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계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세계화는 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 및 통합이 감소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경제 무역과 투자의 감소, 재화, 자본, 고용 등의 교류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세계화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1914년과 1970년대 사이 선진국에서 무역 지수 하락과 같은 경제 활동의 변화로 나타났다. 탈세계화는 상품, 노동, 자본 등의 흐름을 통해 측정되며, 관세, 국경 제한, 자본 통제 등도 지표로 활용된다. 브렉시트,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 등은 탈세계화의 주요 사례로 꼽힌다. 탈세계화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보호 무역주의 심화와 국가 간 분쟁 위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화 - 세계 정복
세계 정복은 특정 국가나 세력이 지구상의 모든 영토와 인류를 지배하려는 목표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이 넓은 지역을 통치했지만 지구 전체를 정복한 사례는 없고, 현대에는 다자주의와 국제기구의 발전으로 영토 정복을 통한 세계 지배는 사실상 어려워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통한 지배 시도가 논의된다. - 세계화 - 서구화
서구화는 서유럽 사회의 사상, 제도, 문화 등이 비서구 사회에 전파되는 현상으로, 식민지 확장과 산업 혁명 이후 가속화되었으며 근대화, 세계화와 관련되지만, 비서구 사회의 고유한 문화를 간과하는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탈세계화 |
---|
2. 탈세계화의 의미와 등장 배경
탈세계화 또는 탈지구촌화(Deglobalisation)는 전 세계 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과 통합이 감소하는 과정을 말한다.[19] 특히 경제 무역과 국가 간 투자가 감소하며, 재화, 자본, 고용 등의 교류 역시 줄어든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통합되는 세계화와 대조적인 의미로 사용된다.[20]
탈세계화라는 용어는 경제 활동의 일부로서 등장했다. 특히 1914년과 1970년대 사이에 무역지수가 하락한 많은 선진국에서 나타난 변화이다.[21] 무역지수의 감소는 경제 세계화가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국가들의 경제가 다른 세계 경제와 통합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22] 제프리 삭스 미 컬럼비아대학교 교수는 "대공황 시기처럼 세계화의 붕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22]
닷컴 버블 붕괴와 9.11 사건으로 인해 세계화 속도가 느려졌지만, 최근의 경제 위기와 금융 위기는 글로벌화 과정에 대한 심각한 후퇴를 초래했다.[25] 남아시아 지역의 경제는 성장했지만, 라틴 아메리카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지역 평균치가 현저히 감소했다. 고소득 국가, 특히 OECD 국가들은 위기 이전부터 시작된 침체 경향을 지속하고 있다.[26]
1930년대에는 민주주의 국가들이 자유 무역을 지지했고, 탈세계화는 자급자족을 강화하려는 독재적인 결정에 의해 추진되었다. 2010년대에는 브렉시트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을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과 같은 민주적인 결정[10]이 전 세계적인 탈세계화 과정을 이끌고 있다.
2. 1. 세계화의 측정과 탈세계화의 지표
세계화와 탈세계화는 다음 네 가지 주요 경제 흐름을 중심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품 및 서비스: 예시로, 국민 소득 대비 수출입 비율 또는 인구 1인당 수출입 규모를 들 수 있다.
- 노동 및 인구: 순 인구 이동률, 인구 가중치를 고려한 국내외 이동 흐름, 그리고 이로 인한 송금액(GDP 대비 비율) 등이 해당된다.
- 자본: 국민 소득 대비 또는 인구 1인당 국내외 직접 투자 규모를 예로 들 수 있다.
- 기술 흐름: 네 번째 주요 흐름이지만, 탈세계화 측정에는 일반적으로 활용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지표들이 탈세계화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 평균 관세
- 노동에 대한 국경 제한
- 자본 통제: 외국인 직접 투자 또는 해외 직접 투자에 대한 제한 포함
KOF 스위스 경제 연구소(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KOF))의 세계화 지수는 2009년 이후 세계화가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24] 2015년 KOF는 "1990년과 2007년 사이에 세계화 수준이 빠르게 증가했으며, 대침체 이후 약간 상승했을 뿐이다. 2015년에는 사회적 세계화가 정체되고 정치적 세계화가 약간 증가하면서, 세계화가 1975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라고 분석했다.[11]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에 따르면, 외국인 직접 투자는 2017년에 더욱 하락하여 탈세계화의 또 다른 지표로 작용했다.[12]
3. 탈세계화의 주요 사례
탈세계화는 경제 활동의 일부로서, 특히 1914년과 1970년대 사이에 무역지수가 하락한 많은 선진국에서 나타난 변화이다.[21] 무역지수 감소는 경제 세계화가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 해당 국가들의 경제가 세계 경제와 통합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22] 제프리 삭스 미 컬럼비아대학교 교수는 "대공황 시기처럼 세계화의 붕괴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22]
KOF 스위스 경제 연구소의 세계화 지수는 2009년 경제 세계화에 틈새를 보여준다.[24] 닷컴 버블 붕괴와 9.11 사건으로 세계화 속도가 둔화되었지만, 최근의 경제 위기와 금융 위기는 글로벌화 과정에 심각한 후퇴를 초래했다.[25] 남아시아는 가장 큰 상향 운동을 보였으나 (매우 작은 증가), 라틴 아메리카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지역 평균치가 현저히 감소했고, 고소득 국가, 특히 OECD 국가들은 위기 이전부터 시작된 침체 경향을 지속하고 있다.[26]
탈세계화의 주요 사례는 미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와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대규모 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바이 아메리카 법(Buy American Act) 조항을 도입, 교역 상품보다 미국산 제품을 선호하도록 했다. EU 역시 농업 부문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보조금을 부과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07-2008년 금융 위기에 대한 선진국의 대응 방식을 보여준다.[16]
최근 반세계주의 패턴 변화가 관찰되는데, 현재 글로벌 노스와 우익(보수) 정치인들 사이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17] 브릭스(BRICS) 국가를 포함한 글로벌 사우스에서는 매우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3. 1. 브렉시트
2016년 6월에 열린 영국 국민투표에서 72.2%의 투표율에 찬성 51.9%(17,410,742표), 반대 48.1%(16,141,241표), 기권(26,033표)로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가 확정되었다.[30] 브렉시트는 탈세계화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3. 2.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을 내세우며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했다.[31] 트럼프는 전력 정화 계획을 배제하고 170개국 이상이 탄소 방출을 줄일 것을 요구한 파리 기후 협약에서 탈퇴했다.[31]4. 탈세계화의 위험과 국제 정치 경제
국제 무역의 성장률 감소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국가 간 상호 작용이 줄어들면 보호 무역주의가 심화되고, 국가 간 협력이 약화되어 국제 분쟁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33]
일반적으로 경제와 세계 경제의 통합 수준 감소는 다음과 같은 2차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13]
- 국제 무역 성장률 감소는 장기적인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경제 상호 작용, 즉 경제 동조화가 약화된다.
- 무역 정책에서 국제적 상호 작용 감소와 낮은 성장은 보호 무역주의를 강화하고, 국가 간 협력을 감소시켜 국제 분쟁 위험을 증가시킨다.[14]
미국의 경우, 부시 행정부와 오바마 행정부는 대규모 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바이 아메리카 법(Buy American Act) 조항을 도입하여 미국산 제품을 우선 사용하도록 했다. EU는 농업 부문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보조금을 부과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07-2008년 금융 위기에 대한 선진국들의 대응 방식을 보여주는 탈세계화 사례로 볼 수 있다.[16]
최근에는 반세계화주의의 패턴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반세계화주의는 글로벌 노스와 우익(보수) 정치인들 사이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지만,[17] 브릭스(BRICS) 국가를 포함한 글로벌 사우스에서는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4. 1. 월든 벨로의 탈세계화론
필리핀의 사회학자 월든 벨로는 저서 ''탈세계화''를 통해 탈세계화를 새로운 세계 경제 질서 구축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했다.[15]5. 한국의 관점과 대응
탈세계화는 한국 경제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글로벌 가치 사슬(GVC)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미중 무역 갈등, 일본의 수출 규제, 코로나19 팬데믹 등은 한국 경제에 큰 도전 과제를 안겨주었다.
6. 1930년대와 2010년대의 탈세계화 비교
1930년대와 2010년대의 탈세계화는 모두 금융 위기 이후 수요가 줄어들면서 촉발되었다는 공통점을 보인다.[9] 두 시기 모두 제조업 무역이 크게 위축되었다.[9]
그러나 두 시기에는 중요한 차이점도 존재한다. 1930년대에는 민주주의 국가들이 자유 무역을 지지한 반면, 독재 국가들은 자급자족을 강화하며 탈세계화를 이끌었다.[10] 반면, 2010년대에는 브렉시트나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과 같이 민주적인 결정이 탈세계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10]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을 내세웠다.[10]
참조
[1]
서적
The Sociology Project
Pearson
[2]
서적
The Global Trade Slowdown: A New Normal?
https://voxeu.org/si[...]
CEPR VOXEU
2015
[3]
간행물
Deglobalization Is Not Inevitable
https://www.foreigna[...]
2022-06-09
[4]
간행물
The Second Era of Globalization is Not Yet Over: An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nber.org/[...]
2017-09
[5]
간행물
Keeping it Real: Debunking the Deglobalization Myth, Brexit, and Trump:-"Lessons" on Integration' ;
https://tees.openrep[...]
2018
[6]
간행물
Unpacking the possibilities of deglobalisation
https://www.reposito[...]
2018
[7]
간행물
Two Great Trade Collapses: The Interwar Period and Great Recession Compared.
https://ora.ox.ac.uk[...]
2018
[8]
간행물
On the brink of Deglobalisation ... again
2018
[9]
간행물
Heterogeneous economic resilience and the great recession's world trade collapse.
2017
[10]
웹사이트
Will Awe Trump Rules?
http://www.globaltra[...]
global trade alert
2018-03-13
[11]
웹사이트
press-release/2018/01/kof-globalisation-index-globalisation-down-worldwide-in-2015
https://www.kof.ethz[...]
KOF
2018-01-22
[12]
웹사이트
Global Investment Trends Monitor
http://unctad.org/en[...]
2018-03-13
[13]
문서
On the brink of Deglobalization
http://deglobalizati[...]
Edward Elgar
[14]
웹사이트
Challenges to the liberal peace
https://issblog.nl/2[...]
2018-04-03
[15]
문서
Deglobalization: Ideas for a New World Economy
http://us.macmillan.[...]
Zed books
[16]
웹사이트
U.S. Code
http://uscode.hous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3-01-02
[17]
웹사이트
How anti-globalisation switched from a left to a right-wing issue – and where it will go next
https://theconversat[...]
2018-01-25
[18]
뉴스
"[브레이크뉴스] 미셸 초서도브스키 교수 \"빈곤의 세계화, 그리고 대한민국 미래전망\""
http://www.breaknews[...]
브레이크뉴스
2017-06-10
[19]
웹인용
탈세계화와 그 적들
http://www.hani.co.k[...]
2011-08-17
[20]
뉴스
경제위기에 ‘탈세계화’ 바람 거세다
http://www.fnnews.co[...]
2009-02-22
[21]
웹인용
"[이달의 경제이슈] 탈세계화와 기술 진보 > Vol 750 Sept 2016 > 금융웹진 - The Banker"
http://banker.kfb.or[...]
2017-12-18
[22]
뉴스
WP "경제위기가 '탈세계화' 초래"
http://news.hankyung[...]
hankyung.com
2009-03-06
[23]
저널
Globalization and Changes in the Political Economy of Tripartism: A Comparative Study of Sweden, the Netherlands, and Austria
http://www.dbpia.co.[...]
2002-09
[24]
뉴스
스위스KOF,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
http://www.newspim.c[...]
뉴스핌
[25]
서적
경제기사 X-파일
https://books.google[...]
미래의 창
2012-08-05
[26]
뉴스
OECD의 세계경제성장률 (GDP) 전망: 경기침체의 도래
http://valuefocus.ti[...]
밸류 포커스
2016-02-26
[27]
뉴스
트럼프의 보호무역? 미국은 이미 닫혀 있었다
http://news.khan.co.[...]
[28]
웹인용
외교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usa-losangele[...]
2017-12-18
[29]
웹인용
U.S. Code
http://uscode.house.[...]
2012-08-06
[30]
웹인용
브렉시트(Brexit)와 영국의 고립주의
http://m.monthly.cho[...]
2017-12-18
[31]
뉴스
트럼프가 파리기후협약을 탈퇴한 이유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7-06-23
[32]
뉴스
부진한 세계 무역성장률이 우려되는 이유
http://kr.wsj.com/po[...]
WSJ
[33]
뉴스
미국 우선주의ㆍ중국夢ㆍ미투…다사다난 변화 2017년 지구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TV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채널 23
2017-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