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개자리 VY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1801년에 처음 기록되었다. M형 스펙트럼과 P 시그니 프로파일을 보이는 거대한 별로, 1420 ± 120배 태양 반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의 30만~56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낸다. 주변에 비대칭적인 성운을 가지고 있으며, 매년 태양 질량의 10만분의 6배에 달하는 질량을 잃는 등, 매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인다. 약 3,900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형 극대거성 - 세페우스자리 뮤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붉은색 초거성 세페우스자리 뮤는 '허셜의 석류석 별'이라고도 불리며, 밝기가 변하는 반규칙 변광성이자 수천 광년 떨어져 있는, 초신성 폭발 가능성이 있는 별이다.
  • M형 극대거성 - WOH G64
    WOH G64는 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밝은 적색 초거성으로, 가스와 먼지로 둘러싸여 있고 반지름은 태양의 약 1,540배이며, 초신성 폭발 직전 단계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물리적 특성과 진화 단계, 동반성 존재 여부는 논쟁 중이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세페우스자리 V354
    세페우스자리 V354는 세페우스자리 OB1 성협 근처의 적색 초거성 변광성으로, 분광형은 M2.5 Iab 또는 M3.5 Ib이며, 초기에는 매우 큰 별로 추정되었으나 크기와 광도에 대한 논쟁이 있고, 가이아 미션으로 거리를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불확실성이 크다.
  • 큰개자리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큰개자리 - 미르잠
    미르잠은 큰개자리에서 네 번째로 밝은 큰개자리 베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약 6시간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이자 태양 질량의 약 12~13배에 달하는 청백색 거성이며, 국부 거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미르잠 터널과 관련되어 있으며, 브라질 국기에서 아마파 주를 상징하고 미국 해군 화물선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큰개자리 VY
개요
태양과 큰개자리 VY별 크기 비교
태양과의 크기 비교
화명큰개자리 VY 별
영문명VY Canis Majoris
별자리큰개자리
겉보기 등급6.5–9.6
변광성형맥동변광성
분광형적색 초거성
위치 정보
거리약 5,000 광년 (1.5k 파섹)
물리적 특징
반지름1420 ± 120 태양 반지름
질량17 ± 8 태양 질량
광도270,000–500,000 태양 광도
절대 등급-9.4
표면 온도~3,490 켈빈
표면 중력-0.6
색 지수b-v: 2.24
스펙트럼 분류(M2.5I) - M3-M4.5
식별 정보
다른 이름VY CMa, 히파르코스 35793,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58061, SAO 173591, 변광성 기호 VY CMa, HD 58061, HIP 35793, CD-25 4441, AAVSO 0718-25, IRAS 07209-2540, IRC -30087, RAFGL 1111, SAO 173571, WDS J07230-2546AB, 2MASS J07225830-2546030
고유 명칭큰개자리 VY별
SIMBADVY CMa
관측 정보
시대J2000.0
겉보기 등급 (V)6.5–9.6
별자리큰개자리
발음(제공된 정보 없음)
특징
유형적색 초거성
분광형M3–M4.5 (M2.5–M5Iae)
색 지수 (V-R)+2.20
색 지수 (B-V)+2.057
색 지수 (U-B)+2.32
U 밴드 겉보기 등급12.01
B 밴드 겉보기 등급10.19
V 밴드 겉보기 등급7.95
J 밴드 겉보기 등급1.98
H 밴드 겉보기 등급0.44
K 밴드 겉보기 등급-0.72
변광성 유형SRc 또는 Lc
성표 정보
시선 속도41 km/s
고유 운동 (RA)9.84 mas/yr
고유 운동 (Dec)0.75 mas/yr
시차0.83 mas
시차 오차0.08 mas
거리~3,820 광년 (1,170 파섹)
절대 등급 (V)(제공된 정보 없음)
세부 정보
질량17 ± 8 태양 질량
반지름1,420 ± 120 태양 반지름
광도178,000–270,000 태양 광도
표면 온도3,490 ± 90 K
금속 함량 [Fe/H]+0.0
자전 속도300 km/s
표면 중력-0.6 ± 0.4
나이8.2백만 년

2. 관측 역사

제롬 랄랑드가 1801년 3월 7일에 기록한 성표에 큰개자리 VY가 처음으로 수록되었으며, 7등급 별로 기록되었다.[19] 1850년 이후 이 별의 밝기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19] 1847년부터는 붉은색 별로 기록되었다.[19]

1802년 제롬 랄랑드의 흉상 초상화


19세기에 관측자들은 큰개자리 VY가 다중성계일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이후 관측 결과 이 광원들은 별 주위 성운으로 밝혀졌다. 1957년 및 1998년 관측으로 큰개자리 VY는 동반성을 거느리지 않는 홑별임이 증명되었다.[22][19]

1931년에는 장주기 변광성으로 기록되었고, 1939년에는 "VY CMa"라는 변광성 명칭을 부여받았다.

2. 1. 분광학적 특징

이 별의 스펙트럼은 고광도 M형 별의 스펙트럼이다. 그러나 수소 선은 P 시그니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어 광도청색변광성에 적합하다. 스펙트럼은 TiO 띠가 지배적인데, 이 띠의 강도는 M5로 분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알파 (Hα) 선은 아직 보이지 않으며, 나트륨칼슘과 같은 중성 원소의 특이한 방출선이 존재한다. 괄호 안에 분광선을 표시하면, 이 별은 OH (1612 MHz), (22235.08 MHz) 및 (43122 MHz) 메이저의 강력한 방출체이며, 이는 OH/IR 별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입증되었다. , , , , , , , 그리고 와 같은 분자들이 검출되었다.

다양한 스펙트럼 특징으로부터 결정된 광도 계급은 밝은 거성 (II)에서 밝은 초거성 (Ia)까지 다양하며, M5eIbp로 절충된다. 이전의 분류는 주변 성운을 동반성으로 해석하여 혼란을 야기했다. 현재의 스펙트럼 분류 시스템은 이 별의 복잡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분류는 복잡한 스펙트럼 특징 중 어떤 것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게다가, 이 별의 주요 특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M2보다 더 차갑고 더 붉으며, 일반적으로 M3에서 M5 사이로 분류된다. 2006년 연구에서는 M2.5와 같은 극단적인 분류가 나타났다. 광도 계급 또한 혼란스러우며, 광도 계급이 스펙트럼의 적색 및 적외선 부분에서 제대로 정의되지 않기 때문에 종종 I로만 표시된다. 그러나 한 연구에서는 Ia+의 광도 계급을 제시했는데, 이는 극대거성 또는 극도로 밝은 초거성을 의미한다.

3. 물리적 특성

매우 크고 밝은 별인 큰개자리 VY는 은하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이며, 이하의 유효 온도를 가지고 있다. 정확한 광도와 온도는 불확실하지만, HR도표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다. 별의 대부분의 특성은 거리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이 별은 동반성이 없기 때문에 중력 상호 작용을 통해 질량을 직접 측정할 수 없다. 유효 온도와 광도를 바탕으로 추정한 초기 질량은 25태양 질량이었지만 현재 질량은 15태양 질량이다. 회전하지 않는 별의 경우 초기 질량은 32태양 질량이었지만 현재 질량은 19태양 질량으로 감소했다. 이전 연구에서는 초기 질량이 이보다 더 큰 40~60태양 질량인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에밀리 르베스크가 제안한 온도 척도를 사용하면, 이 별의 유효 온도는 3,450~3,535K 사이로 추정된다.

큰개자리 VY는 강한 항성풍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광도와 매우 낮은 표면 중력으로 인해 많은 물질을 잃고 있다. 연간 평균 6E-4의 질량 손실률을 보이는데, 이는 알려진 것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적색초거성에게도 이례적으로 높다. 이는 광대한 외피에서 증명된다. 따라서, 질량이 큰 별의 진화 말기에 나타나는 높은 질량 손실 에피소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최대 질량 손실 사건 동안 질량 손실률은 아마도 연간 1E-3을 초과했을 것이다.

이 별은 70년, 120년, 200년, 250년 전에 대규모의 질량 손실 사건을 일으켰으며, 이는 아마도 대류에 의해 발생했을 것이다. 1985년에서 1995년 사이에 별이 방출한 덩어리는 수산화물 메이저 방출의 원천이다.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에 따르면, 가스가 주변 약 1광년에 걸쳐 둘러싸고 있으며, 가장 바깥쪽 것은 약 1천 년 전에, 가장 최근 것은 약 50년 전에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11]

3. 1. 크기

큰개자리 VY와 태양의 크기 비교.


큰개자리 VY는 한때 관측 사상 가장 큰 별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2012년 초대형 망원경(VLTI)으로 보다 정교하게 관측한 결과 반지름은 태양의 1,420 ± 120배로 이전보다 많이 작아졌다.[22] 이는 태양계 중심에 태양 대신 큰개자리 VY를 놓는다고 가정하면, 토성 궤도 근처까지 미치는 크기이다. 빛의 속도로도 별을 일주하는 데 8시간이 걸린다.

2020년 관측 결과에서는 반지름이 태양보다 2,069배 더 크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현재는 스티븐슨 2-18보다 조금 더 작은 것으로 평가된다.

큰개자리 VY의 반지름 계산은 별의 광대한 주변 외피로 인해 복잡하다. 또한, 큰개자리 VY는 맥동 변광성이므로 크기가 시간에 따라 변한다.

3. 1. 1. 크기에 관한 논쟁

큰개자리 VY의 정확한 크기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 극대거성설: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 로버타 험프리는 2006년에 큰개자리 VY의 반지름이 대략 태양의 1,800~2,100배라고 추정했다.[20] 이 크기대로라면 큰개자리 VY는 이론적으로 항성이 부풀어 오를 수 있는 한계보다 더 커진 상태이며, 비슷한 분광형의 별 표면 온도가 내려갈 수 있는 하한선보다 더 차가운 상태이다.
  • 적색 초거성설: 메시, 리베스크, 플레즈는 큰개자리 VY가 태양 반지름의 약 600배 정도인 평범한 적색 초거성이라고 주장했다.[21]
  • 중간 크기: 험프리와 메시의 측정값 중간 정도의 크기와 밝기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22][23] 이 경우 큰개자리 VY는 적색 초거성 중에서도 극도로 밝고 거대한 부류에 속하며, 별의 방출 스펙트럼과 높은 질량 손실률을 고려하면 극대거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2012년 초대형 망원경(VLTI)을 이용한 관측 결과, 큰개자리 VY의 반지름은 태양의 1,420 ± 120배로 이전보다 많이 작아졌다.[22] 그러나 2020년 관측 결과에서는 반지름이 태양보다 2,069배 더 크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처럼 큰개자리 VY의 크기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는 이유는, 다른 거대한 별들과 마찬가지로 큰개자리 VY 역시 별의 '표면'을 어디에서부터 정의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큰개자리 VY의 평균 밀도는 0.000005kg/m3 ~ 으로, 지구 표면 공기 밀도의 수백만 분의 일에 불과하다. 게다가 별의 외곽 대기는 중력의 속박을 벗어나 빠른 속도로 우주로 탈출하고 있다.[24]

3. 2. 밝기

2006년 로버타 험프리는 분광에너지분포 거리를 이용하여 큰개자리 VY의 광도를 계산했다. 별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복사에너지가 별 주변에 둘러싸인 구름에 막혀 지구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험프리는 별 주변 성운 전체의 총 플럭스를 합쳤다. 그 결과 큰개자리 VY의 광도는 태양의 56만 배 정도로 나왔다.[25] 이후 다양한 방법으로 별의 밝기를 다시 측정했는데, 광도는 이전보다 낮은 태양의 30만 배 수준으로 조정되었다.[22]

(2008년 7월, 구식). 태양계 행성들과 큰개자리 VY를 포함한 여러 별들의 상대적인 크기:
# 수성 < 화성 < 금성 < 지구

# 지구 < 해왕성 < 천왕성 < 토성 < 목성

# 목성 < 울프 359 < 태양 < 시리우스

# 시리우스 < 폴룩스 < 아크투루스 < 알데바란

# 알데바란 < 리겔 < 안타레스 < 베텔게우스

# 베텔게우스 < 뮤 세페이 < VV 세페이 A < 큰개자리 VY.]]

3. 3. 질량 및 온도

이 별은 동반성이 없기 때문에 중력 상호 작용을 통해 질량을 직접 측정할 수 없다. 유효 온도와 광도를 바탕으로 추정한 초기 질량은 25태양 질량이었지만 현재 질량은 15태양 질량이다. 회전하지 않는 별의 경우 초기 질량은 32태양 질량이었지만 현재 질량은 19태양 질량으로 감소했다. 이전 연구에서는 초기 질량이 이보다 더 큰 40~60태양 질량인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에밀리 르베스크가 제안한 온도 척도를 사용하면, 이 별의 유효 온도는 3,450~3,535K 사이로 추정된다.

3. 4. 질량 손실

큰개자리 VY는 강한 항성풍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광도와 매우 낮은 표면 중력으로 인해 많은 물질을 잃고 있다. 연간 평균 6E-4의 질량 손실률을 보이는데, 이는 알려진 것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적색초거성에게도 이례적으로 높다. 이는 광대한 외피에서 증명된다. 따라서, 질량이 큰 별의 진화 말기에 나타나는 높은 질량 손실 에피소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최대 질량 손실 사건 동안 질량 손실률은 아마도 연간 1E-3을 초과했을 것이다.

이 별은 70년, 120년, 200년, 250년 전에 대규모의 질량 손실 사건을 일으켰으며, 이는 아마도 대류에 의해 발생했을 것이다. 1985년에서 1995년 사이에 별이 방출한 덩어리는 수산화물 메이저 방출의 원천이다.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에 따르면, 가스가 주변 약 1광년에 걸쳐 둘러싸고 있으며, 가장 바깥쪽 것은 약 1천 년 전에, 가장 최근 것은 약 50년 전에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11]

4. 별주위 환경

큰개자리 VY는 과거 짝별로 오인되기도 했던, 복잡한 구조의 성운으로 둘러싸여 있다.[26]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성운은 과거 폭발로부터 생겨난 노끈 및 원호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황색 극대거성 IRC+10420 주변에서도 이와 비슷한 구조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천문학자들은 큰개자리 VY의 진화 경로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큰개자리 VY는 쭈그러들어 황색 극대거성이 된 뒤 밝은 청색변광성이 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볼프-레이에별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27]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초대형 망원경(VLT)으로 촬영한 VY CMa 주변의 비대칭 성운 이미지 (SPHERE 장비 사용). 별 자체는 어두운 원반 뒤에 가려져 있다. 십자 모양은 장비의 특성으로 인한 아티팩트(렌즈 효과)이다.


광역 행성 카메라 2(WFPC2)/허블 우주 망원경(HST) 이미지로 VY 큰개자리의 주변을 보여주는 비대칭 성운, 중앙 별이 위치

5. 거리

큰개자리 VY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연주시차 오차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기 어렵다.[29] 1976년 찰스 라다와 마크 레이드는 큰개자리 VY 근처의 분자 구름(Sh2-310)을 발견하고, 이 구름과 NGC 2362 성단과의 거리를 바탕으로 큰개자리 VY의 거리를 약 으로 추정했다.[17][30][31]

VLBA는 VY CMa의 2011년 거리 추정치를 도출하는 데 사용되었다


2008년 일본 국립 천문대에서 VERA 간섭계를 사용하여 메이저를 관측하여 얻은 시차는 로, 약 거리에 해당한다. 2012년 초장기선 간섭계 (VLBI)를 사용하여 초장기선 배열 (VLBA)에서 메이저를 관측하여 얻은 시차는 로, 약 거리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측 결과는 구름(Sh2-310)이 예상보다 멀리 있지 않거나, 큰개자리 VY가 전면에 위치한 천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6. 변광성

큰개자리 VY는 6.5등급에서 9.6등급 사이에서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이다.[9][10] 변광성 종합 목록(GCVS)에서는 이 별을 반규칙 변광성 중에서도 SRC형으로 분류하는데, 이는 차가운 초거성이 불규칙하게 밝기가 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9] 반면,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에서는 LC형 느린 불규칙 변광성으로 분류한다.[10]

큰개자리 VY의 맥동 주기는 956일 정도로 추정되지만, 1,600일 또는 2,200일이라는 다른 주장이 보고되기도 했다.

AAVSO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큰개자리 VY의 광도 곡선

7. 진화

큰개자리 VY는 매우 진화된 별이지만, 1천만 년 미만의 비교적 젊은 별이다. 이 별은 (태양 반지름) 크기의 뜨겁고 밀도가 높은 O9 주계열성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질량이 크기 때문에 빠르게 진화하여, 주계열 단계를 벗어난 지 100만 년 이상 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래에는 대부분의 차가운 초거성처럼,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이다. 헬륨을 탄소로 대량 융합하기 시작했으며, 베텔게우스처럼 질량을 잃고 있어 앞으로 10만 년 이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폭발하기 전 더 높은 온도로 돌아갈 가능성도 있다. 이 별은 매우 불안정하며, 분출과 같은 엄청난 질량 손실을 겪고 있다.

큰개자리 VY는 두 번째 적색 초거성 단계에 있는 별의 후보로 추측되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7]

이 별은 다음과 같은 결과 중 하나를 낼 것이다.


  • 적당히 밝고 오래 지속되는 II형 초신성 (SN IIn)
  • 하이퍼노바
  • 초발광 초신성 (SLSN)
  • 덜 가능성이지만, Ib형 초신성


폭발은 감마선 폭발 (GRB)과 관련될 수 있으며, 초당 수천 킬로미터의 속도로 충격파를 생성하여 주변 물질의 껍질을 강타하여 폭발 후 수년 동안 강한 방출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큰 별의 잔해는 중성자별보다는 블랙홀이 될 것이다. 중심부의 수소는 거의 고갈된 반면, 외층은 원래 크기의 100배로 거대해지고 있다. 중력에서 해방된 가스가 빠르게 유출되어 질량을 잃어가고 있으며, 이미 원래 질량의 약 절반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그 질량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극초신성 또는 초신성 폭발을 일으켜 블랙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12]

참조

[1] 논문 The Young Cluster NGC 2362 https://ui.adsabs.ha[...] 2005-10-01
[2] 웹사이트 Sh 2-310 http://galaxymap.org[...] 2024-06-16
[3] 논문 A new star-forming region in Canis Major 2016-07-01
[4] 논문 CO observations of a molecular cloud complex associated with the bright rim near VY Canis Majoris. https://ui.adsabs.ha[...] 1978-01-01
[5] 논문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https://ui.adsabs.ha[...] 2001-12-01
[6] 논문 VY Canis Majoris. II. Interpretation of the Energy Distribution https://ui.adsabs.ha[...] 1970-11-01
[7] 논문 LBVs, hypergiants and impostors — the evidence for high mass loss events 2016-07
[8] 간행물 Fundamental properties and atmospheric structure of the red supergiant VY Canis Majoris based on VLTI/AMBER spectro-interferometry 'Astronomy & Astrophysics' http://www.aanda.org[...]
[9] 간행물 GCVS Query = VY CMa http://www.sai.msu.s[...]
[10] 간행물 VSX : Detail for VY CMa https://www.aavso.or[...]
[11] 간행물 ハッブル宇宙望遠鏡による観測 https://hubblesite.o[...]
[12] 간행물 南フロリダ天文学会による紹介 http://www.theeyepie[...]
[13] 웹인용 GCVS Query=VY CMa http://www.sai.msu.s[...]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 Sternberg Astronomical Institute, Moscow, Russia 2010-11-24
[14] 저널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15] 웹인용 SIMBAD basic query result: VY Canis Majoris http://simbad.u-stra[...]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9-08
[16] 저널 The last gasps of VY Canis Majoris: aperture synthesis and adaptive optics imagery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999-02-10
[17] 저널 CO observations of a molecular cloud complex associated with the bright rim near VY Canis Majoris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978-01-01
[18] 저널 Bringing VY Canis Majoris down to size: an improved determination of its effective temperature 2006-08-01
[19] 저널 Three somewhat overlooked facets of VY Canis Majoris Konkoly Observatory, Budapest 1971-12-07
[20] 간행물 http://www.arxiv.org[...]
[21] 간행물 http://www.arxiv.org[...]
[22] 저널 Fundamental properties and atmospheric structure of the red supergiant VY CMa based on VLTI/AMBER spectro-interferometry 2012-04-05
[23] 저널 Distance and Kinematics of the Red Hypergiant VY CMa: VLBA and VLA Astrometry 2012-01
[24] 저널 The parameters R and Teff in stellar models and observations 1991-06
[25] 저널 VY Canis Majoris: The Astrophysical Basis of Its Luminosity
[26] 저널 Diffraction-limited speckle-masking interferometry of the red supergiant VY CMa
[27] 저널 The Asymmetric Nebula Surrounding the Extreme Red Supergiant Vy Canis Majoris 2001-02
[28] 저널 The Three-Dimensional Morphology of VY Canis Majoris. I. The Kinematics of the Ejecta
[29] 웹인용 Stellar distances http://www.astronomy[...] 2006-10-31
[30] 저널 The Discovery of a Molecular Cloud Associated with VY CMa
[31] 저널 Kinematics of OB-associations and the new reduction of theHipparcosdata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