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까마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까마귀는 몸길이 약 32cm의 조류로, 까마귀와 크기가 비슷하며 사회성이 강하다. 동시베리아 남부에서 몽골, 중국까지 분포하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겨울철새로 관찰된다. 아랫부분에 크림색 흰색 깃털이 있고, 머리, 날개 등은 검은색이며, 곤충, 씨앗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 난생하며, 나무 구멍이나 건물에 둥지를 틀고 4~6개의 알을 낳는다. 이전에는 까마귀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속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새 - 큰고니
큰고니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동아시아와 유럽 남부에서 겨울을 나는 대형 철새로, 핀란드 국조이며 수생식물을 주식으로 하는 넓은 수역 서식종이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새 - 팔라스바다수리
현재 제공된 팔라스바다수리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위키백과 페이지 작성이 어렵습니다. - 까마귀속 - 큰까마귀
18세기에 린네에 의해 처음 기재된 큰까마귀는 참새목 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으로, 높은 지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니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 까마귀속 - 송장까마귀
송장까마귀는 까마귀과의 조류로, 검은색 깃털과 녹색 또는 보라색 광택을 띠며 유라시아 대륙 등에 분포하고 잡식성으로 곤충 등을 먹으며 높은 지능을 가진 영리한 동물이다. - 1776년 기재된 새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1776년 기재된 새 - 뇌조
뇌조는 꿩과에 속하며 깃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변하고, 북극 및 아북극 지역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갈까마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Coloeus dauuricus |
| 명명자 | Pallas, 1776 |
| 영명 | Daurian jackdaw |
| 일본어명 | コクマルガラス |
| 한국어명 | 갈까마귀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강 |
| 목 | 참새목 |
| 아목 | 스즈메아목 |
| 과 | 까마귀과 |
| 속 | 까마귀속 |
| 종 | 갈까마귀 |
| 분포 | |
![]() | |
| 상태 | |
| IUCN | LC |
| 환경부 | 유해 |
| 기타 | |
| 이명 | Corvus dauuricus Pallas, 1776 |
| 로마자 표기 | Corvus dauuricus |
2. 분포
갈까마귀(Daurian jackdaw영어)는 `동시베리아` 남부에서부터 남쪽으로 `몽골`과 `중국` 대부분 지역에 걸쳐 서식한다. 분포 지역의 북쪽에 사는 개체들은 겨울 동안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이다. `한국`에서는 드물게 찾아오는 `겨울철새`이며, `일본`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매년 찾아오는 겨울철새이다. 일본 내에서는 주로 혼슈 서부, 특히 `규슈`에 도래하며, 드물게 `홋카이도`, `혼슈` 동부, `시코쿠`에서도 관찰된다. `타이완`에서는 `미조`로 관찰된 기록이 있다. `서유럽`에서도 몇 차례 관찰 기록이 있다.
주로 트인 삼림 지대, 강 계곡, 개방된 언덕 및 산악 지대에 서식한다.
종소명 ''dauuricus''는 `바이칼호` 동쪽의 `다우리아`(Dauria) 지방 이름에서 유래했다.
갈까마귀가 분포하는 주요 국가는 다음과 같다.
| 국가 | 비고 |
|---|---|
| 대한민국 | 겨울철새 (드묾) |
| 중화인민공화국 | 서식지, 겨울철새 |
| 타이완 | 미조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서식지, 겨울철새 (추정) |
| 일본 | 겨울철새 (매우 드묾, 주로 규슈) |
| 몽골 | 서식지, 겨울철새 |
| 러시아 동부 | 서식지, 겨울철새 |
몸길이는 약 32cm에서 33cm[2] 정도로, 까마귀와 크기가 거의 같거나 약간 작으며 비율과 습성도 비슷하다. 일본에 도래하는 까마귓과 조류 중에서는 가장 작은 종이다.[2]
동시베리아 남부에서부터 남쪽으로 몽골과 중국 대부분 지역에 걸쳐 서식한다. 분포 지역의 북쪽 개체군은 겨울 동안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이다. 한국에서는 드물게 겨울철새로 찾아오고, 일본에서는 매우 드물게 매년 겨울에 찾아오는 겨울철새이며, 타이완에서는 길잃은 새로 관찰된다. 서유럽에서도 몇몇 기록이 있다. 주로 트인 숲이나 초원, 강가, 농경지, 강 계곡, 개방된 언덕 및 산악 지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3]
3. 형태
깃털 색깔은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있다. 목에서 배까지의 깃털이 크림색에 가까운 흰색인 담색형과 온몸의 깃털이 검은 암색형이 있다. 담색형의 경우, 많은 성체(모든 개체가 그런 것은 아님)는 몸 아랫부분과 목 주변으로 넓은 흰색 깃털 띠를 가진다. 공통적으로 머리, 목구멍, 날개, 꼬리는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 관자놀이 부분(귀깃)에는 회색 깃털이 섞여 있다.
어두운 색의 성체나 어린 새는 겉모습이 까마귀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까마귀의 홍채가 독특한 회백색인 것과 달리, 갈까마귀는 검은색 홍채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부리는 까마귀에 비해 가늘고 짧다.
같은 지역에 서식할 수 있는 중국 댕기까마귀(''Corvus torquatus'')와는 깃털 무늬가 비슷할 수 있으나, 중국 댕기까마귀는 까마귀와 크기가 비슷하거나 더 큰 대형 조류이므로 크기 차이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4. 생태
갈까마귀는 사회성이 강한 종으로, 종종 까치와 함께 서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검은멧닭과 섞여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2]
4. 1. 먹이
갈까마귀는 잡식성이다.[3] 주로 땅 위를 걸어 다니면서 먹이를 찾으며, 이동하면서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다.[3] 먹이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곤충류, 거미류, 다른 조류의 알과 새끼, 과실, 종자 등을 먹는다.[3] 또한 큰부리까마귀와 비슷하게 재배된 곡물이나 썩은 고기, 심지어 동물의 배설물까지 먹기도 한다.[3]
4. 2. 번식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나무 구멍이나 바위 틈, 폐허가 된 건물을 선호하며 둥지를 튼다. 적절한 나무 구멍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나무에도 둥지를 틀기도 한다. 무리를 지어 둥지를 트는 경향이 있다. 한 번에 4~6개의 알을 낳으며, 알은 찌르레기의 알과 비슷하게 생겼다. 주로 암컷이 알을 품고, 이 기간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가져다준다.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것은 암컷과 수컷 모두 한다.
5. 분류
종전에는 까마귀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속(''Coloeus'')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소명 ''dauuricus''는 다우리아 지방(바이칼호 동쪽)에서 유래했다.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다른 깃털이 섞인 까마귓과 종은 중국 댕기까마귀 ''Corvus torquatus''이지만, 이 종은 훨씬 더 큰 새(까마귀와 크기가 거의 같거나 약간 더 큼)이므로 혼동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참조
[1]
IUCN
Corvus dauuricus
https://www.iucnredl[...]
2022-10-02
[2]
서적
京都府レッドデータブック 2015
京都府自然環境保全課
2015-04-00
[3]
서적
新版 日本の野鳥
山と溪谷社
2014-01-05
[4]
IUCN
Corvus dauuricus
https://dx.doi.org/1[...]
2021-02-16
[5]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