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루가르트 고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루가르트 고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키르기스스탄 국경에 위치한 고개이다.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주안두 소국 관할 하에, 당나라 시대에는 안서도호부의 일부였다. 1881년 러시아와 중국이 출입국 사무소를 설치했으며, 1952년 이르케쉬탐 고개를 대신하여 주요 육상 연결로가 되었다. 중소 분쟁으로 1969년 폐쇄되었다가 1983년 재개방되었으며, 1995년 출입국 사무소는 카슈가르 인근으로 이전되었다. 현재 모든 국적의 사람들이 통과할 수 있으며, 2012년부터 중국-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철도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재정적 문제로 중단되었다. 2023년 프로젝트 개발이 재개되었으며, 2022년 9월 상하이 협력 기구 정상 회담에서 3자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자금 확보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키르기스스탄 국경 - 포베다산
포베다산은 톈산산맥에 위치한 해발 7,439m의 산으로, 키르기스스탄과 중국의 경계에 있으며, 톈산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위 39도 이북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1956년 소련 등반대가 첫 등정에 성공했다. - 중국-키르기스스탄 국경 - 한텡그리봉
한텡그리봉은 텐샨 산맥 중앙부에 위치한 7,010미터 높이의 산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중국 국경에 걸쳐 있으며, 튀르크어로 '하늘의 산'을 의미하고 튀르크 신화의 하늘 신인 텡그리에서 유래되었으며, 험준한 지형으로 등반가들에게 도전적인 대상이자 튀르크 민족의 정체성과 자연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토루가르트 고개 | |
---|---|
개요 | |
이름 | 토루가르트 고개 |
원어명 (중국어 간체) | 吐尔尕特山口 |
원어명 (중국어 정체) | 吐爾尕特山口 |
병음 | Tǔ'ěrgǎtè shānkǒu |
대체 중국어 표기 (간체) | 图噜噶尔特山口 |
대체 중국어 표기 (정체) | 圖嚕噶爾特山口 |
위구르어 | تورغات ئېغىزى |
위구르어 (라틴 문자) | Torghat éghizi |
위구르어 (키릴 문자) | Торғат еғизи |
키르기스어 (아랍 문자) | تورۇعارت اشۇۇسۇ |
키르기스어 | Торугарт ашуусу |
키르기스어 (라틴 문자) | Toruğart aşuusu |
러시아어 | Перевал Торугарт |
지리 | |
해발고도 | 3,752m |
위치 | 중국-키르기스스탄 국경 |
산맥 | 톈산산맥 |
교통 | |
통과 도로 | G315 키르기스스탄 ЭМ-11 (E125) |
주요 연결 도시 | 키르기스스탄 나린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슈가르 |
2. 지리
토루가르트 고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키르기스스탄 국경에 위치한 고개 중 하나이며, 이르게슈탐 고개 역시 두 나라 국경에 있는 또 다른 주요 고개이다.
2. 1. 기후
토루가르트 고개(해발 3504m)의 1991년~2020년 평년값 기준 기후 정보는 다음과 같다.[10][11]
토루가르트 고개는 톈산산맥에 위치하며, 키르기스스탄 나른주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연결하는 중요한 통로이다. 이 고개는 고대부터 중앙아시아 지역의 교역과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근현대에 이르러서도 그 중요성이 이어지고 있다.[3][4][5][6][7][8][9] 자세한 시대별 역사는 아래 문단에서 다룬다.
3. 역사
3. 1. 고대
토루가르트 고개는 고대부터 이용되어 온 중요한 통로였다. 한나라 시대에는 이 지역이 '''주안두'''(捐毒国zho)라는 소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이후 당나라 시대에는 안서도호부에 속하여 당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3]
3. 2. 당나라 시대
토루가르트 고개는 고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주안두'''(捐毒国|주안두zho)라는 소국 관할 하에 있었다. 당나라 시대에는 안서도호부의 일부로서 당나라의 통제를 받았다.[3]
3. 3. 근대
러시아와 중국은 1881년 토루가르트 고개에 처음으로 출입국 사무소를 설치했다. 1906년, 러시아의 중러교통은행은 이 고개에서 카슈가르까지의 도로 건설에 2000만러시아 루블을 투자했다. 1952년, 토루가르트 고개는 이르케쉬탐 고개(약 165km 남서쪽에 위치)를 대신하여 신장과 당시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잇는 주요 육상 연결로가 되었다. 이 고개는 중소 분쟁으로 인해 1969년에 폐쇄되었다가 1983년에 다시 개방되었다. 1995년에는 토루가르트 출입국 사무소가 카슈가르에 더 가까운 해발 2000m의 낮은 고도로 이전되었으며, 카슈가르에서 약 57km 떨어져 있다.
이 고개는 모든 국적의 사람들에게 열려 있지만, 통과를 위해서는 교통 수단을 신중하게 준비해야 한다.[4]
2012년부터 토루가르트 고개를 통과하는 중국-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철도가 카슈가르와 페르가나 계곡을 연결하는 사업이 추진되어 왔다.[5] 그러나 철도의 키르기스스탄 구간은 재정적, 기술적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6] 2023년에는 이 프로젝트 개발이 관련 세 국가 정부의 새로운 추진력을 얻었다.[7] 2022년 9월 17일 상하이 협력 기구 정상 회담에서 3자 협정이 체결되었지만,[8] 자금 확보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9]
3. 4. 현대
러시아와 중국은 1881년 토루가르트 고개에 처음으로 국경 검문소를 설치했다. 1906년, 러시아의 중러교통은행은 이 고개에서 카슈가르까지 이어지는 도로 건설에 2000만러시아 루블을 투자했다. 1952년, 토루가르트 고개는 남서쪽으로 약 165km 떨어진 이르케쉬탐 고개를 대신하여 신장과 당시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연결하는 주요 육상 통로가 되었다. 그러나 1969년 중소 분쟁으로 인해 고개가 폐쇄되었다가 1983년에 다시 개방되었다. 1995년에는 토루가르트 출입국 사무소가 카슈가르에서 약 57km 떨어진, 해발 2000m의 더 낮은 고도로 이전되었다.
현재 이 고개는 모든 국적의 여행객에게 개방되어 있지만, 통과를 위해서는 사전에 교통편을 마련하는 등 신중한 준비가 필요하다.[4]
2012년부터는 토루가르트 고개를 경유하여 카슈가르와 페르가나 계곡을 잇는 중국-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철도 건설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5] 하지만 키르기스스탄 구간 건설은 재정 및 기술적 문제로 인해 지연되었다.[6] 2022년 9월 17일 상하이 협력 기구 정상 회담에서 관련 3국 간의 협정이 체결되면서[8] 2023년 들어 사업 추진에 다시 동력이 붙었으나,[7] 아직 자금 조달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9]
4. 교통
토루가르트 고개는 고대부터 이용되어 온 통로로, 한나라 시대에는 '''주안두'''(捐毒国중국어)라는 소국이 관할했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안서도호부에 속하여 당의 통제를 받았다.[3]
러시아와 중국은 1881년 토루가르트 고개에 처음으로 출입국 사무소를 설치했다. 1906년, 러시아의 중러교통은행은 이 고개에서 카슈가르까지의 도로 건설에 2000만러시아 루블을 투자했다. 1952년, 토루가르트 고개는 이르케쉬탐 고개(약 165km 남서쪽에 위치)를 대신하여 신장과 당시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잇는 주요 육상 연결로가 되었다. 이 고개는 중소 분쟁으로 인해 1969년에 폐쇄되었다가 1983년에 다시 개방되었다. 1995년에는 토루가르트 출입국 사무소가 카슈가르에 더 가까운 해발 2000m의 낮은 고도로 이전되었으며, 카슈가르에서 약 57km 떨어져 있다.
이 고개는 모든 국적의 사람들에게 열려 있지만, 통과를 위해서는 교통 수단을 신중하게 준비해야 한다.[4]
4. 1. 철도
2012년부터 토루가르트 고개를 통과하여 카슈가르와 페르가나 계곡을 연결하는 중국-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철도 사업이 추진되어 왔다.[5] 그러나 이 철도의 키르기스스탄 구간 건설은 재정 및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6] 2022년 9월 17일 상하이 협력 기구 정상 회담에서는 관련 3국 간 협정이 체결되었고,[8] 2023년 들어 프로젝트 개발이 다시 추진력을 얻었다.[7] 하지만 아직 자금 확보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9]참조
[1]
서적
China the Silk Routes
https://archive.org/[...]
Globe Pequot Press
[2]
백과사전
Торугарт ашуусу
https://new.bizdin.k[...]
Мамлекеттик тил жана энциклопедия борбору [State Language and Encyclopedia Center]
[3]
웹사이트
http://www.xjkz.gov.[...]
2007-10-05
[4]
웹사이트
Torugart Pass
http://caravanistan.[...]
2015-11-11
[5]
간행물
China-Kyrgyzstan-Uzbekistan Railway Scheme: Fears, Hopes and Prospects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12-05-30
[6]
간행물
Bishkek Puts Brakes on China–Kyrgyzstan–Uzbekistan Railway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15-11-03
[7]
웹사이트
China Is Finally Making Progress on the China-Kyrgyzstan--Uzbekistan-Railway
https://www.fpri.org[...]
2023-03-23
[8]
웹사이트
The China-Kyrgyzstan-Uzbekistan Railway: The Troubling Prospects and Why Renegotiations Should be Considered
http://www.cpreview.[...]
2024-12-04
[9]
뉴스
Ambitious China-Kyrgyzstan-Uzbekistan Railway Project Faces Major Funding Challenges
https://www.rferl.or[...]
2023-10-31
[10]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11]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12]
문서
Торугарт бекетин жылдырууга ким уруксат берген?
http://www.azattyk.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