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는 1929년 창단된 일본 프로 야구 구단으로, 센트럴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구단은 여러 차례 이름을 변경했으며, 2011년 DeNA에 인수되어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1960년과 1998년에 리그 우승, 1960년, 1998년, 2024년에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7년과 2024년에는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도 우승했다.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역대 유명 선수로는 타이론 우즈, 알렉스 라미레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요코하마 스타디움
요코하마 스타디움은 요코하마 공원 내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오랜 역사를 거쳐 1978년 현재 모습으로 건설되었으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는 다목적 스타디움이다.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요코스카 스타디움
요코스카 스타디움은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개장 후 아마추어 야구 경기가 주로 열리다 1997년 개축과 함께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군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DeNA - Cygames
사이게임즈는 사이버에이전트가 2011년에 설립한 일본 게임 개발사로, DeNA와의 협력 및 '그 해 최고의 10 개발사' 선정으로 개발력을 인정받았으며, 《바하무트 - 배틀 오브 레전드》,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그랑블루 판타지》, 《섀도우버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등의 주요 작품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으로 게임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 DeNA - 모바게
모바게는 DeNA에서 시작한 일본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게임 플랫폼으로, 휴대폰에서 시작하여 PC와 스마트폰으로 확장되었으며, 다양한 기능과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며 성장해왔지만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1950년 설립된 야구팀 - 지바 롯데 마린스
지바 롯데 마린스는 1950년 창단한 마이니치 오리온스를 모태로 하여 지바 롯데 마린스로 개명한 일본 프로야구 퍼시픽리그 소속 구단으로, 일본 시리즈와 아시아 시리즈 우승 등의 화려한 역사와 독특한 팀 문화로 유명하다. - 1950년 설립된 야구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1949년에 창단되어 히로시마현을 연고지로 하는 일본 프로 야구팀으로, 9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기록했으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정식 명칭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영어 표기 | Yokohama DeNA BayStars |
일본어 표기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요코하마 디ー에누에ー 베이스타즈) |
창단 | 1949년 12월 15일 |
연고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나카구 |
홈 구장 | 요코하마 스타디움 |
별칭 | 없음 |
모기업 | DeNA |
구단주 | 난바 도모코 |
사장 | 기무라 요타 |
감독 | 미우라 다이스케 |
주장 | 마키 슈고 |
선수 회장 | 오누키 신이치 |
마스코트 | DB.스타맨, DB.키라라 |
팀 컬러 | 파랑, 흰색 |
유튜브 채널 | YOKOHAMA DeNA BAYSTARS CHANNEL |
역사 | |
이전 구단명 | 다이요 웨일스 (1950년 ~ 1952년) 다이요 쇼치쿠 로빈스 (1953년) 요쇼 로빈스 (1954년) 다이요 웨일스 (1955년 ~ 1977년)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1978년 ~ 1992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993년 ~ 2011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2년 ~ 현재) |
이전 홈구장 | 시모노세키 야구장 (1950년–1952년) 오사카 스타디움 (1953년–1954년) 가와사키 구장 (1955년–1977년) |
프랜차이즈 변천 | 야마구치현 (1952년) 오사카부 (1953년 ~ 1954년) 가나가와현 (1955년 ~ 현재) |
성적 | |
리그 | 센트럴 리그 |
리그 우승 횟수 | 2회 |
리그 우승 연도 | 1960년 1998년 |
일본 시리즈 우승 횟수 | 3회 |
일본 시리즈 우승 연도 | 1960년 1998년 2024년 |
일본 시리즈 출전 횟수 | 4회 (3승 1패) |
일본 시리즈 출전 연도 | 1960년 1998년 2017년 2024년 |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우승 횟수 | 1회 |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우승 연도 | 2023년 |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횟수 | 6회 |
클라이맥스 시리즈 성적 | 2승 4패 |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연도 | 2016년 2017년 2019년 2022년 2023년 2024년 |
기타 | |
영구 결번 | 없음 |
2. 구단의 역사
하야시카네 상점(이후 다이요 어업을 거쳐 현 마루하니치로)의 실업 야구팀으로 1929년 5월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창단된 것이 구단의 시초이다.[10] 태평양 전쟁 이후 1946년 다이요 어업 야구부로 재건되었고, 1948년 국민 체육 대회 우승 등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다.[11]
1949년 프로 야구 리그 확장 정책에 따라 '''주식회사 마루하 구단'''(株式会社まるは球団일본어)으로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센트럴 리그에 가입했다. 시모노세키시를 연고지로 삼았으며, 1950년 시즌 개막 후 팀명을 '''다이요 웨일스'''(大洋ホエールズ|다이요 호에루즈일본어)로 변경했다. 창단 초기에는 하위권을 맴돌았다.
1953년 경영난을 겪던 쇼치쿠 로빈스와 합병하여 '''다이요 쇼치쿠 로빈스'''(大洋松竹ロビンス일본어)가 되었고, 이듬해 '''요쇼 로빈스'''(洋松ロビンス일본어)로 개칭했다. 이 시기에는 오사카를 실질적인 본거지로 활동했으나 성적은 부진했다.[17]
1955년 쇼치쿠가 경영에서 철수하면서 팀명은 다시 '''다이요 웨일스'''로 돌아왔고, 연고지를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의 가와사키 구장으로 이전했다.[19] 가와사키 시대 초기에도 최하위를 맴돌았으나, 1960년 미하라 오사무 감독의 지휘 아래 창단 첫 센트럴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제패를 달성하는 극적인 성공을 거두었다.[22] 하지만 이후 다시 오랜 기간 하위권에 머물렀다.
1978년 요코하마시에 요코하마 스타디움이 완공되면서 연고지를 이전하고 팀명을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横浜大洋ホエールズ일본어)로 변경했다.[28] 요코하마 이전을 계기로 지역 밀착 마케팅을 강화하며 팬층을 넓히려 노력했다. 이 시기 TBS와 닛폰 방송이 구단 지분에 참여하게 되었다.
1993년 모기업 마루하의 CI 변경에 맞춰 팀명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横浜ベイスターズ일본어)로 개칭하고, 기업명을 제외한 지역명을 강조하며 시민 구단 이미지를 강화했다.[12] 1998년 곤도 히로시 감독 아래 바비 로즈, 이시이 타쿠로, 스즈키 다카노리 등이 활약한 '''머신 건 타선'''과 절대적인 마무리 투수 사사키 가즈히로의 활약을 앞세워 38년 만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1] 그러나 이후 다시 긴 암흑기를 겪었고, 2002년에는 TBS가 구단의 최대 주주가 되었다.[1]
2011년 12월 2일, 모바일 게임 기업 DeNA가 TBS로부터 구단을 인수하면서 팀명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横浜DeNAベイスターズ일본어)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92] DeNA 인수 이후 팀은 점진적인 성적 향상을 보였으며, 2017년과 2024년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고, 2024년에는 26년 만에 통산 세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구분 | 횟수 | 연도 |
---|---|---|
센트럴 리그 우승 | 2회 | 1960, 1998 |
일본 시리즈 우승 | 3회 | 1960, 1998, 2024 |
교류전 우승 | 1회 | 2023 |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 2회 | 2017, 2024 |
A클래스 진입 (리그 1~3위) | 21회 | 1960, 1962, 1964, 1969-1971, 1979, 1983, 1990, 1997-2001[170], 2005, 2016-2017, 2019, 2022-2024 |
B클래스 진입 (리그 4~6위) | 54회 | 1950-1959, 1961, 1963, 1965-1968, 1972-1978, 1980-1982, 1984-1989, 1991-1996, 2002-2004, 2006-2015, 2018, 2020-2021 |
리그 최하위 | 25회 | 1954-1959, 1961, 1966[171], 1976-1977, 1981, 1984, 1989, 1994, 2002-2004, 2006, 2008-2012, 2015, 2021 |
2. 1. 창단 초기 (1929년 ~ 1952년)
하야시카네 상점 (후의 다이요 어업→마루하, 현 마루하니치로)의 실업팀으로서 1929년 5월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창단되었다.[10] 이듬해인 1930년 제4회 전일본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전국 대회 경험을 쌓았으나(첫 경기 패배), 세계 대공황의 영향으로 1932년 제6회 전일본 도시 대항 야구 대회를 앞두고 활동을 중단했으며, 연식 야구부만 태평양 전쟁 발발 전후까지 유지되었다.[11]전쟁 후인 1946년 6월, 다이요 어업(1945년 12월 개칭)의 연식 야구부로 부활하였고, 같은 해 11월(일설에는 1947년 3월)에 경식 야구부로 전환했다. 이후 도시 대항 야구의 단골 팀이 되었으며, 1948년에는 국체에서 우승하며 전국적으로 이름을 알렸다.[11]
1949년 시즌 종료 후, 프로 야구가 리그 확장을 추진하면서 다이요 어업 야구부의 주력 선수였던 토쿠라 카츠시로, 카와우치 타쿠지, 토쿠아미 시게루 등이 신생 구단인 마이니치 오리온스로 이적하게 되었다. 이에 야구부에 열정을 쏟았던 나카베 켄이치 전 사장은 분개하여 자사 야구부의 프로 참가를 결정했다.
1949년 11월 22일, '주식회사 마루하 구단'(株式会社まるは球団일본어)을 설립하고, 잠정적으로 구단명을 '''마루하 구단'''(まるは球団일본어)으로 하여 센트럴 리그에 가입했다.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를 프랜차이즈로 삼고, 시모노세키 시영 구장(시모노세키 구장과는 다른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원래 구단명 표기는 다이요의 사표(社標)인 'は'를 원으로 감싼 형태여야 했으나, 당시 신문 활자에 해당 문자가 없어 'まるは'로 표기하게 되었다고 한다.[12] 사회인 야구팀으로서의 다이요 어업 야구부는 마루하 구단 창립으로 1949년 11월 30일 해산되었지만, 마루하 구단으로 이적하지 못한 선수들을 위해 '전 시모노세키'(全下関일본어) 팀이 결성되어 1951년까지 활동했다.[11]
1950년 시즌 개막 후, 구단명을 '''다이요 웨일스'''(大洋ホエールズ|다이요 호에루즈일본어)로 변경했다(같은 해 3월 회사명도 주식회사 다이요 구단으로 변경).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베테랑 나카지마 하루야스와 히라야마 키쿠지, 다이요 로빈스에서 후지이 이사무와 하야시 나오아키를 영입했다. 또한 우타카 이사오의 스카우트 활동을 통해 도큐 플라이어스에서 오사와 키요시, 나가모치 에이키치, 카타야마 히로시 등, 한큐 브레이브스에서 미야자키 고, 이마니시 렌타로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그러나 투수력의 약점 등으로 인해 리그 참가 첫해인 1950년에는 5위, 1951년에는 6위, 1952년에는 4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1950년에는 69박 70일간 17개 구장에서 36경기를 치르는 장기 원정을 소화해야 하는 이례적인 일정을 겪기도 했다.[13]
1951년에는 재정난을 겪던 히로시마 카프와의 흡수 합병이 검토되었으나, 히로시마 구단 관계자와 지역 시민들의 필사적인 존속 운동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1952년 9월 7일 쇼치쿠 로빈스와의 경기(교토시 니시쿄고쿠 종합운동공원 야구장)에서는 당시 센트럴 리그 최장 이닝 기록인 연장 20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끝내기 패배를 당하기도 했다. 같은 해 프랜차이즈 제도가 정식 도입되어 야마구치현을 보호 지역으로 지정받았으나, 실제 시모노세키에서의 홈 경기는 연간 60경기 중 18경기에 불과했다. 나머지 홈 경기는 주로 규슈와 주고쿠 지방 등지에서 분산 개최되어, 시모노세키 시대에는 사실상 북부 규슈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구단의 성격도 강했다.[14]
2. 2. 오사카 시대 (1953년 ~ 1954년)
1952년 시즌 종료 후, 센트럴 리그는 "시즌 승률 3할 미만 구단에게 처벌을 내린다"는 합의를 했는데,[15] 쇼치쿠 로빈스가 이 규정에 해당되었다.[16] 이에 따라 1953년 1월 10일, 다이요 웨일스는 쇼치쿠 로빈스와 대등 합병하여 팀명을 大洋松竹ロビンス일본어로 변경했고, 센트럴 리그는 6개 구단 체제로 재편되었다.그러나 1953년 시즌에는 운영 회사의 완전한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프랜차이즈는 다이요의 시모노세키시와 쇼치쿠의 교토시에 병립하는 상태였다. 구단 운영도 두 회사가 하나의 팀을 운영하는 변칙적인 형태였으며, 선수들의 급여도 각자의 이전 소속 구단에서 지급되었다. 홈 경기는 명목상 시모노세키 시영 구장과 기누가사 구장을 사용하기로 했지만, 실제로는 흥행상의 이점을 고려하여 오사카 구장에서 주로 개최되었다.[17] 기누가사 구장은 1951년 주니치 스타디움 화재 사고 이후 방재 문제로 사용이 금지되어 합병 후에는 경기가 열리지 않았다.[17]
합병 첫해인 1953년 시즌 종료 후인 12월 16일, 구단 운영 회사가 신설 합병을 통해 '주식회사 다이요 쇼치쿠 구단'으로 정식 통합되었고, 구단 사무소도 오사카 스타디움 내에 마련되었다. 이듬해인 1954년에는 통칭인 '요쇼'(洋松)를 넣어 팀명을 洋松ロビンス일본어로 다시 변경했다.
오사카를 거점으로 활동했던 이 시기 팀 성적은 부진했다. 1953년에는 리그 5위에 그쳤고, 1954년에는 32승 96패 2무라는 참담한 성적으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 당시 우승팀이었던 주니치 드래곤스와는 무려 55경기 차, 5위였던 국철 스왈로스와도 23경기 차이로 크게 뒤처졌다. 쇼치쿠 로빈스는 합병 전인 1950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던 팀이었으나, 불과 몇 년 만에 성적 부진으로 합병 대상이 된 것이다. 당시 언론에서는 이 합병이 사실상 다이요 주도로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하기도 했다.[17]
2. 3. 가와사키 시대 (1955년 ~ 1977년)
1954년 12월 11일부로 쇼치쿠가 구단 경영에서 손을 떼면서 나카베 겐키치가 새로운 구단주가 되었다.[18] 팀 명칭은 다시 '''다이요 웨일스'''(大洋ホエールズ)로 변경되었고, 1955년 시즌 개막 직전인 2월 15일, 보호 지역을 가나가와현으로 이전했다.[19] 처음에는 도쿄도 이전을 계획했으나, 국철 스왈로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대신 요코하마시의 요코하마 공원 평화 야구장을 임시 본거지로 삼았다.[19] 그러나 이 구장 역시 프로 경기를 치르기에는 시설이 미흡하여, 구단은 같은 가나가와현 내에 있는 가와사키시의 가와사키 구장으로 본거지를 옮기기로 결정했다.[19] 당시 가와사키 구장을 홈으로 사용하던 톤보 유니온즈의 반발이 있었으나, 가네사시 후지타로 가와사키 시장의 중재로 이전이 성사되었다.[19] 이 과정에서 공식 서류상 본거지는 요코하마, 실제 경기장은 가와사키로 기재되어 훗날 요코하마 이전 시 논란의 불씨가 되었다.[19]; 1955년 ~ 1959년
가와사키 구장을 기반으로 새롭게 출발했지만, 1955년 성적은 31승 99패로 리그 최하위에 머물렀다. 1위 요미우리와는 NPB 역사상 최대인 61.5경기 차, 5위 국철과도 27경기 차라는 큰 격차를 보였다.[20][21] 팀은 쇼치쿠 로빈스 시절인 1954년부터 1959년까지 6년 연속 리그 최하위라는 부진을 겪었다. 이 기간 동안 곤도 마사토시(1955년)와 아키야마 노보루(1956년~1959년)가 리그 최다 패전 투수 기록을 이어갔는데, 특히 아키야마는 신인 시절부터 4년 연속 최다 패전이라는 불명예 기록을 세웠다.
; 1956년 ~ 1958년
1956년에는 메이지 대학 출신의 아키야마 노보루, 도이 아츠시, 이와오카 야스히로, 구로키 히로시게, 오키야마 미츠토시 5명이 동시에 입단했다. 이들은 '메이지 5인방'으로 불리며 큰 주목을 받았다. 에이스 아키야마는 매년 혹사 수준의 등판을 감내했고, 요미우리에서 이적해 온 아오타 노보루는 세 차례 홈런왕을 차지하며 타선을 이끌었다.
; 1960년
1959년까지 니시테쓰 라이온스 감독이었던 미하라 오사무를 감독으로 영입했다. 미하라 감독은 신인 곤도 아키히토와 시즌 중 긴테쓰 버펄로스에서 영입한 스즈키 다케시로 키스톤 콤비를 구축하고, 아키야마와 시마다 겐타로를 중심으로 한 투수력을 앞세워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의 요미우리를 누르고 전년도 최하위에서 극적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이어진 일본 시리즈에서도 다이마이 오리온스를 상대로 4전 전승(모두 1점 차 승리)을 거두며 창단 첫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올랐다.[22] 이는 다이요 웨일스 및 가와사키 시대의 유일한 리그 우승 및 일본 시리즈 우승 기록으로 남았다. 또한, 투수 시마다 겐타로는 이 해 8월 11일, 만 21세 생일을 2주 앞두고 팀 역사상 최초의 노히터 및 퍼펙트 게임을 달성하여 사사키 로키가 2022년에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최연소 퍼펙트 게임 달성자였다. 이 우승으로 다이요는 12개 구단 체제 이후 센트럴 리그 첫 일본 시리즈 우승팀이 되었지만[23][24][25], 이후 1998년까지 38년간 우승과 인연을 맺지 못했다.
; 1961년 ~ 1964년
개막 4연승으로 출발했으나 이후 부진에 빠지며, 전년도 우승팀이 불과 1년 만에 다시 리그 최하위로 추락했다. 1962년과 1964년에는 한신 타이거스와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였으나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특히 1964년에는 1위 한신과 단 1경기 차이였다. 1963년에는 최하위 히로시마에 1경기 앞선 5위를 기록했다. 1962년 9월 25일과 26일에는 아키야마 노보루가 한신을 상대로 2경기 연속 완봉승을 거두는 진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프랜차이즈 제도가 본격 시행된 1952년 이후 유일한 기록이다.[325]
; 1965년 ~ 1972년
미하라 감독은 1967년을 끝으로 퇴임했고, 팀은 다시 하위권을 맴돌았다. 1969년부터 1971년까지 3시즌을 제외하고는 1977년까지 5할 승률을 넘지 못했다. 이 시기 팀은 '메가톤 타선'이라 불리는 강력한 타선을 보유했고, 곤도 가즈히토, 클리트 보이어, 구와타 다케시, 마쓰바라 마코토, 히라마쓰 마사지, 존 시핀 등 뛰어난 선수들이 활약했다. 그러나 투수진의 약점과 재정적 지원 부족으로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특히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V9를 달성하던 기간 동안, 다이요는 강력한 타격으로 요미우리 투수진을 공략했지만, 빈약한 투수진 탓에 대량 실점하며 타격전 양상을 보이는 경기가 많았다. 이는 양익 89m, 중견 118m에 불과했던 홈구장 가와사키 구장의 협소함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 1973년 ~ 1975년
1973년 시즌 초반에는 히로시마와 함께 선두 경쟁을 벌였으나, 7월 이후 순위가 하락하여 결국 요미우리의 9년 연속 우승을 지켜보며 야쿠르트에게도 밀려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에 아오타 노보루 감독이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1974년과 1975년에도 팀은 5위에 머물렀다. 1974년에는 마쓰바라 마코토가 데뷔 첫 3할 타율을 기록하며 최다 안타 타이틀을 차지했다.
; 1976년 ~ 1977년
1976년에는 15년 만에 다시 리그 최하위로 떨어졌다. 이 무렵 구단은 가와사키에서 요코하마로의 이전을 추진하고 있었고, 아스카다 이치오 요코하마 시장의 주선으로 신구장 건설 자금 마련을 위해 국토 계획(현 프린스 호텔)의 출자를 받았다. 이로써 모기업인 다이요 어업이 55%, 국토 계획이 45%의 지분을 갖게 되었다. 5년 연속 B클래스(하위권)에 머문 책임을 물어 1975년에 감독으로 부임했던[326] 아키야마 노보루가 2군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아키야마는 선수 시절 2군 경험이 거의 없어 후보 선수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스타 선수들을 이끌 리더십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었다.[327] 후임으로는 1968년부터 1972년까지 팀을 이끌었던[328] 벳토 가오루가 다시 감독으로 부임했다.
1977년 1월, 구단주 나카베 겐키치가 사망하면서 모기업 다이요 어업은 장남 나카베 도지로가, 다이요 웨일스 구단주 자리는 삼남 나카베 신지로가 승계했다. 팀은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마쓰바라 마코토, 요네다 게이자부로 등 수비 명수들과 더불어 클리트 보이어, 존 시핀, 펠릭스 미얀 등 뛰어난 수비력을 갖춘 외국인 선수들의 활약으로 1970년대 다이요의 내야진은 견고함을 자랑했다. 이러한 수비 전통은 1980년대 야마시타 다이스케, 모토이 미쓰오, 다카기 유타카 등으로 이어졌다.
2. 4. 요코하마 시대 (1978년 ~ 현재)
1978년 요코하마시 나카구에 새로 건설된 요코하마 스타디움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 팀명도 도시 이름을 넣어 横浜大洋ホエールズ|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일본어로 변경되었다. 요코하마 이전을 계기로 초등학생 대상 팬클럽 창설 등 지역 밀착 노력을 통해 팬층을 넓혔다. 같은 해, 모기업 중 하나였던 국토 계획이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를 인수하면서 야구 협약에 따라 보유하고 있던 다이요 구단 주식을 닛폰 방송과 TBS에 매각했다. 이로써 2002년 초까지 다이요 어업(이후 마루하)이 55%, 닛폰 방송이 30%, TBS가 15%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다.요코하마 이전 초기에는 1979년 리그 2위를 기록하는 등 성과를 보였으나, 이후 오랜 기간 하위권을 맴돌았다. 1992년 11월 11일, 모기업인 다이요 어업이 마루하로 사명을 변경함에 따라, 구단명도 지역 밀착을 강화하고 상업 포경 규제 강화라는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요코하마 베이스타스'''(横浜ベイスターズ|요코하마 베이스터스일본어)로 변경되었다.[12] 이듬해 4월에는 구단 운영 법인명도 '주식회사 다이요 구단'에서 '주식회사 요코하마 베이스타스'로 바뀌었다.
베이스타스 시대에는 1998년 38년 만의 센트럴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제패라는 큰 성과를 거두기도 했으나, 이후 다시 긴 암흑기를 겪었다. 2002년에는 TBS가 구단의 최대 주주가 되었지만 팀 성적은 나아지지 않았다.
2011년 10월, TBS 홀딩스는 구단 주식을 모바일 게임 기업 DeNA에 매각하기로 합의했고, 같은 해 12월 2일 주식 양도가 완료되면서 구단명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横浜DeNAベイスターズ|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터스일본어)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DeNA 인수 이후 팀은 점진적인 성적 향상을 보이며 2017년과 2024년에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고, 2024년에는 26년 만에 통산 세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 4. 1.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시대 (1978년 ~ 1992년)
1978년 국토 계획의 주도로 요코하마시 나카구 요코하마 공원 내에 요코하마 스타디움이 건설되면서 구단은 이 경기장으로 이전했다[28]. 당시 다이요 구단은 가와사키시를 연고지로 하고 있었으나, 관중 동원이 저조하여 돌파구를 찾던 중 요코하마 스타디움 건설 계획이 부상했다[29]. 다이요 구단은 과거 가와사키로 이전할 때도 본거지를 요코하마로 신고했던 바 있어[19], 요코하마에 프로 야구 개최에 적합한 구장이 생기면 이전하는 것이 기정사실처럼 여겨졌다[29].1977년 이전 문제가 불거지자 가와사키 시민들은 반대 운동을 벌였고, 54만 명의 서명을 전달했으나[29], 아스카다 카즈오 당시 요코하마 시장의 적극적인 유치 노력 끝에 다이요는 1977년 7월 요코하마 이전을 공식 통보했다[29]. 한편, 가와사키시는 가나가와현 진출을 노리던 롯데 오리온스 유치에 나섰고, 다이요가 가와사키 구장에서의 타 구단 경기 개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양보안을 제시하면서 롯데의 가와사키 이전이 성사되었다[29].
요코하마 이전을 계기로 구단명은 도시 이름을 넣어 横浜大洋ホエールズ|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일본어로 변경되었다. 요코하마 초등학생 대상 팬클럽 창설[30] 등 영업 체제를 개혁하며 팬 확보에 나섰다. 같은 해 국토 계획이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를 인수하면서 야구 협약에 따라 보유하고 있던 다이요 구단 주식을 닛폰 방송과 TBS에 2:1 비율로 매각했다. 이로 인해 2002년 초까지 구단 지분은 다이요 어업(이후 마루하) 55%, 닛폰 방송 30%, TBS 15%로 유지되었다.
요코하마 이전 첫 해인 1978년에는 4위, 1979년에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이어 리그 2위를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시즌 종료 후 벳토 가오루 감독이 퇴임하고 구단 전무 이사 겸 대표로 취임했다. 198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지역 대학인 도카이 대학의 하라 다쓰노리를 1순위로 지명했으나 교섭권을 얻지 못했다. 도이 기요시가 새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팀은 4위에 머물렀고, 1981년에는 부진이 이어져 도이 감독이 9월 24일부터 휴양에 들어가면서 팀은 최하위로 시즌을 마쳤다.
1982년에는 나가시마 시게오 영입을 위한 포석으로 그와 친분이 있던 세키네 준조를 감독으로 선임했으나, 나가시마 영입에는 실패했다. 또한 투수 세키네 히로후미 영입 과정에서 닛산 자동차 야구부와의 마찰을 겪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1983년에는 3위를 기록하며 A클래스(1~3위)에 진입했지만, 1984년 다시 최하위로 추락하며 세키네 감독이 사임했다.
1985년 곤도 사다오가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다카기 유타카, 가토 히로카즈, 야시키 가나메로 구성된 이른바 '''슈퍼카 트리오'''가 주목받았다. 그러나 엔도 가즈히코나 사이토 아키오 등 투수진의 불안은 여전했고 팀 성적은 4위에 그쳤다. 1986년에도 4위를 기록하자 곤도 감독은 2년 만에 물러났다.
1987년에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네 차례 우승을 이끈 고바 다케시를 감독으로 영입했지만, 재임 3년 동안 5위, 4위, 최하위에 머물며 한 번도 A클래스에 진입하지 못했다. 고바 감독은 1989년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으나, 이 기간 동안 훗날 1998년 우승의 주역이 되는 선수들을 다수 확보하는 등 리빌딩 측면에서는 성과가 있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1990년 스도 유타카 감독 체제에서 3위를 기록하며 오랜만에 A클래스에 복귀했지만, 1991년에는 다시 5위로 떨어졌다. 1992년 시즌 개막 전 스도 감독이 사임하면서 수석 코치였던 에지리 아키라가 감독 대행을 맡다가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에지리 감독은 모리타 고키와 사사키 가즈히로의 더블 스토퍼 체제를 확립했으나, 팀은 5위로 시즌을 마쳤다. 이 시기까지 15년 동안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는 한 번도 리그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1992년 11월 11일, 모기업인 다이요 어업이 기업 이미지 쇄신을 위해 사명을 '마루하'로 변경함에 따라, 구단 역시 지역 밀착형 시민 구단을 목표로 팀명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상업 포경 규제 강화로 인해 '고래(웨일스)'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하기 어렵다는 나카베 케이지로 오너의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새로운 애칭은 '요코하마 베이브리지'에서 영감을 얻어 '베이스타스'로 정해졌고, '''요코하마 베이스타스'''(横浜ベイスターズ|요코하마 베이스터스일본어)로의 개칭이 발표되면서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4. 2.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시대 (1993년 ~ 2011년)
1992년 11월 11일, 모기업인 다이요 어업이 기업 정체성 확립을 위해 사명을 마루하로 변경함에 따라, 야구단 명칭도 지역 밀착형 시민 구단을 지향하며 '''요코하마 베이스타스'''(横浜ベイスターズ)로 바꾸었다.[12] 이듬해 4월에는 회사명도 '주식회사 다이요 구단'에서 '''주식회사 요코하마 베이스타스'''(株式会社横浜ベイスターズ)로 변경했다. 당초 구단 애칭은 '웨일스'를 유지하는 안도 검토되었으나, 당시 상업 포경 규제가 강화되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나카베 게이지로 구단주가 새로운 애칭 검토를 지시했다. 그 결과, 요코하마 베이브릿지에서 이름을 따온 '베이스타스'가 최종 결정되었다. 또한, 베이스타스 선수는 모기업 마루하의 광고에 출연하지 않기로 하였다.1993년에는 곤도 아키히토가 감독으로 취임했으며, 구단명 변경에 맞춰 유니폼, 구단 깃발, 마스코트 캐릭터 등이 모두 새롭게 바뀌었다. 시즌 종료 후 도입된 프리 에이전트 제도를 통해 요미우리의 고마다 노리히로를 영입했으나, 다카기 유타카, 야시키 가나메, 야마자키 겐이치, 이치카와 가즈마사 등 기존 주전 선수들이 대거 팀을 떠났다. 베이스타스 출범 첫해 성적은 5위에 머물렀다. 1994년에는 고마다 외에 사에키 다카히로, 하루 도시오 등을 기용하며 전력 보강을 꾀했으나 최하위를 기록했다. 1995년에는 4위를 기록하며 12년 만에 5할 승률을 달성했지만, 곤도 아키히토 감독은 임기 만료로 퇴임했다. 후임으로는 오야 아키히코가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이 시기 스즈키 다카노리와 같은 젊은 선수들이 주전으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다. 1996년에는 4월 한때 선두를 달리며 '센트럴 리그 태풍의 눈'으로 불렸으나, 5월 이후 순위가 하락하여 최종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1997년에는 곤도 히로시를 배터리 코치로 영입했다. 시즌 후반, 선두 야쿠르트를 맹추격하며 2위를 기록하는 저력을 보였다. 시즌 종료 후 오야 감독이 2년 임기를 마치고 사임하자, 곤도 히로시가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1998년, 부동의 마무리 투수 사사키 가즈히로를 중심으로 한 투수진과 "한 번 터지면 멈추지 않는다"는 의미의 '''머신 건 타선'''[1]이 조화를 이루며 10월 8일 센트럴 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는 1960년 이후 38년 만의 리그 우승이었다. 이어진 일본 시리즈에서는 세이부를 상대로 4승 2패를 거두며 일본 정상에 올랐다.[1] '머신 건 타선'의 주요 멤버로는 바비 로즈, 이시이 타쿠로, 타니시게 모토노부, 스즈키 다카노리 등이 있었다.[1]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요코하마 고등학교의 마쓰자카 다이스케를 1순위로 지명했으나 교섭권 획득에 실패하고, 대신 후루키 가쓰아키를 지명했다.
1999년에는 '머신 건 타선'이 절정에 달해 팀 타율 .294라는 구단 신기록을 세웠고, 외국인 선수 로즈는 153타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가와무라 다케오가 17승을 거두며 분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우라 다이스케, 노무라 히로키, 사사키 등의 부상과 부진으로 투수진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며 리그 3위에 그쳤다. 시즌 종료 후 사사키는 메이저 리그 시애틀 매리너스로 이적했다.[1]
2000년에는 신인 긴조 다쓰히코가 신인왕과 수위 타자를 동시에 석권하는 활약을 펼쳤지만, 팀은 투타 부진과 부상자 속출로 우승 경쟁에서 멀어지며 2년 연속 3위를 기록했다. 시즌 후 곤도 히로시 감독이 물러나고 로즈와 고마다도 팀을 떠났다. 팜(2군) 조직은 '''쇼난 시렉스'''(湘南シーレックス)로 명칭을 변경하고 독립 채산을 목표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후임 감독으로는 모리 마사아키가 취임했다. 2001년에는 순위 결정 방식이 다소 달랐지만, 5년 연속 A클래스(3위)를 달성했다.
2002년 시즌 개막과 함께 팀은 극심한 부진에 빠졌고, 결국 9월 25일 모리 감독은 시즌 종료를 기다리지 못하고 휴양을 이유로 사실상 해임되었다 (최종 승률 .363). 한편, 1월 26일 모기업(최대 주주)이 마루하에서 닛폰 방송으로 변경되었으나, 야구 협약 문제(당시 닛폰 방송 계열사인 후지 TV가 야쿠르트 지분 보유)로 인해 최종적으로 TBS(도쿄 방송)가 구단을 인수하게 되었다.[1] 구단주도 당시 TBS 사장이었던 스나하라 유키오로 변경되었다. 이 변화로 1978년 이후 중단되었던 TBS 라디오의 베이스타스 경기 중계가 부활했다. 또한, 분열되어 있던 두 개의 응원단이 '전국성패회'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모리 감독의 후임으로는 야마시타 다이스케가 임명되었다.
2003년 야마시타 감독은 젊은 선수 중심의 공격적인 야구를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고, 팀은 승률 .324, 45승 94패 1무라는 참담한 성적을 기록했다. 시즌 94패는 1970년 야쿠르트 이후 33년 만의 90패 이상 기록이었으며, 5위 히로시마와의 경기 차는 22.5경기에 달했다. 2004년에는 4월 한때 선두를 달리기도 했으나, 투수진 붕괴로 순위가 급락하여 시즌 최종전 패배로 히로시마에 승률 0.00092 차이로 밀려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로써 팀은 45년 만에 3년 연속 최하위라는 불명예를 안았고, 야마시타 감독은 사임했다. 오프 시즌에는 이치바 야스히로 관련 금전 수수 문제가 불거지면서 오너가 스나하라 유키오에서 TBS 부사장 와카바야시 기요시로 교체되었다. 후임 감독으로는 우시지마 가즈히코가 부임했다.
2005년에는 부진했던 투수진이 살아나면서 4년 만에 A클래스인 3위로 시즌을 마쳤다. 또한, 우시지마 감독의 친구인 이시바시 다카아키(돈네루즈)를 특별 고문으로 위촉하여 팬 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했다. 하지만 2006년에는 선발 투수진 약화와 이중 키킹 금지 규정의 영향으로 주력 투수들이 부진에 빠지며 다시 최하위로 추락했다. 무라타 슈이치, 요시무라 유키 등 젊은 야수들의 성장이 있었지만 팀의 부진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구단은 연임을 원했지만 우시지마 감독은 최하위 성적에 책임을 지고 9월 3일 시즌 도중 사임을 발표했다. 후임으로는 오야 아키히코가 10년 만에 감독으로 복귀했다. 한편, 4월 3일에는 지역 사회 공헌을 목표로 하는 NPO 법인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스포츠 커뮤니티'가 설립되었고, 7월 1일에는 자회사인 베이스타스 소프트를 합병했다. 12월 1일에는 자본금을 감액하고, 팀 운영 총괄(GM) 자리에 닛산 자동차 야구부 감독 출신 무라카미 다다노리를 임명했다. 오프 시즌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데라하라 하야토를 다무라 히토시와의 트레이드로, 요미우리의 니시 도시히사를 오다지마 마사쿠니와의 트레이드(현금 포함)로 영입했다. 팀 내 유일한 두 자릿수 승리 투수였던 카도쿠라 켄은 연봉 불만으로 FA를 선언하여 요미우리로 이적했고, 보상 선수로 구도 기미야스를 영입했다.
2007년에는 이적생과 베테랑 선수들의 활약으로 전반기 한때 상위권을 위협했으나, 후반기 연패에 빠지며 최종 4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무라타는 구와타 다케시 이후 31년 만에 팀 소속 홈런왕 타이틀을 차지했고, 구단 최초로 2년 연속 100타점을 돌파했다. 미우라 다이스케는 35이닝 연속 무실점, 데라하라는 2경기 연속 완봉승을 기록하는 등 주력 선수들의 개인 기록은 빛났다. 2008년에는 에이스 미우라의 부상 공백 속에 개막 3연패를 당하는 등 출발부터 불안했고, 결국 2년 만에 다시 최하위로 떨어졌다. 우치카와 세이이치가 타율 .378로 수위 타자에 오르고 무라타, 요시무라 등 강력한 타선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투수진 붕괴를 막지 못하며 5년 만에 다시 90패 이상(94패)을 기록했다. 특히 우치카와의 타율(.378)이 팀 승률(.338)보다 높은, 양대 리그 분열 이후 최초의 진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시즌 후 주전 포수 아이카와 료지가 FA를 통해 야쿠르트로 이적했다.
2009년 WBC에서 무라타가 부상을 당하는 악재 속에 개막 6연패를 당하는 등 부진이 이어지자, 5월 18일 구단은 오야 감독에게 무기한 휴양(사실상 해임)을 통보했다. 2군 감독이었던 다시로 도미오가 감독 대행을 맡았으나 분위기 반전에 실패하며 2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다. 시즌 후 다시로 감독 대행은 다시 2군 감독으로 복귀했고, 11월 11일 요미우리 투수 코치 출신인 오바나 다카오가 신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10년 지바 롯데의 에이스 시미즈 나오유키를 다자간 트레이드로 영입하고, FA 시장에서 지바 롯데의 하시모토 다스쿠와 닛폰햄의 터멜 슬레지를 영입하는 등 대대적인 전력 보강에 나섰다. 3월 31일 요미우리전 승리로 공동 3위에 오르며 725일 만에 최하위에서 탈출하는 기록(당시 일본 프로야구 최장 기간 최하위 기록)을 세우기도 했으나, 교류전 이후 다시 최하위로 추락하여 반등하지 못했다. 9월 7일 요미우리전 패배로 5년 연속 B클래스가 확정되었고, 9월 25일 주니치전 패배로 3년 연속 최하위가 확정되었다. 급기야 9월 28일 야쿠르트전 패배로 프로야구 사상 최초 3년 연속 90패라는 불명예 기록을 세웠으며, 10월 6일 한신전 패배로 시즌 95패(47승 95패 2무)를 기록하며 1955년 이후 55년 만에 팀 역대 단일 시즌 최다 패 기록과 타이를 이뤘다. 시즌 종료 후 우치카와가 FA를 통해 소프트뱅크로 이적했다. 한편, 8월에는 2군 명칭 '쇼난 시렉스'를 1군과 동일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로 변경하는 안이 승인되었다.
2011년 FA로 닛폰햄의 모리모토 히초리를 영입했다.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 당시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야쿠르트와 시범 경기를 치르던 중 경기가 중단되고 선수와 관중이 그라운드로 대피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지진의 영향으로 개막이 4월 12일로 연기되었고, 홈 개막전에서 주니치를 상대로 3연승을 거두며 11년 만에 개막 시리즈 스윕을 달성했다. 하지만 5월 이후 하락세를 거듭하며 교류전 11위, 전반기를 25승 44패 6무(승패 마진 -19)로 마감했다. 후반기에도 부진은 계속되어 9월 27일 요미우리전 패배로 B클래스가 확정되었고, 10월 9일 한신전 패배로 4년 연속 최하위가 결정되었다. 최종 성적은 47승 86패 11무로, 1위와 27.5경기, 5위 히로시마와 11.5경기 차이였다. 팀 방어율은 6년 만에 3점대로 개선되었으나, 팀 승률은 1957년 ~ 1961년 긴테쓰 이후 50년 만에 4년 연속 3할대에 머물렀다. 시즌 종료 후 무라타가 FA를 통해 요미우리로 이적했고, 슬레지와 브렛 하퍼는 방출되었다.
10월 19일, TBS 홀딩스는 보유 중인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주식 대부분을 모바일 게임 기업 DeNA에 양도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10월 22일 시즌 최종전 종료 후 오바나 감독과 1군 코치진 전원에게 휴양이 통보되었고, 11월 4일 TBS 홀딩스와 DeNA는 주식 양도(총액 65억엔)에 관한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 새로운 구단명으로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가 신청되었다. 11월 22일 오바나 감독을 포함한 코치 6명의 해임이 공식 발표되었다. 12월 1일 일본 프로 야구 오너 회의 및 실행 위원회는 DeNA의 구단 인수를 최종 승인했고, 다음 날인 12월 2일 주식 양도가 완료되면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横浜DeNAベイスターズ)가 공식 출범하며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4. 3.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시대 (2012년 ~ 현재)
2011년 12월 2일, DeNA가 구단 주식을 인수하여 상호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로 변경되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OB인 다카다 시게루가 구단 GM으로 취임했으나, 감독 인선은 난항을 겪었다. 신조 쓰요시, 구도 기미야스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고, 최종적으로 요코하마 OB인 구도 기미야스가 유력했으나 코치진 인선을 두고 구단과 대립하여 협상이 결렬되었다.[92] 결국 12월 9일, 나카하타 기요시가 감독으로 취임했으며, 새로운 구단 로고 마크도 함께 발표되었다.[92]2012년 시즌을 앞두고 모회사 변경에 따라 유니폼, 구단 깃발, 마스코트 캐릭터를 일신했다. 1월 29일 퀸스 스퀘어 요코하마에서 신 유니폼 발표 행사가 열렸고, 3월 18일에는 기존 마스코트인 홋시, 홋시나, 홋시조의 졸업과 함께 새로운 마스코트 DB 스타맨의 취임이 발표되었다. 전력 면에서는 주포 무라타 슈이치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FA 이적했지만, 요미우리에서 자유 계약으로 풀린 알렉스 라미레스와 FA를 통해 4년 만에 복귀한 쓰루오카 가즈나리(요미우리), 고이케 마사아키(주니치)를 영입했다. 또한 니혼햄 파이터스에서 자유 계약 신분이 된 기쿠치 가즈마사와 하야시 마사노리,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자유 계약이 된 지오 알바라도(Giancarlo Alvarado), 무라타의 FA 보상 선수로 요미우리에서 후지이 슈고, 신 외국인 선수로 오스카 사라사르를 영입했다.
시즌 개막전인 3월 30일 한신 타이거스 전(교세라 돔 오사카)은 5대 5 무승부로 끝났고, 4월 1일 같은 시리즈에서 6대 2로 승리하며 변경된 구단명으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이후 4월 초와 말에 두 차례 6연패를 당하는 등 시즌 초반 부진했다. 교류전에서는 9승 14패로 10위에 그쳤고, 7월 7일 주니치 드래건스 전 패배로 자력 우승 가능성이 사라졌다. 전반기 마지막 3연전인 야쿠르트 전에서 시즌 첫 3연승을 거두었지만, 전반기를 최하위로 마감했다. 9월 15일 야쿠르트 전 패배로 4위 이하(B클래스)가 확정되었고, 9월 30일 주니치 전 패배로 5년 연속 최하위가 결정되었다. 10월 7일 요미우리 전(도쿄 돔) 패배로 시즌 내내 도쿄 돔 원정에서 1승도 거두지 못하는 센트럴 리그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 최종 성적은 46승 85패 13무로, 1위 요미우리와는 40경기 차, 5위 한신과는 9.5경기 차이였으며, 센트럴 리그 5개 구단 모두에게 상대 전적 열세(루징 시리즈)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주니치에서 자유 계약으로 토니 블랑코, 엔옐버트 소토, 호르헤 소사를 영입했다. 또한 과거 팀의 주축 타자였던 소프트뱅크의 다무라 히토시를 포함한 3명의 선수를 요시무라 유키, 야마모토 쇼고 등 3명과 맞바꾸는 3대 3 트레이드를 단행하여 다무라는 7년 만에 친정팀으로 복귀했다. 교류전은 7승 17패로 최하위에 머물렀으며, 9월 24일 한신 전 패배로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가능성이 소멸되며 8년 연속 B클래스가 확정되었다. 하지만 10월 1일 야쿠르트가 요미우리에 패하면서 6년 만에 최하위에서 탈출,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야쿠르트, 한신, 주니치를 상대로는 12년 만에 위닝 시리즈(상대 전적 우세)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라미레스는 팀을 떠났다.
2015년 10월, 과거 베이스타스 선수이자 일본 프로 야구에서 2,000안타를 달성한 유일한 외국인 선수인 알렉스 라미레스가 2016년 시즌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2015 시즌 종료 후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사임한 나카하타 기요시의 후임이었다.[1] 2016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는 정규 시즌을 3위(69승 71패 3무)로 마쳤다. 리그 1위 히로시마 도요 카프(89승 52패 3무)와는 19.5경기 차이였다.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진출한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2위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2승 1패로 꺾고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했지만, 히로시마에게 1승 4패(어드밴티지 1패 포함)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2017년에도 정규 시즌 3위(73승 65패 5무)를 기록했다. 1위 히로시마(88승 51패 4무)와는 14.5경기 차이였다. 팀 타율 .252와 134홈런은 센트럴 리그 2위 기록이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2위 한신 타이거스를 2승 1패로 꺾었고,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1위 히로시마에게 첫 경기를 내주었으나 이후 4경기를 내리 승리하며 19년 만에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호세 로페스가 시리즈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 이어진 2017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퍼시픽 리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맞붙었다.[2] 소프트뱅크에게 먼저 3연패를 당하며 탈락 위기에 몰렸으나, 4차전과 5차전을 승리하며 반격했다. 6차전 홈 경기에서 3-2로 앞서던 9회 초, 소프트뱅크의 우치카와 세이이치가 마무리 투수 야마사키 야스아키를 상대로 동점 홈런을 쳤고, 연장 11회 말 가와시마 케이조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으며 2승 4패로 준우승에 머물렀다. 소프트뱅크의 마무리 투수 데니스 사파테가 일본 시리즈 MVP, 베이스타스의 미야자키 토시로는 패배 팀 선수에게 주어지는 감투상을 수상했다. 이는 구단 역사상 첫 일본 시리즈 패배였다.
2023년 3월 13일, 메이저 리그 사이 영 상 수상 경력의 트레버 바우어와 인센티브 포함 1년 400만달러 계약을 맺었다.
2024년, 안드레 잭슨과 앤서니 케이를 영입했고, 시즌 중반에는 메이저 리그 팀 데뷔전에서 끝내기 홈런을 친 마이크 포드를 영입했다. 기존의 강력한 타선(마키 슈고, 2024년 센트럴 리그 타격왕 타일러 오스틴)과 이마나가 쇼타의 메이저 리그 진출 공백을 메운 에이스 아즈마 카츠키의 활약에 힘입어 시즌 막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부진을 틈타 정규 시즌 3위(71승 69패 3무)로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했다.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한신 타이거스를 2승 무패로 스윕하고,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리그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4승 2패(어드밴티지 1패 포함)로 꺾으며 2024년 일본 시리즈에 진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7년 만의 재대결을 벌였다. 첫 2경기를 패했지만 이후 4경기를 내리 승리하며 1998년 이후 26년 만에 통산 세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4차전과 5차전에서는 케이와 잭슨이 각각 7이닝 무실점 호투를 펼쳤다. 쿠와하라 마사유키는 9타점으로 일본 시리즈 신기록을 세우며 일본 시리즈 MVP에 선정되었고, 쓰쓰고 요시토모, 잭슨, 케이는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71승 69패 3무(승률 .507)의 기록으로 역대 일본 시리즈 우승팀 중 가장 낮은 승률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최소 승수로 우승한 팀은 1978년 야쿠르트 스왈로스(68승)이다.)
3. 역대 감독
wikitext
감독 | 재임 기간 | 비고 |
---|---|---|
와타나베 다이리쿠 渡辺大陸일본어 | 1950년 | |
나카지마 하루야스 中島治康일본어 | 1951년 | |
아리마 기이치 有馬義一일본어 | 1951년 | |
고니시 도쿠로 小西得郎일본어 | 1952년 ~ 1953년 | |
나가사와 다케오 永沢武夫일본어 | 1954년 | |
후지이 이사무 藤井勇일본어 | 1955년 | |
사코하타 마사미 迫畑正巳일본어 | 1956년 ~ 1958년 | |
모리 시게오 森茂雄일본어 | 1959년 | |
미하라 오사무 三原脩일본어 | 1960년 ~ 1967년 | |
벳토 가오루 別当薫일본어 | 1968년 ~ 1972년 | 제1차 |
아오타 노보루 青田昇일본어 | 1972년 | 제1차 (감독 대행) |
미야자키 다케시 宮崎剛일본어 | 1972년 | 제1차 (감독 대행) |
아오타 노보루 青田昇일본어 | 1973년 | 제2차 |
미야자키 다케시 宮崎剛일본어 | 1974년 | 제2차 |
아키야마 노보루 秋山登일본어 | 1975년 ~ 1976년 | |
벳토 가오루 別当薫일본어 | 1977년 ~ 1979년 | 제2차 |
도이 기요시 土井淳일본어 | 1980년 ~ 1981년 | |
야마네 도시히데 山根俊英일본어 | 1981년 | 감독 대행 |
세키네 준조 関根潤三일본어 | 1982년 ~ 1984년 | |
곤도 사다오 近藤貞雄일본어 | 1985년 ~ 1986년 | |
고바 다케시 古葉竹識일본어 | 1987년 ~ 1989년 | |
스도 유타카 須藤豊일본어 | 1990년 ~ 1992년 | |
에지리 아키라 江尻亮일본어 | 1992년 | |
곤도 아키히토 近藤昭仁일본어 | 1993년 ~ 1995년 | |
오야 아키히코 大矢明彦일본어 | 1996년 ~ 1997년 | 제1차 |
곤도 히로시 権藤博일본어 | 1998년 ~ 2000년 | |
모리 마사아키 森祇晶일본어 | 2001년 ~ 2002년 | |
구로에 유키노부 黒江透修일본어 | 2002년 | 감독 대행 |
야마시타 다이스케 山下大輔일본어 | 2003년 ~ 2004년 | |
우시지마 가즈히코 牛島和彦일본어 | 2005년 ~ 2006년 | |
오야 아키히코 大矢明彦일본어 | 2007년 ~ 2009년 | 제2차 |
다시로 도미오 田代富雄일본어 | 2009년 | 감독 대행 |
오바나 다카오 尾花高夫일본어 | 2010년 ~ 2011년 | |
나카하타 기요시 中畑清일본어 | 2012년 ~ 2015년 | |
알렉스 라미레스 Alex Ramirezes | 2016년 ~ 2020년 | |
미우라 다이스케 三浦大輔일본어 | 2021년 ~ |
4. 연도별 성적
연도 | 감독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승차 | 타율 | 홈런 | 평균자책점 | |
---|---|---|---|---|---|---|---|---|---|---|---|---|
1950년 | 와타나베 다이리쿠 | 5위 | 140 | 69 | 68 | 3 | .504 | 31 | .273 | 111 | 4.47 | |
1951년 | 나카지마 하루야스·아리마 기이치 | 6위 | 108 | 40 | 64 | 4 | .385 | 37 | .253 | 86 | 4.84 | |
1952년 | 고니시 도쿠로 | 4위 | 120 | 58 | 62 | 0 | .483 | 25 | .248 | 57 | 3.68 | |
1953년 | 고니시 도쿠로 | 5위 | 130 | 52 | 77 | 1 | .403 | 37.5 | .246 | 63 | 4.10 | |
1954년 | 나가사와 다케오 | 6위 | 130 | 32 | 96 | 2 | .250 | 55 | .227 | 68 | 4.13 | |
1955년 | 후지이 이사무 | 6위 | 130 | 31 | 99 | 0 | .238 | 61.5 | .209 | 51 | 3.69 | |
1956년 | 사코하타 마사미 | 6위 | 130 | 43 | 87 | 0 | .331 | 41 | .208 | 74 | 3.15 | |
1957년 | 사코하타 마사미 | 6위 | 130 | 52 | 74 | 4 | .415 | 21.5 | .229 | 63 | 3.10 | |
1958년 | 사코하타 마사미 | 6위 | 130 | 51 | 73 | 6 | .415 | 23.5 | .215 | 78 | 2.75 | |
1959년 | 모리 시게오 | 6위 | 130 | 49 | 77 | 4 | .392 | 28.5 | .214 | 73 | 3.47 | |
1960년 | 미하라 오사무 | 1위 | 130 | 70 | 56 | 4 | .554 | - | .230 | 60 | 2.32 | |
1961년 | 미하라 오사무 | 6위 | 130 | 50 | 75 | 5 | .404 | 21.5 | .236 | 76 | 3.10 | |
1962년 | 미하라 오사무 | 2위 | 134 | 71 | 59 | 4 | .546 | 4 | .242 | 100 | 2.73 | |
1963년 | 미하라 오사무 | 5위 | 140 | 59 | 79 | 2 | .428 | 24 | .237 | 110 | 3.29 | |
1964년 | 미하라 오사무 | 2위 | 140 | 80 | 58 | 2 | .580 | 1 | .255 | 134 | 3.03 | |
1965년 | 미하라 오사무 | 4위 | 140 | 68 | 70 | 2 | .493 | 23 | .244 | 136 | 2.81 | |
1966년 | 미하라 오사무 | 5위 | 130 | 52 | 78 | 0 | .400 | 37 | .247 | 116 | 3.74 | |
1967년 | 미하라 오사무 | 4위 | 135 | 59 | 71 | 5 | .454 | 25 | .245 | 130 | 3.28 | |
1968년 | 벳토 가오루 | 5위 | 133 | 59 | 71 | 3 | .454 | 18 | .236 | 131 | 3.71 | |
1969년 | 벳토 가오루 | 3위 | 130 | 61 | 61 | 8 | .500 | 11 | .239 | 125 | 3.19 | |
1970년 | 벳토 가오루 | 3위 | 130 | 69 | 57 | 4 | .548 | 10 | .241 | 106 | 2.75 | |
1971년 | 벳토 가오루 | 3위 | 130 | 61 | 59 | 10 | .508 | 8 | .216 | 82 | 2.31 | |
1972년 | 벳토 가오루 | 5위 | 130 | 57 | 69 | 4 | .452 | 17 | .242 | 135 | 3.66 | |
1973년 | 아오타 노보루 | 5위 | 130 | 60 | 64 | 6 | .484 | 5 | .243 | 125 | 3.30 | |
1974년 | 미야자키 다케시 | 5위 | 130 | 55 | 69 | 6 | .444 | 17.5 | .265 | 143 | 4.28 | |
1975년 | 아키야마 노보루 | 5위 | 130 | 51 | 69 | 10 | .425 | 21.5 | .249 | 137 | 3.93 | |
1976년 | 아키야마 노보루 | 6위 | 130 | 45 | 78 | 7 | .366 | 32 | .256 | 172 | 4.45 | |
1977년 | 벳토 가오루 | 6위 | 130 | 51 | 68 | 11 | .429 | 25.5 | .268 | 176 | 4.94 | |
1978년 | 벳토 가오루 | 4위 | 130 | 64 | 57 | 9 | .529 | 7.5 | .273 | 132 | 3.90 | |
1979년 | 벳토 가오루 | 2위 | 130 | 59 | 54 | 17 | .522 | 6 | .266 | 135 | 4.05 | |
1980년 | 도이 기요시 | 4위 | 130 | 59 | 62 | 9 | .488 | 16 | .259 | 135 | 4.18 | |
1981년 | 도이 기요시 | 6위 | 130 | 42 | 80 | 8 | .344 | 31.5 | .252 | 105 | 4.41 | |
1982년 | 세키네 준조 | 5위 | 130 | 53 | 65 | 12 | .449 | 14.5 | .250 | 125 | 3.92 | |
1983년 | 세키네 준조 | 3위 | 130 | 61 | 61 | 8 | .500 | 11 | .272 | 137 | 4.52 | |
1984년 | 세키네 준조 | 6위 | 130 | 46 | 77 | 7 | .374 | 30.5 | .263 | 100 | 4.55 | |
1985년 | 곤도 사다오 | 4위 | 130 | 57 | 61 | 12 | .483 | 14.5 | .267 | 132 | 4.59 | |
1986년 | 곤도 사다오 | 4위 | 130 | 56 | 69 | 5 | .448 | 20 | .264 | 84 | 3.81 | |
1987년 | 고바 다케시 | 5위 | 130 | 56 | 68 | 6 | .452 | 22.5 | .259 | 113 | 4.26 | |
1988년 | 고바 다케시 | 4위 | 130 | 59 | 67 | 4 | .468 | 20.5 | .273 | 85 | 3.93 | |
1989년 | 고바 다케시 | 6위 | 130 | 47 | 80 | 3 | .370 | 36.5 | .260 | 76 | 4.07 | |
1990년 | 스도 유타카 | 3위 | 133 | 64 | 66 | 3 | .492 | 24 | .266 | 90 | 3.94 | |
1991년 | 스도 유타카 | 5위 | 131 | 64 | 66 | 1 | .492 | 10 | .269 | 66 | 3.74 | |
1992년 | 스도 유타카·에지리 아키라 | 5위 | 131 | 61 | 69 | 1 | .469 | 8 | .249 | 97 | 3.75 | |
1993년 | 곤도 아키히토 | 5위 | 130 | 57 | 73 | 0 | .438 | 23 | .249 | 87 | 3.83 | |
1994년 | 곤도 아키히토 | 6위 | 130 | 61 | 69 | 0 | .469 | 9 | .261 | 107 | 3.76 | |
1995년 | 곤도 아키히토 | 4위 | 130 | 66 | 64 | 0 | .508 | 16 | .261 | 114 | 4.37 | |
1996년 | 오야 아키히코 | 5위 | 130 | 55 | 75 | 0 | .423 | 22 | .270 | 85 | 4.67 | |
1997년 | 오야 아키히코 | 2위 | 135 | 72 | 63 | 0 | .533 | 11 | .273 | 105 | 3.70 | |
1998년 | 곤도 히로시 | 1위 | 136 | 79 | 56 | 1 | .585 | - | .277 | 100 | 3.49 | |
1999년 | 곤도 히로시 | 3위 | 135 | 71 | 64 | 0 | .526 | 10 | .294 | 140 | 4.44 | |
2000년 | 곤도 히로시 | 3위 | 136 | 69 | 66 | 1 | .511 | 9 | .277 | 103 | 3.92 | |
2001년 | 모리 마사아키 | 3위 | 140 | 69 | 67 | 4 | .507 | .267 | 94 | 3.75 | ||
2002년 | 모리 마사아키 | 6위 | 140 | 49 | 86 | 5 | .363 | 35.5 | .240 | 97 | 4.09 | |
2003년 | 야마시타 다이스케 | 6위 | 140 | 45 | 94 | 1 | .324 | 42.5 | .258 | 192 | 4.80 | |
2004년 | 야마시타 다이스케 | 6위 | 138 | 59 | 76 | 3 | .437 | 20 | .279 | 194 | 4.47 | |
2005년 | 우시지마 가즈히코 | 3위 | 146 | 69 | 70 | 7 | .496 | 17 | .265 | 143 | 3.68 | |
2006년 | 우시지마 가즈히코 | 6위 | 146 | 58 | 84 | 4 | .408 | 29.5 | .257 | 127 | 4.25 | |
2007년 | 오야 아키히코 | 4위 | 144 | 71 | 72 | 1 | .497 | 9 | .265 | 124 | 4.01 | |
2008년 | 오야 아키히코 | 6위 | 144 | 48 | 94 | 2 | .338 | 36.5 | .266 | 145 | 4.74 | |
2009년 | 오야 아키히코 | 6위 | 144 | 51 | 93 | 0 | .354 | 42.5 | .239 | 128 | 4.36 | |
2010년 | 오바나 다카오 | 6위 | 144 | 48 | 95 | 1 | .336 | 32 | .255 | 117 | 4.88 | |
2011년 | 오바나 다카오 | 6위 | 144 | 47 | 86 | 11 | .353 | 27.5 | .239 | 78 | 3.87 | |
2012년 | 나카하타 기요시 | 6위 | 144 | 46 | 85 | 13 | .351 | 41 | .233 | 66 | 3.76 | |
2013년 | 나카하타 기요시 | 5위 | 144 | 64 | 79 | 1 | .448 | 23 | .262 | 132 | 4.50 | |
2014년 | 나카하타 기요시 | 5위 | 144 | 67 | 75 | 2 | .472 | 14.5 | .253 | 121 | 3.76 | |
2015년 | 나카하타 기요시 | 6위 | 143 | 62 | 80 | 1 | .437 | 14.5 | .249 | 112 | 3.80 | |
2016년 | 알렉스 라미레스 | 3위 | 143 | 69 | 71 | 3 | .493 | 19.5 | .249 | 140 | 3.76 | |
2017년 | 알렉스 라미레스 | 3위 | 143 | 73 | 65 | 5 | .529 | 14.5 | .252 | 134 | 3.81 | |
2018년 | 알렉스 라미레스 | 4위 | 143 | 67 | 74 | 2 | .475 | 15 | .250 | 181 | 4.18 | |
2019년 | 알렉스 라미레스 | 2위 | 143 | 71 | 69 | 3 | .507 | 5.5 | .246 | 163 | 3.93 | |
2020년 | 알렉스 라미레스 | 4위 | 120 | 56 | 58 | 6 | .491 | 12 | .266 | 135 | 3.76 | |
2021년 | 미우라 다이스케 | 6위 | 143 | 54 | 73 | 16 | .425 | 20 | .258 | 136 | 4.15 | |
2022년 | 미우라 다이스케 | 2위 | 143 | 73 | 68 | 2 | .518 | 8 | .251 | 117 | 3.48 | |
2023년 | 미우라 다이스케 | 3위 | 143 | 74 | 66 | 3 | .529 | 12 | .247 | 105 | 3.16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위 표에서 순위의 '''굵은 글씨'''는 일본 시리즈 우승을 나타낸다.
- 통산 성적 : 4323승 320무 5300패 (승률 .449)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전체 연도별 상세 성적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및 그 전신 구단의 연도별 성적 일람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리그 우승''' 2회
: 1960년, 1998년
- '''일본 시리즈 우승''' 3회
: 1960년, 1998년, 2024년
- '''세·퍼 교류전 우승''' 1회
: 2023년
-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2회
: 2017년, 2024년
- '''A클래스''' 21회
: 1960년, 1962년, 1964년, 1969년 - 1971년, 1979년, 1983년, 1990년, 1997년 - 2001년[170], 2005년, 2016년 - 2017년, 2019년, 2022년 - 2024년
- '''B클래스''' 54회
: 1950년 - 1959년, 1961년, 1963년, 1965년 - 1968년, 1972년 - 1978년, 1980년 - 1982년, 1984년 - 1989년, 1991년 - 1996년, 2002년 - 2004년, 2006년 - 2015년, 2018년, 2020년 - 2021년
- '''최하위''' 25회
: 1954년 - 1959년, 1961년, 1966년[171], 1976년 - 1977년, 1981년, 1984년, 1989년, 1994년, 2002년 - 2004년, 2006년, 2008년 - 2012년, 2015년, 2021년
- 연속 A클래스 진입 최장 기록 : 5년 (1997년 - 2001년)
- 연속 B클래스 최장 기록 : 10년 (1950년 - 1959년, 2006년 - 2015년)
- 최다 승리 : 80승 (1964년)
- 최다 패전 : 99패 (1955년)
- 최다 무승부 : 17무 (1979년)
- 최고 승률 : .585 (1998년)
- 최저 승률 : .238 (1955년)
- 최다 연승 : 10연승 (1964년, 1967년, 1968년, 1998년, 1999년) ※ 1967년, 1968년, 1998년은 무승부를 포함한다.
- 최다 연패 : 14연패 (1955년, 2008년) ※ 2008년은 무승부 1개를 포함한다.
- 최장 경기 시간 : 6시간 13분 (1998년 8월 9일 대 히로시마전)
- 연속 이닝 무득점 : 46이닝 (2012년)
- 통산 4500패 달성 : 2012년 8월 24일 대 요미우리전 (양대 리그제 도입 이후 최단 기록)
※ 2024년 시즌은 정규 시즌 3위를 기록했으나,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거쳐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정규 시즌 1위로 리그 우승 및 일본 시리즈 우승"은 2024년 현재 1998년이 마지막이다.[172]
5. 구단 기록
- 리그 우승 : 2회
:(1960년, 1998년)
- 일본 시리즈 우승 : 3회
:(1960년, 1998년, 2024년)
-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우승 : 1회
:(2023년)
-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 2회
:(2017년, 2024년)
- A클래스 : 21회
:(1960년, 1962년, 1964년, 1969년 ~ 1971년, 1979년, 1983년, 1990년, 1997년 ~ 2001년, 2005년, 2016년 ~ 2017년, 2019년, 2022년 ~ 2024년)[170]
- B클래스 : 54회
:(1950년 ~ 1959년, 1961년, 1963년, 1965년 ~ 1968년, 1972년 ~ 1978년, 1980년 ~ 1982년, 1984년 ~ 1989년, 1991년 ~ 1996년, 2002년 ~ 2004년, 2006년 ~ 2015년, 2018년, 2020년 ~ 2021년)
- 최하위 : 25회
:(1954년 ~ 1959년, 1961년, 1966년[171], 1976년 ~ 1977년, 1981년, 1984년, 1989년, 1994년, 2002년 ~ 2004년, 2006년, 2008년 ~ 2012년, 2015년, 2021년)
- 연속 A클래스 진입 최장 기록 : 5년 (1997년 ~ 2001년)
- 연속 B클래스 최장 기록 : 10년 (1950년 ~ 1959년, 2006년 ~ 2015년)
- 최다 승리 : 80승 (1964년)
- 최다 패전 : 99패 (1955년)
- 최다 무승부 : 17무 (1979년)
- 최고 승률 : .585 (1998년)
- 최저 승률 : .238 (1955년)
- 최다 연승 : 10연승 (1964년, 1967년, 1968년, 1998년, 1999년) ※ 1967년, 1968년, 1998년은 무승부를 포함한다.
- 최다 연패 : 14연패 (1955년, 2008년) ※ 2008년은 무승부 1개를 포함한다.
- 최장 경기 시간 : 6시간 13분 (1998년 8월 9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연속 이닝 무득점 : 46이닝 (2012년)
- 통산 4500패 : 2012년 8월 24일 대 요미우리전 (양대 리그제 도입 후 최단 기록)
- 최소 경기차 : 1.0경기차 (1964년)
- 최대 경기차 : 61.5경기차 (1955년)
- 최다 홈런 : 194개 (2004년)
- 최소 홈런 : 51개 (1955년)
- 최고 타율 : .294 (1999년)
- 최저 타율 : .208 (1956년)
- 최저 평균자책점 : 2.31 (1971년)
- 최고 평균자책점 : 4.94 (1977년)
- 홈 연승 기록 : 17연승 (2022년)
- 최다 폭투(시즌) : 68개 (2015년, 롯데 오리온즈(1990년)와 프로야구 타이기록)
※ 2024년은 정규 시즌 3위로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우승하여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 정규 시즌 1위로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을 모두 달성한 것은 1998년이 마지막이다.[172]
6. 역대 홈구장
- 시모노세키 구장: 1950년 ~ 1952년
- 팀 창단 초기(마루하 구단, 다이요 웨일스)의 홈구장이다. 시모노세키시를 프랜차이즈로 삼고 시모노세키 시영 구장을 본거지로 했으나[12], 실제 시모노세키 개최는 일부였고 규슈 북부 등 여러 지역에서 경기를 치렀다.[14]
- 오사카 구장: 1953년 ~ 1954년
- 쇼치쿠 로빈스와 합병하여 다이요 쇼치쿠 로빈스(후에 요쇼 로빈스)가 되면서 사용했다. 명목상 시모노세키시와 교토시를 프랜차이즈로 병기했으나, 흥행상의 이유로 주로 오사카 구장에서 홈 경기를 개최했다.[17]
- 가와사키 구장: 1955년 ~ 1977년
- 쇼치쿠가 구단 경영에서 철수하고 다시 다이요 웨일스가 된 후, 가나가와현으로 연고지 이전을 추진했다. 처음에는 요코하마 공원 평화 야구장을 본거지로 신고했으나[19], 시설 문제로 같은 현 내의 가와사키 구장으로 사실상 이전하여 사용했다.[19] 이 과정에서 기존에 가와사키 구장을 사용하던 톤보 유니온즈와의 마찰이 있었으나 가와사키시 시장의 중재로 해결되었다.[19] 1960년에는 이 구장에서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22]
- 요코하마 스타디움: 1978년 ~ 현재
- 요코하마시 나카구의 요코하마 공원 내에 요코하마 스타디움이 건설되면서 이전했다.[28] 이전을 계기로 팀명을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로 변경했다. 이전 과정에서 가와사키시 시민들의 반대 운동이 있었으나[29], 최종적으로 요코하마 이전이 결정되었고, 빈 가와사키 구장에는 롯데 오리온스가 이전하게 되었다.[29] 1993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2012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로 팀명이 변경된 이후에도 계속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7. 유명 선수
- 라이언 글린 (미국)
- 타이론 우즈 (미국) - 1루수 (2003–2004)
- 알렉스 라미레스 (베네수엘라) - 외야수 (2012–2013)
- 아롬 발디리스 (베네수엘라)
- 크리스 부첵 (미국)
- 두에인 빌로우 (미국)
- 아키야마 노보루 (일본) - 투수 (1956–1967)
- 곤도 가즈히코 (일본) - 1루수, 외야수 (1958–1972)
- 마쓰바라 마코토 (일본) - 1루수 (1962–1980)
- 히라마쓰 마사지 (일본) - 투수 (1967–1984)
- 나카쓰카 마사유키 (일본) - 1루수, 외야수 (1968–1982)
- 존 시핀 (미국) - 2루수 (1972–1977)
- 다카기 요시카즈 (일본) - 외야수, 1루수 (1972–1987)
- 나가사키 게이이치 (일본) - 외야수 (1973–1984)
- 야마시타 다이스케 (일본) - 유격수, 2루수, 3루수 (1974–1987)
- 다시로 도미오 (일본) - 3루수, 1루수, 외야수 (1976–1991)
- 사이토 아키오 (일본) - 투수 (1977–1993)
- 펠릭스 밀란 (푸에르토리코) - 2루수, 1루수 (1978–1980)
- 엔도 가즈히코 (일본) - 투수 (1978–1992)
- 야시키 가나메 (일본) - 중견수 (1978–1993)
- 모토이 미쓰오 (일본) - 2루수, 유격수, 3루수 (1979–1984)
- 다카기 유타카 (일본) - 2루수, 유격수 (1981–1993)
- 야마자키 겐이치 (일본) - 외야수 (1981–1993)
- 짐 트레이시 (미국) - 외야수 (1983–1984)
- 레온 리 (미국) - 3루수 (1983–1985)
- 가토 히로카즈 (일본) - 좌익수 (1983–1990)
- 카케하타 미쓰노리 (일본) - 투수 (1984–1994)
- 카를로스 폰세 (푸에르토리코) - 1루수 (1986–1990)
- 니우라 히사오 (일본) - 투수 (1987–1991)
- 데니 토모리 (일본) - 투수 (1987–1996, 2003–2004)
- 짐 파치오렉 (미국) - 1루수, 좌익수 (1988–1991)
- 신도 다쓰야 (일본) - 유격수, 3루수 (1988–2000)
- 노무라 히로키 (일본) - 투수 (1988–2002)
- 타니시게 모토노부 (일본) - 포수 (1989–2001)
- 이시이 다쿠로 (일본) - 유격수, 3루수, 투수 (1989–2008)
- 사사키 가즈히로 (일본) - 투수 (1990–1999, 2004–2005)
- 스즈키 다카노리 (일본) - 외야수 (1991–2008)
- R. J. 레이놀즈 (미국) - 외야수 (1991–1992)
- 이가라시 히데키 (일본) - 투수 (1991–2001)
- 사이토 다카시 (일본) - 투수 (1992–2005)
- 미우라 다이스케 (일본) - 투수 (1992–2016)
- 글렌 브래그스 (미국) - 우익수 (1993–1996)
- 로버트 로즈 (미국) - 2루수 (1993–2000)
- 사에키 다카히로 (일본) - 1루수, 외야수 (1993–2010)
- 오카 도모카즈 (일본) - 투수 (1994–1998, 2010–2011)
- 고마다 노리히로 (일본) - 1루수 (1994–2000)
- 하루 토시오 (일본) - 중견수 (1994–2001)
- 아이카와 료지 (일본) - 포수 (1995–2008)
- 후쿠모리 가즈오 (일본) - 투수 (1995–2003)
- 가와무라 다케오 (일본) - 투수 (1997–2008)
- 킨조 다쓰히코 (일본) - 외야수 (1999–2014)
- 기즈카 아쓰시 (일본) - 투수 (2000–2010)
- 타네다 히토시 (일본) - 2루수 (2001–2007)
- 우치카와 세이이치 (일본) - 1루수, 외야수 (2001–2010)
- 무라타 슈이치 (일본) - 3루수 (2003–2011)
- 요시무라 유키 (일본) - 우익수 (2003–2012)
- 가도쿠라 겐 (일본) - 투수 (2004–2006)
- 마크 크론 (미국) - 투수 (2005–2007)
- 후지타 가즈야 (일본) - 2루수 (2005–2012, 2022–2023)
- 가지와라 다카유키 (일본) - 외야수 (2007–2020)
- 다나카 겐지로 (일본) - 투수 (2008–2023)
- 스티븐 랜돌프 (미국) - 투수 (2009–2010, 2011)
- 브렛 하퍼 (미국) - 1루수 (2010–2011)
- 나카무라 노리히로 (일본) - 3루수 (2011–2014)
- 토니 블랑코 (도미니카 공화국) - 1루수 (2013–2014)
- 기예르모 모스코소 (베네수엘라) - 투수 (2014–2016)
- 미카미 토모야 (일본) - 투수 (2014–2022)
- 스나다 다케키 (일본) - 투수 (2014–2022)
- 호소카와 세이야 (일본) - 외야수 (2017–2022)
- 에드윈 에스코바 (베네수엘라) - 투수 (2017–2023)
- 네프탈리 소토 (푸에르토리코) - 1루수, 3루수 (2018–2023)
- 페르난도 로메로 (도미니카 공화국) - 투수 (2021–2022)
- 트레버 바우어 (미국) - 투수 (2023)
=== 메이저리그 경험 선수 ===
==== 현재 ====
==== 과거 ====
8. 한국과의 관계
(해당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어,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BayStars name Ramirez as new manager
http://www.japantime[...]
2015-10-20
[2]
웹사이트
BayStars bash Carp, punch ticket to Japan Series: Yokohama reaches championship series for the first time in 19 years
https://www.japantim[...]
2017-10-24
[3]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年度別成績 (1950–2018)
http://npb.jp/bis/te[...]
[4]
웹사이트
Mascot Profiles
http://www.baystars.[...]
2015-11-20
[5]
문서
球団およびNPBでの英語表記は会社名以外を全て大文字にした「'''YOKOHAMA DeNA BAYSTARS'''」。
[6]
문서
2000年から2010年までは、二軍の独立採算化と一軍との差別化を目的に二軍独自の球団名として、「'''湘南シーレックス'''」という名称が使用されていた。2011年からは再び一軍と同じ球団名となっている。
[7]
간행물
会社その他の公告
관보
2018-04-16
[8]
웹사이트
株式会社横浜DeNAベイスターズ 第71期決算公告
https://catr.jp/comp[...]
[9]
웹사이트
当社連結子会社(株式会社横浜DeNAベイスターズ)による株式会社横浜スタジアムに対する公開買付けの開始に関するお知らせ
http://ke.kabupro.jp[...]
디・엔・에이
2021-09-04
[10]
뉴스
東京日日新聞
1930-07-28
[11]
서적
大洋ホエールズ誕生前! 林兼商店野球部から大洋漁業野球部まで
문예사
[12]
서적
国鉄スワローズ1950-1964
교통신문사
[13]
웹사이트
【記録員コラム】ストッキングの中に米を忍ばせ遠征列車に
https://npb.jp/news/[...]
[14]
웹사이트
日本プロ野球記録・1952年大洋ホエールズ
http://2689web.com/1[...]
[15]
문서
具体的に「解散」などの処罰内容を決めていたわけではなかったが、下位球団を整理する意図は背景に存在した。
[16]
문서
球団史では傍系扱いとなり、
大東京軍(社名:大日本野球連盟・東京協会、経営:[[國民新聞社]]・1936年 - 1937年)
→ライオン軍(経営:[[共同印刷]]→[[田村駒商店]]、スポンサー:[[ライオン (企業)|ライオン歯磨本舗]]・1937年-1940年)
→朝日軍(社名:朝日野球倶楽部・1941年 - 1945年)
→パシフィック(1946年)
→太陽ロビンス(スポンサー:[[帝国繊維|太陽レーヨン]]・1947年)
→大陽ロビンス(1948年 - 1949年)
→松竹ロビンス(スポンサー:[[松竹]]・1950年 - 1952年)
以上の球団史や結成年度・優勝回数・その他記録は'''一切カウントされない'''。そのため、'''本球団は初代セ・リーグ優勝球団の後身ながら「初代セ・リーグ優勝チーム」と名乗ることができなくなっている。'''
[17]
웹사이트
メルマガコラム_京都でのプロ野球公式戦開催略史
https://www.pref.kyo[...]
[18]
문서
合併時に創立年や各種記録を、旧大洋側の存続扱いとしていたため、球団の系譜として連続したものとなった。もしも合併時に大東京から松竹の系譜を存続扱いとしていたら、旧・大洋と新・大洋が経営者と名称が同一なだけで連続性のないものとなるところだった。
[19]
뉴스
さよなら川崎球場〜夢舞台の半世紀 3 大洋の川崎進出 当時の市長が仲介役に
神奈川新聞社
2000-03-17
[20]
웹사이트
1955年セ・リーグ成績
https://npb.jp/bis/y[...]
[21]
웹사이트
過去最も首位から最下位までのゲーム差がなかったシーズンは?
https://column.sp.ba[...]
2019-09-06
[22]
뉴스
【野球】子年のプロ野球 巨人&オリックスに縁起よし?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
2024-11-16
[23]
웹사이트
セントラル・リーグの略史
https://npb.jp/cl/hi[...]
일본야구기구
2024-11-16
[24]
웹사이트
パシフィック・リーグの略史
https://npb.jp/pl/hi[...]
일본야구기구
2024-11-16
[25]
웹사이트
【プロ野球】歴代日本一チーム、日本シリーズMVP一覧|対戦カード・試合結果ほか
https://www.baseball[...]
カンゼン
2024-05-06
[26]
서적
スポーツの今日を刻む〜スポーツジャーナリスト21人からのメッセージ〜
창문기획
[27]
학술지
座談会 横浜公園とスタジアム〜開港から現在まで〜
http://www.yurindo.c[...]
유린당
2015-10-07
[28]
문서
このほかに、[[第三セクター]]である(株)横浜スタジアムとの間に契約を交わし、20年契約で入場料収入の29%、シーズン席の収入の30%と販売経費を球団から球場へ払い、球場内広告に対して5,000万円、物販協力金として350万円を球場から球団へ支払うというものだった。1978年(初年度)の横浜スタジアムは広告収入5億3,300万円、物販収入9億2000万円。1993年は球場収入13億9200万円、広告収入13億9,300万円、物販収入15億6500万円で、経常利益は13億9600億円、資産は現金・預金・有価証券で64億3800万円であった。この契約は現在も延長されているのかは不明。
[29]
뉴스
さよなら川崎球場〜夢舞台の半世紀 7 ロッテの舞台に プロ野球の灯を消すな
神奈川新聞社
2000-03-22
[30]
문서
横浜大洋友の会。球団営業部主導の横浜ベイスターズ全国ファンクラブ→B☆SPIRITとは別組織。友の会はのちに横浜ベイスターズ友の会→横浜DeNAベイスターズ友の会と名称を変更し、2013年にはB☆SPIRITと統合し、「B☆SPIRIT友の会」となった。
[31]
서적
日本プロ野球記録大鑑
講談社
[32]
서적
【セ・パ誕生70年記念特別企画】よみがえる1980年代のプロ野球 Part.2 [1986年編] (週刊ベースボール別冊冬桜号)
베이스볼 매거진사
[33]
문서
「昭和時代に1度もリーグ優勝・日本一をいずれも本拠地で飾れなかった球団」については、[[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のみ昭和時代に1度も'''年間勝率1位による'''リーグ優勝・日本一をどちらも本拠地で飾れなかった。
[34]
뉴스
古葉竹識の我が道
스포츠닛폰
2016-11-28
[35]
뉴스
일간스포츠
1989-10-24
[36]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歴代監督・シーズン順位変遷一覧(横浜ベイスターズ) (2/4)
https://www.baseball[...]
カンゼン
2022-10-02
[37]
신문
大洋・中山投手が“暴投” 金沢区で2少女にいたずら 県警逮捕 婚約中、練習帰りに 張り込み、ベンツで出没
神奈川新聞
1991-12-26
[38]
신문
横浜大洋 中山投手を『解雇』 監督戒告、社長ら減俸
神奈川新聞
1992-01-08
[39]
신문
解説/ 中山投手解雇 『失格』避け復帰に細道 更生が条件 厳しさの中に温情も
中日新聞
1992-01-08
[40]
신문
中山元投手が再出発 中日で二軍打撃投手に
神奈川新聞
1993-12-28
[41]
간행물
横浜ベイスターズ盛衰記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22-06
[42]
서적
プロ野球レジェンドが語るあの日、あのとき
産経新聞出版
2015
[43]
간행물
横浜ベイスターズ盛衰記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22-06
[44]
신문
八木沢荘六の我が道㉖、阪神への置き土産となった井川慶
スポーツニッポン
2021-11-29
[45]
문서
37年間リーグ優勝ができなかったのは日本球界最長記録である。
[46]
문서
首位で全日程を終えるのも、1964年以来34年ぶり。同年は全日程終了後、阪神に逆転され、リーグ優勝を逃したので、奇しくもその雪辱を果たす格好となった。
[47]
간행물
null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09-03
[48]
문서
2003年にダイエーの.297(ただしDH制による記録)に抜かれ、現在はセ・リーグ記録。横浜の投手の打撃成績を除いた野手のみの打率は.303。
[49]
문서
川村を最後に、2023年に東克樹が15勝を挙げるまでは15勝以上挙げた投手は現れなかった。
[50]
뉴스
“中日・谷繁vs西武・伊原”新監督同士をめぐる意外な「因縁」とは…
https://www.zakzak.c[...]
産経デジタル
2014-02-23
[51]
신문
横浜ベイスターズ筆頭株主交代 プロ野球の実行委員会が承認
読売新聞東京本社
2001-11-16
[52]
신문
横浜の株取得は「野球協約に違反」 巨人の渡辺オーナーが異議/プロ野球
読売新聞東京本社
2001-11-17
[53]
신문
横浜の「株」問題、あす臨時実行委/プロ野球コミッショナー
読売新聞東京本社
2001-11-28
[54]
신문
横浜ベイスターズ株譲渡 野球機構、「白紙」に戻す 臨時実行委「全会一致」
読売新聞東京本社
2001-11-30
[55]
신문
横浜筆頭株主問題 マルハ、TBSに筆頭株主を要請/プロ野球
読売新聞東京本社
2001-12-22
[56]
신문
横浜株、TBSへの売却 全会一致で承認/プロ野球実行委
読売新聞東京本社
2002-01-23
[57]
신문
「加盟料30億円」存続へ 横浜株譲渡も承認/プロ野球オーナー会議
読売新聞東京本社
2002-01-27
[58]
신문
プロ野球 横浜ベイスターズ株、売却額は140億円――マルハ、3月に
毎日新聞東京本社
2002-01-31
[59]
신문
[クローズアップ2004]西武球団売却打診 不祥事コクド、赤字限界
毎日新聞東京本社
2004-11-07
[60]
문서
TBS(現・TBSホールディングス)がスポーツ団体の経営をするのは国際プロレス以来である。
[61]
신문
横浜オーナーにTBSの砂原社長/プロ野球
読売新聞東京本社
2002-01-31
[62]
신문
横浜ベイスターズの球団株譲渡問題 TBSが筆頭株主へ マルハの全株を取得
読売新聞東京本社
2002-01-13
[63]
보도자료
横浜ベイスターズ応援室を新設
https://www.tbs.co.j[...]
TBS
2002-03-20
[64]
보도자료
横浜ベイスターズ応援室を新設
https://www.tbs.co.j[...]
TBS
2002-02-01
[65]
보도자료
横浜ベイスターズのブームアップ展開を発表
https://www.tbs.co.j[...]
TBS
2002-03-19
[66]
문서
セ・リーグ全日程最下位は65年サンケイ、1980年中日、1985年ヤクルト、1991年阪神に次いで5度目。
[67]
신문
DeNA、横浜を買収 TBS、4年越しの決着 プロ野球
朝日新聞東京本社
2011-11-05
[68]
문서
盗塁数は2005年から37、51、42、37で2007年を除いて4年間で3回も12球団ワーストを記録している。
[69]
웹사이트
2009年度セントラル・リーグ チーム投手成績
https://npb.jp/bis/2[...]
[70]
웹사이트
2009年度セントラル・リーグ チーム打撃成績
https://npb.jp/bis/2[...]
[71]
뉴스
横浜ベイスターズ売却を打診 TBS、住生活G軸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0-10-01
[72]
뉴스
ベイ売却、来週にも「横浜残留」で住生活グループと合意へ
http://news.kanaloco[...]
神奈川新聞
2010-10-05
[73]
뉴스
TBS、横浜ベイスターズを来季も保有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0-10-27
[74]
뉴스
横浜ベイスターズ:TBS、住生活ともに交渉の破談認める
http://mainichi.jp/s[...]
毎日.jp
2010-10-27
[75]
뉴스
横浜売却、本拠地移転が決裂要因 球団社長が公表
https://web.archive.[...]
共同通信社
2010-10-28
[76]
뉴스
住生活G会長「ゼロから出発したかった」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0-10-28
[77]
뉴스
東北・関東大地震 楽天、横浜は試合打ち切り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3-11
[78]
웹사이트
2011年度交流戦チーム勝敗表
https://npb.jp/bis/2[...]
日本野球機構
2015-10-07
[79]
뉴스
横浜わずか2安打で零敗…7月は連勝なし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7-31
[80]
뉴스
借金19と低迷も…首脳会談で「後半戦も現体制」確認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7-21
[81]
뉴스
横浜6年連続Bクラス確定も尾花監督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9-27
[82]
뉴스
4年連続最下位…尾花監督「全部言い訳になる。言いません」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10-09
[83]
웹사이트
【2011年度 公式戦】勝敗表
https://npb.jp/bis/2[...]
日本野球機構
2015-10-07
[84]
뉴스
横浜最悪の幕切れ…尾花監督「責任は感じている」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10-22
[85]
웹사이트
DeNAが横浜球団買収へ TBSと大筋で合意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1-10-19
[86]
웹사이트
横浜、尾花監督が休養 球団売却で人事不透明に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1-10-22
[87]
웹사이트
(株)横浜ベイスターズ(連結子会社)株式の譲渡に関するお知らせ
http://v3.eir-parts.[...]
2011-11-04
[88]
뉴스
横浜DeNA誕生 組閣、補強、村田のFA流出阻止が急務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12-01
[89]
뉴스
ベイスターズ株、TBS譲渡完了。
日本経済新聞東京本社
2011-12-03
[90]
뉴스
(社説)モバゲー球団 きちんと野球をやろう
朝日新聞東京本社
2011-11-11
[91]
웹사이트
尾花髙夫監督解任記者会見について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1-11-22
[92]
간행물
null
2011-12-16
[93]
웹사이트
試合結果・速報 2012年3月30日(金)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2-03-30
[94]
웹사이트
試合結果・速報 2012年4月1日(日)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2-04-01
[95]
뉴스
DeNA借金20&自力V消滅 鬼門で29イニング無得点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2-07-07
[96]
뉴스
高城 同一カード3連勝呼んだ!球団23年ぶり高卒新人マスク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2-07-19
[97]
뉴스
今季初5連勝!9日間負けなし…中畑監督「最長不倒だよ」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2-09-30
[98]
뉴스
王溢正が乱調…大敗で最下位決定 中畑監督「先に台風来ちゃったね」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2-09-30
[99]
문서
東京ドーム9敗1分、鹿児島1敗、宇都宮1分け。
[100]
뉴스
中畑監督 屈辱の東京ドーム0勝「記録と負けっぷりを忘れない」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2-10-08
[101]
웹사이트
2012年度 セントラル・リーグ セントラル・リーグ チーム勝敗表
https://npb.jp/bis/2[...]
日本野球機構
2015-11-07
[102]
뉴스
古巣ベイ復帰の多村「正直驚いています」
http://www.sanspo.co[...]
サンケイスポーツ
2012-11-05
[103]
뉴스
DeNA 守護神候補ソーサを獲得 初の3外国人同一球団移籍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2-12-26
[104]
웹사이트
2013年度 交流戦
https://npb.jp/bis/2[...]
日本野球機構
2015-10-07
[105]
뉴스
ヤクルト 6年ぶり最下位決定「申し訳ない。監督の力不足」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10-01
[106]
뉴스
【DeNA】12年ぶり3球団に勝ち越し!
http://hochi.yomiuri[...]
スポーツ報知
2013-10-05
[107]
웹사이트
【プロ野球】歴代日本一チーム、日本シリーズMVP一覧|対戦カード・試合結果ほか (3ページ目〜)
https://www.baseball[...]
カンゼン
2023-11-05
[108]
웹사이트
公式戦 2014年度 カレンダー 【3・4月】
https://npb.jp/bis/2[...]
NPB(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2022-04-03
[109]
뉴스
DeNA山口が今季2度目の月間MVP
https://www.daily.co[...]
2014-10-07
[110]
뉴스
中畑監督 CS進出消え「まだまだ力足りなかった」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4-09-28
[111]
뉴스
ヤクルト 山田 日本新記録は逆転満塁弾!DeNA 5位確定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4-10-08
[112]
웹사이트
役員人事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5-01-16
[113]
뉴스
プロ野球初の女性オーナー誕生 DeNA新オーナーに南場智子氏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5-01-16
[114]
뉴스
DeNA単独首位に新垣、福浦、カラバイヨ...各地で続出した○○年ぶり
http://baseballking.[...]
FromOne co.,ltd
2015-04-09
[115]
뉴스
DeNA交流戦全カード負け越し貯金0
https://www.daily.co[...]
2015-06-14
[116]
뉴스
キヨシDeNA、交流戦史上最低勝率…就任4年目ワースト10連敗
https://www.sanspo.c[...]
産業経済新聞社
2015-06-15
[117]
뉴스
DeNA史上初、首位から12連敗 最下位と1差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5-06-20
[118]
뉴스
DeNA勝った!連敗12でストップ!巨人 貯金ゼロに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5-06-23
[119]
뉴스
セ・リーグ6球団監督が前半戦を総括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5-07-16
[120]
뉴스
ルナV撃!荒木猛打賞!中日集中打で連敗脱出 DeNAは自力CS消滅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5-09-03
[121]
뉴스
巨人ヒヤヒヤの連勝 DeNA反撃届かず最下位確定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5-10-03
[122]
웹사이트
2015年度 セントラル・リーグ チーム打撃成績
https://npb.jp/bis/2[...]
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2022-04-03
[123]
웹사이트
2015年度 セントラル・リーグ チーム投手成績
https://npb.jp/bis/2[...]
NPB(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2022-04-03
[124]
웹사이트
2015年度 セントラル・リーグ チーム守備成績
https://npb.jp/bis/2[...]
NPB(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2022-04-03
[125]
웹사이트
中畑清監督退任のお知らせ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5-10-03
[126]
뉴스
DeNA新監督にラミレス氏=2年契約の見通し - プロ野球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5-10-19
[127]
웹사이트
アレックス・ラミレス新監督 就任記者会見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5-10-21
[128]
뉴스
DeNAラミレス新監督「優勝を」報道陣120人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5-10-21
[129]
웹사이트
プロ野球 DeNA、初のCS進出決定
https://www.nikkei.c[...]
2016-09-23
[130]
뉴스
DeNA3位浮上!ドラ1浜口が新人トップ3勝「これをきっかけに」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アネックス
2017-05-31
[131]
뉴스
DeNAが3戦連続サヨナラ勝ち!球団57年ぶり、同一カードでは初の快挙
https://www.sanspo.c[...]
サンスポ
2017-08-25
[132]
뉴스
DeNA2年連続CS進出!乱打戦制し3位確定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10-01
[133]
웹사이트
2018年3月30日(金) 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7 横浜DeNAベイスターズ3
https://npb.jp/bis/2[...]
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2022-04-03
[134]
뉴스
DeNA、6連勝で首位浮上! 開幕投手の石田が今季初勝利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
2018-04-13
[135]
웹사이트
DeNAが豪州の強豪・キャンベラと戦略的パートナシップを締結
https://baseballking[...]
ライブドア
2018-07-18
[136]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歴代監督・シーズン順位変遷一覧(横浜ベイスターズ)(3ページ目〜)
https://www.baseball[...]
カンゼン
2022-10-02
[137]
문서
2018年11月23日から2019年11月22日まで使用された。
[138]
문서
ホームゲームでは球場にこのデザインの旗が必ず掲げられていた。また、球団公式映像や資料、各種SNSでもこのロゴが使用されていた。ビジターゲームの場合はこのデザインのものと従来(2012年にデザインされたもの)のものとが混在していた。
[139]
뉴스
DeNA・筒香、ポスティングでメジャー挑戦「イチローさんや松井さんに憧れ」
https://www.sanspo.c[...]
2019-10-30
[140]
웹사이트
新キャプテン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baystars[...]
2020-01-25
[141]
웹사이트
2020年春季キャンプ 特別コーチについて
https://www.baystars[...]
2020-02-10
[142]
웹사이트
DeNA、ゴールドグラブ賞11度の名手ビスケル氏を招聘! キャンプ特別コーチに
https://full-count.j[...]
2020-02-10
[143]
문서
[[마이너리그|싱글A]] [[케인카운티 쿠거스]] 투수코치
[144]
문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필드 코디네이터 겸 더블A[[잭슨 제너럴스]] 감독
[145]
웹사이트
2020年春季キャンプについて
https://www.baystars[...]
2020-02-10
[146]
웹사이트
2020年春季キャンプへの練習参加について
https://www.baystars[...]
2020-02-10
[147]
뉴스
【DeNA】ついに12球団最速CS進出完全消滅 三浦大輔監督1年目でBクラス確定 開幕時助っ人不在響く
https://hochi.news/a[...]
報知新聞社
2021-11-25
[148]
뉴스
DeNA、悪夢の10連敗にファン「最近10試合で14得点勝てるわけない」 他球団ファンから同情の声も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21-11-25
[149]
웹사이트
セ最下位“独走”も交流戦では2位浮上 DeNAが強力パ球団と互角以上に戦える理由とは?
https://full-count.j[...]
2021-11-25
[150]
웹사이트
2021年度 セントラル・リーグ チーム打撃成績
https://npb.jp/bis/2[...]
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2022-04-03
[151]
뉴스
DeNA6年ぶり最下位、今永昇太3回8安打5失点と乱調
https://www.nikkansp[...]
2021-11-25
[152]
뉴스
10年ぶりDeNA復帰の藤田一也「ベイスターズ愛は変わらない」
https://www.nikkansp[...]
2021-12-11
[153]
웹사이트
DeNAが斎藤隆氏、鈴木尚典氏、小杉陽太氏と来季コーチ契約 最下位から巻き返しへ
https://full-count.j[...]
2021-11-25
[154]
웹사이트
DeNAがOB石井琢朗氏のコーチ就任を発表 来季14年ぶりの復帰、担当分野は未定
https://full-count.j[...]
2021-11-13
[155]
웹사이트
DeNAが来季組閣発表!〝98年V戦士〟石井琢朗野手総合コーチ、鈴木尚典打撃コーチ、斎藤隆投手コーチらが新任
https://www.sanspo.c[...]
2022-09-26
[156]
뉴스
14年ぶり古巣へ DeNAコーチに相川氏
https://news.ntv.co.[...]
2021-11-19
[157]
뉴스
DeNA交流戦初V!三浦監督3年目悲願の「横浜優勝」史上初TQB決着「歴史に名を残すことができ誇り」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24-06-15
[158]
웹사이트
新キャプテン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4-05-11
[159]
웹사이트
2024年シーズン 選手契約について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4-05-11
[160]
뉴스
DeNA、6度目のCS進出決定 三浦監督、権藤氏以来の3年連続Aクラス
https://www.kanaloco[...]
神奈川新聞社
2024-11-03
[161]
웹사이트
【セCSファーストS回顧】集中力を見せて2位・阪神を下した3位・DeNA、2連勝でファイナルステージへ進出
https://npb.jp/news/[...]
日本野球機構
2024-11-03
[162]
뉴스
DeNAが7年ぶり日本シリーズへ 巨人に競り勝ち3位から進出
https://www3.nhk.or.[...]
NHK
2024-11-03
[163]
뉴스
DeNA史上最大の下剋上!26年ぶり3度目日本一 ハマスタ歓喜の5度舞い、三浦大輔監督男泣き「もう最高。全員が一つになれた」
https://www.sanspo.c[...]
産経デジタル
2024-11-04
[164]
웹사이트
三浦 大輔 みうら・だいすけ 個人年度別成績
https://npb.jp/bis/p[...]
日本野球機構
2024-11-04
[165]
웹사이트
三原 脩(みはら おさむ)
https://baseball-mus[...]
[166]
웹사이트
権藤 博(ごんどう ひろし)
https://baseball-mus[...]
[167]
웹사이트
落合 博満(おちあい ひろみつ)
https://baseball-mus[...]
[168]
웹사이트
天知 俊一 (あまち しゅんいち)
https://baseball-mus[...]
[169]
문서
2010년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거쳐 일본 시리즈 우승
[170]
문서
2001년 세리그 순위
[171]
문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산케이]]와 동률 최하위
[172]
문서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하지 않은 일본 시리즈 우승으로부터 가장 오랫동안 멀어져 있는 팀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마지막 일본 시리즈 우승은 1984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73]
문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도요"는 구단의 최대 주주인 [[마쓰다]]의 구 사명인 도요 공업에 유래한다.
[174]
뉴스
略称は横浜DeNAかDeNA 実行委員会で承認
https://www.sponichi[...]
스포니치
2011-12-06
[175]
웹사이트
세·퍼 공식전 경기 일정
http://www.npb.or.jp[...]
일본야구기구
2015-10-08
[175]
웹사이트
구단별 캘린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https://npb.jp/bis/t[...]
일본야구기구
2015-10-08
[176]
뉴스
共同通信プロ野球速報
http://www.47news.jp[...]
47NEWS
[177]
웹사이트
プロ野球 日程&結果
http://www.nikkanspo[...]
[178]
문서
「B」で始まる球団が既にオリックス・ブルーウェーブ(BW)と近鉄バファローズ(Bu)の2球団存在していたため。
[179]
뉴스
DeNA、横浜スタジアムと7年契約=プロ野球
http://www.jiji.com/[...]
2012-03-07
[180]
문서
ただ、あまりにもずんぐりした体型のおかげで、転ぶと自力で立ち上がれなくなることが多々ある。
[181]
뉴스
趣味は「食っちゃ寝」 脱力系マスコット・横浜DeNA「スターマン」インタビュー
https://getnews.jp/a[...]
2012-05-10
[182]
웹사이트
DB.ライダー 球団公認キャラクターとしての活動終了のお知らせ
https://www.baystars[...]
2016-04-06
[183]
웹사이트
横浜移転時に誕生した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マリンくん”が限定復刻
https://www.baystars[...]
[184]
웹사이트
DeNA、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の“マリンくん”を限定復刻へ
http://full-count.jp[...]
[185]
뉴스
【DeNA】大洋時代の「マリンくん」復刻!球団5周年で“再登板”
https://web.archive.[...]
2016-01-31
[186]
웹사이트
ベイスたんのブログやよ!(スポナビブログ)
http://www.plus-blog[...]
ワイズ・スポーツ
2015-10-08
[187]
서적
ベースボールサミット
カンゼン
[188]
웹사이트
『ファンフェスティバル2012』にて新商品発売のお知らせ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2-11-20
[189]
문서
ただしマフラータオルも引き続き販売されている。
[190]
문서
俗に1-9と呼ばれる、当日のスタメン選手の応援歌をメドレー形式で演奏するもので、スタメン発表時や試合勝利後に行われる。
[191]
문서
2000年頃以降に製作された楽曲は、製作者(作曲・作詞・編曲など)や曲調などが従来までと異なり、球場での演奏に不適なものが多くなったため、応援団側がこれらの使用を拒んだことも要因にある。
[192]
문서
例として金城龍彦(市川和正より流用)、内川聖一(高木豊より流用)、内藤雄太(駒田徳広より流用)、タイラー・オースティン(ターメル・スレッジより流用)など。牧秀悟(大洋時代の谷繁元信→村田修一より流用)、ネフタリ・ソト(アルキメデス・ポゾ→ホセ・カスティーヨより流用)のように複数回流用されているケースもある。
[193]
문서
横浜市ポイ捨て・喫煙禁止条例に違反することや、球場すぐ近隣を走行するJR京浜東北・根岸線の架線に引っ掛かり、電車の運行を妨害する危険があるため。
[194]
웹사이트
『OPENING SERIES 2013 夢の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へ!』 ニュース第2弾 ロケット風船『スタージェット』をプレゼント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3-03-19
[195]
문서
かつて在籍したデーブ・ドスターのCD収録版応援歌のメロディを流用したもので、歌詞は新規。ドスター在籍時には実際に演奏されることはなかった。
[196]
문서
球団の二軍を専門に応援する団体であった。
[197]
문서
1962年の東映フライヤーズ(現・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と2010年の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は共に第7戦には出たことがあるものの、共に引き分け後での最終戦ではない第7戦でそれぞれ日本一になっており、どちらもDeNAと共に最終戦には出たことがない。
[198]
문서
横浜時代の1998年には日本シリーズで西武ドーム(現・ベルーナドーム)にて試合を行ったが、当時は屋根がなかった。
[199]
문서
1960年のシリーズは4勝無敗で日本一、1998年のシリーズでは第3戦と第4戦で黒星を喫したが、いずれも西武ドーム(後のベルーナドーム)だった。
[200]
문서
元々、楽天は創設して日が浅いため、該当者は平石洋介、石井一久、今江敏晃のみである。
[201]
문서
ただし、プレーオフも挿まない年間勝率1位によるリーグ優勝から最も長く遠ざかっているのは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で、最後の年間勝率1位によるリーグ優勝はロッテオリオンズ時代の1970年まで遡る。
[202]
웹사이트
“常識破り”の球団改革 〜密着・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nhk.or.j[...]
2017-02-17
[203]
문서
牛島和彦監督(当時)がテレビ番組で頼み込んでの就任
[204]
웹사이트
例・4/23(火)『BLUE☆LIGHT SERIES 2024 Supported by nojima』第1戦のスペシャルゲストが石井竜也さんに決定!
https://www.baystars[...]
[205]
문서
株式会社ディー・エヌ・エー2013年3月期以降の有価証券報告書【企業の概況】4【関係会社の状況】参照
[206]
뉴스
横浜ベイスターズ株の譲渡完了 TBSからDeNA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1-12-02
[207]
문서
株式会社ディー・エヌ・エー2012年3月期の有価証券報告書記載内容には日本経済新聞12月2日付記事の記載通り持株比率が66.9%と記載されているので、少なくとも2013年3月までにディー・エヌ・エーは第二位株主だったニッポン放送より30.79%を取得し、買い増している。
[208]
웹사이트
https://www.tbs.co.j[...]
[209]
뉴스
TBS買収時は新規加盟料30億円免除
https://web.archive.[...]
2010-10-01
[210]
웹사이트
アナログ球団からデジタル球団へ――横浜DeNAベイスターズの球団業務改革(1/2 ページ) - ITmedia エンタープライズ
https://www.itmedia.[...]
[211]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SHOWROOM PASS
https://www.showroom[...]
[212]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公式戦をAbemaTVで完全無料生中継
https://times.abema.[...]
AbemaTIMES
2018-03-07
[213]
웹사이트
横浜から発信する野球好きのための中継!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1レギュラーシーズン・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全主催試 合 試合開始から試合終了までJ SPORTSオンデマンドLIVE配信決定!!
https://www.jsports.[...]
J SPORTSプレスリリース
2021-02-18
[214]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2023主催公式戦』39試合をU-NEXTにてライブ配信決定!ヒーローインタビューやチームの様々な情報をお伝えする応援番組『WITH☆ベイスターズ』の配信も開始
https://www.unext.co[...]
2023-06-30
[215]
문서
2000年代後半頃(2010年まで)、番組名が『[[tvkプロ野球中継 横浜DeNAベイスターズ熱烈LIVE|YOKOHAMAベイスターズナイター]]』であっても、TBSテレビでの地上波中継のない主催試合の場合、テレビ神奈川が自社制作せず、BS-TBS・TBSニュースバード向けにTBSテレビが制作した『[[S☆1 BASEBALL|ザ・プロ野球]]』を購入して同時放送を行う傾向にあったが、2011年からは、TBSテレビから球団配信ので公式映像扱いにより主要映像配給を受けて、一部の映像・実況・スコアテロップを自社で差し替え、形式的に自社制作扱いとするようになった。
[216]
문서
ただし完全移行は2014年6月からで、4・5月はTBSチャンネル2が視聴できない[[ケーブルテレビ局]]への配慮を含めた視聴者保護と、円滑なチャンネル移行が行えるようにするための経過処置として、TBSテレビ・[[BS-TBS]]での放送がない16試合を対象に、ニュースバードとTBSチャンネル2の並列放送を実施した。
[217]
웹사이트
お知らせ
http://www.tbs.co.jp[...]
2014-03-13
[218]
문서
他に[[フジ・メディア・ホールディングス]]の主要株主であり、ニッポン放送とともにNRN基幹局を務めるラジオ局でもある[[文化放送]]の[[文化放送ライオンズナイター]]、[[文化放送ホームランナイター]]、同社が技術協力する[[NACK5 SATURDAY&SUNDAY LIONS]]([[エフエムナックファイブ|NACK5]])、[[アール・エフ・ラジオ日本|RFラジオ日本]]の[[ラジオ日本ジャイアンツナイター]]で主催試合を中継する場合があった。
[219]
서적
日本プロ野球ユニフォーム大図鑑 中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3
[220]
서적
[221]
서적
[222]
문서
2005年には[[ワシントン・ナショナルズ]]の帽子として復活した。
[223]
서적
[224]
서적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別冊新年号 1978-1992 横浜大洋ホエールズマリンブルーの記憶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
[225]
문서
ビジター用のユニフォームはスリムなデザインが受けて全国の草野球チームでこれを模倣したユニフォームが使われるほどであった。
[226]
서적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別冊新年号 1978-1992 横浜大洋ホエールズマリンブルーの記憶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
[227]
문서
ブルーアズール=藍青色
[228]
웹사이트
伝統の“ベイスターズブルー”を継承 サードユニフォームで週末ビジターゲームも青く燃える!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3-03-12
[229]
웹사이트
ビジターユニフォーム変更のお知らせ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4-01-24
[230]
웹사이트
2016シーズンよりビジターユニフォームをフルモデルチェンジ 〜球団創設5周年を機に、胸のロゴから「DeNA」を外し「YOKOHAMA」を配します〜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6-01-09
[231]
웹사이트
2018年シーズンよりビジターキャップのロゴが地域名に! 〜DeNAの『De』からYOKOHAMAの『Y』へ〜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8-01-18
[232]
웹사이트
『70th ANNIVERSARY PROJECT』概要発表 70年の歴史を凝縮した特別ユニフォーム「70th ANNIVERSARYユニフォーム」を公式戦6試合で着用!〜歴代ベストナイン投票や特別コラムなど70年の歩みを振り返る企画も〜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9-01-29
[233]
웹사이트
「より青く、より強く。」2020年シーズンを戦う新ビジターユニフォームのデザインが決定、発売開始!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0-01-25
[234]
웹사이트
新ホームユニフォーム、2023年シーズンスローガン発表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3-01-23
[235]
웹사이트
新ビジターユニフォームのデザインが決定!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sp.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4-01-29
[236]
문서
当時使用された楽天の交流戦ユニフォーム(ホーム用)とよく似ている。
[237]
문서
2008年は[[2008年北京オリンピック|夏季オリンピック北京大会]]開催のため8月の主催ゲームが8カード21試合中13試合と少ないため、夏季限定ユニフォームの着用はなく、2009年も登場していない。
[238]
웹사이트
『YOKOHAMA STAR☆NIGHT 2013』第1弾情報 球団初!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を3日間連続で来場者プレゼント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3-06-19
[239]
웹사이트
『YOKOHAMA STAR☆NIGHT 2017』選手着用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 デザイン決定!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2020-08-21
[240]
웹사이트
ニュース | 『YOKOHAMA STAR☆NIGHT 2018 Supported by 横浜銀行』の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が決定!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2020-08-21
[241]
웹사이트
『YOKOHAMA STAR☆NIGHT 2019 Supported by 横浜銀行』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が決定!レプリカ版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付チケット発売概要決定!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2020-08-21
[242]
웹사이트
『YOKOHAMA STAR☆NIGHT 2020 Supported by 横浜銀行』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が決定!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2020-08-21
[243]
웹사이트
『YOKOHAMA STAR☆NIGHT 2021 Supported by 横浜銀行』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が決定!|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2024-04-23
[244]
웹사이트
8/2(火)~4(木)開催『YOKOHAMA STAR☆NIGHT 2022 Supported by 横浜銀行』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が決定!|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2024-04-23
[245]
웹사이트
8/8(火)〜10(木)開催『YOKOHAMA STAR☆NIGHT 2023 Supported by 横浜銀行』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が決定!
https://www.baystars[...]
2024-04-23
[246]
웹사이트
8/4(金)〜8/6(日)『キッズSTAR☆NIGHT 2023 Supported by J:COM』、今年は3日間開催!
https://www.baystars[...]
2023-06-05
[247]
웹사이트
7/9(火)〜11(木)開催『YOKOHAMA STAR☆NIGHT 2024 Supported by 横浜銀行』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が決定!|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www.baystars[...]
[248]
웹사이트
8/4(金)〜8/6(日)『キッズSTAR☆NIGHT 2023 Supported by J:COM』、今年は3日間開催!
https://www.baystars[...]
2024-04-30
[249]
뉴스
【プロ野球】セ・リーグ6球団が復刻版ユニフォームで対戦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0-07-25
[250]
문서
복고 유니폼에는 "노지마"나 "리스트"의 광고가 들어간다.
[251]
문서
당초는 6월 16일 예정이었지만 우천취소 때문에 이 날로 변경되었다.
[252]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になって初めて、ハマスタにホエールズが帰ってくる!復刻ユニフォーム選手着用試合「We☆YOKOHAMA DAY」開催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6-04-26
[253]
문서
2일의 게임은 태풍 접근에 의해 중지되어, 5일에 대체 경기가 행해졌다.
[254]
문서
그러나 당시와는 달리, 왼쪽 가슴에 노지마, 바지에 마루하니치로의 광고가 붙어 있다.
[255]
웹사이트
6/2(金)~6/4(日) 『GET THE FLAG! SERIES 2023』開催、1998年のホームユニフォームの復刻が決定!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3-04-09
[256]
웹사이트
9/8(金)〜9/10(日)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戦にて、1998年のホームユニフォーム再着用が決定!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3-08-11
[257]
웹사이트
球団神奈川移転70年目プロジェクト『ありがとう神奈川。これからも共に。』地元神奈川への感謝を表現したKanagawaユニフォームなどグッズ第1弾発売!|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https://sp.baystars.[...]
[258]
문서
2010년의 "올드 유니폼 시리즈"에서는 광고를 오른쪽 소매에 게시.
[259]
웹사이트
日本プロ野球記録1953年洋松ロビンズ
https://2689web.com/[...]
[260]
웹사이트
日本プロ野球記録1954年洋松ロビンズ
https://2689web.com/[...]
[261]
문서
가와사키 구장은 다이요가 본거지로 했던 당초, 1954년에 참입한 [[다카하시 유니온즈]](1955년은 톤보 유니온즈)도 본거지로 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다이요의 가와사키 이전 첫해인 1955년과 다카하시가 소멸한 다음 해인 1956년의 2년간은 다이요와 다카하시가 가와사키 구장을 걸쳐 사용하고 있었다.
[262]
웹사이트
ヤクルト&DeNA、東京五輪前後の期間は東京ドームで主催試合
https://web.archive.[...]
産業経済新聞社(サンケイスポーツ)
2019-05-27
[263]
웹사이트
東京五輪延期に伴い、DeNAとヤクルトが主催試合の開催球場を変更…ハマスタ、神宮でそれぞれ11試合開催
https://hochi.news/a[...]
2020-04-15
[264]
문서
날짜는 시즌 도중 취임한 경우에만 기재.
[265]
문서
날짜는 시즌 도중 사임한 경우에만 기재(휴양은 포함하지 않음). 그 외는 원칙적으로 연말 사임.
[266]
문서
1972년 8월 30일까지 지휘, 남은 경기는 [[아오타 노보루]]와 [[미야자키 고 (1918년생의 내야수)|미야자키 고]]가 대행.
[267]
문서
1981년 9월 24일까지 지휘, 남은 경기는 [[야마네 토시히데]]가 대행.
[268]
문서
2002년 9월 25일까지 지휘, 남은 경기는 [[쿠로에 토오루]]가 대행.
[269]
문서
2009년 5월 17일까지 지휘, 남은 경기는 [[타시로 토미오]]가 대행.
[270]
문서
1992년부터 1997년까지의 등번호는 "'''46'''".
[271]
뉴스
미우라의 등번호 18은 반영구 결번 "요코하마 넘버"로
https://www.sponichi[...]
스포츠 닛폰
2016-09-21
[272]
웹사이트
DeNAドラ1小園健太「18」背負い入団会見「勝利にたくさん貢献を」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12-03
[273]
문서
프로에 입단한 2010년은 "'''55'''", 2011년은 "'''8'''".
[274]
웹사이트
【DeNA】筒香の背番号25が準永久欠番に…三原球団代表「彼が帰ってくるまで空けておく」
https://hochi.news/a[...]
報知新聞社(スポーツ報知)
2020-01-09
[275]
뉴스
투수 3관왕으로 사와무라상을 놓친 것은 1명뿐. 치가 코다이는 2명째가 될까!?
https://news.yahoo.c[...]
[276]
웹사이트
三冠王 {{!}} 各種記録達成者一覧 {{!}} 達成記録
https://web.archive.[...]
日本野球機構
2022-10-05
[277]
웹사이트
최우수 선수 - 프로야구 : 닛칸 스포츠
https://www.nikkansp[...]
[278]
웹사이트
최우수 선수 - 프로야구 : 닛칸 스포츠
https://www.nikkansp[...]
[279]
문서
일미 통산. [[일본야구기구|NPB]]에서는 252세이브, [[메이저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129세이브.
[280]
문서
[[일본야구기구|NPB]]만의 통산. [[메이저리그 베이스볼|MLB]]시대의 86안타를 포함하면 미일 통산 2103안타가 되지만, NPB 재적 이전의 MLB의 성적은 명구회 가입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포함하지 않는다. 또, [[독립리그]]([[베이스볼 챌린지 리그|BC리그]])시대의 통산 58안타도 포함하지 않는다.
[281]
문서
[282]
문서
[283]
웹사이트
3/31(火)横浜DeNAベイスターズ球団歌CD『熱き星たちよ 〜2015〜』発売決定!(2015年3月22日)
https://www.baystars[...]
[284]
웹사이트
ラミレス監督 & 筒香選手など7選手が歌う『熱き星たちよ-2016-』発売(2016年3月17日)
https://www.baystars[...]
[285]
웹사이트
CD『熱き星たちよ-2017-』、ハマスタ限定『応援歌フェイスタオル』、NEW ERAキャップなどの新商品3/18(土)発売!!(2017年3月17日)
https://www.baystars[...]
[286]
웹사이트
祝!プロ野球開幕!今年もみなとみらい線に乗って横浜DeNAベイスターズを応援しよう!
http://www.mm21railw[...]
[287]
문서
[288]
웹사이트
DeNAキャンプ地に新室内練習場完成 全面人工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01-10
[289]
웹사이트
2020年秋季キャンプについて
https://baystars.co.[...]
DeNAベイスターズ 公式サイト
2020-02-09
[290]
웹사이트
ベイスターズ人気の復刻ユニは湘南カラー なぜ弱い時代のものが人気なのか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19-05-16
[291]
문서
[292]
문서
[293]
문서
[294]
웹사이트
2020年度セントラル・リーグ選手権試合日程
https://npb.jp/games[...]
日本野球機構
2019-07-22
[295]
문서
[296]
웹사이트
7/8(火)横浜DeNA 対 巨人(沖縄セルラースタジアム那覇)の試合は中止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4-07-07
[297]
뉴스
横浜DeNA:グリエル「飛行機怖い」 沖縄遠征の帯同見送り
http://www.kanaloco.[...]
神奈川新聞
2014-07-08
[298]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公認ファンクラブ B☆SpiritNiigata
https://web.archive.[...]
BSN新潟放送
2014-07-13
[299]
웹사이트
新潟県野球少年へ「5周年ロゴ入りベースボールキャップ」プレゼント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6-03-10
[300]
웹사이트
7/23(土)・7/24(日)は「うまさぎっしり新潟」DAY in ハマスタBAYガーデンを開催!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6-07-06
[301]
웹사이트
(記者発表資料)第1回下関プロ野球招致実行委員会の開催について
http://www.city.shim[...]
[302]
뉴스
ベイスターズ、雨うらめし 下関「帰郷」戦が中止 公式戦誘致へ期待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3-11
[303]
웹사이트
春季非公式試合(オープン戦)
https://npb.jp/prese[...]
[304]
문서
[305]
웹사이트
DeNA「アツいぜ!チケット」勝っても半数以上が返金要求
http://sportsnavi.ya[...]
スポーツナビ
[306]
뉴스
ショックだった返金企画…中畑監督「屈辱。二度とやらないで」
https://www.sponichi[...]
2012-05-08
[307]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主催試合観戦権付きチケットなど、9/28(金)〜10/3(水)対象の企画チケットを8/25(土)に発売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2-08-21
[308]
웹사이트
2012年発売『〜感謝、そして夢〜新・熱いぜ!チケット』での「2016年度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セ」ご観戦について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6-09-23
[309]
웹사이트
DeNA、幻の約束が復活!!7年前のCS観戦権付チケット購入者を特別招待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
2019-09-30
[310]
뉴스
中畑監督ハマギンのため8・8借金完済だ
https://www.nikkansp[...]
2014-06-20
[311]
서적
プロ野球70年から掘り起こす迷・珍言語録
朱鳥社
[312]
뉴스
16・ラストチャンス
https://web.archive.[...]
スポーツニッポン
2007-05-11
[313]
문서
[314]
문서
[315]
뉴스
DeNAに負けなし 巨人が狙う“中畑銀行”から「貯金24」
https://www.nikkan-g[...]
2014-04-23
[316]
뉴스
横浜DeNA:強力援軍で借金完済?横浜銀行がイベント協賛
http://www.kanaloco.[...]
神奈川新聞
2014-06-20
[317]
웹사이트
『YOKOHAMA STAR☆NIGHT 2014』第1弾情報 3年目の今年、地域に根差した横浜銀行がイベントパートナーに決定
http://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14-06-19
[318]
뉴스
【12月18日】1992年(平4)横浜、最初のドラ1は小桧山、背番号はあの「19」
http://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07-12-18
[319]
뉴스
【DeNA】牧秀悟が今季本拠地初アーチでダメ押し デスターシャは筒香知らず「あれなんだと」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4-05-11
[320]
뉴스
【DeNA】西浦直亨が入団会見、背番号は39 目標はハマスタで1発放ち「デスターシャ」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3-07-27
[321]
뉴스
DeNA佐野、牧ら サワヤン兄弟と「デスターシャ!」
https://www.kanaloco[...]
神奈川新聞社
2022-09-16
[322]
웹사이트
9/16(金)広島東洋カープ戦において、人気YouTuberサワヤンさんの来場が決定!」
https://www.baystars[...]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2022-09-09
[323]
문서
디ー·에ヌ·에이 인수 이후는 불명
[324]
뉴스
DeNA사, 요코하마 인수 최종 확정
http://sports.media.[...]
mk 스포츠
[325]
뉴스인용
日대지진, 巨人 역사도 바꿨다…개막 연기 확정
https://sports.news.[...]
이데일리
2022-03-22
[326]
뉴스인용
GTの監督がともに交代の今年。ともに交代で思い出すのは75年。言わば“逆順”の阪神・吉田監督は村山元監督の轍を踏むのか?
https://column.sp.ba[...]
슈칸 베이스볼 온라인
2022-04-02
[327]
뉴스인용
장훈, 대양 이적 좌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2-04-02
[328]
뉴스인용
大洋・青田昇代行がじゃじゃ馬イズムでチーム改革?/週べ回顧1972年編
https://column.sp.ba[...]
슈칸 베이스볼 온라인
2022-04-02
[329]
뉴스인용
‘욕심’ 버리고 ‘인기’ 얻은 日롯데 역사
https://sports.news.[...]
엑스포츠뉴스
2022-04-30
[330]
문서
2001년 센트럴 리그의 순위는 승률 순이 아닌 승수 대로 되어있기 때문에 승률의 경우에는 B클래스(4위)가 되어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