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스바다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스바다수리는 러시아, 몽골 등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와 아열대 지역에서 발견되는 맹금류이다. 밝은 모래 갈색 털과 흰 얼굴, 검은색 꼬리에 흰 줄무늬가 특징이며, 몸길이 72~85cm, 날개 길이 180~215cm의 대형 종이다. 주로 민물고기를 먹지만, 기회주의적으로 새, 포유류, 파충류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1771년 표트르 시몬 팔라스에 의해 처음 학명이 명명되었으며, 다른 바다수리와의 계통 분류가 어렵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 오염, 남획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1년 기재된 새 - 매
매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뛰어난 비행 능력으로 조류를 사냥하는 맹금류로, 과거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복원 노력으로 회복되었고 매사냥과 속도 및 권력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1771년 기재된 새 - 노랑할미새
날씬한 몸매와 회색 윗부분, 흰색 아랫부분, 노란색 하복부를 가진 노랑할미새는 구북구 지역에 널리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시베리아에서 번식하는 robusta 종이 관찰되고, 강가나 둑의 돌 틈에 둥지를 틀고 수생 무척추동물을 먹고 산다. - 타지키스탄의 새 - 양비둘기
양비둘기는 바위비둘기와 유사한 외형을 가졌으나, 검은 꼬리와 흰 꼬리 띠로 구별되며, 유라시아 대륙의 험준한 지형에 주로 서식하고 대한민국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 타지키스탄의 새 - 흰눈썹울새
흰눈썹울새는 뚜렷한 흰색 눈썹선과 귤색 허리를 가진 15cm 크기의 작은 새로, 유라시아 대륙 중부 이북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동남아시아 등지로 이동하는 여름 철새이며, 주로 하천이나 호수 주변에서 곤충 유충을 먹으며 단독 생활한다. - 흰꼬리수리속 - 참수리
참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러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며, 큰 부리와 흰 꼬리, 짙은 갈색 깃털이 특징이고, IUCN Red List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 흰꼬리수리속 - 흰머리수리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대형 맹금류인 흰머리수리는 갈색 몸통과 흰 머리, 꼬리를 가진 성체의 외형적 특징을 가지며, 물고기, 조류, 포유류 등을 먹고, 과거 멸종 위기를 극복하여 미국의 국조가 되었다.
팔라스바다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aliaeetus leucoryphus |
명명자 | Pallas, 1771 |
이명 | Aquila leucorypha Pallas, 1771 |
영어 이름 | Pallas's Sea Eagle |
한국어 이름 | 키가시라우미와시 (キガシラウミワシ)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수리목 |
과 | 수리과 |
속 | 흰꼬리수리속 |
종 | 팔라스바다수리 (H. leucoryphus) |
보전 상태 | |
IUCN | 멸종 위기 (EN) |
CITES | 부록 II |
참고 문헌 |
2. 분포
팔라스바다수리는 러시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부탄에서 발견된다.[16]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의 온대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열대 지역에서 월동한다.
팔라스바다수리의 털은 밝은 모래 갈색이고 얼굴은 희다. 날개는 더 어두운 갈색이고 등은 갈색이다. 길고 가느다란 날개(특히 바다수리치고는 가늘다) 밑은 오히려 어두운 갈색이다. 꼬리는 검은색에 넓고 독특한 흰색 줄무늬가 있다. 어린 새는 전체적으로 더 어둡고 더 차가운 갈색이며 꼬리에는 띠가 없지만 날개에 아래쪽 덮개와 안쪽 원색을 포함한 몇 개의 창백한 부분이 있다. 그 결과 어린 팔라스바다수리의 날개에서 흰색 띠가 나타난다. 성체 깃털을 얻는 데는 4년 정도 걸린다.[17][18]
팔라스바다수리는 주로 큰 민물고기를 먹지만, 바다수리처럼 기회주의적인 식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18] 새, 특히 물새를 정기적으로 사냥하며, 토끼와 설치류 같은 포유류, 개구리, 뱀, 거북 등의 파충류, 곤충(말벌 유충 등), 부육도 먹는다.[18][23]
표트르 시몬 팔라스는 1771년 동부 시베리아 여행 중에 만난 팔라스바다수리에 대해 ''Aquila leucorypha''라는 학명을 제안하였다.[11] 19세기에는 여러 학자들이 이 종을 ''Falco''와 ''Haliaeetus'' 속에 분류하기도 했다.[12]
팔라스바다수리는 IUCN 적색 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전 세계 개체 수는 2,5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된다. 인간은 직접적인 박해 외에도 서식지 파괴, 오염, 호수의 배수 또는 남획을 통해 이 종의 감소에 기여한다. 인도에서는 호수에 부레옥잠이 퍼지면서 팔라스바다수리가 먹이를 찾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16] 팔라스바다수리는 희귀하고 영토 전체에 고립되어 있으며 넓은 지역에서 번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넓은 범위는 기만적이다.[24]
[1]
IUCN
"''Haliaeetus leucoryphus''"
2018
3. 형태
관련 종 중에서 주로 훨씬 짧은 날개와 약간 작은 회색머리바다수리와 서식 범위가 거의 비슷하고, 더 크고 부피가 크며 훨씬 넓은 날개를 가진 흰꼬리수리와는 거의 겹치지 않는데, 이 또한 팔라스바다수리의 색깔과 거의 유사하지 않다.[17][18]
상당히 큰 이 종은 길이가 72~85cm이고 날개 길이는 180~215cm이다. 암컷은 일반적으로 몸무게가 2.1kg~3.7kg이고(표본 9마리의 평균 몸무게는 3.2kg), 수컷보다 평균 몸무게가 2.03kg~3.3kg로 약간 더 크다.[18][19][20]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팔라스바다수리의 몸무게가 4kg~5.5kg이고, 날개 너비가 240cm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1][22] 따라서, 그들의 크기는 흰머리수리, 흰꼬리수리, 참수리와 같은 큰 북쪽 바다수리보다 약간 작고, 열대 중앙 분포의 바다수리보다 약간 더 크다.[18]
4. 생태
방글라데시에서는 미갈 잉어, 로후, 카틀라, 일리쉬, ''Chitala chitala'', ''Mystus cavasius'', ''Ompok bimaculatus'', ''Wallago attu'' 등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꿩꼬리사다새, 검둥오리, 쇠오리, 넓적부리, 작은논병아리 등 다양한 물새도 사냥한다.[3]
팔라스바다수리는 회색기러기, 흰이마기러기, 모래두루미처럼 자기 몸집과 비슷하거나 더 큰 성체 물새를 물 위에서 공격해 사냥감을 가지고 날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색기러기는 수리보다 약간 더 무거운데, 이는 날아다니는 조류가 기록한 가장 큰 무게를 들어 올리는 사례 중 하나이다.[3] 인도 북중부 야무나 강에서는 한 수리가 6.5kg의 거대한 잉어를 잡고 물 위를 낮게 날아가다 총성에 놀라 떨어뜨린 기록이 있는데, 이는 수리 무게의 약 두 배에 해당한다.[9]
다른 맹금류와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바라트푸르에서 겨울을 나는 팔라스바다수리는 다른 수리 종들을 지배하고 가장 높은 횃대를 선택하며, 동부제왕수리, 초원수리 등 비슷한 크기의 수리보다 일일 식사량이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10] 주로 내륙의 큰 하천, 호소, 담수 습지 등에 서식하며, 동물성 먹이, 특히 어류를 주로 먹는다.
5. 분류
팔라스바다수리는 분류하기 가장 어려운 바다수리 중 하나이다. 이 종은 속 내에 살아있는 근연종이 없으며, mtDNA 사이토크롬 ''b'' 염기서열 데이터로도 바다수리들 사이에서의 계통발생학적 위치를 명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분자 데이터, 형태학, 생물지리학적 정보는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
팔라스바다수리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어두운 눈, 부리,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초기 바다수리 및 열대 계통과 공유하는 특징이다. 성체의 꼬리 끝에 있는 검은 띠는 어린 마다가스카르바다수리와 유사하지만, 이 둘이 가까운 관계는 아니다. 분포를 통해 이 종이 다른 바다수리 계통과 독립적으로 진화했음을 알 수 있지만, 분자 데이터는 홀극 종과 더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홀극과 열대 계통이 분리된 직후 팔라스바다수리가 다른 종과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집트에서 발견된 초기 올리고세 바다수리 화석에 대한 해석에 따르면, 이러한 분기는 약 3400만 년에서 2500만 년 전인 올리고세의 시작 또는 끝 무렵에 발생했다.[13]
6. 보존
참조
[2]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South-east Asia''"
New Holland
2000
[3]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Harcourt
[4]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East Asia''"
Bloomsbury Publishing
2019
[5]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ition''"
CRC Press
2007
[6]
서적
"''Where in the World are Pallas's Fish Eagles? Migration and Ecology of Haliaeetus leucoryphus in Asia''"
University of Arkansas
2017
[7]
서적
"''The birds of Israel''"
Stephen Greene Press
1987
[8]
간행물
"Pallas's Fish-Eagle (Haliaeetus leucoryphus)"
Cornell Lab of Ornithology, Ithaca, NY, USA
2020
[9]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10]
학위논문
"''The general ecology of raptors in Keoladeo National Park, Bharatpur''"
Bombay University, Mumbai, India
1988
[11]
서적
Reise durch verschiedene Provinzen des russischen Reichs in einem ausführlichen Auszuge. Volume 2
J. G. Fleischer
[12]
서적
A history of the birds of Europe, not observed in the British Isles
Groombridge and Sons
[13]
학술지
A mtDNA phylogeny of sea eagles (genus ''Haliaeetu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the cytochrome ''b'' gene
http://www.uni-heide[...]
[14]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es
[15]
문서
[16]
IUCN
"''Haliaeetus leucoryphus''"
2018
[17]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South-east Asia''"
New Holland
2000
[18]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19]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East Asia''"
Bloomsbury Publishing
2019
[20]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ition''"
CRC Press
2007
[21]
서적
"''Where in the World are Pallas's Fish Eagles? Migration and Ecology of Haliaeetus leucoryphus in Asia''"
University of Arkansas
2017
[22]
서적
"''The birds of Israel''"
Stephen Greene Press
1987
[23]
간행물
"Pallas's Fish-Eagle (Haliaeetus leucoryphus)"
Cornell Lab of Ornithology, Ithaca, NY, USA
2020
[24]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