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시투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시투라는 음역과 관련된 용어로, 특정 음악 작품이나 파트에서 사용되는 음의 범위를 의미한다. 성악에서 테시투라는 각 성악 유형별로 다른 음역을 가지며, 소프라노는 C4에서 C6, 메조소프라노는 A3-A5, 콘트랄토는 F3에서 F5, 바리톤은 G2에서 G4, 베이스는 F2에서 E4의 음역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테시투라는 곡의 조화, 발성, 음색 등 음악적 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테시투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발성, 멜로디 구조 등 음악적 요소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높이 - 콘트랄토
콘트랄토는 여성 성악의 가장 낮은 음역과 음색을 지칭하는 용어로, 고전 및 오페라 성악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역할과 저명한 가수들을 포함하여 종교곡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음높이 - A440
A440은 '가' 음을 440 Hz로 정의하는 표준 음높이로,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공식화되었으며, 콘서트 피치나 시대악기 운동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된다. - 가창 - 보컬
보컬은 대중음악에서 노래를 담당하며 멜로디와 가사를 전달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록 밴드나 음악 유닛에서 필수적인 존재이다. - 가창 - 크루너
크루너는 라디오 방송과 전기 녹음 기술 발전에 힘입어 등장한 부드럽고 섬세한 창법의 대중가수를 일컫는 용어이다. - 오페라 용어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 오페라 용어 - 비브라토
비브라토는 음악에서 음높이를 주기적으로 미세하게 흔들어 음색에 생동감과 따뜻함을 더하는 기법으로, 19세기 이후 서양 음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다양한 악기와 장르에서 활용된다.
테시투라 | |
---|---|
일반 정보 | |
이탈리아어 | tessitura |
설명 | 특정 악기 또는 성악가가 가장 편안하게 연주하거나 노래할 수 있는 음역 |
어원 | |
어원 | 이탈리아어 "tessitura" (직물)에서 유래 |
비유적 의미 | 음역이 마치 천의 짜임새와 같이 느껴진다는 의미 |
음악적 특징 | |
중심 음역 | 특정 음악 작품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음역 |
중요도 | 음악적 효과와 표현에 중요한 역할 |
성악 | 성악가가 편안하게 소리 낼 수 있는 음역을 결정 |
악기 | 악기의 음색과 표현 가능성에 영향 |
관련 용어 | |
음역 | 악기나 성악가가 낼 수 있는 모든 음의 범위 |
음색 | 악기나 목소리의 고유한 소리 |
성구 | 성악에서 특정 음역을 내는 방법 또는 그 음역 |
활용 | |
작곡 | 작곡가는 악기나 성악가의 음역을 고려하여 작품을 작곡해야 함 |
편곡 | 편곡자는 악기나 성악가의 음역에 맞춰 곡을 편곡해야 함 |
교육 | 음악 교육에서 음역과 음색에 대한 이해는 중요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Benjamin, 2003, p. 6 Titze, 2008, pp. 59-61 |
2. 정의 및 개념
테시투라(Tessitura)는 성악에서 특정 음역 내에서 멜로디가 얼마나 편안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연주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는 단순히 낼 수 있는 음의 범위를 나타내는 음역과는 구별된다. 테시투라는 멜로디가 주로 위치하는 음역대, 즉 가장 듣기 좋고 편안하게 들리는 음역대를 가리킨다.
가수가 낼 수 있는 음의 범위(음역)가 넓다고 해도, 그 음들을 지속적으로 편안하게 노래할 수 없다면 해당 음역대는 테시투라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테시투라는 가수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멜로디의 음역대를 의미한다.
2. 1. 테시투라와 음역
테시투라(Tessitura)는 특정 음역 내에서 멜로디가 얼마나 편안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연주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1] 음역(vocal range)은 단순히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음부터 가장 높은 음까지의 범위를 의미하는 반면,[2] 테시투라는 멜로디가 주로 위치하는 음역대, 즉 가장 듣기 좋고 편안하게 들리는 음역대를 가리킨다.예를 들어, 어떤 가수가 매우 높은 고음까지 낼 수 있다고 해도, 그 음을 지속적으로 편안하게 노래할 수 없다면 그 음역대는 테시투라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낮은 음역대의 멜로디라도 가수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다면 그 음역대는 테시투라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아래는 테시투라 관련 참고 자료이다.
- Harris, Lee Davis, ''A Study of Intensity Control in Males with Developing Voices: Implications for Pitch Range and Tessitura'', University of North Texas, December 1996.[1]
- Moore, Randall S., ''Comparison of Children's and Adults' Vocal Ranges and Preferred Tessituras in Singing Familiar Songs'',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no. 107, 1991, pp. 13–22.[2]
- Von Hippel, Paul, ''Redefining Pitch Proximity: Tessitura and Mobility as Constraints on Melodic Intervals'', Music Perception, vol. 17, no. 3, 2000, pp. 315–327.
2. 2. 테시투라의 중요성
성악가는 자신의 테시투라, 즉 편안하게 낼 수 있는 음역을 고려하여 곡을 선정해야 한다. 무리하게 자신의 음역을 벗어나는 곡을 선택하면 성대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최상의 소리를 내기 어렵다.[1][2] 테시투라는 곡의 전반적인 음높이를 나타내므로, 성악가는 자신의 테시투라에 맞는 곡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기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3. 성악에서의 테시투라
성악에서 테시투라는 특정 음성 유형이 편안하게 낼 수 있는 음역대이자, 해당 음역 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음색을 낼 수 있는 범위를 가리킨다.[1] 테시투라는 단순히 음역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곡의 멜로디, 분위기, 그리고 감정 표현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성악은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콘트랄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각 유형별 테시투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성악 유형별 테시투라
성악에서 테시투라는 특정 음성 유형이 편안하게 낼 수 있는 음역대를 의미한다. 주요 성악 유형별 일반적인 테시투라는 다음과 같다.- 소프라노: 가장 높은 음역대를 담당하는 여성 가수로, 음성 유형과 파흐에 따라 테시투라가 달라진다.
- 메조소프라노: 소프라노와 콘트랄토 사이의 여성 음역으로, 소프라노보다 낮고 콘트랄토보다 높은 테시투라를 갖는다.
- 콘트랄토: 여성의 가장 낮은 음역으로, 일반적으로 F3에서 F5 사이의 테시투라를 갖는다.
- 테너: 높은 음역대의 남성 성악 유형으로, 합창에서 가장 높은 음역을 담당하며 오페라에서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다.
- 바리톤: 베이스와 테너 사이의 음역을 가지며, 굵고 풍부한 음색으로 남성적인 힘과 무게감을 표현한다.[1]
- 베이스: 가장 낮은 음역을 가진 남성 성구로, 일반적으로 베이스 음자리표의 둘째 줄 아래 F(F2)에서 가운데 C 위의 E(E4)까지의 테시투라를 갖는다.[1]
3. 1. 1. 소프라노 테시투라
성악에서 소프라노는 가장 높은 음역대를 담당하는 여성 가수를 의미한다. 소프라노의 테시투라는 소프라노가 편안하게 낼 수 있는 음역대를 말하며, 이는 소프라노의 음성 유형과 파흐에 따라 달라진다.다음은 대표적인 소프라노 배역들이다.
3. 1. 2. 메조소프라노 테시투라
메조소프라노는 소프라노와 콘트랄토 사이의 여성 성악 음역이다. 메조소프라노의 테시투라는 소프라노보다 낮고 콘트랄토보다 높게 위치한다.3. 1. 3. 콘트랄토 테시투라
콘트랄토는 여성의 가장 낮은 음역으로, 풍부하고 깊은 음색이 특징이다. 콘트랄토 테시투라는 일반적으로 F3에서 F5 사이의 음역을 갖는다. 콘트랄토는 오페라에서 주로 나이 든 여성, 마녀, 집시 등의 역할을 맡는다.대표적인 콘트랄토 배역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다양한 오페라에서 콘트랄토 배역을 찾아볼 수 있다.
3. 1. 4. 테너 테시투라
테너는 오페라에서 자주 등장하는 높은 음역대의 남성 성악 음성 유형이다. 테너는 일반적으로 합창에서 가장 높은 음역을 담당하며, 오페라에서는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다. 테너의 테시투라는 곡에서 테너 파트의 음높이가 어느 범위에 주로 분포하는지를 나타낸다.3. 1. 5. 바리톤 테시투라
바리톤의 테시투라는 일반적으로 베이스와 테너 사이의 음역을 갖는다. 바리톤은 굵고 풍부한 음색을 지니며, 남성적인 힘과 무게감을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 오페라에서는 영웅, 악당, 아버지 등 다양한 역할을 맡는다.[1]대표적인 바리톤 배역으로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의 피가로,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의 에스카미요,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의 리골레토 등이 있다.[1]
3. 1. 6. 베이스 테시투라
베이스는 성악에서 가장 낮은 음역을 가진 남성 성구이다. 베이스 테시투라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음자리표의 둘째 줄 아래 F(F2)에서 가운데 C 위의 E(E4)까지로 간주된다.[1] 베이스의 경우 다른 성악 파트보다 테시투라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편이다.대표적인 베이스 배역은 다음과 같다:
배역 | 오페라 |
---|---|
자라스트로 | 마술피리 |
오스민 | 후궁으로부터의 유괴 |
로코 | 피델리오 |
돈 바르톨로 | 세비야의 이발사 |
보리스 고두노프 | 보리스 고두노프 |
필리포 2세 | 돈 카를로스 |
3. 2. 테시투라와 곡의 조화
테시투라는 곡의 멜로디, 분위기, 감정 표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곡을 해석하고 표현할 때 테시투라를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멜로디: 곡의 멜로디는 테시투라에 따라 다르게 들릴 수 있다. 높은 테시투라에서는 멜로디가 더 밝고 경쾌하게 들리는 반면, 낮은 테시투라에서는 멜로디가 더 어둡고 무겁게 들릴 수 있다.
- 분위기: 테시투라는 곡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소프라노의 높은 테시투라는 천상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베이스의 낮은 테시투라는 장엄하거나 슬픈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감정 표현: 테시투라는 가수가 감정을 표현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높은 테시투라에서는 흥분, 기쁨, 환희와 같은 감정을 표현하기 쉽고, 낮은 테시투라에서는 슬픔, 분노, 절망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기 쉽다.
따라서 가수는 자신의 음역과 테시투라를 고려하여 곡을 선택하고, 곡의 멜로디, 분위기, 감정 표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작곡가는 가수의 테시투라를 고려하여 곡을 작곡함으로써 곡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4. 비성악 분야에서의 테시투라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겠습니다.)
5. 테시투라 관련 연구
- 리 데이비스 해리스(Lee Davis Harris)는 1996년 노스 텍사스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발성 중인 남성의 강도 조절 연구: 음높이 범위 및 테시투라에 대한 시사점"에서 음높이 범위와 테시투라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1]
- 랜들 S. 무어(Randall S. Moore)는 1991년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에 게재된 "익숙한 노래를 부를 때 어린이와 성인의 음역 및 선호하는 테시투라 비교"라는 논문에서 어린이와 성인의 음역 및 선호하는 테시투라를 비교 연구했다.[2]
- 폴 폰 히펠(Paul Von Hippel)은 2000년 Music Perception에 게재된 "음높이 근접성 재정의: 멜로디 간격에 대한 제약으로서의 테시투라와 이동성"이라는 논문에서 테시투라와 이동성이 멜로디 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 폴 폰 히펠(Paul Von Hippel)과 데이비드 휴런(David Huron)은 2000년 Music Perception에 "왜 반전 이전에 건너뛰기가 선행하는가? 멜로디 구조에 대한 테시투라의 영향"이라는 논문을 게재하여 멜로디 구조에 대한 테시투라의 영향을 연구했다.
참조
[1]
서적
The Craft of Tonal Counterpoint
Taylor & Francis
[2]
저널
Voice Research and Technology: Quantifying Tessitura in a Song
20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