
논문
Litangxian ji qi zhoubian Zangzu yuyan xianzhuang diaocha yu fenxi [Current situation of Tibetans’ languages in Lithang County and its surroundings: Research and analysis]
2018
[14]
논문
Xianggelila-si hokubu no Kamutibettogo syohoogen no hoogen tokutyoo to sono keisei [Dialectal characteristics of Khams Tibetan dialects spoken in the north of Shangri-La Municipality and their formation]
2018
[15]
서적
Zangyu Kang fangyan cihuiji 藏语康方言词汇集
Tibet Ethnic Publishing House 西藏民族出版社
2020
[16]
서적
Phonetic Analysis of dGudzong Tibetan: The Vernacular of Khams Tibetan spoken in the rGyalrong Area
Bulletin of the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17]
서적
Central Khams Tibetan: A phonemic survey
Kailash
[18]
서적
Zang Mian yu yu yin he ci hui [藏缅语语音和词汇]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