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랑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니 블랑코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3루수와 1루수로 활약했다. 2005년 워싱턴 내셔널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으며, 이후 일본 프로 야구(NPB)에서 주니치 드래건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오릭스 버펄로스 등에서 뛰었다. 특히 NPB 첫 해에 홈런왕과 타점왕을 석권하는 등 뛰어난 장타력을 보여주었으며, 2013년에는 타율, 홈런, 타점 모두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선수 - 교다 요타
교다 요타는 주니치 드래곤즈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에서 활약한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빠른 발과 뛰어난 수비력을 가졌으나 타격 부진으로 여러 포지션을 소화하며 2017년 신인왕 수상 및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우승에 기여했다.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선수 - 모모세 히로키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모모세 히로키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에서 유격수로 활동하며 뛰어난 주력을 선보였으나, 은퇴 후 야구진흥부 및 홍보 담당으로 활동 중이다. - 워싱턴 내셔널스 선수 - 애덤 던
애덤 던은 뛰어난 장타력과 높은 삼진율을 동시에 가진 미국 프로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에서 여러 팀을 거치며 14시즌 동안 활약했고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미국 대표팀으로도 출전했지만 수비에서는 약점을 드러냈다. - 워싱턴 내셔널스 선수 - 유네스키 마야
유네스키 마야는 쿠바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으로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KBO 리그에서 노히트노런을 달성했지만, 미국과 한국 리그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멕시코 리그를 거쳐 은퇴한 쿠바 출신의 전 야구 선수이다. - 오릭스 버펄로스 선수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오릭스 버펄로스 선수 - 다케야스 다이치
다케야스 다이치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한신 타이거스와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활동했으며, 2017년 1군 데뷔 후 첫 승을 거두고 2019년에는 완봉승을 기록했으며, 2024년부터는 구마모토 골든 락스의 코치로 활동한다.
| 토니 블랑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토니 블랑코 |
| 원어 이름 | Tony Blanco |
| 출생일 | 1980년 11월 10일 |
| 출생지 | 도미니카 공화국 산후안 주 산후안데라마과나 |
| 신장 | 188 cm |
| 체중 | 102 kg |
| 포지션 | 1루수 |
| 타석 | 우 |
| 투구 | 우 |
| MLB 경력 | |
| 데뷔 | 2005년 4월 4일 |
| 마지막 경기 | 2005년 9월 24일 |
| 소속 팀 | 워싱턴 내셔널스 |
| 타율 | .177 |
| 홈런 | 1 |
| 타점 | 7 |
| NPB 경력 | |
| 데뷔 | 2009년 4월 3일 |
| 마지막 경기 | 2016년 7월 12일 |
| 소속 팀 | 주니치 드래건스 (2009–2012)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3–2014) 오릭스 버펄로스 (2015–2016) |
| 타율 | .272 |
| 홈런 | 181 |
| 타점 | 542 |
| 수상 | |
| NPB 올스타 | 4회 (2009–2010, 2013–2014) |
| 베스트 나인 | 3회 (2009, 2012–2013) |
| 센트럴 리그 타격왕 | 2013 |
| 센트럴 리그 타점왕 | 2회 (2009, 2013) |
| 센트럴 리그 홈런왕 | 2009 |
| 기타 정보 | |
| 프로 입단 | 1998년 |
| 드래프트 순위 | 아마추어 FA |
| 연봉 | 2억 5천만 엔 (2015년) |
| 학교 | 산 아구스틴 고등학교 |
2. 선수 경력
블랑코는 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 3루수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신시내티 레즈를 거쳐 2005년 워싱턴 내셔널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신인 시즌이었던 2005년, 타율 0.177, 홈런 1개, 7타점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콜로라도 로키스 산하 더블A 팀인 털사 드릴러스에서 타율 0.323, 23홈런, 88타점을 기록했다.
2008년 시즌 후 도미니카 윈터리그에서 뛴 후, 주니치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일본 프로 야구(NPB)에 진출했다. NPB 첫 해, 나고야 돔에서의 땅볼 홈런(돔 구장 역사상 최초), 도쿄 돔 광고판 위 조명 장치 맞히는 등 엄청난 장타력을 보여주었다. 첫 시즌에 39홈런, 110타점을 기록하며 센트럴 리그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센트럴 리그 인터리그 최우수 선수상과 올스타전 홈런 더비에서도 우승했다. 타율은 0.275였다.
이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013년 ~ 2014년)와 오릭스 버펄로스(2015년 ~ 2016년)에서도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1. 유년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보스턴 레드삭스가 1997년 도미니카 공화국에 설립한 아카데미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입단 당시 계약금은 5000USD였다.[2]2. 2. 프로 경력
블랑코는 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 3루수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2년 신시내티 레즈로 트레이드되었고, 2005년 룰 5 드래프트에서 워싱턴 내셔널스에 지명되어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지만, 타율 0.177, 1홈런, 7타점으로 부진했다. 2008년에는 콜로라도 로키스 산하 더블A 팀에서 타율 0.323, 23홈런, 88타점을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008년 시즌 후, 타이론 우즈를 방출한 주니치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일본 프로야구(NPB)에 진출했다. 첫 시즌에 39홈런, 110타점을 기록하며 센트럴 리그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센트럴 리그 인터리그 최우수 선수상과 올스타전 홈런 더비에서도 우승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나고야 돔 역사상 최초의 땅볼 홈런, 도쿄 돔 광고판 위 조명 장치 맞히기 등 엄청난 장타력으로 화제를 모았다.
이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013~2014년)와 오릭스 버펄로스(2015~2016년)에서도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2. 1. 미국 프로야구 (MLB)
1997년 보스턴 레드삭스가 도미니카에 설립한 아카데미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입단 당시 계약금은 5000USD였다.[2] 1998년 7월 2일, 공식적으로 레드삭스와 프로 계약을 맺고 미국으로 건너갔다.[2] 12월 6일, 트레이드를 통해 신시내티 레즈로 이적했다.1A(싱글A)에서 뛰었을 당시에는 레즈의 유망주로 이름을 올렸다. 12월 13일 룰5 드래프트에서 워싱턴 내셔널스에 의해 지명되어 이적했다. 4월 4일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이 해에는 메이저 리그에서 56경기에 출전했지만, 타율 .177, 1홈런, 7타점의 성적을 남겼다. 이듬해부터는 성적이 부진하여 루키 리그와 AA를 오가는 처지였다.
10월 29일 FA(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1월 8일에 콜로라도 로키스(Colorado Rockies)와 계약했다. 2A에서 타율 .323, 23홈런, 88타점을 기록했다. 가을 도미니카 윈터리그에서는 에스트레야스 오리엔탈레스(Estrellas Orientales)에 소속되어 19안타, 9홈런으로 장타력을 발휘했다.
2. 2. 2. 일본 프로야구 (NPB)
2008년 12월, 주니치 드래곤스는 고액 연봉의 클린업 히터 타이론 우즈를 방출하고 그의 대체 선수로 블랑코를 영입했다.[3] 블랑코의 등록명은 '블랑코'였으며,[4] 등번호는 '''42'''번이었다.일본 프로 야구(NPB) 첫 해, 블랑코는 엄청난 장타력을 선보였다. 나고야 돔에서의 땅볼 홈런(돔 구장 역사상 최초), 도쿄 돔 광고판 위 조명 장치 맞히기, 나고야 돔과 오사카 돔 상층 관중석까지 날리는 등 장타력을 과시했다. 39홈런, 110타점을 기록하며 센트럴 리그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8] 타율은 0.275였다. 센트럴 리그 인터리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고, 올스타전 전 홈런 더비에서도 우승했다.
2009년 4월 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개막전에서 미우라 다이스케로부터 백스크린에 꽂히는 솔로 홈런을 쳐 첫 타석 첫 홈런을 기록했다.[6] 5월 7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는 마에다 켄타로부터 나고야 돔 천장 높이 50m 지점의 천장 스피커에 직격하는 추정 비거리 160m의 대형 타구를 날려 나고야 돔 최초의 “인정 홈런”을 기록했다.
2010년에는 타구단의 집중 마크와 오른손 중지 부상으로 인해 타격 부진을 겪었다. 4번 타자에서 5번 타자로 강등되거나 2군으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32홈런을 기록하며 2년 연속 30홈런을 달성했다.
2011년에는 조엘 구스만과 펠릭스 카라스코의 영입으로 경쟁이 심화되었으나, 두 선수의 부진으로 레귤러로 출전했다. 10월에는 타율 .340, 6홈런(리그 1위), 12타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월간 MVP를 수상했다.[12]
2012년, 라쿠텐에서 복귀한 야마자키 타케시와의 포지션 경쟁에서 밀려 개막 초반에는 대타로 출전했지만, 야마자키의 부상으로 4월 하순부터 다시 선발 라인업에 합류했다. 5월에는 월간 타율 3할 3푼 3리, 9홈런, 23타점을 기록하며 월간 MVP를 수상했다. 그러나 7월 8일 DeNA전에서 야마구치 슌에게 사구를 맞아 왼손 중지 골절로 등록 말소되었다. 오프 시즌 구단 측은 블랑코와 재계약을 하지 않았고, 블랑코는 11월 30일 자유 계약 공시되었다.
2012년 12월 11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는 블랑코와 2년 총액 5억엔의 계약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19] 일본 프로야구에서의 등록명은 이름을 포함한 '''T. 블랑코'''로 변경되었다.
2013년, 블랑코는 타율 .333, 41홈런, 136타점으로 모두 자기 최고 성적을 달성했고, 처음으로 최고 타격상과 두 번째 타점왕을 획득했다. 4월에는 월간 14홈런을 기록하며 구단 기록을 59년 만에 경신했다.
2014년에는 잦은 허벅지 근육 파열로 고생하며, 85경기 출전, 타율 .283, 17홈런, 60타점에 그쳤다. 12월 2일 자유 계약 선수로 공시되었다.[23]
2014년 12월 6일, 오릭스 버펄로스는 블랑코의 영입을 발표했다.[24]
2015년, 블랑코는 5번 지명타자로 개막전에 선발 출전했지만, 잦은 부상으로 52경기 출전에 그쳤다. 홈런 수는 일본 프로야구 진출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에 미치지 못했다.
2016년에도 부상에 시달리며 27경기 출전, 3홈런에 머물렀고, 12월 2일 자유 계약 선수로 공시되었다.[27]
2. 3. 일본 프로야구 이후
2021年일본어 12월 12일, HFL의 시베쓰 사무라이 블레이즈와 선수 겸 감독으로 계약했다는 것이 발표되었으나,[28] 2022年일본어 3월 18일, 개인적인 사정으로 입국 비자가 발급되지 않아 계약을 파기했다는 것이 발표되었다(후임은 랄프 브라이언트).[29]3. 수상 및 타이틀 경력
블랑코는 2009년 NPB 첫 시즌에 주니치 드래건스 소속으로 센트럴 리그 홈런(39개)과 타점(110개)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3] 또한, 인터리그 경기에서 11홈런 24타점으로 센트럴 리그 인터리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고, 올스타전 전 홈런 더비에서도 우승했다.
3. 1. 일본 프로야구 (NPB)
블랑코는 일본 프로 야구(NPB)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009년 주니치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첫 해부터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하며 센트럴 리그 MVP를 수상했다.[3] 2013년에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로 이적하여 타격왕과 타점왕을 차지하며 2년 연속 타점왕을 기록했다.블랑코는 일본 프로 야구 통산 3번의 베스트 나인(2009년, 2012년, 2013년)에 선정되었고, 3번의 월간 MVP(2011년 10월, 2012년 5월, 2013년 3·4월)를 수상했다.[11][12] 2009년에는 세·파 교류전 일본생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다음은 블랑코의 일본 프로 야구 주요 수상 기록이다.
| 상 | 횟수 | 연도 |
|---|---|---|
| 최다 안타 | 1회 | 2013년 |
| 홈런왕 | 1회 | 2009년 |
| 타점왕 | 2회 | 2009년, 2013년 |
| 베스트 나인 | 3회 | 2009년, 2012년, 2013년 |
| 월간 MVP | 3회 | 2011년 10월,[11][12] 2012년 5월, 2013년 3·4월 |
| 월간 사요나라상 | 1회 | 2014년 9월 |
| 세·파 교류전 일본생명상 | 1회 | 2009년 |
| 홈런 더비 우승 | 3회 | 2009년 1차전, 2013년 1차전, 동년 2차전 |
4. 개인 기록 (NPB)
블랑코는 일본 프로 야구(NPB) 첫 해에 나고야 돔 역사상 최초로 땅볼 홈런을 기록하고, 도쿄 돔 광고판 위 조명 장치를 맞히는 등 엄청난 장타력을 선보였다.[1] 2009년 시즌 39홈런, 110타점으로 센트럴 리그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인터리그 MVP와 올스타전 홈런 더비에서도 우승했다.[1]
4. 1. 첫 기록
- 첫 출전·첫 선발 출전: 2009년 4월 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 (나고야 돔), 4번·1루수로 선발 출전[6]
- 첫 타석·첫 안타·첫 홈런·첫 타점: 상동, 2회말 미우라 다이스케에게서 중월 솔로 홈런(※ 역사상 48번째 첫 타석 첫 홈런, 개막전 달성은 역사상 9번째)[6]
- 첫 도루: 2009년 7월 7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초 2루 도루 (투수: 무라나카 쿄헤이, 포수: 아이카와 료지)
4. 2. 기념 기록
- 100홈런: 2012년 6월 5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3차전 (세이부 돔), 8회초 나가타 슈이치로로부터 좌월 2점 홈런[32] ※ 역사상 264번째
- 150홈런: 2013년 9월 30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24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5회초 무라나카 쿄헤이로부터 좌월 3점 홈런[32] ※ 역사상 159번째
4. 3. 기타 기록
5. 상세 정보
토니 블랑코는 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 3루수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2년 토드 워커를 보스턴으로 보내는 트레이드의 추후 지명 선수로 신시내티 레즈로 트레이드되었다. 2003년 레즈 구단의 유망주로서 캐롤라이나 리그의 포토맥 캐논스에서 활약했다. 2005년 룰 5 드래프트에서 내셔널스에 지명되어 포토맥 내셔널스에서 시즌을 시작, 메이저 리그 스프링 캠프에 초청되어 로스터에 합류하여 56경기에 출전했다. 신인 시즌이었던 2005년, 타율 0.177, 1홈런, 7타점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콜로라도 로키스 산하 더블A 팀인 털사 드릴러스에서 타율 0.323, 23홈런, 88타점을 기록했다. 2008년 시즌 후 도미니카 윈터리그의 에스트렐라스 오리엔탈레스에서 뛰었다. 이후 타이론 우즈를 방출한 주니치 드래곤스에 입단했다.
일본 프로 야구(NPB) 첫 해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엄청난 장타력으로 유명해졌다. 나고야 돔에서의 땅볼 홈런(돔 구장 역사상 최초), 도쿄 돔 광고판 위 조명 장치 맞히기, 나고야 돔과 오사카 돔 상층 관중석까지 날리는 등의 장타력을 보여주었다. 첫 시즌에 39홈런, 110타점을 기록하며 중앙리그에서 두 부문 모두 1위를 차지했고, 타율은 0.275였다. 홈런과 타점왕 외에도 인터리그 경기에서 11홈런 24타점으로 중앙리그 인터리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고, 올스타전 전 홈런 더비에서도 우승했다(올스타전에서는 중앙리그 1루수로 출전).
5. 1. 연도별 타격 성적 (NPB)
| 년도 | 구단 | 시합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4구 | 고의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white-space:nowrap;" | 주니치 | 144 | 615 | 549 | 87 | 151 | 25 | 0 | 39 | 293 | 110 | 1 | 1 | 0 | 4 | 48 | 0 | 14 | 157 | 17 | .275 | .346 | .534 | .880 | |
| 134 | 561 | 493 | 71 | 130 | 21 | 0 | 32 | 247 | 86 | 0 | 0 | 0 | 2 | 57 | 3 | 9 | 158 | 13 | .264 | .349 | .501 | .850 | ||
| 78 | 318 | 278 | 39 | 69 | 13 | 1 | 16 | 132 | 48 | 0 | 0 | 0 | 5 | 30 | 1 | 5 | 68 | 6 | .248 | .327 | .475 | .802 | ||
| 96 | 359 | 311 | 44 | 77 | 10 | 0 | 24 | 159 | 65 | 2 | 1 | 0 | 3 | 40 | 2 | 5 | 84 | 5 | .248 | .340 | .511 | .851 | ||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white-space:nowrap;" | DeNA | 134 | 558 | 483 | 74 | 161 | 22 | 0 | 41 | 306 | 136 | 1 | 1 | 0 | 4 | 62 | 6 | 9 | 118 | 10 | .333 | .416 | .634 | 1.049 | |
| 85 | 333 | 311 | 32 | 88 | 14 | 0 | 17 | 153 | 60 | 0 | 0 | 0 | 0 | 18 | 4 | 4 | 91 | 5 | .283 | .330 | .492 | .822 | ||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white-space:nowrap;" | 오릭스 | 52 | 189 | 165 | 13 | 32 | 1 | 0 | 9 | 60 | 24 | 0 | 0 | 0 | 2 | 21 | 1 | 1 | 53 | 2 | .194 | .286 | .364 | .649 | |
| 27 | 94 | 78 | 6 | 17 | 2 | 0 | 3 | 28 | 13 | 0 | 0 | 0 | 1 | 14 | 0 | 1 | 26 | 2 | .218 | .340 | .359 | .699 | ||
| NPB: 8년 | 750 | 3027 | 2668 | 366 | 725 | 108 | 1 | 181 | 1378 | 542 | 4 | 3 | 0 | 21 | 290 | 17 | 48 | 755 | 60 | .272 | .351 | .516 | .868 |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5. 2. 연도별 수비 성적 (NPB)
도단
기
은
수
움
책
살
비
율
기
은
수
움
책
살
비
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