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컴퓨터 성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컴퓨터 성능은 컴퓨터 시스템이 작업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가용성, 응답 시간, 처리량, 확장성 등 다양한 기준을 포함한다. 성능은 기술적인 측면과 비전문적인 정의로 평가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품질, 특히 응용 프로그램의 응답 시간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여겨진다. 성능 엔지니어링은 시스템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하고, 성능 관련 요소들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성능 튜닝, 벤치마크, 프로파일링, 체감 성능, 성능 방정식 등을 통해 컴퓨터의 성능을 측정하고 향상시킨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성능 - 전송 (컴퓨팅)
    전송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초당 전송 횟수를 의미하며, MT/s는 SCSI 등에서, GT/s는 PCI Express에서 주로 사용된다.
  • 컴퓨터 성능 - 초당 명령 수
    초당 명령 수는 컴퓨터 성능 지표로서 초당 실행 명령어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MIPS는 유사한 아키텍처 프로세서 성능 비교에 유용하나, 벤치마크 테스트와 함께 다른 아키텍처 간 비교에 활용된다.
컴퓨터 성능

2. 성능 기준

3. 성능 측정

컴퓨터 성능 측정 기준은 다음을 포함한다.[11]

3. 1. 기술적 정의와 비기술적 정의

어떤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은 하나 이상의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 가능한 기술적 용어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능은 다음과 같이 평가될 수 있다.

  • 다른 시스템 또는 변경 전후의 동일한 시스템과 비교
  • 절대적인 측면 (예: 계약 의무 이행)


위의 정의는 과학적, 기술적 접근 방식과 관련이 있지만, 아놀드 앨런이 제시한 다음 정의는 비전문적인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 ''컴퓨터 성능에서 "성능"이라는 단어는 다른 맥락에서의 성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이는 "컴퓨터가 해야 할 일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가?"를 의미한다.''

3. 2. 소프트웨어 품질 측면

컴퓨터 소프트웨어 성능, 특히 응용 소프트웨어 반응 시간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소프트웨어 품질 측면이다.

4. 성능 공학

성능 공학은 시스템 개발 수명 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적용되는 역할, 기술, 활동, 실습, 도구 및 결과물을 포괄하며, 솔루션이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 구현 및 운영 지원되도록 보장한다.

성능 공학은 다양한 유형의 성능 간의 상충 관계를 지속적으로 다룬다. 때때로 CPU 설계자는 제시된 성능의 측면 중 하나를 개선하여 다른 영역에서 CPU의 성능을 희생하지 않고 전반적인 성능이 향상된 CPU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좋고 빠른 트랜지스터로 CPU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때로는 한 가지 유형의 성능을 극단적으로 밀어붙이면 다른 중요한 측면이 희생되어 칩의 클럭 속도와 같이 인상적인 숫자를 얻게 되어 CPU의 전반적인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메가헤르츠 신화 참조).

4. 1. 응용 프로그램 성능 공학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성능, 특히 응용 소프트웨어의 반응 시간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소프트웨어 품질 요소이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엔지니어링(APE)은 모바일, 클라우드 및 지상 IT 환경 등 점점 더 분산되는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성능 엔지니어링의 특정 방법론이다. APE는 애플리케이션 수명 주기의 모든 단계에 적용되어, 애플리케이션이 비기능적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 구현 및 운영 지원을 보장하는 역할, 기술, 활동, 관행, 도구 및 결과물을 포함한다.

5. 성능 관련 요소

컴퓨터 성능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가 달라진다. 주요 성능 지표는 다음과 같다.


  • 가용성: 시스템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다운 타임이 적을수록 가용성이 높다.
  • 응답 시간: 사용자의 요청에 시스템이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 처리 속도: CPU가 얼마나 빠르게 연산을 처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작동 주파수(클럭)로 표시되지만, 메가헤르츠 신화에서 알 수 있듯이 절대적인 성능 지표는 아니다.
  • 채널 용량: 통신 채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의 상한선이다. 클로드 섀넌정보 이론에 의해 정의된다.
  • 지연 시간: 어떤 작업의 원인과 결과 사이에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 통신, 운영 체제 스케줄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 대역폭: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통신 자원의 비트 전송률을 나타낸다.
  • 처리량: 특정 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을 의미한다.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대역폭 소비량과 관련이 있다.
  • 확장성: 시스템이 증가하는 작업량을 얼마나 잘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이다.
  • 전력 소비: 컴퓨터가 사용하는 전력량으로, 특히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바일 시스템에서 중요하다.
  • 와트당 성능: 전력 소비 대비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병렬 컴퓨팅 환경에서 중요하게 고려된다.
  • 압축률: 데이터 압축을 통해 자원 사용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크기와 무게: 모바일 시스템에서 중요한 성능 요소이다.
  • 환경 영향: 컴퓨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생태 발자국 최소화가 중요하다.
  • 트랜지스터 수: 집적 회로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5. 1. 가용성 (Availability)

시스템의 가용성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신뢰성의 요소로 측정되며, 신뢰성이 증가함에 따라 가용성도 증가한다. (즉, 다운 타임 감소)[11] 시스템의 가용성은 신뢰성이 아닌 시험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 전략으로도 향상될 수 있다. 유지보수성을 개선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신뢰성을 개선하는 것보다 쉽다. 유지보수성 추정치 (수리율) 또한 일반적으로 더 정확하다. 그러나 신뢰성 추정치의 불확실성이 대부분의 경우 매우 크기 때문에 유지보수성 수준이 매우 높더라도 가용성 (예측 불확실성) 문제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다.

5. 2. 응답 시간 (Response Time)

컴퓨터의 성능 측정 기준에는 반응 시간이 포함된다.[11] 컴퓨터 소프트웨어 성능, 특히 응용 소프트웨어 반응 시간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에 있어 중요한 소프트웨어 품질이다.

응답 시간은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데 걸리는 총 시간이다. 컴퓨팅에서 해당 서비스는 간단한 디스크 I/O부터 복잡한 웹 페이지 로딩까지 모든 작업 단위가 될 수 있다. 응답 시간은 다음 세 가지 숫자의 합이다.[3]

  • 서비스 시간 -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
  • 대기 시간 - 실행되기 전에 앞서 대기 중인 요청을 기다려야 하는 시간.
  • 전송 시간 -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로 요청을 이동하고 응답을 요청자에게 다시 보내는 데 걸리는 시간.

5. 3. 처리 속도 (Processing Speed)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기존에 미리 컴파일된 방대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아키텍처(일반적으로 인텔 IA-32 아키텍처)를 선택한다.[11] 컴퓨터 벤치마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한 일부 소비자들은 작동 주파수(메가헤르츠 신화 참조)를 기준으로 특정 CPU를 선택한다.

일부 시스템 설계자들은 병렬 컴퓨터를 구축할 때 가격 대비 속도를 기준으로 CPU를 선택한다.

5. 4. 채널 용량 (Channel Capacity)

클로드 섀넌제2차 세계 대전 중에 개발한 정보 이론은 채널 용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계산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제공한다.[6] 채널 용량은 통신 채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 전송 속도의 상한이다. 잡음 채널 코딩 정리에 따르면, 주어진 채널의 채널 용량은 임의로 작은 오류 확률로 달성할 수 있는 제한적인 정보 속도(단위 시간당 정보)이다.[4][5] 채널 용량은 채널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상호 정보의 최댓값으로 주어지며, 여기서 최댓값은 입력 분포에 대한 것이다.[6]

5. 5. 지연 시간 (Latency)

지연 시간은 관찰 중인 시스템에서 어떤 물리적 변화가 발생할 때 원인과 결과 사이의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11] 지연 시간은 모든 물리적 상호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제한된 속도의 결과이다. 이 속도는 항상 빛의 속도보다 낮거나 같다. 따라서 0이 아닌 공간적 차원을 가진 모든 물리적 시스템은 어떤 종류의 지연 시간을 경험하게 된다.

지연 시간의 정확한 정의는 관찰 중인 시스템과 자극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통신에서 지연 시간의 하한은 통신에 사용되는 매체에 의해 결정된다. 신뢰할 수 있는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시간은 정보 전송 속도의 최대값을 제한하는데, 이는 어느 시점에서든 "전송 중"인 정보의 양에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분야에서 감지 가능한 지연 시간(사용자가 명령을 내리고 컴퓨터가 결과를 제공할 때까지의 지연)은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컴퓨터는 프로세스라고 하는 일련의 명령을 실행한다. 운영 체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 경우 프로세스 실행이 연기될 수 있다. 또한,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가 명령하는 작업을 수행할 시점을 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가 컴퓨터 카드의 전압 출력을 1000Hz의 속도로 높음-낮음-높음-낮음 등으로 설정하도록 명령한다고 가정해 보자. 운영 체제는 내부 시계를 기반으로 각 전환(높음-낮음 또는 낮음-높음)의 스케줄링을 조정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지연 시간은 프로세스 명령이 전환을 명령하는 시점과 하드웨어가 실제로 전압을 높음에서 낮음 또는 낮음에서 높음으로 전환하는 시점 사이의 지연 시간이다.

실시간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스템 설계자는 최악의 경우의 응답을 보장하고자 한다. 이는 CPU의 인터럽트 지연 시간이 낮고 결정적인 응답을 할 때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다.

5. 6. 대역폭 (Bandwidth)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대역폭은 초당 비트 또는 그 배수(bit/s, kbit/s, Mbit/s, Gbit/s 등)로 표현되는 사용 가능하거나 사용된 데이터 통신 자원의 비트 전송률 측정값이다.[11]

대역폭은 때때로 순 비트 전송률(최대 비트 전송률, 정보 전송률 또는 물리 계층 유효 비트 전송률), 채널 용량 또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 통신 경로의 최대 스루풋을 정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대역폭 테스트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최대 처리량을 측정한다. 하틀리 법칙에 따르면 물리적 통신 링크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은 헤르츠 단위의 대역폭(주파수 대역폭, 스펙트럼 대역폭, RF 대역폭, 신호 대역폭 또는 아날로그 대역폭)에 비례한다.[11]

5. 7. 처리량 (Throughput)

일반적으로 처리량(throughput)은 생산 속도 또는 무언가를 처리할 수 있는 속도이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처리량은 본질적으로 디지털 대역폭 소비와 동의어이다.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비트/s/Hz/면적 단위, 비트/s/Hz/사이트 또는 비트/s/Hz/셀의 시스템 스펙트럼 효율은 최대 시스템 처리량(총 처리량)을 아날로그 대역폭과 시스템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 척도로 나눈 값이다.

집적 회로에서 데이터 흐름도의 블록은 종종 단일 입력과 단일 출력을 가지며 개별 정보 패킷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블록의 예로는 FFT 모듈 또는 이진 곱셈기가 있다. 처리량의 단위는 '메시지당 초' 또는 '출력당 초'인 전파 지연 단위의 역수이므로, 처리량은 ASIC 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같은 전용 기능을 수행하는 계산 장치를 통신 채널과 관련시켜 시스템 분석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1]

5. 8. 확장성 (Scalability)

확장성은 시스템, 네트워크 또는 프로세스가 증가하는 작업량을 처리하거나, 이러한 성장을 수용하도록 확대될 수 있는 능력이다.[11]

5. 9. 전력 소비 (Power Consumption)

컴퓨터가 사용하는 전력의 양(전력 소비)은 태양열, 배터리, 인력 등 전력 공급원이 제한적인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해진다.[11]

5. 9. 1. 와트당 성능 (Performance per watt)

병렬 컴퓨팅과 같은 구글 하드웨어를 구축하는 시스템 설계자는 CPU 자체 비용보다 CPU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용이 더 크기 때문에 와트당 전력 속도를 기준으로 CPU를 선택한다.[7]

우주 비행 컴퓨터의 경우, 와트당 처리 속도 비율은 순수 처리 속도보다 더 유용한 성능 기준인데, 이는 전력의 온보드 리소스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8]

5. 10. 압축률 (Compression Ratio)

압축은 데이터 저장 공간이나 전송 용량과 같은 자원 사용량을 줄이는 데 유용하다.[11] 압축된 데이터를 사용하려면 압축을 해제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계산 비용이 발생한다. 데이터 압축은 공간-시간 복잡도 간의 상충 관계를 가진다.

5. 11. 크기와 무게 (Size and Weight)

이는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스마트폰부터 우주선의 휴대용 임베디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모바일 시스템의 중요한 성능 특징이다.[11]

5. 12. 환경 영향 (Environmental Impact)

컴퓨터의 제조, 재활용 및 사용 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폐기물 감소, 유해 물질 감소, 컴퓨터의 생태 발자국 최소화를 목표로 측정된다.[11]

5. 13. 트랜지스터 수 (Transistor Count)

집적 회로(IC)의 트랜지스터 수는 IC 복잡성의 가장 일반적인 척도이다.[11]

6. 성능 튜닝

성능 튜닝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지만, 경제 시장, 관료 기구 또는 기타 복잡한 시스템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11] 이러한 활동의 동기를 성능 문제라고 하며, 이는 실제이거나 예상될 수 있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증가된 부하에 대해 어느 정도 성능 저하로 반응할 것이다. 시스템이 더 높은 부하를 수용하는 능력을 확장성이라고 하며, 더 높은 부하를 처리하도록 시스템을 수정하는 것은 성능 튜닝과 동의어이다.

체계적인 튜닝은 다음 단계를 따른다.

1. 문제를 평가하고 허용 가능한 동작을 분류하는 숫자 값을 설정한다.

2. 수정하기 전에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한다.

3. 성능 향상에 중요한 시스템의 부분을 식별한다. 이를 병목 현상이라고 한다.

4. 병목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시스템의 해당 부분을 수정한다.

5. 수정 후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한다.

6. 수정으로 성능이 향상되면 이를 채택한다. 수정으로 성능이 저하되면 원래대로 되돌린다.

7. 벤치마크 (Benchmarks)

컴퓨터의 모든 성능 측면을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이 매우 많기 때문에, 벤치마크가 개발되었다.[11]

가장 유명한 벤치마크는 Standard Performance Evaluation Corporation(SPEC)에서 개발한 SPECint 및 SPECfp 벤치마크와 EEMBC(Embedded Microprocessor Benchmark Consortium)에서 개발한 인증 마크 벤치마크이다.

8. 소프트웨어 성능 테스트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성능 테스트는 특정 워크로드(작업량)에서 시스템의 응답성과 안정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확장성, 신뢰성, 자원 사용량 등 시스템의 다른 품질 속성도 조사, 측정, 검증한다.[11]

성능 테스트는 성능 엔지니어링의 하위 집합이며, 시스템 구현, 설계, 아키텍처에 성능을 구축하려는 컴퓨터 과학 분야이다.

8. 1. 프로파일링 (Profiling)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프로파일링("프로그램 프로파일링", "소프트웨어 프로파일링")은 동적 프로그램 분석의 한 형태로, 프로그램의 공간(메모리) 또는 시간 복잡성, 특정 명령어의 사용법, 또는 함수 호출의 빈도와 기간을 측정한다. 프로파일링 정보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프로그램 최적화를 돕는 것이다.[11]

프로파일링은 ''프로파일러''(또는 ''코드 프로파일러'')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 또는 이진 실행 파일 형태를 계측하여 수행된다. 이벤트 기반, 통계, 계측 및 시뮬레이션 방법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프로파일러에서 사용할 수 있다.

9. 체감 성능 (Perceived Performance)

컴퓨터 공학에서 체감 성능은 소프트웨어 기능이 작업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속도를 말한다. 이 개념은 주로 사용자 수용 측면에 적용된다.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시작 화면(스플래시 화면 참조) 또는 파일 진행 대화 상자를 표시한다고 해서 더 빨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몇 가지 인간의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보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요청을 처리하고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신호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경우 실제 성능을 높이면 체감 성능이 향상되지만, 물리적 제약으로 인해 실제 성능을 높일 수 없는 경우 체감 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11]

10. 성능 방정식 (Performance Equation)

특정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총 시간('''t''')은 다음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9]

:'''t=\tfrac{NC}{f}'''

또는

:'''P=\tfrac{If}{N}'''[9]

여기서


  • P = \frac{1}{t}는 실행 시간 측면에서 "성능"을 나타낸다.
  • N은 실제로 실행된 명령어 수(명령어 경로 길이)이다. 코드 밀도는 '''N'''에 큰 영향을 미친다. '''N'''의 값은 명령어 집합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결정하거나 (사용 가능한 경우) 추정할 수 있다. 추정은 입력 변수의 추정 또는 실제 빈도 분포와 HLL 컴파일러에서 생성된 기계어를 검사하여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HLL 소스 코드 줄 수로는 결정할 수 없다. N은 동일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다른 프로세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는 실행된 프로그램에 대한 N 값을 추적하지 않거나 (적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지 않음)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값은 명령어 집합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만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f는 초당 사이클 수의 클럭 주파수이다.
  • C = \frac{1}{I}는 이 벤치마크의 평균 사이클 당 명령어(CPI)이다.
  • I = \frac{1}{C}는 이 벤치마크의 평균 사이클 당 명령어 수(IPC)이다.


하나의 머신에서도 다른 컴파일러 또는 다른 컴파일러 최적화 스위치를 사용한 동일한 컴파일러는 N과 CPI를 변경할 수 있다. 새 컴파일러가 다른 컴파일러를 악화시키지 않고 N 또는 C를 개선할 수 있다면 벤치마크가 더 빠르게 실행되지만, 종종 그 사이에 상충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실행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몇 개의 복잡한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가, 아니면 벤치마크를 실행하는 데 더 많은 명령어가 필요하지만 매우 빠르게 실행되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가?

CPU 설계자는 종종 특정 명령어 집합을 구현해야 하므로 N을 변경할 수 없다. 때때로 설계자는 f를 크게 개선하여 (더 깊은 파이프라인 및 더 빠른 캐시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하는 동시에 (바라건대) C를 너무 많이 희생하지 않아 스피드 데몬 CPU 설계를 이끌어낸다. 때때로 설계자는 CPI를 크게 개선하여 (아웃 오브 오더 실행, 슈퍼스칼라 CPU, 더 큰 캐시, 적중률이 향상된 캐시, 개선된 분기 예측, 추측 실행 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하는 동시에 (바라건대) 클럭 주파수를 너무 많이 희생하지 않아 브레이니악 CPU 설계를 이끌어낸다.[10] 지정된 명령어 집합(따라서 고정된 N) 및 반도체 공정의 경우, 최대 단일 스레드 성능(1/t)은 브레이니악 기술과 스피드레이서 기술 사이의 균형을 필요로 한다.[9]

참조

[1] 서적 Computer Performance Analysis with Mathematica Academic Press
[2] 간행물 Measuring Program Similarity: Experiments with SPEC CPU Benchmark Suites
[3] 서적 The Every Computer Performance Book, Chapter 3: Useful laws CreateSpace 2013
[4] 웹사이트 Channel capacity http://www.cs.ucl.ac[...]
[5] 웹사이트 Signals look like noise! http://www.st-andrew[...]
[6] 서적 Elements of Information Theory John Wiley & Sons, New York
[7] 웹사이트 EEMBC -- the Embedded Microprocessor Benchmark Consortium http://www.eembc.org[...] 2009-01-21
[8] 논문 The Next-Generation SC-7 RISC Spaceflight Computer https://digitalcommo[...]
[9] 웹사이트 The Incredible Shrinking CPU http://www.realworld[...] 2004
[10] 논문 Brainiacs, Speed Demons, and Farewell https://www.rose-hul[...]
[11] 웹사이트 http://citeseerx.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