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플러-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플러-4는 지구형 행성을 찾는 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별이다. 케플러-4는 G0형 별로 태양과 유사하지만 약간 더 밝으며, 2010년 1월에 케플러-4b 행성과 함께 발견되었다. 케플러-4b는 해왕성 크기의 외계 행성으로, 약 3.2일 주기로 케플러-4를 공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자리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용자리 - 엘타닌
    엘타닌은 용자리에 있는 분광형 K5 III의 거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반지름이 크며 다른 별을 분류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되어 왔고, 광행차 현상 발견과 자코비니 유성군 복사점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미국 해군 함선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케플러-4
기본 정보
겉보기 등급12.6
거리1631 광년(550 파섹)
분광형G5 V
특징
질량1.223 태양질량
나이약 45억 년
반지름1.487 태양반경
표면 온도5857 켈빈
온도5857 켈빈
식별 정보
2MASSJ19022767+5008087
GSC03549-02067
KIC11853905
KOI7
기타 명칭GSC 03549-02067
2MASS J19022767+5008087
Kepler 11853905
KIC 11853905
위치 정보
원기J2000
시선 속도평균: -61.0 ±0.1 km/s
절대 등급4.00 ± 0.28
물리적 특징
표면 중력 (log g)4.25 ± 0.10
자전 속도> 2.2 ± 1.0 km/s
광도2.26 L
색 지수 (B-V)알 수 없음
색 지수 (U-B)알 수 없음
색 지수 (V-I)알 수 없음
금속 함량"+0.17 ± 0.06" (태양의 150 ± 20 %)
항성 정보
연주 시차2.0055
연주 시차 오차0.0103

2. 명칭 및 발견

케플러-4는 지구형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가는 것을 지구에서 관측하여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찾는 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케플러-4와 그 행성은 케플러 팀이 최초로 발견한 행성계였다. 이 별과 행성계는 2010년 1월 4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천문학회 제215차 회의에서 케플러-5, 케플러-6, 케플러-7, 케플러-8과 함께 발표되었다. 발표된 행성들 중 케플러-4b는 가장 작은 행성이었으며, 해왕성 크기 정도였다. 케플러-4b 및 AAS 회의에서 발표된 다른 행성들의 발견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실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의 천문학자들은 텍사스주 포트 데이비스에 위치한 맥도널드 천문대의 할란 J. 스미스 망원경을 사용하여 케플러의 발견을 후속 관측하고 확인했다. 하와이,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카나리아 제도의 망원경들도 발견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3. 항성 특징

케플러-4는 G0형 별로, 태양과 유사하지만 약간 더 밝다. 별의 질량은 1.117 M, 반지름은 1.555 R이다. 금속 함량은 0.09(± 0.10) [Fe/H]로, 태양보다 금속이 풍부하며, 이는 행성 존재 가능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수치이다. 케플러-4의 나이는 약 67억 년이다. 케플러-4의 유효 온도는 5781(± 76) K로, 태양의 유효 온도와 거의 동일하다.

지구에서 볼 때 케플러-4의 겉보기 등급은 12.7로,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케플러 4는 태양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연주시차를 이용한 직접적인 거리 측정이 어렵다.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1800광년 거리로 추정되지만, 큰 오차 범위를 가진다. 질량은 태양의 1.2배, 반지름은 1.5배, 표면 온도는 거의 동일하며, 광도는 2배 정도이고, 금속 원소가 태양의 1.5배 비율로 포함되어 있다.[3]

케플러가 발견한 처음 5개의 행성의 상대적인 크기를 보여주는 그림. 케플러-4b는 5개 중 가장 작으며 보라색으로 강조 표시되어 있다.

4. 행성계

2010년 1월 4일, 과학자들은 케플러-4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케플러-4b의 발견을 공식 발표했다.[4]

동반 천체
(가까운 천체순)
질량
(MJ)
공전주기
()
공전궤도 반지름
(AU)
이심률
b.0773.2135.045580



케플러-4 시스템


케플러-4b는 해왕성 크기의 행성으로, 질량은 0.077 MJ, 반지름은 0.357 RJ이다. 이 행성은 3.213일마다 별을 공전하며, 별과의 거리는 0.045 AU이다. 이는 태양과 수성 사이 거리(0.39 AU)보다 가깝다. 케플러-4b의 이심률은 0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0.25 ± 0.12로 수정되었다. 케플러-4b의 온도는 1650 K로 추정된다. 케플러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결과, 다른 행성의 존재는 발견되지 않았다.

4. 1. 케플러-4b

2010년 1월 4일, 과학자들은 케플러-4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케플러-4b의 발견을 공식 발표했다.[4]

동반 천체
(가까운 천체순)
질량
(MJ)
공전주기
()
공전궤도 반지름
(AU)
이심률
b.0773.2135.045580



케플러-4b는 해왕성 크기의 행성으로, 질량은 0.077 MJ, 반지름은 0.357 RJ이다. 이 행성은 3.213일마다 별을 공전하며, 별과의 거리는 0.045 AU이다. 이는 태양과 수성 사이 거리(0.39 AU)보다 가깝다. 케플러-4b의 이심률은 0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0.25 ± 0.12로 수정되었다. 케플러-4b의 온도는 1650 K로 추정된다. 케플러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결과, 다른 행성의 존재는 발견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Kepler Discoveries http://kepler.nasa.g[...] NASA 2010-03-29
[2]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https://simbad.u-str[...] SIMBAD, CDS 2010-03-29
[3] 논문 Kepler-4b: Hot Neptune-Like Planet of a G0 Star Near Main-Sequence Turnoff
[4] 웹인용 Summary Table of Kepler Discoveries http://kepler.nasa.g[...] NASA 2010-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