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란타이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란타이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에 살았던 대형 수각류 공룡으로, 몸길이는 약 11m, 무게는 2.5~4톤으로 추정된다. 최초에는 알로사우루스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연구를 통해 스피노사우루스상과, 네오베나토르과, 공룡류 등 다양한 분류군으로 재구성되었다. 현재는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 메갈라프토르류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킬란타이사우루스 시비리쿠스, 킬란타이사우루스 마오르투엔시스, 킬란타이사우루스 제지안겐시스 등 불완전한 화석을 바탕으로 명명된 종들이 있지만, 분류학적 위치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피노사우루스과 - 수코미무스
수코미무스는 1997년 니제르에서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과의 수각류 공룡으로, 악어를 닮은 머리 모양에서 유래되었으며, 긴 주둥이와 튼튼한 앞다리를 가지고 어식성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스피노사우루스과 - 이리타토르
이리타토르는 백악기 전기 브라질에 살았던 스피노사우루스과 수각류 공룡으로, 인위적으로 수정된 화석 발견에 연구자들이 느낀 짜증에서 속명이 유래되었으며, 길고 좁은 두개골과 톱니 없는 이빨을 가진 어식성 동물로 추정된다. - 196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란톈 원인
란톈 원인은 1963년 중국 람톈현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 인류로, 하악골 및 두개골 화석을 통해 약 165만 년에서 68만 4천 년 전에 생존했으며, 중국을 인류학 연구의 중심지로 부상시키고 아시아 호모 에렉투스 연구에 기여했다. - 196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호모 하빌리스
호모 하빌리스는 약 230만 년 전부터 165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에 살았던 호모속의 초기 종으로, 올두바이 석기 문화를 사용하며 도구를 활용하는 능력이 있었으나, 분류 및 진화적 위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 백악기 후기 아시아의 공룡 - 바가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 공룡으로, 부리와 뿔이 없고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을 가졌으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백악기 후기 아시아의 공룡 - 벨로키랍토르
벨로키랍토르는 백악기 후기 동아시아에 서식한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공룡으로, 날렵한 몸놀림과 낫 모양의 발톱을 이용해 사냥했으며, 깃털 공룡이었고,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는 화석을 통해 생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지만, 영화 쥬라기 공원의 묘사는 실제와 차이가 있다.
| 킬란타이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Chilantaisaurus tashuikouensis |
| 명명자 | Hu, 1964 |
| 생물학적 분류 | |
| 상목 | 공룡상목 |
| 목 | 용반목 (Saurischia) |
| 아목 | 수각아목 (Theropoda) |
| 아목 계급 없음 | 테타누라류 (Tetanurae) |
| 속 | 킬란타이사우루스 (Chilantaisaurus) |
| 종 | |
| 하위 분류 | C. tashuikouensis (Hu, 1964) (타입종) ?C. sibiricus (Riabinin, 1914) |
| 화석 기록 | |
| 시대 | 후기 백악기 |
| 생존 시기 | 약 9200만 년 전 |
2. 특징

''킬란타이사우루스''는 대형 수각류이다.[1][2][3] 브루사테 외(2010)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와 유사한 대퇴골 길이를 가졌다고 추정했지만,[4] 퍼슨스 외(2020)는 대퇴골의 더 큰 둘레가 더 큰 운동 부하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5]
2. 1. 크기 및 체형
''킬란타이사우루스''는 길이 11m, 무게 2.5ton~4ton의 대형 수각류이다.[1][2][3] 브루사테 외(2010)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와 유사한 대퇴골 길이를 기준으로 약 6ton의 무게를 가졌을 수 있다고 추정했지만,[4] 퍼슨스 외(2020)는 대퇴골의 더 큰 둘레가 더 큰 체중이 아니라 더 큰 운동 부하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5]
3. 분류
킬란타이사우루스의 분류는 초기부터 여러 학설이 제기되며 논쟁이 이어져 왔다. 후(Hu)는 처음에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알로사우루스와 가까운 카르노사우루스류로 분류했다.[17] 그러나 이후 앞다리 발톱의 특징을 근거로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에 속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3][24][25]
샤오칠롱과의 관계, 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 포함 여부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고,[31][20] 2018년에는 원시적인 코엘루사우루스류라는 주장도 나왔다.[27] 2022년 나이쉬와 코(Cau)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 메갈라프토르류로 분류했다.[28]
모식표본의 손 발톱 화석은 톈진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몇몇 다른 종들이 불완전한 화석을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킬란타이사우루스" 시비리쿠스''(Chilantaisaurus sibiricus)는 러시아 부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발견된 중족골 화석을 기반으로 하지만, 정보 부족으로 정확한 분류는 어렵다.[29][30] '"킬란타이사우루스" 마오르투엔시스'(Chilantaisaurus maortuensis)는 ''샤오칠롱(Shaochilong) 마오르투엔시스''(Shaochilong maortuensis)로 재분류되었다.[31] '"킬란타이사우루스" 제지안겐시스'(Chilantaisaurus zheziangensis)는 테리지노사우루스류로 추정된다.[13][14][15]
2016년 분석에 따른 알로사우루스상과(Allosauroidea) 분지도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label1=알로사우루스상과(Allosauroidea)
|-
|
{| class="wikitable"
|-
|1=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과(Metriacanthosauridae) 
|-
|label2=알로사우루스(Allosauria)
|-
|
{| class="wikitable"
|-
|1=알로사우루스과(Allosauridae) 
|-
|label2=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Carcharodontosauria)
|-
|
{| class="wikitable"
|-
|1=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Carcharodontosauridae) 
|-
|label2=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
|-
|
{| class="wikitable"
|-
|
| 1=델타드로메우스(Deltadromeus) |
2=과이치오(Gualicho) ![]() |
|-
|
{| class="wikitable"
|-
|1=''네오베나토르(Neovenator)'' 
|-
|
| 1='킬란타이사우루스''(Chilantaisaurus)'' |
2=메가랍토라(Megaraptora) ![]() |
|}
|}
|}
|}
|}
|}
3. 1. 초기 분류
후(Hu)는 ''킬란타이사우루스''(Chilantaisaurus)를 알로사우루스(Allosaurus)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분류했다.[6] 그러나 이후 연구들에서는 이 동물이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에 속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는데, 특히 앞다리에 이 그룹에서만 발견되는 큰 발톱이 있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되었다.[23][24][25] 다른 연구에서는 신수각류 수각류의 다른 분파에 속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알로사우루스상과, 스피노사우루스상과 및 공룡류와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보았다.[7]2009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같은 지질학적 지층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샤오칠롱(Shaochilong)''과 동일한 동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했지만, 두 동물 사이에는 큰 크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2] 벤슨, 카라노, 브루사테의 추가 연구에서는 ''샤오칠롱''과의 관련성이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가깝지 않으며, ''킬란타이사우루스''가 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에 속하며 ''알로사우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1] 2018년 포르피리 등은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원시적인 공룡류로 재분류했다.[8]
매우 불완전한 유해를 바탕으로 여러 종들이 기술되었다. 1915년 러시아 부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투르긴스카야 스비타(Turginskaya Svita)에서 발견된 단일 원위 중족골을 기반으로 하는 ''"킬란타이사우루스" 시비리쿠스''(Chilantaisaurus sibiricus)는 백악기 전기(베리아절에서 오트리브절까지)에 해당한다.[9][10][11] 이 종은 설명이 부족하여 그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 ''킬란타이사우루스''의 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매우 의심스럽다. '"킬란타이사우루스" 마오르투엔시스'(Chilantaisaurus maortuensis)는 2009년에 ''샤오칠롱 마오르투엔시스''(Shaochilong maortuensis)로 재분류되었다.[12] 1979년에 명명된 '"킬란타이사우루스" 제지안겐시스'(Chilantaisaurus zheziangensis)는 발과 부분적인 경골에서 나온 뼈를 기반으로 하며,[13] 실제로는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 분류군이다.[14][15]
3. 2. 스피노사우루스상과 가설
후(Hu)는 ''킬란타이사우루스''(Chilantaisaurus)를 ''알로사우루스(Allosaurus)''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여겼다.[6] 그러나 이후 연구들에서는 이 동물이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일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특히 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의 원시적인 구성원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세레노, 1998; 츄어, 2000; 라우훗, 2001). 이 주장은 앞다리에 이 그룹에서만 발견되는 큰 발톱이 있었기 때문이다.[7] 다른 연구에서는 신수각류 수각류의 다른 분파의 구성원일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알로사우루스상과, 스피노사우루스상과, 공룡류와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보았다.[7]2009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같은 지질학적 지층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샤오칠롱(Shaochilong)''과 동일한 동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두 동물 사이에는 엄청난 크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2] 벤슨, 카라노, 브루사테의 추가 연구에서는 ''샤오칠롱''과의 관련성이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가깝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후가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육식공룡(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에 속하며 ''알로사우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1] 2018년 포르피리 등(Porfiri et al.)이 발표한 계통 발생 분석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원시적인 공룡류로 재구성했다.[8]
2022년 나이쉬와 코(Cau)의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에 위치한 메갈라프토르류에 배치되었다.[28]
3. 3. 기타 가설
후는 ''킬란타이사우루스''(Chilantaisaurus)를 알로사우루스(Allosaurus)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여겼다.[6] 하지만 그 이후의 연구들에서는 이 동물이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일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특히 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의 원시적인 구성원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세레노, 1998; 츄어, 2000; 라우훗, 2001). 이 주장의 근거는 앞다리에 이 그룹에서만 발견되는 큰 발톱이 있었기 때문이다.[7] 다른 연구에서는 신수각류 수각류의 다른 분파의 구성원일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알로사우루스상과, 스피노사우루스상과 및 공룡류와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보았다.2009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같은 지질학적 지층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샤오칠롱(Shaochilong)''과 동일한 동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두 동물 사이에는 엄청난 크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2] 벤슨, 카라노, 브루사테의 추가 연구에서는 ''샤오칠롱''과의 관련성이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가깝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후가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육식공룡(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에 속하며 ''알로사우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1] 2018년 포르피리 등(Porfiri et al.)이 발표한 계통 발생 분석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원시적인 공룡류로 재구성했다.[8]
여러 종들이 매우 불완전한 유해를 바탕으로 설명되었다. ''"킬란타이사우루스" 시비리쿠스''(Chilantaisaurus sibiricus, 이전에는 비공식적으로 ''알로사우루스? 시비리쿠스''(Allosaurus? sibiricus) 또는 ''안트로데무스? 시비리쿠스''(Antrodemus? sibiricus)로 알려짐)는 1915년 러시아 부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투르긴스카야 스비타(Turginskaya Svita)에서 발견된 단일 원위 중족골을 기반으로 하며, 백악기 전기 시대(베리아절에서 오트리브절까지)에 해당한다.[9][10][11] 이 종은 설명이 부족하여 그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츄어, 2000), ''킬란타이사우루스''의 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매우 의심스럽다. '"킬란타이사우루스" 마오르투엔시스'(Chilantaisaurus maortuensis)는 2009년에 ''샤오칠롱 마오르투엔시스''(Shaochilong maortuensis)로 재분류되었다.[12]
1979년에 명명된 추가 종인 '"킬란타이사우루스" 제지안겐시스'(Chilantaisaurus zheziangensis)는 발과 부분적인 경골에서 나온 뼈를 기반으로 하며,[13] 실제로는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 분류군이다.[14][15]
3. 4. 네오베나토르과 가설
후(Hu)는 1964년에 ''킬란타이사우루스''(Chilantaisaurus)를 알로사우루스(Allosaurus)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분류했다.[6]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에 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의 원시적인 구성원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러한 주장은 앞다리에 이 그룹에서만 발견되는 큰 발톱이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7]2009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육식공룡인 ''샤오칠롱(Shaochilong)''과 동일한 동물일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두 동물 사이에는 큰 크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2] 벤슨(Benson), 카라노(Carrano), 브루사테(Brusatte)의 추가 연구에서는 ''샤오칠롱''과의 관련성이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가깝지 않으며, ''킬란타이사우루스''는 후(Hu)가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에 속하며 ''알로사우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1] 2018년 포르피리 등(Porfiri et al.)의 계통 발생 분석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원시적인 공룡류로 재구성했다.[8]
2022년 대런 나이쉬(Darren Naish)와 코(Cau)의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의 메갈라프토르류에 속한다고 보았다.[28]
3. 5. 메갈로사우루스상과 가설
후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알로사우루스(Allosaurus)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여겼다.[6] 그러나 이후 연구들에서는 이 동물이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일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특히 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의 원시적인 구성원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세레노, 1998; 츄어, 2000; 라우훗, 2001). 이 주장의 근거는 앞다리에 이 그룹에서만 발견되는 큰 발톱이 있었기 때문이다.[7]2009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같은 지질학적 지층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샤오칠롱(Shaochilong)''과 동일한 동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두 동물 사이에는 엄청난 크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2] 벤슨, 카라노, 브루사테의 추가 연구에서는 ''샤오칠롱''과의 관련성이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가깝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후가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육식공룡(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에 속하며 ''알로사우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1] 2018년 포르피리 등(Porfiri et al.)이 발표한 계통 발생 분석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원시적인 공룡류로 재구성했다.[8]
나이쉬와 코(Cau)에 의한 2022년의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에 위치한 메갈랍토르류에 배치되었다.[28]
3. 6.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메가랍토라 가설
킬란타이사우루스는 처음에 후(Hu)에 의해 알로사우루스와 근연종인 카르노사우루스류로 여겨졌다.[17] 이후 연구에서는 앞발에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에 특징적인 큰 갈고리 발톱을 가지고 있어 이 그룹에 속하며, 아마도 그 원시적인 구성원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23][24][25] 다른 연구에서는 알로사우루스상과, 스피노사우루스상과, 코엘루사우루스류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테타누라류의 다른 분파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26]2009년의 연구에서는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카르노사우루스류인 샤오칠롱(Shaochilong)과 같은 동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두 동물 사이에는 상당한 크기의 차이가 있다.[12] 벤슨(Benson), 카라노(Carrano) 및 브루사테(Brusatte)에 의한 후속 연구에 따르면, 샤오칠롱은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근연종은 아니지만, 카르노사우루스류(특히 네오베나토르과)이며, 후가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알로사우루스와 근연종이라고 밝혀졌다.[1]
포르피리(Porfiri) 등에 의한 2018년의 연구에서는 기저적인 코엘루사우루스류로 여겨졌다.[8]
나이쉬와 코(Cau)에 의한 2022년의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에 위치한 메갈라프토르류에 배치되었다.[28]
나이쉬와 코의 2022년 연구에서 제시된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주라베나토르

|-
| 스토케소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코엘루스과
|-
|
{| class="wikitable"
|-
| 프로케라토사우루스과

|-
|
{| class="wikitable"
|-
| ''유티라누스''

|-
|
{| class="wikitable"
|-
| 에오티라누스

|-
|
{| class="wikitable"
|-
| ''시아오구안롱''
|-
|
{| class="wikitable"
|-
! 메갈라프토르류
|-
|
{| class="wikitable"
|-
| 시아츠
|-
|
{| class="wikitable"
|-
| ''아니크소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킬란타이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메갈라프토르과
|-
| ''후쿠이랩터''
|-
|
에어로스테온 ![]() |
아우스트랄로베나토르 ![]() |
메갈라프토르 ![]() |
오르코랩터 ![]() |
|}
|}
|}
|}
|}
|}
|}
|}
|}
|}
|}
|}
|}
|}
|}
|}
3. 7. 현재의 논의
후(Hu)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알로사우루스(Allosaurus)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생각했다.[6] 그러나 이후 연구들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스피노사우루스상과(Spinosauroidea)에 속하며, 특히 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의 원시적인 구성원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이는 앞다리에 이 그룹에서만 발견되는 큰 발톱이 있기 때문이다.[7]2009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샤오칠롱(Shaochilong)과 동일한 동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했지만, 두 동물 사이에 큰 크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2] 벤슨, 카라노, 브루사테의 추가 연구에서는 샤오칠롱과의 관련성이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가깝지 않으며, 킬란타이사우루스가 후가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육식공룡(네오베나토르과(Neovenatoridae)에 속하며 알로사우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1] 2018년 포르피리 등(Porfiri et al.)의 계통 발생 분석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를 원시적인 공룡류로 재구성했다.[8]
2022년 나이쉬(Naish)와 코(Cau)의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에 위치한 메갈라프토르류로 분류되었다.[28]
여러 종들이 매우 불완전한 유해를 바탕으로 설명되었다. ''"킬란타이사우루스" 시비리쿠스''(Chilantaisaurus sibiricus)는 1915년 러시아 부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투르긴스카야 스비타(Turginskaya Svita)에서 발견된 단일 원위 중족골을 기반으로 하며, 백악기 전기 시대(베리아절에서 오트리브절까지)에 해당한다.[9][10][11] 이 종은 설명이 부족하여 그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 킬란타이사우루스의 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매우 의심스럽다. '"킬란타이사우루스" 마오르투엔시스'(Chilantaisaurus maortuensis)는 2009년에 ''샤오칠롱(Shaochilong) 마오르투엔시스''(Shaochilong maortuensis)로 재분류되었다.[12] 1979년에 명명된 '"킬란타이사우루스" 제지안겐시스'(Chilantaisaurus zheziangensis)는 발과 부분적인 경골에서 나온 뼈를 기반으로 하며,[13] 실제로는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 분류군이다.[14][15]
4. 종 목록
여러 종들이 매우 불완전한 유해를 바탕으로 설명되었다.
후는 ''킬란타이사우루스''(Chilantaisaurus)를 알로사우루스와 관련된 육식공룡으로 여겼다.[6] 하지만 그 이후의 연구들에서는 이 동물이 스피노사우루스상과일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특히 스피노사우루스과의 원시적인 구성원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세레노, 1998; 츄어, 2000; 라우훗, 2001).[7]
2009년 연구에서는 ''킬란타이사우루스''가 같은 지질학적 지층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샤오칠롱''과 동일한 동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두 동물 사이에는 엄청난 크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2]
4. 1. 의문스러운 종
"킬란타이사우루스" 시비리쿠스(''Chilantaisaurus sibiricus'')는 1915년 러시아 부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투르긴스카야 스비타(Turginskaya Svita)에서 발견된 단일 원위 중족골을 기반으로 하며, 백악기 전기 (베리아절에서 오트리브절까지)에 해당한다.[9][10][11] 이 종은 설명이 부족하여 그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츄어, 2000), ''킬란타이사우루스''의 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매우 의심스럽다.1979년에 명명된 '"킬란타이사우루스" 제지안겐시스'(Chilantaisaurus zheziangensis)는 발과 부분적인 경골에서 나온 뼈를 기반으로 하며,[13] 실제로는 테리지노사우루스 분류군이다.[14][15]
'"킬란타이사우루스" 마오르투엔시스'(Chilantaisaurus maortuensis)는 2009년에 ''샤오칠롱(Shaochilong)''으로 재분류되었다.[12]
참조
[1]
논문
A new clade of archaic large-bodied predatory dinosaurs (Theropoda: Allosauroidea) that survived to the latest Mesozoic
[2]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논문
The osteology of ''Shaochilong maortuensis'', a carcharodont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ate Cretaceous of Asia
http://mapress.com/z[...]
[5]
논문
An Older and Exceptionally Large Adult Specimen of ''Tyrannosaurus rex''
[6]
논문
Carnosaurian remains from Alashan, Inner Mongolia
http://www.ivpp.cas.[...]
[7]
논문
The anatomy and systematic position of the theropod dinosaur ''Chilantaisaurus tashuikouensis'' Hu, 1964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Alanshan,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eprints.esc.c[...]
[8]
논문
A new megaraptoran theropo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Bajo de la Carpa Formation of northwestern Patagonia
[9]
문서
Zamtka o dinozavry ise Zabaykalya [A note on a dinosaur from the trans-Baikal region]
1915
[10]
서적
Dinosaur distribution (Early Cretaceous,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웹사이트
Coelurosauria
http://theropoddatab[...]
[12]
논문
The first definitive carcharodont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Asia and the delayed ascent of tyrannosaurids
[13]
서적
Mesozoic and Cenozoic Redbeds in Southern China
https://paleoglot.or[...]
Science Press
1979
[14]
논문
A taxonomic and phylogenetic re-evaluation of Therizinosauria (Dinosauria: Maniraptora)
https://www.academia[...]
2010
[15]
논문
浙江白垩纪镰刀龙类恐龙
https://drive.google[...]
2012
[16]
논문
An Unusual New Theropod with a Didactyl Manu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Patagonia, Argentina
[17]
논문
"Carnosaurian remains from Alashan, Inner Mongolia."
http://www.ivpp.cas.[...]
1964
[18]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문서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20]
논문
A new clade of archaic large-bodied predatory dinosaurs (Theropoda: Allosauroidea) that survived to the latest Mesozoic
[21]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Simon and Schuster
[22]
논문
The osteology of ''Shaochilong maortuensis'', a carcharodont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ate Cretaceous of Asia
http://mapress.com/z[...]
[23]
문서
A long-snouted predatory dinosaur from Africa and the evolution of spinosaurids
1998
[24]
문서
A new species of ''Allosaurus'' from the Morrison Formation of Dinosaur National Monument (Utah-Colorado) and a revision of the theropod family Allosauridae
2000
[25]
문서
The inter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basal theropods (Dinosauria, Saurischia)
2000
[26]
논문
The anatomy and systematic position of the theropod dinosaur ''Chilantaisaurus tashuikouensis'' Hu, 1964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Alanshan, People's Republic of China
[27]
논문
A new megaraptoran theropo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Bajo de la Carpa Formation of northwestern Patagonia
[28]
논문
The osteology and affinities of Eotyrannus lengi, a tyrannosauroid theropod from the Wealden Supergroup of southern England
https://peerj.com/ar[...]
[29]
서적
Dinosaur distribution (Early Cretaceous,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URL
http://archosaur.us/theropoddatabase/Coelurosauria.htm#Chilantaisaurussibiricus
[31]
논문
The first definitive carcharodont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Asia and the delayed ascent of tyrannosauri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