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는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293년부터 306년 사망할 때까지 로마 제국의 부제와 정제를 역임했다. 그는 일리리아 출신으로 군대에서 경력을 쌓아 황제 친위대, 트리부누스, 달마티아 총독 등을 거쳤으며, 285년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지지했다. 293년 사두정치 체제 도입 후 서방의 부제가 되어 갈리아,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를 통치하며 카라우시우스와 알렉투스의 반란을 진압하고 알레마니족과 프랑크족을 격퇴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 305년 정제가 된 후 브리타니아에서 픽트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이듬해 요크에서 사망했고, 그의 아들 콘스탄티누스 1세가 황제로 즉위했다. 콘스탄티우스는 기독교 박해에 소극적이었으며, 헬레나와 테오도라를 부인으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제국의 군인 - 티베리우스
티베리우스는 기원전 42년에 태어나 서기 37년에 사망한 로마 제국의 두 번째 황제로, 아우구스투스의 후계자로서 금융 위기 대책과 국경 방어망 구축에 힘썼으며 로마 제국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 로마 부제 -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카이사르는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아들로, 콤모두스와 함께 카이사르로 임명되었으나 7세에 사망했다. - 250년 출생 - 육경 (동오)
육경은 오나라의 장수로, 육손의 손자이자 육항의 차남이며, 손호의 여동생과 결혼하여 기도위, 비릉후를 거쳐 편장군과 중하독을 역임했으나 서진의 오나라 정벌 때 포로로 잡혀 참수당했다. - 250년 출생 - 막시미아누스
막시미아누스는 286년부터 305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동료 통치자로, 군사적 업적을 쌓았으나 정치적 음모에 연루되어 콘스탄티누스 1세의 명령으로 자살했다.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재위 기간 (서방) | 305년 5월 1일 ~ 306년 7월 25일 (갈레리우스와 공동 통치) |
재위 유형 | 아우구스투스 |
선임자 | 막시미아누스 |
후임자 | 세베루스 2세 (공식) 콘스탄티누스 1세 (반란) |
카이사르 재위 기간 | 293년 3월 1일 ~ 305년 5월 1일 |
재위 유형 | 카이사르 |
출생일 | 기원후 250년경 3월 31일 |
출생지 | 모에시아 수페리오르 나이수스 |
사망일 | 306년 7월 25일 (56세 추정) |
사망지 | 로마 브리타니아 에보라쿰 |
배우자 | 헬레나 (논쟁 중) 및 테오도라 |
자녀 | 콘스탄티누스 대제,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등 |
출생명 |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
전체 이름 |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
존호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
왕조 | 콘스탄티누스 왕조 |
어머니 | 클라우디아 |
종교 | 고대 로마 종교 |
별칭 | |
그리스어 | (창백한 자) |
2. 생애
콘스탄티우스는 달마티아 출신의 귀족 에우트로피우스와 황제 클라우디우스 2세의 조카인 클라우디아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67] 그러나 역사가들은 콘스탄티우스 가문의 이러한 주장이 그의 손자인 콘스탄티누스 2세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보고있다.[67] 즉, 콘스탄티누스 2세가 자신의 가문을 더 높은 지위로 보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계보를 꾸몄다는 것이다. 콘스탄티우스는 카루스 황제 치하에서 달마티아의 영주를 지냈다.[68]
293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테트라르키아(사두정치)를 통해 제국을 서쪽과 동쪽으로 나누었다. 각 지역은 정제와 부제가 다스렸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동쪽 제국의 정제가 되었고, 갈레리우스를 부제로 삼았다. 콘스탄티우스는 서쪽의 정제 막시미아누스를 보좌하는 부제로 임명되었고, 막시미아누스의 의붓딸 테오도라와 결혼했다. 콘스탄티우스는 갈리아와 브리타니아를 다스렸고, 아마도 히스파니아도 지배했을 것이다.[69] 이전 부인(혹은 첩) 헬레나와의 사이에서는 훗날 콘스탄티누스 1세가 되는 아들을 두었다.[69]
콘스탄티우스는 293년 카라우시우스의 군단을 격파했고,[70] 296년에는 갈리아 린고네에서 알레만니족과 싸워 승리하여[71] 라인강 연안 국경의 방어를 강화했다. 286년부터 브리타니아와 갈리아 북부에서 스스로 황제를 칭했던 카라우시우스는 이후 회계관 알렉투스에게 살해되었고, 알렉투스가 브리타니아를 지배했다. 그러나 296년 콘스탄티우스가 보낸 친위대장 아스클레피오도투스에게 패배, 사망하면서 브리타니아는 다시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70]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는 황제 자리에서 물러났고, 콘스탄티우스와 갈레리우스가 공동 황제가 되었다. 콘스탄티우스는 서쪽 제국을, 갈레리우스는 동쪽 제국을 다스렸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세베루스와 막시미누스 다이아가 부제로 임명되었다. 콘스탄티우스의 아들 콘스탄티누스는 아버지의 갈리아·브리타니아 원정에 동행했다.[72] 콘스탄티우스는 306년 브리타니아의 요크에서 사망했고, 아들 콘스탄티누스가 군사력을 바탕으로 황제가 되었다.[73]
2. 1. 초기 생애와 경력
콘스탄티우스는 250년경 모이시아 수페리오르의 나이수스(현재 세르비아의 니시)에서 태어났다.[11] 출생 연도는 불분명하나, 그의 경력과 장남 콘스탄티누스 1세의 나이를 고려할 때 250년 이전으로 추정된다.[8] 그는 일리리아인이었다.[9] 콘스탄티우스의 가문은 평민 출신으로 추정되지만,[14] 콘스탄티누스 1세는 자신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 아버지를 고귀한 혈통으로 미화했다. 아우구스타 열전에는 그를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황제의 조카딸의 아들이라고 기록했지만,[12]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를 콘스탄티누스 1세가 만들어낸 허구로 본다.[14]콘스탄티우스는 군인으로 출세하여 아우렐리아누스 황제 시절에는 황제 친위대에서 복무했고,[16] 프로부스 황제 치하에서는 트리부누스를 거쳐 카루스 황제 치하에서는 달마티아 속주의 총독을 역임했다.[18] 285년 7월 마르구스 전투에서 카리누스를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물리치기 직전에 미래의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지지하기 위해 충성을 바꿨을 것으로 추정된다.[19]
2. 2. 사두정치와 부제(副帝) 시절
293년,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로마 제국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테트라르키아(사두정치) 체제를 도입했다. 이 체제는 제국을 서쪽과 동쪽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 정제(正帝)와 부제를 두는 방식이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동방의 정제가 되었고, 갈레리우스를 부제로 삼았다. 콘스탄티우스는 서방 정제 막시미아누스의 부제로 임명되어 갈리아, 브리타니아, 그리고 아마도 히스파니아를 다스렸다.[69] 그는 막시미아누스와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그의 의붓딸 테오도라와 결혼하여 여섯 자녀를 두었다. 콘스탄티우스는 이전의 부인(혹은 첩)이었던 헬레나와의 사이에서 아들 콘스탄티누스를 두었다.[69]286년, 브리타니아와 갈리아 북부에서 스스로 황제라 칭했던 카라우시우스는 293년 콘스탄티우스에게 패배했다.[70] 이후 카라우시우스는 회계관 알렉투스에게 살해되었고, 알렉투스는 브리타니아를 지배했다. 그러나 296년 콘스탄티우스가 보낸 친위대장 아스클레피오도투스(:en: Asclepiodotus)에게 알렉투스가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브리타니아의 로마 지배가 회복되었다.[70]

같은 해, 콘스탄티우스는 갈리아의 린고네에서 알레만니족과 싸워 승리했다.[71] 그는 도시 안에 갇혔지만, 6시간 후 병사들에게 구출되어 적을 격파했다.[71] 이러한 전투들을 통해 라인강 연안 국경의 방어가 강화되었다.
2. 3. 정제(正帝) 즉위와 죽음
305년 5월 1일,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는 건강 악화 등의 이유로 공동 황제에서 물러났다.[47] 메디올라눔에 모인 군대 앞에서 막시미아누스는 자신의 자주색 망토를 벗어 새로운 ''카이사르''인 세베루스에게 넘겨주고, 콘스탄티우스를 ''아우구스투스''(정제)로 선포했다. 같은 의식이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권위 아래 니코메디아 (이즈미트)에서도 거행되었다.[50] 명목상 선임 황제였던 콘스탄티우스는 서방 속주를 통치했고, 갈레리우스는 동방 속주를 차지했다.[50] 콘스탄티누스는 ''카이사르''가 되기를 희망했지만 실망했고, 콘스탄티우스가 갈레리우스에게 아들을 풀어달라고 요청한 후 갈레리우스의 궁정을 떠났다. 콘스탄티누스는 아버지의 건강이 좋지 않아 그를 돕기 위해 갈리아 해안에 있는 아버지의 궁정에 합류했고, 콘스탄티우스는 브리타니아 원정을 준비하고 있었다.[52]305년, 콘스탄티우스는 브리타니아로 건너가 섬의 최북단까지 이동하여 픽트족을 상대로 군사 원정을 시작했으며, 306년 1월 7일까지 그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브리타니쿠스 막시무스 2세''라는 칭호를 얻었다.[53] 에보라쿰 (요크)에서 겨울을 보내며 원정을 계속할 계획이었으나, 306년 7월 25일 사망했다.[54] 콘스탄티우스는 죽어가면서 자신의 아들을 군대에 후계자로 추천했고,[55] 그 결과 콘스탄티누스는 요크에 주둔한 군단에 의해 황제로 선포되었다.[56]
3. 가족 관계
콘스탄티우스는 소아시아 니코메디아 출신의 헬레나와 결혼했거나 동거 관계에 있었으며,[57] 둘 사이에서 아들 콘스탄티누스 1세를 낳았다. 289년,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헬레나와 이혼하고 막시미아누스의 딸 테오도라와 결혼하여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69] 이들은 콘스탄티누스 1세의 이복형제자매가 되었다.
-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 플라비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 아나스타시아 - 바시아누스와 결혼
- 유트로피아
아나스타시아()라는 이름은 '부활'을 뜻하며, 기독교 또는 유대교 문화에 대한 공감을 나타낼 수 있다.[11]
4. 전설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아버지였기에 기독교에서는 콘스탄티우스와 관련된 여러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유세비우스의 『콘스탄티누스의 생애』에 따르면, 콘스탄티우스는 비기독교인인 척했지만 실제로는 기독교인이었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부제였던 시절에도 황제에 의한 기독교 박해에 가담하지 않았다고 한다.[74] 그의 첫 번째 아내 헬레나(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생모)와 관련해서는 성 십자가 발견을 비롯한 많은 전설이 남아 있다.
콘스탄티우스의 브리튼에서의 활약은 브리튼 중세 전설에 남아있다.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1136년)에 따르면, 브리튼 왕위가 아스크레피오도투스에게서 콜체스터의 콜 왕에게 빼앗긴 후, 로마 원로원의 사절로서 콘스탄티우스가 브리튼에 파견되었다. 콜 왕은 콘스탄티우스에게 복종하여 로마에 연공을 바칠 것을 약속했지만, 8일 만에 사망했다. 콘스탄티우스는 콜 왕의 딸 헬레나와 결혼하여 브리튼의 왕이 되었다. 두 사람 사이에서 아들 콘스탄티누스가 태어났고, 11년 후 요크에서 콘스탄티우스가 사망한 후 브리튼 왕위를 계승했다.[75] 헬레나가 브리튼 출신이라는 주장은 헌팅던의 헨리가 먼저 주장했지만, 콘스탄티우스는 브리타니아에 출정하기 전에 헬레나와 이혼했기 때문에 역사적 근거는 없다.
4. 1. 기독교 관련 전설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아버지로서, 콘스탄티우스와 관련된 많은 기독교 전설이 생겨났다. 유세비우스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전》에 따르면 콘스탄티우스는 스스로 기독교 신자였지만 이교도인 척했고,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아래서 카이사르로 재직하면서 황제의 박해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한다.[58] 유세비우스는 자신의 또 다른 저서 『콘스탄티누스의 생애』에서도 콘스탄티우스가 비기독교인인 척했지만 실제로는 기독교인이었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부제였던 시절에도 황제에 의한 기독교 박해에 가담하지 않았다고 기록했다.[74]콘스탄티우스의 첫 번째 아내인 헬레나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생모)는 진실의 십자가를 발견했다고 전해지며, 이와 관련된 많은 전설이 남아 있다.
4. 2. 브리튼 관련 전설
중세 웨일스 전설에는 콘스탄티우스의 브리타니아에서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종종 그의 가문을 성 엘렌과 결혼하여 콘스탄티누스라는 아들을 낳았다고 전해지는 마그누스 막시무스의 가문과 혼동되기도 했다. 헌팅던의 헨리의 《잉글랜드사》는 콘스탄티우스의 아내 헬레나를 브리튼 사람으로 묘사했고[59], 몬머스의 제프리는 1136년의 《브리튼 왕들의 역사》에서 이 주장을 반복했다. 제프리는 콘스탄티우스가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여기서는 브리튼 왕)가 콜체스터의 코엘 왕에게 전복된 후 로마 원로원에 의해 브리타니아로 보내졌다고 언급했다. 코엘은 콘스탄티우스에게 복종하고 로마에 공물을 바치기로 동의했지만, 단 8일 후에 사망했다. 콘스탄티우스는 그의 딸 헬레나와 결혼하여 브리타니아의 왕이 되었다. 그와 헬레나는 아들 콘스탄티누스를 두었고, 콘스탄티누스는 11년 후 그의 아버지가 요크에서 죽자 브리타니아 왕위를 계승했다.[60] 그러나 이러한 설명들은 역사적 타당성이 없다. 콘스탄티우스는 그가 브리타니아로 가기 전에 헬레나와 이혼했기 때문이다.[61]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넨니우스에게 귀속된 《브리튼인의 역사》[62]는 "콘스탄티우스 황제"의 비문이 새겨진 무덤이 9세기에도 세곤티움(오늘날 카에르나본 근처, 북웨일스에 위치)의 로마 요새에 있었다고 주장한다.[63] 데이비드 내시 포드는 이 기념비를 아일랜드의 웨일스 침공 이전에 그 지역을 통치했다고 전해지는 마그누스 막시무스와 엘렌의 아들인 콘스탄티누스에게 돌렸다.[64]
참조
[1]
웹사이트
LSA-806 (J. Lenaghan)
http://laststatues.c[...]
[2]
웹사이트
608
https://arachne.dain[...]
[3]
웹사이트
649
https://archive.org/[...]
[4]
논문
What's in a Name? A Survey of Roman Onomastic Practice from c. 700 B.C. to A.D. 700
https://discovery.uc[...]
[5]
서적
Constantius I
https://research.vu.[...]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8-25
[6]
웹사이트
Roman campaigns north of the Forth-Clyde isthmus: the evidence of the temporary camps
http://ads.ahds.ac.u[...]
2018-09-05
[7]
서적
Constantius I, Flavius Valerius, Roman emperor
http://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22
[8]
서적
The New Empire of Diocletian and Constantin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Ancient Rome Art, Architecture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J. Paul Getty Museum
2002
[10]
서적
[11]
서적
Constantius Chloru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2]
웹사이트
Life of Claudius
https://penelope.uch[...]
LacusCurtius
[13]
웹사이트
Life of Claudius
https://penelope.uch[...]
LacusCurtius
[14]
서적
[15]
서적
Constantius I
https://research.vu.[...]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8-25
[16]
서적
[17]
웹사이트
Life of Probus
https://penelope.uch[...]
LacusCurtius
[18]
서적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Empire
Routledge, New York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29]
간행물
Allectus
http://quod.lib.umic[...]
Little, Brown and Company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웹사이트
Liber de Caesaribus
http://www.thelatinl[...]
[36]
서적
Potter
[37]
서적
Southern
[38]
웹사이트
LSA-855 ((K. Dahmen, M. Maischberger, C. Blümel)
http://laststatues.c[...]
[39]
서적
Birley
[40]
서적
Birley
[41]
문서
Breviarum
https://web.archive.[...]
[42]
웹사이트
UNRV History: Battle of the Third Century AD
http://www.unrv.com/[...]
[43]
서적
Southern
[44]
서적
Birley
[45]
서적
Potter
[46]
서적
Potter, Southern
[47]
문서
Constantine I Chlorus
[48]
서적
Potter
[49]
서적
Potter
[50]
서적
Potter
[51]
서적
Southern
[52]
문서
Breviarum, Epitome de Caesaribus, Historia Nova
[53]
서적
Birley
[54]
간행물
Consularia Constantinopolitana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306
[55]
서적
Potter
[56]
문서
Breviarum
https://web.archive.[...]
[57]
문서
Breviarum, Historia Nova, Exerpta Valesiana
[58]
문서
Vita Constantini
http://www.ccel.org/[...]
[59]
문서
Historia Anglorum
[60]
문서
Historia Regum Britanniae
[6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62]
문서
Historia Brittonum
[63]
웹사이트
Lives of the English Saints: St. German, Bishop of Auxerre
http://www.mocavo.co[...]
1844
[64]
웹사이트
The 28 Cities of Britain
http://www.britannia[...]
2000
[65]
문서
マルクス・フラウィウス・ウァレリウス・コンスタンティウス、ウァレリウス・コンスタンティウス、ガイウス・フラウィウス・コンスタンティウス、などと表記される。
[66]
웹사이트
Constantius I Chlorus (305-306 A.D.)
http://www.roman-emp[...]
[67]
문서
ローマ皇帝群像
https://penelope.uch[...]
[68]
문서
ローマ皇帝群像
https://penelope.uch[...]
[69]
문서
null
[70]
문서
Liber
http://www.thelatinl[...]
[71]
웹사이트
9.23
http://www.forumroma[...]
Eutropius
[72]
웹사이트
10.1
http://www.forumroma[...]
Eutropius
[73]
웹사이트
10.1-2
http://www.forumroma[...]
Eutropius
[74]
웹사이트
1.13-
http://www.ccel.org/[...]
Eusebius
[75]
서적
브리타니아 열왕전 5.6
https://wikisource.o[...]
[76]
서적
pg. 147
[77]
서적
pg. 147
[78]
문서
"Marcus Flavius Valerius Constantius", "Valerius Constantius", "Gaius Valerius Constantius", 그리고 "Gaius Fabius Constantius" 라고도 나타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