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탈쿨락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쿨락화는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까지 소련에서 부유한 농민 계층인 쿨라크를 제거하기 위해 시행된 정책이다. 레닌 시대에 시작되어 스탈린 시대에 본격화되었으며, 토지 국유화, 식량 징발, 강제 집단화 등을 통해 쿨라크의 재산을 몰수하고 강제 이주 및 처형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만 명이 사망하고, 소련 사회와 경제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탈쿨락화는 집단 학살(Classicide)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사회 및 경제 시스템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비극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1년 대량 살인 - 머투슈커 실베스테르
    머투슈커 실베스테르는 1892년 프라하 출생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교사 및 사업가 활동을 했으며, 열차 탈선 시도 및 폭파 사건 등 여러 범죄에 연루되어 간첩 혐의로 수감 생활을 하다 1958년 사망했고, 그의 삶은 대중문화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다.
  • 소련의 강제이주 - 쿨라크
    쿨라크는 19세기 후반 러시아에서 부유한 농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소련 시대에는 인민의 적으로 규정되어 재산 몰수, 강제 이주, 처형 등의 탄압을 받았고, 특히 스탈린 시대에 탈쿨락화 정책으로 몰락과 대규모 기근을 겪었다.
  • 소련의 강제이주 -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18년 볼가 지역 독일인에게 특별 지위를 부여하여 설립되었으며, 1924년 자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으나 1941년 스탈린에 의해 해체되고 주민들은 강제 이주되었다.
탈쿨락화
사건 개요
사건 명칭탈쿨락화
관련 사건소비에트 연방의 집단 농업화
발생 위치소비에트 연방
발생 기간1917년–1933년, 공식적인 탈쿨락화 캠페인은 1929년에 시작됨
사건 유형집단 학살, 강제 이주, 기근
사망자 수390,000명 또는 530,000–600,000명에서 5,000,000명
가해자소비에트 연방 비밀경찰
배경
정의쿨락(부농)의 해체
목적소비에트 연방의 집단 농업화를 가속화하고, 농촌에서 반혁명적 요소를 제거
과정
대상부유한 농민 (쿨락) 및 그 가족
방법재산 몰수, 추방, 강제 노동, 처형
주요 사건1929년: 탈쿨락화 정책 공식화
1930-1931년: 대규모 추방 및 재산 몰수
1932-1933년: 홀로도모르 (우크라이나 대기근)
결과
사회적 영향농촌 사회 구조 붕괴
농업 생산성 감소
홀로도모르로 인한 대규모 기근 발생
정치적 영향소비에트 정부의 권력 강화
농민 반발 및 저항 진압
관련 용어
러시아어(라스쿨라치바니예)
우크라이나어(로즈쿨쿠렌냐)
이미지
"계급으로서의 쿨락을 청산하자"와 "농업 파괴자들과의 투쟁에 모두 참여하자"라는 깃발 아래 행진

2. 역사적 배경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농민을 '뒤떨어진 계급'으로 경멸했다. 플레하노프는 농민을 "짐을 운반하는 동물과 다름없는" 존재라고 비난했고, 레닌은 "비참할 정도로 이기적"이라고 멸시했다.[36] 체카제르진스키는 "어떤 사회 계급의 근절"을, 지노비예프는 "러시아 인구 1억 명 중 9천만 명과 협력해야 하지만, 나머지는 근절해야 한다"라고 말했다.[34]

이러한 배경에서 탈쿨락화는 두 시기로 나뉜다.


  • '''레닌 시대''': 블라디미르 레닌은 1917년 11월, 쿨라크(부농)차르와 자본가의 복귀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보고 제거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7] 1918년에는 빈농위원회가 조직되어 쿨라크의 토지와 재산을 몰수하고 재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8]
  • '''스탈린 시대''': 이오시프 스탈린은 1929년 "계급으로서의 부농 청산"을 선언하며 보다 급진적인 탈쿨락화를 추진했다.[4] 부농은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되어, 가장 위험한 부류는 즉결 처형되거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고, 나머지도 재산을 몰수당하고 추방되었다.[4] OGPU의 예핌 예브도키모프는 부농 체포 및 대량 처형을 조직하고 감독했다.[13][14][15] 스탈린은 부농을 자신의 집단화 정책에 대한 위협이자, 이전 사회 질서의 잔재로 여겼다.

2. 1. 레닌 시대의 탈쿨락화

1917년 11월, 블라디미르 레닌은 빈농 위원회 대표자 회의에서 쿨라크(부농)를 제거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레닌은 "쿨라크를 방치하면 차르와 자본가가 반드시 부활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7]

1918년 7월, 빈농위원회가 창설되어 쿨라크로부터 토지와 식량을 몰수하고 재분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 1918년 12월 해산될 때까지 빈농위원회는 쿨라크의 토지 5천만 ha를 몰수했다.[9]

1917년 러시아 혁명, 특히 10월 혁명 이후 11월 8일(율리우스력 10월 26일)에 공포된 토지 관한 포고령으로 지주, 러시아 제국니콜라이 2세의 영지, 교회 영지가 몰수되었다. 이로 인해 지주 계급은 완전히 소멸되었고, 자작농도 미르의 부활로 소멸되었다.[31] 혁명 후에도 1927년에는 토지 보유의 95.5%가 옛 농촌 공동체에 속해 있었다.[33]

토지 국유화로 농민 계층의 평준화는 이루어졌지만, 농업 생산에는 심각한 타격이 발생했고, 러시아 내전으로 러시아 사회는 더욱 피폐해졌다.[31]

프롤레타리아트를 지지 기반으로 한 볼셰비키는 농민을 "뒤떨어진 계급"으로 경멸하는 경향이 있었다. 플레하노프는 농민을 "짐을 운반하는 동물과 다름없는" 존재라고 비난했고, 레닌도 농민은 "비참할 정도로 이기적이다"라고 멸시했다.[36] 비밀 경찰 체카제르진스키는 "어떤 사회 계급의 근절"을, 지노비예프는 "러시아 인구 1억 명 중 9천만 명과 협력해야 하지만, 나머지는 근절해야 한다"라고 말했다.[34] 고리키는 농민이 근절되어 "교양 있는" 공산주의자에 의해 운영되는 미래 사회에 대한 희망을 이야기했다.[37] 흐루쇼프는 "스탈린에게 농민은 쓰레기였다"라고 말했다.[36]

볼셰비키는 농민을 미개한 사람들로 보았는데, 이는 마르크스주의에 그 근원이 있었다.[39] 그러나 레닌은 빈농·중농을 혁명에 도움이 된다고 간주했고, 실제로 러시아 혁명에서 농민은 혁명을 도왔고, 내전에서는 수백만 명의 농민이 죽었다.[39]

1918년 5월, 식량 독재령이 공포되어 농산물 자유 거래는 금지되었다.[31] 농민들은 식량 징발에 반발했고, 볼셰비키는 농민과 적대하여 일시적으로 농촌에서 퇴각했다.[39]

1918년 8월 11일, 레닌은 펜자에서의 농민 봉기에 즈음하여 쿨라크 교수형 명령을 전보로 지시했다.[45][43][44] 레닌은 "악명 높은 쿨라크, 부자, 착취자를 최소 100명 교수형에 처하라(민중이 볼 수 있도록 반드시 교수형에 처한다)"고 명령했다.

펜자의 봉기는 레닌의 지령이 실행되기 전에 평정되었지만, 전시 공산주의 시기에 공개 처형이나 스탈린에 의한 탄압이 반복되었다.[45]

1918년 8월, 레닌은 "부농은 소비에트 권력의 원수이다."라고 선언했다.[46][47]

1918년 12월까지 빈농위원회는 5,000만 헥타르의 부농의 토지를 몰수했다.[48] 그러나 부농 인정에 지나침이 있어 중농·빈농까지 부농으로 인정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농촌에 혼란이 발생했기 때문에, 레닌은 1919년 3월 12일에는 부농에 대한 완전 몰수는 하지 않도록 방침을 수정했다.[47]

1919년부터 1922년까지 볼셰비키의 농촌에 대한 강경책은 제1차 농민 전쟁이라고도 불린다.[49][39]

1920년은 흉작으로, 국가가 지정하는 면적에 대한 곡물 파종이 강제되었다.[31] 농민들은 1920년, 서시베리아나 탐보프 현에서 반란을 일으켰다.[50] 1920년 전후의 시베리아, 볼가,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농민 반란에서는 "공산주의자 없는 소비에트"가 요구되었다.[51]

1921년 봄, 서시베리아에서 카자흐까지, 볼셰비키에 의한 식량 징발에 반대하는 농민 10만 명이 봉기했다.[51]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볼셰비키는 적군 정규군을 투입하고, 독가스탄도 사용했다.[52]

1921년크론시타트 반란에서는 "당이 아닌 소비에트(평의회)에 권력을"이라는 슬로건이 내걸렸다.[51]

「기근」 작.


러시아 볼셰비키에 의한 교회 재산 접수. 작.


러시아 혁명파에 의해 사형을 선고받는 성직자와 지주. 작.


1921년 전후에는 볼가 강 유역을 중심으로 1000만 명 단위가 기아선상에 놓였고, 사망자는 150만~200만 명에 달했다.[55]

이 러시아 기근 (1921년-1922년)에서 러시아 정교회가 피해자를 원조하려 하자, 소련 정부는 교회에 의한 원조를 금지했다.[31] 레닌은 무신론자였으며, 교회가 공산당 권력에 대한 대항 거점이 될 것을 두려워하여, 당원의 정교회 신자에게도 배교를 요구했다.[55] 1922년 2월 레닌은 교회 재산을 몰수하여 해외에 매각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이 사건으로 8100명이 살해되었다.[55]

2. 2. 스탈린 시대의 탈쿨락화

이오시프 스탈린은 1929년 12월 27일 "계급으로서의 부농(쿨락)의 청산"을 발표했다.[4] 스탈린은 "이제 우리는 부농에 대한 단호한 공세를 감행하고, 그들의 저항을 분쇄하며, 계급으로서의 그들을 제거하고, 그들의 생산을 콜호스와 소프호스의 생산으로 대체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라고 말했다.[10]

전 연방 공산당(볼셰비키) 정치국은 1930년 1월 30일 "포괄적인 집단화 지구에서 부농 가구 제거를 위한 조치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결정을 공식화했다. 모든 부농은 다음 세 가지 범주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4]

범주설명처벌
1콜호스 조직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고 반혁명 활동을 수행하는 부농.체포하여 외딴 곳으로 추방.[29]
2전면적인 집단화에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저항한 부농.그 주(지방) 밖으로 강제 이주.[29]
3집단화에 충실히 따르는 부농.콜호스에 받아들여지지만, 3년~5년 동안 선거권을 부여하지 않음.[29]



그러나 스탈린은 어떠한 부농도 콜호스에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대했다.[29] 그 때문에 1930년 2월 4일의 중앙 집행 위원회와 소련 인민 위원 회의 훈령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29]

범주설명처벌 및 비고
1테러와 폭동을 조직한 반혁명적 부농.즉시 격리하고, 총살도 주저해서는 안 됨.[29] 그 가족도 외딴 곳으로 이주. 6만 가구가 지정.[29]
2부농 중 적극적인 분자.가족과 함께 외딴 곳이나 같은 지방 내의 원격지로 이주. 15만 가구가 지정.[29]
3그렇게 유력하지 않은 부농.같은 지구 내에 머무르지만, 콜호스 밖, 집단화된 마을 외부로 이주. 80만 가구가 지정.[29]



이처럼 추방 가구의 목표도 지정되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훈령에서의 계획보다 훨씬 더 많은 '부농'이 체포되어 총살되고 강제 이주되었다.[29] '부농'의 결정은 지역의 연합국가정치보안부(OGPU)가 했다. OGPU는 또한 처형의 판단이나 시베리아, 북부, 우랄, 카자흐스탄강제 수용소로의 투옥 또는 관할 지구 내의 노동 콜로니에 수감되는 등의 판단도 했다.[88]

OGPU의 비밀 경찰 관리인 예핌 예브도키모프(1891–1939)는 부농 체포 및 대량 처형을 조직하고 감독하는 데 주요 역할을 했다.[13][14][15]

시베리아 및 기타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보내진 부농들은 소련의 산업화 계획에 필요한 목재, 금, 석탄 및 기타 자원을 생산하는 강제 수용소에서 힘든 노동을 수행했다.[11]

3. 탈쿨락화의 전개 과정

탈쿨락화는 여러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먼저, 쿨락의 정의는 매우 모호하고 자의적이었다.[35] 레닌조차 쿨락, 중농, 빈농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했고, 쿨락의 기준에 대한 질문에 짜증을 낼 정도였다.[34] 1927년 당시 가장 부유한 농민조차 평균 7명의 가족, 소 2~3마리, 10헥타르 이내의 경작지를 소유했고, 1인당 수입은 빈농보다 50~56% 많은 정도였다.[35]

스탈린 정권은 쿨락을 세 가지 범주로 분류했지만,[4] 이 기준 역시 자의적이었고, 지방 정부와 당 지도자들은 쿨락 분류에 광범위한 재량을 가졌다.[29] 역사학자 로이 메드베데프는 "탄압의 편의상 아부농 등 터무니없는 용어를 사용한, 자산이 없는 중농, 빈농, 그리고 소작인에게도 (소비에트 권력에 의한 공격은) 덮쳐졌다."라고 비판한다.[29]

1929년 12월 27일, 스탈린은 "계급으로서의 부농(쿨라크) 청산"을 발표했다.[4] 1930년 1월 30일, 전 연방 공산당(볼셰비키) 정치국은 "포괄적인 집단화 지구에서 부농 가구 제거를 위한 조치에 관하여"라는 결정을 공식화했다.[4] 이에 따라 모든 부농은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범주설명비고
제1범주테러와 폭동을 조직한 반혁명적 부농은 즉시 격리하고, 총살도 주저해서는 안 된다.그 가족도 외딴 곳으로 이주되며, 6만 가구가 지정된다.
제2범주부농 중 적극적인 분자는 가족과 함께 외딴 곳이나 같은 지방 내의 원격지로 이주된다.15만 가구가 지정된다.
제3범주그렇게 유력하지 않은 부농은 같은 지구 내에 머무르지만, 콜호스 밖, 집단화된 마을 외부로 이주된다.80만 가구가 지정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부농'이 체포, 총살, 강제 이주되었다.[29] '부농' 결정과 처벌은 지역 연합국가정치보안부(OGPU)가 담당했다.[88]

농촌에서는 "쿨라크를 묶어 강제 이주시키고, 필요하다면 일족을 총살한다", "쿨라크로 비누를 만들자", "계급의 적은 지구에서 쓸어버리자"라는 슬로건이 내걸렸다.[66] 활동 분자에는 빈농 출신 범죄자도 포함되어 쿨라크를 발가벗겨 구타하거나, 쿨라크의 집에서 술판을 벌이고, 쿨라크에게 발포하고, 묘혈을 파게 하고, 여성은 발가벗겨 '신체 검사'를 실시하고, 귀중품을 강탈하는 등의 폭행을 가했다.[71][66]

부농의 아이들, 1930년 북부 지방


1930년 숲에서 나무를 베는 쿨라크 여성들

3. 1. 쿨락의 정의와 분류

쿨락은 원래 주먹을 의미하는 말로, 마을의 고리대금업자나 부유한 농민을 가리켰다.[34] 그러나 부유한 농민이라고 해서 모두 쿨락은 아니었으며, 인민주의자 혁명가이자 농촌 의사였던 O.V. 아프테크만은 부유한 농민이 모두 쿨락은 아니라고 말했다.[34] 레닌조차 쿨락, 중농, 빈농을 경제 용어로 명확히 구분하지 못했고, 쿨락의 기준에 대한 질문에 "누가 쿨락인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라며 짜증을 낼 정도였다.[34]

실제로 "쿨락"의 정의는 모호하고 자의적이었다.[35] 1927년 당시 가장 부유한 농민조차 평균 7명의 가족, 소 2~3마리, 10헥타르 이내의 경작지를 소유하는 데 그쳤고, 1인당 수입은 빈농보다 50~56% 많은 정도였다.[35] 또한 중농과 빈농 중에도 타인을 고용하는 경우가 있어, 쿨락만이 고용주였던 것은 아니었다.[35]

스탈린 정권은 쿨락을 세 가지 범주로 분류했다:[4]

범주설명처벌
"활동적" 쿨락집단화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거나 정부에 대한 사보타주 행위에 참여한 쿨락체포, 추방, 살해
"중간" 쿨락"활동적" 쿨락만큼 부유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많은 토지와 기타 자산을 소유한 사람들강제 노동, 추방
"수동적" 쿨락집단화에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은 가장 가난한 쿨락높은 세금 등 경제적 어려움



그러나 이러한 분류 기준은 자의적이었고, 지방 정부 대표와 당 지도자들은 어떤 쿨락이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데 광범위한 재량을 가졌다.[29] 이로 인해 많은 농민들이 소득이나 사회적 지위 때문에 쿨락으로 낙인찍혀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 역사학자 로이 메드베데프는 "탄압의 편의상 아부농 등 터무니없는 용어를 사용한, 자산이 없는 중농, 빈농, 그리고 소작인에게도 (소비에트 권력에 의한 공격은) 덮쳐졌다."라고 비판한다.[29]

3. 2. 강제 이주와 추방

이오시프 스탈린1929년 12월 27일 "계급으로서의 부농(쿨라크) 청산"을 발표했다.[4] 1930년 1월 30일, 전 연방 공산당(볼셰비키) 정치국은 "포괄적인 집단화 지구에서 부농 가구 제거를 위한 조치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결정을 공식화하면서, 모든 부농은 다음 세 가지 범주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4]

범주설명비고
제1범주지역 비밀 정치 경찰이 결정한 대로 총살 또는 투옥될 자.
제2범주재산을 몰수한 후 시베리아, 북부, 우랄 산맥, 또는 카자흐스탄으로 보내질 자.
제3범주집에서 추방되어 자체 지역 내 노동 수용소에서 사용될 자.



그러나 스탈린은 어떠한 부농도 콜호스에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대했다.[29] 그 때문에 1930년 2월 4일의 중앙 집행 위원회와 소련 인민 위원 회의 훈령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29]

범주설명비고
제1범주테러와 폭동을 조직한 반혁명적 부농은 즉시 격리하고, 총살도 주저해서는 안 된다.그 가족도 외딴 곳으로 이주되며, 6만 가구가 지정된다.
제2범주부농 중 적극적인 분자는 가족과 함께 외딴 곳이나 같은 지방 내의 원격지로 이주된다.15만 가구가 지정된다.
제3범주그렇게 유력하지 않은 부농은 같은 지구 내에 머무르지만, 콜호스 밖, 집단화된 마을 외부로 이주된다.80만 가구가 지정된다.



이처럼 추방 가구의 목표도 지정되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훈령에서의 계획보다 훨씬 더 많은 '부농'이 체포되어 총살되고 강제 이주되었다.[29]

'부농'의 결정은 지역의 연합국가정치보안부(OGPU)가 했다. OGPU는 또한 처형의 판단이나 시베리아, 북부, 우랄 산맥, 카자흐스탄강제 수용소로의 투옥 또는 관할 지구 내의 노동 콜로니에 수감되는 등의 판단도 했다.[88]

시베리아 및 기타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보내진 부농들은 소련이 급속한 산업화 계획에 필요한 목재, 금, 석탄 및 기타 많은 자원을 생산하는 수용소에서 힘든 노동을 수행했다.[11]

농촌 소비에트의 활동 분자는 "쿨라크를 묶어 강제 이주시키고, 필요하다면 일족을 총살한다", "쿨라크로 비누를 만들자", "계급의 적은 지구에서 쓸어버리자"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66] 활동 분자에는 빈농 출신의 범죄자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들은 쿨라크를 발가벗겨 구타하거나, 쿨라크의 집에서 술판을 벌이고, 쿨라크에게 발포하고, 묘혈을 파게 하고, 여성은 발가벗겨 '신체 검사'를 실시하고, 귀중품을 강탈하는 등의 폭행도 가했다.[71][66]

3. 3. 강제 수용소(굴라크)에서의 삶

시베리아 등 인적이 드문 지역으로 보내진 쿨락들은 소련의 급속한 산업화에 필요한 목재, 금, 석탄 등 자원을 생산하는 강제 수용소에서 중노동을 강요당했다.[11] OGPU(비밀경찰)는 소련 북부에 자원 채굴에 특화된 마을을 설립하여 스탈린의 산업화를 돕는 새로운 형벌 시스템을 구상하기도 했다.[12]

OGPU의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32년 강제 이주자의 30%에 가까운 50만 명이 특별 이주지에서 사망하거나 도망쳤다.[73] 공산당은 노동 수용소에서 "교정"을 목표로 한다고 선전했지만, 1932년 1월 서시베리아의 한 직원이 수용자를 위한 의류를 구하려 하자 "수용자는 갱생을 위해 연행된 것이 아니라 봄까지 죽도록 하는 것이 당의 방침이다"라는 답변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76] 나지노 섬에는 6,600~6,800명이 보내졌지만, 2,200명만이 생존했고 나머지는 사망했다. 섬의 상황은 처참했으며, 굶주림으로 수십 명이 인육 섭취를 했다.[77]

러시아 북부의 골로비나 가문의 경우, 아버지가 "쿨락"으로 강제 수용소에 보내졌고, 아내와 아들, 여덟 살 딸은 시베리아의 알타이 유배지로 추방되었다.[78] 특수 거주지에서 벌목 노동을 강요당했으며, 겨울에는 눈의 무게로 숙소가 붕괴되어 땅에 판 구덩이에서 살아야 했다. 굶주림, 추위, 티푸스로 인해 죄수들은 잇따라 죽어갔다.[78] 3년간의 강제 노동 후 생존한 가족은 페스토보로 이주했지만, 학교에서 교사가 딸을 반 전체 앞에서 "이 녀석들은 쿨락이며, 멸절되어야 할 녀석들이다"라고 욕하는 등, 생환 후에도 탄압은 계속되었다.[78]

3. 4. 여성과 어린이의 피해

탈쿨락화는 여성과 어린이에게 특히 가혹한 결과를 초래했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강제 이주, 강제 노동, 그리고 가족과의 이별을 겪어야 했다.
어린이들의 피해:어린이들은 부모와 함께 강제 이주되거나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다. 역사학자 린 비올라에 따르면, 많은 어린이들이 고아원이나 보육원에 수용되어 가족과 격리되었다.[4] 이는 부농 가족의 저항을 약화시키고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어린이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방치되거나 학대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소련 당국은 부농 가족 출신의 어린이들을 집단화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여성들의 피해:여성들은 탈쿨락화 과정에서 남편이나 남자 친척과의 관계 때문에 '공모자'로 간주되어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 린 비올라는 여성들이 "쿨라크의 배우자, 어머니, 자매"라는 이유로 표적이 되었다고 지적한다.[4] 이들은 체포, 추방, 투옥의 대상이 되었으며, 강제 노동, 신체적, 성적 폭력의 위험에 직면했다. 많은 여성들이 굶주림, 질병, 피로로 고통받았다.

4. 탈쿨락화의 영향

탈쿨락화는 소련 사회, 경제, 그리고 국제 관계에 광범위하고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소련 사회에 미친 영향:


  • 농업 생산성 감소: 가장 생산적인 농부들인 쿨락(부농)이 제거되면서 농업 생산량이 급감했고, 이는 농촌 경제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16]
  • 강제 집단화: 농업의 강제 집단화는 콜호스와 소프호스 같은 대규모 국영 집단 농장 설립으로 이어져 소련의 식량 생산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16]
  • 기근 발생: 농업 생산량 감소와 강제 집단화 정책은 1930년대 초 소련 전역에 심각한 기근을 초래했다.[16]
  • 인명 피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추방되거나 사망했으며, 최소 500만 명이 이 정책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소련 전역의 가족과 공동체에 큰 상처를 남겼다.[16]
  • 사회 불안정 심화: 광범위한 공포, 불신, 트라우마가 사회에 만연하게 되었다.[16]

소련 경제에 미친 영향:

  • 농업 집단화: 농업의 강제 집단화는 콜호스, 소프호스와 같은 대규모 국영 집단 농장의 설립으로 이어져, 소련의 식량 생산 방식과 국가 농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10]
  • 경제적 혼란: 가장 생산적인 농부들이 강제로 토지에서 추방되어 농업 생산량 감소와 지역 시장의 혼란을 야기했다.
  • 산업화: 스탈린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강제 공업화 운동을 시작했다.[39] 농민 집단화와 곡물 수확 통제를 통해 공업 성장을 이루고자 했다.[60]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

  • 소련 이미지 타격: 탈쿨락화의 잔혹성과 강제적인 집단화 정책은 국제 사회에 알려지면서 소련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혔다.
  • 국제적 비판: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추방되고 사망했다는 사실은 서방 국가들을 중심으로 국제적인 비판 여론을 불러일으켰다.
  • 소련의 고립: 소련 정부는 "계급 투쟁"을 주장하며 정책을 옹호했지만, 국제 사회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소련의 고립을 심화시켰다.


농민으로부터 곡물 징발. 작.


탈쿨락화가 소련 경제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오늘날에도 역사학자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16]

4. 1. 소련 사회에 미친 영향

탈쿨락화는 소련 사회에 광범위하고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다.

  • 농업 생산성 감소: 탈쿨락화 과정에서 가장 생산적인 농부들이었던 쿨락(부농)이 제거되면서 농업 생산량이 급감했다. 이는 농촌 경제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16]
  • 강제 집단화: 탈쿨락화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농업의 강제 집단화였으며, 이는 콜호스와 소프호스 같은 대규모 국영 집단 농장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이는 소련의 식량 생산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16]
  • 기근 발생: 농업 생산량 감소와 강제 집단화 정책은 1930년대 초 소련 전역에 심각한 기근을 초래했다. 특히 우크라이나홀로도모르카자흐스탄에서의 기근은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다.[16]
  • 인명 피해: 탈쿨락화는 잔혹한 탄압으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추방되거나 사망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최소 500만 명이 이 정책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소련 전역의 가족과 공동체에 큰 상처를 남겼다.[16]
  • 사회 불안정 심화: 탈쿨락화와 그로 인한 기근은 소련 사회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광범위한 공포, 불신, 트라우마가 사회에 만연하게 되었다.[16]
  • 정치적 영향: 탈쿨락화는 스탈린과 공산당의 권력 장악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쿨락의 제거는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잠재적 위협을 제거하고 당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6]


이러한 영향들은 소련 사회 전반에 걸쳐 장기적으로 지속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역사학자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6]

4. 2. 소련 경제에 미친 영향

탈쿨락화는 소련 경제에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다.

  • 농업 집단화: 탈쿨락화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농업의 강제 집단화였으며, 이는 대규모 국영 집단 농장(콜호스, 소프호스)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이는 소련에서 식량이 생산되는 방식을 변화시켰고, 국가의 농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10]
  • 경제적 혼란: 탈쿨락화 과정은 소련의 농촌 지역에 상당한 경제적 혼란을 야기했다. 가장 생산적인 농부들 중 다수가 강제로 토지에서 추방되었고, 이는 농업 생산량 감소와 지역 시장의 혼란으로 이어졌다.
  • 장기적인 결과: 농업의 강제 집단화와 쿨락(부농)의 제거는 소련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많은 역사가들은 이것이 1930년대 초에 발생한 기근에 기여했고, 수년간 농업 부문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한다.
  • 산업화: 1928년 스탈린은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강제 공업화 운동을 시작했다.[39] 농민을 집단화하고 곡물 수확을 통제하여 공업 성장을 이루고자 했다.[60] 당 지도부는 부농(쿨락) 공격이 목적 달성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60]


탈쿨락화가 소련 경제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오늘날에도 역사학자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알렉세이 리코프는 쿨라크 타도 정책과 "전시 공산주의"를 비판하며, 독농을 지원하고 농업을 지원함으로써 소련의 농업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58] 그러나 리코프는 스탈린 등에 의해 "우익 반대파"로 낙인 찍혀, 1938년숙청되었다.[59]

4. 3.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

탈쿨락화는 소련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탈쿨락화의 잔혹성과 강제적인 집단화 정책은 국제 사회에 알려지면서 소련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혔다. 특히,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추방되고 사망했다는 사실은 국제적인 비판 여론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비판은 서방 국가들을 중심으로 제기되었으며, 소련의 인권 탄압과 전체주의적 통치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러한 국제적인 비판에도 불구하고, 소련 정부는 탈쿨락화 정책을 옹호하며 "계급 투쟁"의 일환으로 정당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국제 사회의 공감을 얻지 못했고, 오히려 소련의 고립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5. 탈쿨락화에 대한 평가와 논쟁

탈쿨락화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긍정적 평가는 소련 농업 생산성 향상과 집단농장 체제 확립에 기여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들은 쿨락이 농업 생산성 향상의 걸림돌이었다고 주장한다.

반면, 탈쿨락화는 강제 이주, 폭력, 기근 등을 초래하여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홀로도모르는 탈쿨락화가 기근을 악화시킨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 탈쿨락화의 잔혹성과 비인간성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5. 1. 계급 학살(Classicide) 논쟁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한 탈쿨락화가 '계급 학살'(Classicide)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94] Classicide영어는 사회 계급을 의도적으로 파괴하는 행위를 의미한다.[95]

사회학자 마이클 만은 탈쿨락화를 계급 학살의 사례로 규정했다.[19][94] 그는 소련이 '계급의 적'으로 간주된 쿨락을 집단적으로 제거하려 했다고 주장했다.[94]

그러나 제노사이드의 정의가 '국민적, 민족적, 인종적, 종교적 집단'의 파괴로 한정되어 있어, '계급' 구성원의 말살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반론도 존재한다.[95] 또한, 계급 학살과 민족 학살이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사회적 지위, 판정자의 의도, 양적 기준의 모호성 등으로 인해 계급 학살 적용에 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95]

6. 탈쿨락화와 한국

주어진 자료에는 탈쿨락화와 한국의 역사를 비교하거나, 한국적 관점에서 이 사건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Die Sowjetunion
[2]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3] 웹사이트 How Russian villages were destroyed (Куда пропали русские деревни?) https://100tv.eu/kud[...] 2021-09-16
[4]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6] 서적 The Unknown Gulag. The Lost World of Stalin's Special Sett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 서적 Досье Ленина без ретуши. Документы. Факты. Свидетельства. Вече 1999
[8] 서적 Полн. собр. сочинений
[9] 서적 Краткий курс истории ВКП(б) (1938 год) «Писатель» 1997
[10] 서적 Stalin, a biography
[11] 서적 Gulag : a history https://www.worldcat[...] Anchor Books 2004
[12] 서적 The unknown gulag : the lost world of Stalin's special settlements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3] 서적 Inside Stalin's Secret Police, NKVD Politics 1936–39 Macmillan
[14] 서적 Stalin and His Hangmen, The Tyrant and Those Who Killed for Him Random House 2004
[15] 서적 The Road to Terror: Stalin and the Self-Destruction of the Bolsheviks, 1932–1939 Yale U.P. 1999
[16] 서적 I Chose Freedom https://archive.org/[...] Lowe and Brydone Printers Limited 1949
[17]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18] 서적 Материалы о революции. Преданная революция. Что такое СССР и куда он идет
[19] 서적 Genocidal Crim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문서 К вопросу о ликвидации кулачества как класса
[21] 웹사이트 Наследники Ленина http://lib.meta.ua/i[...]
[22] 웹사이트 Самоидентификация крестьянства на переломном этапе своей истории http://www.center-be[...]
[23] 간행물 Самоидентификация крестьянства на переломном этапе своей истории 2006
[24] 뉴스 Красный воин (МВО) 1930-02-13
[25] 학술논문 'Dekulakization' as a Facet of Stalin's Social Revolution (The Case of Perm Region) https://www.research[...] 2019-07
[26] 서적 第五章 「上からの革命」 1997
[27]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みすず書房 2012
[28] 서적 悲しみの収穫 ウクライナ大飢饉-スターリンの農業集団化と飢饉テロ- 恵雅堂出版 2007
[29] 서적 歴史の審判に向けて 上 2017
[30] 사전 クラーク 旺文社、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31] 서적 世界各国史22 ロシア史
[32]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33]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34]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35]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36]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37] 서적 O russkom krestyanstve(ロシアの農民について) 1922
[38] 서적 Lenin et Paysan Russe 1925
[39]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40] 서적 «Досье Ленина без ретуши. Документы. Факты. Свидетельства.» Вече 1999
[41]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42] 서적 Полн. собр. сочинений
[43] 서적 スターリン 中公新書 2014
[44] 웹사이트 Telegram to Comrades Kuraev, Bosh, Minkin, and other Penza communists https://www.marxists[...]
[45] 서적 飢餓の革命―ロシア10月革命と農民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
[46] 서적 レーニン全集 大月書店
[47] 서적 歴史の審判に向けて 上 2017
[48] 서적 Краткий курс истории ВКП(б) (1938 год) «Писатель» 1997
[49] 서적 The Great Soviet Pasant War: Bolsheviks and Peasants, 1917-1933 (Harvard Papers in Ukrain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1997
[50] 서적 世界各国史22 ロシア史
[51] 서적 図説 ソ連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
[52] 서적 世界歴史体系 ロシア史3 山川出版社
[53]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54] 서적 図説 ソ連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
[55] 서적 図説 ソ連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
[56] 서적 歴史としての社会主義
[57] 서적 «Материалы о революции. Преданная революция. Что такое СССР и куда он идет»
[58] 웹사이트 «Наследники Ленина» http://lib.meta.ua/i[...]
[59] 문서 Правая оппозиция, Pravaya oppozitsiya
[60]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61] 서적 Stalin, a biography
[62] 서적 «К вопросу о ликвидации кулачества как класса»
[63] 웹사이트 Liquidation of kulaks as class (ЛІКВІДАЦІЯ КУРКУЛЬСТВА ЯК КЛАСУ) http://resource.hist[...]
[64] 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https://www.google.i[...]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65] 서적 歴史の審判に向けて 上 2017
[66]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67] 웹사이트 ''Чуркин В. Ф.'' Самоидентификация крестьянства на переломном этапе своей истории. // История государства и права, 2006, N 7 http://www.center-be[...]
[68] 간행물 «Самоидентификация крестьянства на переломном этапе своей истории» «История государства и права» 2006
[69] 간행물 Красный воин (МВО) 1930-02-13
[70] 학술 논문 'Dekulakization' as a Facet of Stalin's Social Revolution (The Case of Perm Region) https://www.research[...] 2019-07
[71] 서적 The Great Soviet Pasant War
[72]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73]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74] 서적 Gulag : a history https://www.worldcat[...] 2004
[75] 서적 The unknown gulag : the lost world of Stalin's special settlements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6]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77]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78] 서적 囁きと密告
[79] 서적 The Village and the Class War:Anti-Kulak Campaign in Estonia 1944-49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3
[80]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1]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2]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3]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4]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5]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6]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7] 서적 リトアニアの歴史 2018
[88]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89]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90] 서적 The Unknown Gulag. The Lost World of Stalin's Special Sett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91]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92] 서적 The Stalinist penal system : a statistical history of Soviet repression and terror, 1930–1953 https://www.worldcat[...] McFarland 1997
[93] 서적 Die Sowjetunion
[94] 서적 Genocidal Crim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95] 간행물 Classicide https://www.sciences[...] Online Encyclopedia of Mass Violence. – Sciences Po. 2007
[96]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97] 서적 What is Genocide? Polity Press 2007
[98] 서적 カチンの森 - ポーランド指導階級の抹殺
[99] 문서 ベローフ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