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오베나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오베나토르는 약 1억 2500만 년 전 초기 백악기 바레미안기에 살았던 육식 공룡으로, 1978년 영국 와이트 섬에서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다. 몸길이 약 7m, 몸무게 1톤 정도로 추정되며, 알로사우루스과 공룡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와 더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주둥이에 감각 기관으로 추정되는 신경혈관 구조가 발견되었으며, 다양한 골격 특징과 병리학적 흔적이 연구되었다. 와이트 섬의 웨섹스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시노사우롭테릭스
    시노사우롭테릭스는 초기 백악기 압트절에 살았던 작은 이족 보행 수각류 공룡으로, 깃털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공룡이며, 꼬리의 띠 색깔과 콤프소그나투스와 유사한 구조, 긴 꼬리가 특징이다.
  • 1996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이리타토르
    이리타토르는 백악기 전기 브라질에 살았던 스피노사우루스과 수각류 공룡으로, 인위적으로 수정된 화석 발견에 연구자들이 느낀 짜증에서 속명이 유래되었으며, 길고 좁은 두개골과 톱니 없는 이빨을 가진 어식성 동물로 추정된다.
  • 백악기 전기 유럽의 공룡 - 이구아노돈
    이구아노돈은 백악기 전기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서식했던 몸길이 7~9m의 대형 초식 공룡으로, 엄지손가락 가시와 질긴 식물을 씹는 턱 구조를 가졌으며, 1822년 이빨 화석 발견 이후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 두 종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 백악기 전기 유럽의 공룡 - 힐라에오사우루스
    힐라에오사우루스는 1833년 기디온 맨텔이 명명한 곡룡류 공룡 속으로, 1832년 영국에서 최초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모식종은 힐라에오사우루스 아르마투스이지만, 공룡 그룹 정의에 사용된 세 동물 중 하나였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종들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며 폴라칸투스와의 관계 및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잉글랜드의 화석 - 리드시크티스
    리드시크티스는 쥐라기에 살았던 거대한 여과 섭식 어류로,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삼았으며, 최대 28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큰 경골어류 중 하나이다.
  • 잉글랜드의 화석 - 메갈로사우루스
    메갈로사우루스는 쥐라기 중기에 유럽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1824년 윌리엄 버클랜드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최초로 과학 문헌에 기술된 비조류 공룡 중 하나로 여겨지고, 과거에는 다양한 육식 공룡 화석들이 속했으나 2008년 이후 영국에서 발견된 특정 화석으로 제한되었다.
네오베나토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Neovenator salerii
명명자Hutt, Martill & Barker, 1996
네오베나토르
네오베나토르과
생물학적 분류
진핵생물
척삭동물문
파충강
용반목
아목수각아목
아목 계통군카르노사우루스류
상과알로사우루스상과
시간 척도
화석 범위Hauterivian-Barremian (~)
이미지
네오베나토르 골격
일본에 있는 재구성된 골격
기타
구글 지도 검색어네오베나토르

2. 발견 및 명명

재구성된 두개골의 정면(왼쪽)과 왼쪽 측면(오른쪽) 보기


복원도


크기 추정과 인간과의 비교


전시된 골격과 화석, 공룡 섬


''네오베나토르''의 화석은 1978년 와이트 섬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여러 아마추어 및 전문 고생물학자들에 의해 추가적인 발견이 이루어졌다. 1996년에 ''네오베나토르 살레리''(Neovenator salerii)라는 학명이 부여되었다.

2. 1. 최초 발견

1978년 여름, 영국 와이트 섬 남서부 해안의 브라이트스톤 만에서 최초의 네오베나토르 화석이 발견되었다. 폭풍으로 인해 그레인지 친의 일부가 붕괴되면서, 약 1억 2500만 년 전 초기 백악기의 바레미안절에 형성된 웨섹스 지층의 식물 파편층에서 화석이 드러났다.[1] 헤누드 가족과 지질학 전공 학생 데이비드 리차드가 화석을 수집하여 와이트 섬 박물관(현 공룡 섬)과 대영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에 보냈다.[1] 고생물학자 앨런 잭 차리그는 이 뼈들이 이구아노돈수각류 공룡의 뼈로, 두 종류의 동물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했다.[1]

2. 2. 추가 발견 및 연구

1980년대 초, 대영 자연사 박물관 팀은 더 많은 뼈를 확보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키스 시몬스와 제니 시몬스 등 아마추어 고생물학자들이 포식자의 추가 유해를 찾기 시작했다. 그 결과 주둥이, 이빨, 척추, 갈비뼈, 골반, 뒷다리 등 골격의 약 70%가 확보되었다.[1]

1985년, 스티브 헛이 이끄는 발굴팀은 두 번째 개체의 척추뼈 2개(표본 MIWG.5470)를 발견했다. 1987년, 제니 시몬스는 척추뼈와 골반 뼈를 포함하는 세 번째 골격(표본 MIWG.6352)을 발견했다. 1990년, 헛은 이 화석들을 잠정적으로 메갈로사우루스의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있다고 묘사했다.[2]

2. 3. 학명 명명

1996년, 스티브 헛, 데이비드 마르틸, 마이클 J. 바커가 기준종 ''네오베나토르 살레리''(Neovenator salerii)를 명명하고 묘사했다.[3] 속명 ''네오베나토르''는 그리스어 ''neo~''("새로운")와 라틴어 ''venator''("사냥꾼")를 합쳐 "새로운 사냥꾼"을 의미한다.[3] 종명 ''살레리''는 화석 발견지의 토지 소유주인 살레로 가족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3] 발견 과정에 많은 사람이 참여했기 때문에, 그들 중 한 명을 발견자로 지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여겨졌다.[3] 모식표본은 BMNH R10001과 MIWG 6348로 등록된 골격이다.[3]

3. 특징

''네오베나토르''는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콧구멍은 높이보다 두 배 길었고, 주둥이뼈에는 5개의 이빨이 있었다. 상악골에는 큰 창이 뚫려 있었고, 이빨 왕관은 이빨 길이의 4분의 1이며 뿌리도 포함한다. 발톱에는 홈이 있었다.[3] 두 전상악골은 핀-소켓으로 연결된다.[10]

축추의 치상돌기와 신경돌기에는 작은 구멍이 있었고, 뒷목뼈는 목 갈비뼈와 융합되었다.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목뼈의 부추돌기에서는 뼈의 내부 망상 구조가 관찰되었다. 앞쪽 목뼈 아랫면은 날카로운 용골로 형성되었고, 앞쪽 등뼈의 하이파포피시스는 낮은 언덕 모양이었다. 뒤쪽 등뼈에서는 관절 돌기 면이 측면으로 곡선 플랜지로 이어졌다. 어깨 관절은 가로로 더 넓었고, 장골 앞쪽 날 아랫면 노치에는 안쪽에 선반이 있었다. 네오베나토르의 장골은 매우 기공화되어 있었다.[12] 좌골의 "발"은 앞쪽에서 연결되었지만 뒤쪽에서는 벌어졌다. 넓적다리뼈 머리는 앞쪽, 위쪽, 안쪽으로 비스듬히 향했고, 작은 돌기에는 바깥쪽에 튼튼한 능선이 있었다. 넓적다리뼈의 네 번째 돌기에는 함몰부가 있었고, 앞쪽 아랫면은 거의 평평했으며, 아래쪽 사이에는 짧은 수직 홈이 있었다. 아래쪽 정강이뼈는 안쪽에 타원형 거친 부위가 있었고, 정강이뼈 바깥쪽 복사 상단은 앞뒤로 꼬집혀 있었다. 정강이뼈 상단의 바깥쪽 앞쪽 돌출부에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스퍼가 있었다. 발에서 두 번째 중족골 바깥쪽 면에는 세 번째 중족골과 접촉하기 위한 속이 빈 표면이 있었다.[5]

한때 ''네오베나토르''의 고유한 특징으로 여겨졌던 콧구멍, 기공화된 뒤쪽 등뼈, 융기된 쌍을 이룬 비갑, 이빨 꼭대기를 넘어 계속되는 치상돌기 등은 이후 다른 수각류와 공유하는 특징으로 밝혀졌다.[5]

3. 1. 크기 및 형태

복원도


모식 표본을 기반으로 한 추정 크기


''네오베나토르''(Neovenator)는 몸길이 약 7m, 몸무게 약 1ton에 날씬한 체형을 가진 대형 수각류 공룡이다.[7] 표본 MIWG 4199는 몸길이가 약 10m인 개체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 표본은 발가락뼈 마디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어 ''네오베나토르''에 속하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8][9]

''네오베나토르''의 콧구멍은 높이보다 두 배 더 길다. 주둥이의 전상악골에는 다섯 개의 이빨이 있으며, 상악골에는 큰 상악 창이 뚫려 있는데, 그 직경은 치열 길이의 6분의 1이다. 이빨 왕관은 이빨 길이의 4분의 1이며 뿌리도 포함한다. 발톱에는 상단에 홈이 있다.[3]

2015년에는 ''네오베나토르'' 주둥이 앞부분에 감각 기관으로 기능하는 복잡한 신경혈관 채널 시스템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는 스피노사우루스과에서도 발견되는 특징으로, 물속에서 먹이를 찾는 데 적응한 결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네오베나토르''가 이 시스템을 같은 용도로 사용했는지는 의문이다.[11]

3. 2. 두개골 및 치아

주둥이의 전상악골에는 다섯 개의 이빨이 있다. 상악골에는 큰 상악 창이 뚫려 있으며, 그 직경은 치열 길이의 6분의 1이다. 이빨 왕관은 이빨 길이의 4분의 1이며, 뿌리도 포함한다.[3]

3. 3. 골격

두 전상악골은 핀-소켓 연결로 연결되어 있다.[10] 축추(두 번째 목뼈) 중심의 앞쪽 관절 표면은 가로로 넓다. 축추의 치상돌기에는 앞쪽 면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구멍이 있다. 축추의 신경돌기에는 측면에 하나의 작은 구멍이 있다. 뒷목뼈는 목 갈비뼈와 융합되어 있다.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목뼈의 부추돌기에서는 뼈의 내부 망상 구조가 보인다. 앞쪽 목뼈의 아랫면은 측면에서 들어가지 않은 날카로운 용골로 형성되어 있다. 앞쪽 등뼈의 하이파포피시스는 낮은 언덕처럼 형성되어 있다. 뒤쪽 등뼈에서는 관절 돌기의 면이 측면으로 곡선 플랜지로 이어진다. 어깨 관절은 앞뒤로 측정할 때 길이보다 가로로 더 넓다. 장골의 앞쪽 날 아랫면에 있는 노치에는 안쪽에 선반이 있다. 네오베나토르의 장골은 매우 기공화되어 있다.[12]

3. 4. 신경혈관 채널

2015년 연구에 따르면, ''네오베나토르'' 주둥이 앞부분에는 감각 기관으로 기능하는 복잡한 신경혈관 채널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었다.[11] 이 특징은 스피노사우루스과에서도 발견되며, 물속에서 먹이를 찾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다.[11] 그러나 ''네오베나토르''가 육상 생활을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다른 목적으로 이 시스템을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1]

4. 분류

1996년 스티브 허트, 마르틸, 바커가 기술했을 당시에는 유럽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알로사우루스과 공룡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추가 연구를 통해 알로사우루스상과 내에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와 더 많은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0년 벤슨, 카라노, 브루사테의 연구에서는 네오베나토르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메가랍토라와 함께 네오베나토르과를 형성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12] 다른 연구에서는 네오베나토르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에 속하고 메가랍토라가 티라노사우루스상과에 속한다는 것을 뒷받침하기도 한다.

첫 번째 등뼈


2010년 벤슨, 카라노, 브루사테의 분석을 따른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12]

2013년 노바스 등의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13]

5. 고생물학

''네오베나토르''의 모식 표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병리학적 증상이 발견되었다.

5. 1. 감각 기관

위턱뼈와 앞위턱뼈, 신경혈관 네트워크 및 CT 단면


크리스 바커와 그의 동료들은 두개골에서 발견된 신경혈관 구조를 바탕으로, 네오베나토르가 현대의 물새와 악어류가 진흙 속에서 먹이를 찾는 데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피부 감각 기관을 주둥이에 가지고 있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네오베나토르는 현대 종들과 달리 완전히 육상 생활을 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러한 감각 기관은 턱의 압력과 정밀한 먹이 섭취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압력 및 온도 감지와 같은 다른 목적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네오베나토르의 이빨 마모는 먹이를 먹을 때 뼈를 먹거나 물어뜯는 것을 피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4][15] 또한 네오베나토르는 오늘날 대부분의 악어류와 닭목에 속하는 둥지 조건 감지 및 구애에 이러한 피부 감각 기관을 사용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또 다른 수각류인 티라노사우루스과다스플레토사우루스 호르네리에게서도 알려져 있지만, 네오베나토르의 이러한 기관을 지지하는 신경혈관 구조는 지금까지 발견된 수각류 중에서 가장 잘 보존되고 완전하다.[14][15]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사우롭시드의 삼차 신경관의 진화를 검토하면서, 주둥이와 아래턱에 훨씬 더 조밀한 신경혈관관 네트워크가 수생 또는 반수생 분류군(예: 스피노사우루스, 할스카랍토르, 플레시오사우루스)과 라무포테카를 발달시킨 분류군(예: 카에나그나시아)에서 더 흔하게 발견되며, 티라노사우루스과 및 네오베나토르와 같은 육상 분류군은 무치 육상 수각류의 평균 안면 감각을 가졌을 수 있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16]

5. 2. 고병리학

''네오베나토르 살레리''의 모식 표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병리학적 증상이 발견되었다.
Pseudarthrosis|가관절증영어[21]

6. 고생태

''네오베나토르''의 화석은 20세기에 잉글랜드 남부 와이트 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네오베나토르''는 초기 백악기 시대의 웨섹스 지층에서 발견된 ''세라토수콥스'', ''리파로베나토르'', ''바리오닉스'', ''폴라칸투스'', ''이구아노돈'', ''에오티라누스'' 등의 다른 공룡들과 함께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준 표본 뼈는 초식성 이구아노돈티안 ''브라이스톤누스''의 뼈와 섞여 있었으며, 발굴 현장에는 물고기, 양서류, 도마뱀, 익룡 및 고니오폴리디다이의 유해도 있었다. ''네오베나토르''는 아마도 그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eovenator salerii https://www.dinosaur[...] Dinosaur Isle 2022-01-03
[2] 논문 Predatory dinosaurs from the Isle of Wight
[3] 논문 The first European allosauroid dinosaur (Lower Cretaceous, Wealden Group, England)
[4] 간행물 Neovenator salerii: A new theropod dinosaur from the Wealden of the Isle of Wight: its status and significance for Theropod evolution
[5] 논문 The osteology of Neovenator saleri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Wealden Group (Barremian) of the Isle of Wight
[6] 논문 The Hauterivian-Barremian lignitic bone bed of Angeac (Charente, south-west France): Stratigraphical, palaeobiological and palaeogeographical implications
[7]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9] 간행물 The osteology of Neovenator saleri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Wealden Group (Barremian) of the Isle of Wight
[10] 간행물 Saurischian dinosaurs 2: Theropods
[11] 간행물 Complex neurovascular network in the rostrum of Neovenator salerii
[12] 논문 A new clade of archaic large-bodied predatory dinosaurs (Theropoda: Allosauroidea) that survived to the latest Mesozoic.
[13] 논문 Evolution of the carnivorous dinosaurs during the Cretaceous: The evidence from Patagonia 2013
[14] 뉴스 Sensitive faces helped dinosaurs eat, woo and take temperature.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7-06-27
[15] 논문 Complex neuroanatomy in the rostrum of the Isle of Wight theropod Neovenator salerii 2017
[16] 논문 The rostral neurovascular system of Tyrannosaurus rex https://palaeo-elect[...] 2022-01-20
[17] 간행물 Theropod paleopathology: a literature survey
[18] 웹사이트 https://sites.google[...]
[19]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 논문 A new clade of archaic large-bodied predatory dinosaurs (Theropoda: Allosauroidea) that survived to the latest Mesozoic.
[21] 간행물 Theropod paleopathology: a literature surv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