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킬 군항의 반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 군항의 반란은 1918년 10월 말 독일 킬 군항에서 발생한 수병들의 반란이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해군의 무모한 공격 계획에 반발하여 시작되었으며, 열악한 환경과 전쟁에 대한 염증이 주요 원인이 되었다. 반란은 킬을 장악하고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어 독일 혁명을 촉발시켰으며, 그 결과 빌헬름 2세의 퇴위와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8년 독일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 1918년 독일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은 1918년 러시아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기 위해 독일 등 동맹국과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러시아는 막대한 영토를 상실하고 배상금을 지불했으며, 이후 연합국의 승리로 무효화되었다.
  • 독일의 반란 - 카프 폭동
    카프 폭동은 1920년 독일에서 바이마르 공화국에 불만을 품은 우익 군부와 민족주의 세력이 볼프강 카프를 내세워 일으킨 쿠데타 시도였으나, 노동자 총파업과 군부 내 분열로 실패하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 독일의 반란 - 1953년 동독 봉기
    1953년 동독 봉기는 동베를린 건설 노동자 파업에서 시작되어 동독 전역으로 확산된 반정부 시위로, 강압적인 사회주의 경제 정책과 소련의 미온적인 대응이 원인이 되어 소련군의 개입으로 진압되었으나 동독 사회주의 정권에 큰 충격을 주고 정책 수정과 사회주의 통일당 내 변화를 가져왔다.
  • 1918년 11월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 1918년 11월 -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1918년 이탈리아군이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 지휘 하에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피아베 강 방어선을 돌파하고 비토리오 베네토를 점령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가속화시키고 이탈리아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킬 군항의 반란 - [전쟁]에 관한 문서
킬 군항의 반란
SMS 프린츠레겐트 루이트폴트의 병사 평의회
SMS 프린츠레겐트 루이트폴트의 병사 평의회. "병사 평의회...사회주의 공화국 만세"라고 적혀 있다.
부분독일 혁명의 일부
날짜1918년 11월 3일 – 11월 11일
장소빌헬름스하펜 및 킬, 독일 제국
결과독일 혁명의 시작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제국 해군의 선원들
교전 세력 2제국 해군
지휘관 및 지도자
지휘관 1카를 아르텔트
지휘관 1로타르 포프
지휘관 2빌헬름 주숀
지휘관 2구스타프 노스케

2. 역사적 배경

1916년 유틀란트 해전 이후 독일 함대는 대부분 항구에 정박한 채 움직이지 않았다.[1] 1917년 여름, 함대 내에서는 열악한 식량과 처우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고, 비밀 수병 위원회가 결성되었다.[3][4]

1918년 9월 29일, 최고 육군 사령부는 빌헬름 2세에게 군사적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알렸다.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즉각적인 휴전을 연합국에 요청하고, 우드로 윌슨의 제국 정부 민주화 요구를 수용할 것을 권고했다.[5][6] 10월 3일, 바덴 공작 막시밀리안이 제국 재상으로 임명되었고, 그의 내각에는 사회민주당(SPD) 구성원이 처음으로 포함되었다.[7][8]

백일 공세 동안 연합국이 성공을 거두자 독일 정부는 우드로 윌슨에게 휴전을 중재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라인하르트 셰어 제독은 정부 몰래 프란츠 폰 히퍼에게 주력 전함대를 동원하여 영국을 공격하도록 명령했다.[9][10][11] 이는 해군 지도부의 명예와 미래를 위한 무모한 계획이었다.[12][13][14]

2. 1. 독일 제국의 위기

1916년 중반 유틀란트 해전 이후, 독일 제국 지도부는 더 이상 전함을 잃는 위험을 감수하려 하지 않았다. 그 결과, 독일 함대는 대부분 항구에 정박한 채 움직이지 않았다.[1] 많은 장교들이 잠수함과 경량 함선으로 전출되었고, 경험이 부족한 젊은 장교들이 이들을 대체하면서 전함에 남은 수병들의 사기와 규율은 떨어졌다.[2]

1917년 여름, 함대 내에서 상당한 불안이 시작되었다. 전함에서는 3월 초부터 노조 대표자 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했다. 많은 수병들이 열악한 식량과 처우에 대해 반전주의 독일 독립 사회 민주당(USPD) 대표들에게 불만을 표출했다. 8월 1일, ''프린츠레겐트 루이트폴트'' 전함의 수병 49명이 빌헬름스하펜에서 허가 없이 하선했다. 11명이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다음 날 약 600명의 승무원 전체가 동료들을 지지하기 위해 떠났다. 주동자 두 명은 처형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징역형을 선고받았다.[3] 이후 함대의 여러 주력함에 비밀 수병 위원회가 결성되었다.[4]

1918년 9월 29일, 최고 육군 사령부는 빌헬름 2세 황제에게 연합군의 압도적인 병력과 장비 우세로 인해 군사적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알렸다. 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은 즉각적인 휴전을 연합국에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더 유리한 평화 조건을 얻기 위해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제국 정부 민주화 요구를 수용할 것을 권고했다. 그의 목표는 항복과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민주 정당과 국회에 떠넘겨 제국 육군의 명성을 지키는 것이었다.[5][6]

빌헬름 2세 황제는 10월 3일 바덴 공작 막시밀리안을 새로운 제국 재상으로 임명했다. 그의 내각에는 사회민주당 (SPD)의 구성원이 처음으로 포함되었다. 다음 날, 새로운 정부는 루덴도르프가 주장했던 휴전을 연합국에 제안했고, 5일에는 독일 대중에게 군대가 직면한 암울한 상황이 알려졌다.[7][8]

2. 2. 정치적 변화

1918년 9월 29일, 최고 육군 사령부는 빌헬름 2세 황제에게 군사적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알렸다. 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은 연합국에 즉각적인 휴전 요청을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제국 정부 민주화 요구를 수용하여 더 유리한 평화 조건을 얻을 것을 권고했다.[5][6]

10월 3일, 빌헬름 2세 황제는 바덴 공작 막시밀리안을 새로운 제국 재상으로 임명했다. 그의 내각에는 사회민주당 (SPD) 구성원들이 처음으로 포함되었다.[7][8]

2. 3. 해군 지도부의 무모한 계획

백일 공세 동안 연합국이 성공을 거두자 바덴 공의 새로운 독일 정부는 최고 육군 사령부의 요청에 따라 1918년 10월 5일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에게 휴전을 중재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의 전제 조건 중 하나는 독일의 잠수함 전쟁 중단이었다. 독일 해군 참모총장 라인하르트 셰어 제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10월 20일 양보했고, 해상에 있던 잠수함들은 10월 21일에 소환되었다.[9] 다음 날, 셰어는 새로운 독일 정부도 모르게 자신의 권한으로[10] 프란츠 폰 히퍼 제독, 즉 공해 함대 사령관에게 주력 전함대를 동원하여 새로 배치된 잠수함으로 영국을 공격하도록 명령했다. 히퍼의 명령은 10월 24일에 공포되었고, 셰어는 10월 27일에 이를 승인했다.[11] 이후 함대는 전투 준비를 위해 빌헬름스하펜 앞바다 실리히에 집결하기 시작했다.

역사학자 미하엘 에프켄한스는 이 행동을 제독들의 반란이라고 묘사한다.

> 1918년 전쟁의 종말을 생각할 때, 우리는 전쟁 기간 내내 주요 해전을 벌여 영국을 물리칠 수 있기를 바랐던 제독들을 상상해야 합니다. 해군 지도부는 기본적으로 스스로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것은 제독들의 반란이었습니다. 특히 휴전과 관련하여 정치적 제국 지도부의 물러서라는 명령에 반하여 정치적으로 정당화되지 않은 계획을 세웠기 때문입니다.[12]

제독들에게 있어 이 전투는 그들의 명예와 미래를 구하는 문제였다. 전함의 사령관은 나중에 "깃발을 휘날리며" 침몰할 것이라고 말했다.[13] 공해 함대 사령부 참모장 아돌프 폰 트로타 제독은 해군 전쟁 사령부 참모장 마그누스 폰 레베초 대령에게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는 함대가 싸움 한 번 해보지도 못하고 내부의 붕괴로 넘겨질 수 있다는 생각에 공포와 수치심을 느낍니다." 레베초는 이렇게 답했다. "우리가 여전히 싸울 수 있는 한, 우리는 결코, 결코 우리 함대의 몰락이나 위축에 기반한 평화 조약에 동의하지 않을 것입니다."[14]

3. 킬 군항의 반란

1918년 10월 말, 독일 해군 사령부는 영국 해군과의 마지막 결전을 계획했다. 라인하르트 셰어 제독은 휴전을 앞둔 상황에서도 독단적으로 프란츠 폰 히퍼 제독에게 함대 출동을 명령했다.[11] 이는 백일 공세에서 연합군이 승리하고 독일 정부가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휴전을 요청한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었다.[9]

해군 제독들에게 이 전투는 명예와 미래를 건 싸움이었다. 아돌프 폰 트로타 제독은 "싸움 한 번 해보지도 못하고 함대가 넘겨질 수 있다는 생각에 공포와 수치심을 느낀다"라고 말했다.[14] 그러나 수병들은 이 작전을 "죽음의 항해"로 여기고 반발했다.

역사가 미하엘 에프켄한스는 이를 제독들의 반란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해군 지도부가 정치적 지도부의 명령에 반하여 무모한 계획을 세웠다고 지적했다.[12]

킬 군항의 반란을 촉발한 영국 해군 공격을 명령한 라인하르트 셰어 제독

3. 1. 빌헬름스하펜의 항명

1916년 유틀란트 해전 이후, 독일 제국 지도부는 더 이상의 전함 손실을 우려하여 함대를 정체시켰다.[1] 많은 장교들이 잠수함과 경량 함선으로 전출되었고, 경험이 부족한 젊은 장교들이 이들을 대체하면서 전함에 남은 수병들의 규율과 사기가 저하되었다.[2]

1917년 여름, 함대 내에서 상당한 불안이 시작되었다. 3월 초 전함에서는 노조 대표자 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했다.[3] 그 후 몇 달 동안, 많은 수병들이 열악한 식량과 처우에 대해 독일 독립 사회 민주당(USPD) 대표들에게 불만을 표출했다. 8월 1일, ''프린츠레겐트 루이트폴트'' 전함의 수병 49명이 빌헬름스하펜에서 허가 없이 하선했다. 11명이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다음 날, 약 600명의 승무원 전체가 동료들을 지지하기 위해 떠났다.[3] 주동자 두 명은 처형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징역형을 선고받았다.[3] 전쟁의 남은 몇 달 동안, 함대의 여러 주력함에 비밀 수병 위원회가 결성되었다.[4]

1918년 11월 10일, 빌헬름스하펜에서 시위하는 수병들


계획된 전투에 대한 소식이 수병들에게 전해지자, 빌헬름스하펜 앞바다 실리히 로드에 정박해 있던 함선의 일부 선원들은 군사적으로 무의미하다고 여겨지는 "죽음의 항해"를 위해 목숨을 걸기를 거부했다.[15] 1918년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밤 사이에 제3전투함대 소속 여러 함선의 수병들은 닻을 올리는 것을 거부했다. 전함 ''튀링겐''과 ''헬골란트''에서 불복종과 반란이 일어났다.[16][17]

반란을 일으킨 함선과 그렇지 않은 함선들이 서로를 향해 대포를 겨누는 짧은 대치 상황이 벌어진 후, 반란군은 항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군 사령부는 영국 함대를 공격하려던 계획을 포기했는데, 이는 승무원들의 충성심을 더 이상 믿을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제3함대는 로 귀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7]

3. 2. 킬 군항으로의 확산

함대가 귀항하는 동안, 사령관 후고 크라프트 해군 중장은 헬골란트 만에서 전함으로 기동 훈련을 실시했다. 그는 이 훈련이 "완벽하게 작동"하자 자신이 다시 선원들을 지휘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킬 운하를 통과하면서 주동자로 여겨진 소속 수병 47명을 체포했다. 함대는 킬로 향하는 길에 홀테나우에 정차하여 150명에 가까운 반란군을 체포하여 킬의 군사 감옥과 도시 북쪽의 헤르바르트 요새로 이송했다.[18]

수병과 보일러실의 선원들은 함대가 다시 출항하는 것을 막고 동료들의 석방을 요구했다. 11월 1일 저녁, 약 250명이 킬의 유니온 하우스에서 만났다. 그들이 장교에게 보낸 대표단은 반란군의 석방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 수병들이 사회주의 노동 조합과의 더 긴밀한 관계를 모색하자 경찰은 유니온 하우스를 폐쇄했고, 이로 인해 11월 2일, 대규모 훈련장에서 수병과 노동자들의 더 큰 야외 회의가 열리게 되었다.[19]

1917년 킬 반란 지도자 중 한 명인 카를 아르텔트


킬-비크의 어뢰정 수리 조선소에서 일하던 카를 아르텔트와, USPD 당원인 동원된 조선소 노동자 로타어 포프가 이끄는 수병들은 다음 날 같은 장소에서 대규모 회의를 소집했다. 11월 3일 오후, 수천 명이 이 소집에 응했으며, 노동자 대표들도 참석했다. Frieden und Brot|평화와 빵de이라는 슬로건이 내걸렸으며, 이는 수병과 노동자들이 투옥된 수병의 석방뿐만 아니라 전쟁 종식과 식량 공급 개선을 요구했음을 보여주었다. 시위대는 아르텔트의 수감자 석방 요구를 환호하며 군사 감옥으로 향했다.[20]

시위대를 막으라는 명령을 받은 스테인호이저 중위는 순찰대에 경고 사격을 명령한 후 군중에게 직접 발포하라고 명령했다. 7명이 사망하고 29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일부 시위대도 총격을 가했다. 스테인호이저는 총에 맞고 소총 개머리판으로 구타당했지만 살아남았다. 사건 후 시위대는 흩어졌고 순찰대는 철수했다.[21] 역사가 제바스티안 하프너는 스테인호이저에게 가해진 총격을 혁명의 첫 번째 총성이라고 불렀으며, 그 이후 수병들은 되돌아갈 수 없었다고 말했다.

킬 해군 기지 사령관 빌헬름 조천 제독


해군 기지 사령관인 빌헬름 조천은 처음에는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외부 병력의 지원을 요청했지만 참모들이 상황이 통제 가능하다고 주장하자 요청을 철회했다. 조천은 불과 며칠 전인 1918년 10월 30일에 킬로 파견되었기 때문에 참모들에게 크게 의존해야 했다. 그러나 11월 4일, 요청이 갱신되었고 6개 보병 중대가 킬로 투입되었다.[22]

11월 4일 아침, 반란을 일으킨 자들이 파업 노동자들과 함께 킬 중심부를 행진했다. 오후에는 도시 북쪽 병영의 수병들이 합류했다. 현지 병력 강화에 투입된 병사들이 시위대에 가담하자 조천 제독은 투옥된 수병들을 석방하고 반란군에게 상황을 논의하기 위한 대표단을 보낼 것을 요청했다.[23] 같은 날, 카를 아르텔트는 최초의 병사 평의회를 조직했고, 곧 더 많은 평의회가 설립되었다.[21]

병사들과 노동자들은 킬의 공공 및 군사 기관을 장악했다. 조천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추가 병력이 도착했을 때, 그들은 반란군에 의해 저지당했고 다시 돌아가거나 수병 및 노동자들과 합류했다. 11월 4일 저녁 무렵, 킬은 약 40,000명의 반란 수병, 병사 및 노동자들의 손에 확실하게 들어갔고,[21] 이틀 후 빌헬름스하펜도 마찬가지였다.

3. 3. 킬 군항 장악

1918년 11월 4일 아침, 파업 노동자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킨 수병들이 킬 중심부를 행진했다. 오후에는 도시 북쪽 병영의 수병들이 합류했다. 현지 병력 강화에 투입된 병사들이 시위대에 가담하자 빌헬름 조천 제독은 투옥된 수병들을 석방하고 반란군에게 상황을 논의하기 위한 대표단을 보낼 것을 요청했다.[23] 같은 날, 카를 아르텔트는 최초의 병사 평의회를 조직했고, 곧 더 많은 평의회가 설립되었다.[21]

병사들과 노동자들은 킬의 공공 및 군사 기관을 장악했다. 조천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추가 병력이 도착했을 때, 그들은 반란군에 의해 저지당했고 다시 돌아가거나 수병 및 노동자들과 합류했다. 11월 4일 저녁 무렵, 킬은 약 40,000명의 반란 수병, 병사 및 노동자들의 손에 확실하게 들어갔다.[21]

의 노조 회관에 있는 비문에는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가 해군 반란 동안 이곳에서 모여 최초의 독일 공화국 선포에 결정적인 자극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11월 4일 늦은 저녁, 해군과 노동자 대표들은 노조 회관에서 빌헬름 조천 및 사회 민주당의 구스타프 노스케, 콘라트 하우스만과 만났다. 이들은 베를린 정부에서 봉기를 종식시키기 위해 협상하러 파견되었다. 이 회의에서 병사들은 킬 '14개 조항'을 제시했는데, 이는 모든 군인에게 구속력을 갖는 병사 평의회의 명령으로 공포되었다.[23][24]

병사 평의회의 결의와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모든 수감자 및 정치범의 석방.
2완전한 언론 및 출판의 자유.
3우편 검열 폐지.
4상급자의 적절한 대우.
5배에서 복귀하여 병영으로 돌아오는 동지들에 대한 처벌 금지.
6어떤 상황에서도 함대 출항은 방지되어야 한다.
7유혈 사태를 포함한 모든 방어 조치는 방지되어야 한다.
8주둔군에 속하지 않은 모든 병력의 철수.
9사유 재산 보호를 위한 모든 조치는 병사 평의회에서 즉시 결정한다.
10상급자는 더 이상 근무 외에는 인정되지 않는다.
11모든 남성은 근무 종료 시점부터 다음 근무 시작 시점까지 무제한의 개인적 자유를 갖는다.
12새로 설립된 병사 평의회의 조치에 동의하는 장교는 우리 가운데 환영받는다. 다른 모든 사람은 보급 자격 없이 의무를 그만두어야 한다.
13병사 평의회의 모든 구성원은 모든 의무에서 해제된다.
14미래에 도입될 모든 조치는 병사 평의회의 동의를 받아야만 도입될 수 있다.



디르크 데엔하르트는 1978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킬의 14개 조항은 ... 주로 군사 시스템에 대한 공격이었으며, 정치적 목표는 부족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구스타프 노스케, 킬 병사 평의회의 의장으로 선출된 SPD 정치인


해군은 독일 사회민주당원으로서 자신들의 편에 설 것이라 믿고 구스타프 노스케를 병사 평의회 의장으로 선출했다. 그는 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킬에서 평화와 질서를 회복했다.[15] 며칠 후 그는 주지사 직을 맡았고, 로타르 포프는 처음에 자발적으로 형성된 비구조적인 병사 평의회가 모든 부대에서 선거를 통해 확고한 기반을 갖도록 보장했으며, 그가 선출된 의장인 최고 병사 평의회를 설립했다.[25] 그 후 몇 주 동안 노스케는 평의회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었지만, 해군이 혁명을 독일 전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독일 연방군 군사 역사 연구소의 볼프람 베테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킬 신호는 ... 볼셰비키의 예에 따른 평의회 국가의 방향을 가리키지 않았다. 대신 그것은 ... 가능한 한 빨리 전쟁을 종식시키라는 요구를 나타냈다. 둘째, 그것은 – '킬 14개 조항'에서 시작하여 – ... 특히 군국주의가 ... 더 이상 자리를 차지하지 않아야 하는 자유주의적, 사회적, 민주적 정치 시스템의 방향을 가리켰다."[26]

4. 독일 혁명으로의 확산



11월 4일 늦은 저녁, 해군과 노동자 대표들은 노조 회관에서 사회 민주당의 구스타프 노스케와 콘라트 하우스만을 만났다. 이들은 베를린 정부에서 봉기를 종식시키기 위해 파견되었다. 이 회의에서 병사들은 킬 '14개 조항'을 제시했는데, 이는 모든 군인에게 구속력을 갖는 병사 평의회의 명령으로 공포되었다.[23][24]

병사 평의회의 결의와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모든 수감자 및 정치범의 석방
2완전한 언론 및 출판의 자유
3우편 검열 폐지
4상급자의 적절한 대우
5배에서 복귀하여 병영으로 돌아오는 동지들에 대한 처벌 금지
6어떤 상황에서도 함대 출항은 방지되어야 한다
7유혈 사태를 포함한 모든 방어 조치는 방지되어야 한다
8주둔군에 속하지 않은 모든 병력의 철수
9사유 재산 보호를 위한 모든 조치는 병사 평의회에서 즉시 결정한다
10상급자는 더 이상 근무 외에는 인정되지 않는다
11모든 남성은 근무 종료 시점부터 다음 근무 시작 시점까지 무제한의 개인적 자유를 갖는다
12새로 설립된 병사 평의회의 조치에 동의하는 장교는 우리 가운데 환영받는다. 다른 모든 사람은 보급 자격 없이 의무를 그만두어야 한다
13병사 평의회의 모든 구성원은 모든 의무에서 해제된다
14미래에 도입될 모든 조치는 병사 평의회의 동의를 받아야만 도입될 수 있다



디르크 데엔하르트는 1978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킬의 14개 조항은 주로 군사 시스템에 대한 공격이었으며, 정치적 목표는 부족했다"고 결론 내렸다. 데엔하르트는 이를 단체의 이질적인 구성과 즉각적인 조치 목록을 발행하려는 의도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해군은 병사 평의회 의장으로 노스케를 선출했는데, 이는 그가 사회 민주당원으로서 그들의 편에 설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노스케는 킬에서 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평화와 질서를 회복했다.[15] 며칠 후 그는 주지사 직을 맡았고, 로타르 포프는 최고 병사 평의회를 설립했다.[25] 그 후 몇 주 동안 노스케는 평의회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었지만, 혁명이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11월 5일 아침, 킬 항구에 있는 제국 해군 함선에는 혁명을 상징하는 붉은 깃발이 게양되었다.[15]

이후 독일 전역의 평의회는 킬의 14개 조항을 따랐다. 데엔하르트는 정치적 근시안이 6개월 후 병사 평의회가 해산된 주요 이유라고 보았다. 독일 연방군 군사 역사 연구소의 볼프람 베테는 "... 킬 신호는 ... 볼셰비키의 예에 따른 평의회 국가를 가리키지 않았다. 대신 그것은 ... 가능한 한 빨리 전쟁을 종식시키라는 요구를 나타냈다. 둘째, 그것은 – '킬 14개 조항'에서 시작하여 – ... 특히 군국주의가 ... 더 이상 자리를 차지하지 않아야 하는 자유주의적, 사회적, 민주적 정치 시스템의 방향을 가리켰다."라고 언급했다.[26]

4. 1. 전국적인 봉기

1918년 11월 4일부터 에서 출발한 혁명적 해군 부대가 독일의 모든 주요 도시로 이동했다. 이들은 민간 및 군사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거의 저항에 부딪히지 않았다. 뤼베크와 하노버에서 단 두 명의 지역 사령관만이 무력으로 군기를 유지하려 시도했을 뿐이다.[27] 11월 6일, 빌헬름스하펜은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의 손에 들어갔고, 11월 7일에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슈투트가르트, 뮌헨을 포함한 모든 주요 해안 도시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날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3세가 폐위되면서 그는 독일 연방 군주 중 처음으로 몰락했다.[28] 11월 9일 혁명은 베를린에 도달했고, 같은 날 빌헬름 2세 황제의 퇴위가 선포되었다. 그 달 말까지 다른 모든 독일 국가의 왕조 통치자들은 유혈 사태 없이 퇴위했다.

4. 2. 베를린 혁명

11월 4일부터 혁명적 해군 부대가 에서 출발하여 독일의 모든 주요 도시로 이동했다. 이들은 민간 및 군사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거의 저항에 부딪히지 않았다. 뤼베크와 하노버에서 단 두 명의 지역 사령관만이 무력으로 군기를 유지하려 시도했을 뿐이다.[27] 11월 6일, 빌헬름스하펜은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의 손에 들어갔고, 11월 7일에는 모든 주요 해안 도시와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슈투트가르트, 뮌헨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날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3세가 폐위되면서 그는 독일 연방 군주 중 처음으로 몰락했다.[28] 11월 9일 혁명은 베를린에 도달했고, 같은 날 빌헬름 2세 황제의 퇴위가 선포되었다. 그 달 말까지 다른 모든 독일 국가의 왕조 통치자들은 유혈 사태 없이 퇴위했다.

1919년 1월 초, 평의회 공화국 지지자들과 독일을 의회 공화국으로 만들고 싶어하는 세력 간에 피비린내 나는 시가전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후자는 독일군 잔존 세력과 준군사조직 자유군단의 지원을 받았다. 그들의 승리는 1919년 8월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립을 위한 길을 열었다.

5. 결과 및 영향

킬 군항의 반란은 독일 11월 혁명의 기폭제가 되었으며, 이 혁명은 독일 제국의 붕괴와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을 가져왔다.[2]

5. 1. 한국에 미친 영향

킬 군항 수병들의 반란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 특히, 1980년대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킬 군항의 사례는 자주 언급되며, 불의에 맞서는 시민들의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사건은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한국의 진보 진영에게 민주주의와 평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역사적 교훈으로 자리 잡았다.

참조

[1] 뉴스 Seeschlacht im Skagerrak: "Wie ein gigantischer Mord" https://www.sueddeut[...] Süddeutsche Zeitung 2024-04-26
[2] 서적 Lieber für die Ideale erschossen werden, als für die sogenannte Ehre fallen. Albin Köbis, Max Reichpietsch und die deutsche Matrosenbewegung 1917 Marix Verlag
[3] 서적 Debates on the German Revolution of 1918-19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Dreadnoughts Time-Life Books
[5] 웹사이트 Governments, Parliaments and Parties (Germany) https://encyclopedia[...] Freie Universität Berlin 2024-05-03
[6] 웹사이트 Vom Kaiserreich zur Republik 1918/19 https://www.bpb.de/t[...] 2024-05-03
[7] 서적 Der Lange Weg nach Westen C.H. Beck
[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Weimar Democrac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9] 서적 Naval Operations https://www.naval-hi[...] Longmans, Green & Co.
[10] 웹사이트 "Nieder die Regierung! Tod dem Kapitalismus!" Die Matrosenaufstände 1918 https://weimar.bunde[...] 2024-05-03
[11] 서적 From the Dreadnought to Scapa Flow, The Royal Navy in the Fisher Era, 1904–1919: Victory and Aftermath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Der Kieler Matrosenaufstand am 3. November https://www.deutschl[...] 2018-11-03
[13] 뉴스 Kaiserdämmerung am Jadebusen https://www.spiegel.[...] Der Spiegel 2024-04-27
[14] 간행물 Die Politik der Seekriegsleitung und die Rebellion der Flotte Ende Oktober 1918 https://www.ifz-muen[...] 1966
[15] 웹사이트 Der Matrosenaufstand 1918 https://www.dhm.de/l[...] 2024-04-28
[16] 서적 Jutland. The German Perspective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17] 서적 Die deutsche Revolution 1918/19 Knaur
[18] 간행물 Mutiny at Kiel, 1918 1968-12-01
[19] 서적 Kiel 1918: Revolution – Aufbruch zu Demokratie und Republik Wachholtz
[20] 서적 Politische Umstürze der Neuzeit – Revolutionen der Massen https://books.google[...] Johannes Leucht
[21] 웹사이트 Der Kieler Matrosenaufstand im November 1918 – Vorgeschichte und Folgen http://www.kurkuhl.d[...] 2014-04-28
[22] 서적 Revolution in Kiel Landeszentrale für Polit. Bildung Schleswig-Holstein
[23] 웹사이트 Kiel Mutiny https://encyclopedia[...] Freie Universität Berlin 2024-04-29
[24] 웹사이트 The Kiel Sailors' Revolt: Fourteen Points Raised by the Soldiers' Council (November 4, 1918) https://ghdi.ghi-dc.[...] 2024-04-29
[25] 서적 Matrosenaufstand und Novemberrevolution 1918 VSA: Verlag Hamburg
[26] 서적 Schleswig-Holsteinische Erinnerungsorte Boyens
[27] 서적 Heimatheer und Revolution 1918 Deutsche Verlags-Anstalt
[28] 웹사이트 The End of Monarchy https://www.bavariko[...] 2024-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