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 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 정부는 예산 또는 직원 수와 같은 절대적인 규모나 국민 경제에 대한 상대적인 규모로 정의된다. 학자들은 세입·세출 규모를 정부의 규모로 보고, 소득 수준에 따라 큰 정부에 대한 지지 여부가 갈린다고 분석한다. 큰 정부는 행정 서비스의 비효율성, 이권 다툼을 야기할 수 있으며, 테러 위협으로 인해 국방 예산 확대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21세기 들어 그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지상주의 용어 - 놀란 차트
    놀란 차트는 개인의 자유와 경제적 자유를 기준으로 정치적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표로, 자유지상주의, 좌파, 우파, 국가주의, 중도주의 다섯 영역으로 구분되어 정치적 입장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지만, 사회 정책과 경제 정책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자유지상주의 용어 - 국가주의
    국가주의는 개인의 자유보다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이념으로, 야경국가부터 전체주의까지 다양한 형태를 띠며, 사회 질서 유지, 도덕·문화 강제, 민족주의, 국수주의와 관련되어 경제 및 사회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 미국의 우익 정치 - 연방당
    연방당은 미국 헌법의 제정과 비준을 지지하며 강력한 중앙 정부를 옹호했으나, 민주공화당과의 대립과 1812년 전쟁에 대한 소극적 태도, 내부 분열 등으로 인해 1816년 대선 이후 쇠퇴했다.
  • 미국의 우익 정치 - 낸시 레이건
    낸시 레이건은 배우로 활동하다 로널드 레이건과 결혼하여 캘리포니아 주지사 부인과 영부인으로 활동하며 백악관 개조, 패션, 마약 퇴치 캠페인을 주도했고 남편의 정치 활동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2016년에 사망했다.
  • 정치적 비방 - 에코테러리즘
    에코테러리즘은 환경 파괴 시도나 환경에 해를 끼치는 대상에 대한 범죄 행위를 통해 정부를 위협하는 행위를 지칭하며, 환경 보호를 명분으로 폭력적인 직접 행동을 감행하는 단체들에 의해 자행되어 환경 보호 활동과 폭력 행위 사이의 논쟁을 야기한다.
  • 정치적 비방 - 비토크라시
    비토크라시는 미국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주택 건설 및 인프라 구축이 지연되어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님비 현상과 연관되어 주택 공급 부족, 인프라 개선 지연, 시민 삶의 질 저하, 지역 경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큰 정부
지도 정보
정의 및 특징
정의과도하게 간섭하거나 규제하는 정부 또는 공공 부문에 대한 경멸적인 용어
특징정부의 지나친 개입, 규제, 또는 복지 프로그램의 과도한 제공 등을 지칭
비판적 관점
의미정부 규모가 지나치게 크고 세금 부담이 높으며, 자유 시장을 방해하고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정부
비판 대상정부 주도의 사회 보장 프로그램, 높은 세금, 광범위한 규제, 정부 지출 증가
주요 논점
경제적 영향경제 성장 저해, 자유 시장 경쟁 감소, 기업 활동 위축
개인의 자유 침해개인의 선택과 자유를 제한하고 정부에 대한 의존성을 증가시킴
관련 개념
관련 용어작은 정부
큰 정부
정부 개입
정치적 입장주로 보수주의적, 자유지상주의적 관점에서 사용됨
역사적 배경
사용 시점주로 20세기 이후 복지 국가 모델과 함께 사용
사례
정부 정책 사례과도한 사회 보장 프로그램
과도한 시장 규제
정부 지출의 급증
뉴욕시 음료수 크기 제한뉴욕시의 큰 설탕 음료 판매 금지 시도 사례 (2012년)
참고 자료
참고 자료"뉴욕 타임스 기사"
"Renew America 기사"

2. 정의

큰 정부는 주로 예산 또는 직원 수로 측정되는 규모, 즉 절대적인 규모 또는 국민 경제에 대한 상대적인 규모로 정의된다.[3][4] 시장 개입으로 인해 정부의 재정 지출이 증가하므로, 세금이나 사회보장비 등 국민 부담률이 높아지고, 계획경제 지향의 복지 국가가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완전고용을 중시하는 한편, 개인의 다양한 자유에 대한 제약과 규제, 관료 조직의 비대화, 국가 운영 비용(정부 지출)의 증가, 그리고 보호무역으로 이어지기 쉬운 정책을 추구하기 쉽다. 행정부의 한 형태이며, 정부가 직접적으로 경제를 조작하는 (자주관리사회주의를 제외한) 공산주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큰 정부”에서는 고복지·고부담·사회적 의무 등을 바탕으로, 세출의 책정과 고부담 세율은 물론, 거대 사업의 국유화, 기업 활동에 대한 규제 강화 등도 포함된다. 공공사업의 인프라 투자 강화(실업자 구제, 지역 경제 구제라는 측면도 가짐)와 같은 정책도 취한다.

혼합경제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애초에 혼합경제는 “작은 정부의 큰 정부화” 외에 “큰 정부의 작은 정부화”(국가에 의한 정치 경제 통제의 완화, 고복지 정책의 재검토 및 폐지)의 의미도 포함하고 있어, 동일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3. 학자들의 견해

이호리 토시히로(井堀利宏)는 소득과 자산이 많은 사람은 세금 부담은 크지만 정부로부터의 혜택은 적기 때문에 “작은 정부”를 지지하고, 반대로 소득과 자산이 적은 사람은 세금 부담은 적지만 정부로부터의 혜택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정부”를 지지한다고 말한다.[7] 그러나 부자와 빈자 모두 세금이 낭비되거나 불공정하게 배분되는 것을 바라지 않기 때문에, 세금의 징수 방법이나 용도가 불공정하거나 비효율적이라면 재정에 불만을 품는 사람이 많아진다고 말한다.[8]

코시오 타카시(小塩隆士)는 “큰 정부”의 폐해로서 다음을 지적한다.[9]

# 행정 서비스 운영이 비효율적으로 되는 점

# 행정 서비스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부담이 인식되지 않고 국민에게 필요 이상으로 요구되는 점

마쓰바라 사토시(松原聡)는 “큰 정부의 문제 중 하나는 이권을 얻는 사람들(정부 부처)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거기에 몰리는 정치인과 업자도 늘어난다”고 지적하고 있다.[10]

나카노 고시(中野剛志)는 20세기 후반 이후는 “큰 정부” 시대가 되었고, 리먼 쇼크 이후 일본은 더욱 큰 정부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 인플레이션으로 전환되면 정상적인 경제로 돌아가면 되지만, 전 세계가 디플레이션에 빠지려 하고 있다면 그것조차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11] 또한 2011년 당시 해야 할 일은 일본 외의 국가가 일본 시장과 자본을 가져가려고 하므로 이를 방어하는 것, 외수를 놓고 다투는 제국주의적인 다툼에 휘말리지 않도록 케인즈 경제학적으로 내수를 확대하는 것이라고 말한다.[12]

코시오는 “‘큰 정부’와 ‘작은 정부’ 사이에서 어느 정도가 바람직한가, 즉 정부의 최적 규모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3]

4. 21세기 경향

샤를리 에브도 테러파리 테러테러리즘의 위협으로 국방 예산 확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013년 프랑스 국방부 직원 수는 군인과 민간인을 합쳐 28만 명이었다.[14]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 시절 프랑스 국방부 직원 5만 4천 명 감축이 결정되었고, 2013년 프랑수아 올랑드는 추가로 2만 4천 명의 국방부 인원 감축을 결정했다.[14]

2015년 11월, 파리 테러 직후 올랑드 정권은 2019년까지 예정된 국방비 감축을 취소하고 ISIL을 분쇄하기로 결정했다.[15] 국방 예산이 확대되고 최소 1만 7천 명이 채용되었으며, 그중 5천 명은 경찰, 2천 5백 명은 교도소 근무자가 되었다. 테러리즘으로 관광 산업이 타격을 입지만, 국방비 지출 증가로 그 타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5]

이탈리아도 테러 대책으로 정부 지출을 다소 늘리고 있다. 파리 테러를 계기로 치안 유지를 위해 20억유로 상당의 추가 지출을 결정했다.[16] 그중 약 10억유로는 치안 유지에, 나머지는 문화 유지에 사용된다. 마테오 렌치는 테러리스트들이 조각이나 책 등 문화를 파괴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 18세에게는 1인당 약 530USD가 지급되고, 콘서트나 극장에서 그 돈을 사용하게 된다.[16]

5. 비판 및 논란

큰 정부는 시장 개입으로 인해 정부 재정 지출이 증가하여 세금이나 사회보장비 등 국민 부담이 커지고, 계획경제를 지향하는 복지 국가가 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완전고용을 중시하지만,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고 규제를 강화하며, 관료 조직이 비대해지고 국가 운영 비용(정부 지출)이 증가하며, 보호무역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된다.[6]

큰 정부는 고복지·고부담·사회적 의무를 바탕으로 세출을 늘리고, 고부담 세율을 책정하며, 거대 사업을 국유화하고, 기업 활동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공공사업을 통한 인프라 투자 강화는 실업자와 지역 경제를 구제하는 측면도 있지만, 동시에 정부 규모를 확대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경제학자 이호리 토시히로(井堀利宏)는 소득과 자산이 많은 사람은 세금 부담이 크고 정부 혜택이 적어 “작은 정부”를, 소득과 자산이 적은 사람은 세금 부담이 적고 정부 혜택을 기대할 수 있어 “큰 정부”를 지지한다고 분석한다.[7] 그러나 세금이 낭비되거나 불공정하게 배분되면 부자와 빈자 모두 재정에 불만을 품게 된다고 지적한다.[8]

경제학자 코시오 타카시(小塩隆士)는 큰 정부의 폐해로 다음 두 가지를 지적한다.[9]

# 행정 서비스 운영의 비효율성

# 행정 서비스 유지를 위한 적절한 부담이 인식되지 않아 국민에게 필요 이상의 요구 발생

경제학자 마쓰바라 사토시(松原聡)는 큰 정부의 문제점 중 하나로 정부 부처와 같은 이권 집단이 늘어나고, 여기에 정치인과 업자들이 몰려드는 현상을 지적한다.[10]

나카노 고시(中野剛志)는 20세기 후반 이후는 “큰 정부” 시대이며, 리먼 쇼크 이후 일본은 더욱 큰 정부가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디플레이션 탈피 후 인플레이션으로 전환되면 정상적인 경제로 돌아갈 수 있지만, 전 세계가 디플레이션에 빠지려 하는 상황에서는 이마저도 어려울 수 있다고 진단한다.[11] 또한 일본 시장과 자본을 노리는 해외 세력으로부터 이를 방어하고, 제국주의적인 외수 경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케인즈 경제학적으로 내수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2]

코시오는 “큰 정부”와 “작은 정부” 사이에서 어느 정도가 바람직한지, 즉 정부의 최적 규모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13]

6. 한국의 경우

한국에서 큰 정부는 일반적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과 복지 확대를 지향하는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에서는 작은 정부를 선호하며, 시장 자유와 규제 완화를 강조한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 이후, 한국은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정책을 추진하면서 큰 정부 형태를 띠게 되었다.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정부가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러한 정부 주도 발전 모델은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고도성장을 이끌어냈지만, 동시에 정경유착과 같은 문제점을 낳기도 했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한국 정부는 국제 통화 기금(IMF)의 권고에 따라 구조조정과 규제 완화를 추진하면서 작은 정부로 전환을 시도했다. 그러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등을 거치면서 정부의 역할이 다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소득주도성장과 최저임금 인상,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한 강력한 규제 정책 등을 추진하며 큰 정부 기조를 강화했다.

최근에는 저출산, 고령화 등 사회 문제 해결과 복지 확대 요구가 커지면서, 큰 정부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다만, 정부 부채 증가와 재정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면서, 정부의 역할과 규모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참조

[1] 뉴스 New York Plans to Ban Sale of Big Sizes of Sugary Drinks https://www.nytimes.[...] 2012-05-31
[2] 웹사이트 The meaning of big government http://www.renewamer[...] Renew America 2011-06-14
[3] 논문 End of Big Government: Is It Happening in the Nordic Countries? 2000
[4] 웹사이트 Does Big Government Hurt Economic Growth http://www.csbsju.ed[...] St. Johns University 2004
[5]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6] 서적 最新版 入門の入門 経済のしくみ-見る・読む・わかる 日本実業出版社 2002
[7] 서적 やさしい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2001
[8] 서적 やさしい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2001
[9] 서적 高校生のための経済学入門 筑摩書房 2002
[10] 서적 日本の経済 (図解雑学シリーズ) ナツメ社 2000
[11] 서적 グローバル恐慌の真相
[12] 서적 グローバル恐慌の真相
[13] 서적 高校生のための経済学入門 筑摩書房 2002
[14] 뉴스 France to cut 24,000 defence posts by 2019 http://www.telegraph[...] 2013-04-29
[15] 뉴스 France swats aside EU budget rules in rearmament blitz http://www.telegraph[...] 2015-11-16
[16] 뉴스 Why Italy's Leader Plans To Tackle Terrorism With Culture https://www.huffpost[...] 2015-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