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텡그리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텡그리봉은 톈산 산맥에 있는 봉우리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에 걸쳐 있다. "하늘의 왕"을 의미하며, 해 질 녘 붉게 빛나는 모습 때문에 "피의 산"으로도 불린다. 2002년 키르기스스탄 100솜 지폐에 도안으로 사용되었으며, 1931년 미하일 포그레베츠키 팀에 의해 초등되었다. 1990년 아나톨리 부크레예프가 최초로 단독 속도 등반에 성공했으며, 1992년 겨울 첫 등반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자흐스탄의 산 - 벨루하산
벨루하산은 러시아 알타이 공화국과 카자흐스탄 국경에 위치하며 여러 빙하를 포함하고 1914년 초등되었고 빙하 코어 분석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텡그리봉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 텡그리봉 |
다른 이름 | 한텡그리 피크 |
위도 | 42° 12′ 39″ N |
경도 | 80° 10′ 30″ E |
해발고도 | 7010m |
돌출높이 | 1685m |
위치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원수 현 카자흐스탄 알마티 주 라이임베크 구 키르기스스탄 이식쿨 주 악수 구 |
산맥 | 톈산 산맥 |
종류 | 산 |
첫 등반 | 1931년 미하일 포그레베츠키 |
쉬운 등반 경로 | 빙하/눈/얼음/암벽 등반 |
2. 명칭
"칸텡그리(Khan Tengri)"라는 이름은 카자흐어로는 문자 그대로 "하늘의 왕(King Heaven)"을, 몽골어로는 "하늘의 왕(King Sky)"을 의미한다. 이는 텡그리교와 중앙아시아 불교에서 모두 존재하는 하늘 신 텡그리를 가리킬 가능성이 있다. 지역 주민들은 눈 덮인 봉우리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고 이 산을 칸텡그리라고 이름 붙였다고 전해진다.
다른 현지 언어로는 ''칸 탄기리 싱기'', ''칸-투 초쿠수'', ''피크 칸-텡그리'', 그리고 ''한텡그리 펑''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다양한 언어 표기는 다음과 같다.
- 몽골어: Хан Тэнгэр
- 카자흐어: Хан Тәңірі (Han Táńiri), حان تأڭئرئ (아랍 문자 표기)
- 키르기스어: Хан-Теңири (Han-Teñiri), حان-تەڭىرى (아랍 문자 표기)
- 위구르어: خانتەڭرى
- 중국어: 汗腾格里峰 (번체: 汗騰格里峰, 병음: Hànténggélǐ Fēng)
- 샤오얼징: هًا تٍْ قْ لِ فعْ
산 이름은 위구르어로도 "하늘의 왕"을 의미한다. 또한, 카자흐어로는 "칸 타우(Kan Tau)"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피의 산"이라는 뜻이다. 이 이름은 해 질 녘에 산의 대리석 부분이 붉게 빛나는 모습에서 유래했다.
3. 지리적 특징
칸텡그리 봉은 눈과 얼음으로 덮인 거대한 대리석 피라미드 형태를 띤다. 해 질 녘에는 대리석이 붉게 빛나 카자흐어로는 Қантау|칸타우kk, 키르기스어로는 Кан-Тоо|칸토오ky라고 불리는데, 이는 "피의 산"이라는 뜻이다. 산의 이름은 위구르어로 "하늘의 왕"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봉우리는 남쪽의 엔길체크 빙하 (이닐체크 빙하) 바로 건너편에 있으며, 제니쉬 초쿠수에서 북쪽으로 16km 떨어져 있다. 칵샤알 산맥과 하자크 산의 결합부에 위치하며, 포베다 산(제니쉬 초쿠수)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서쪽으로는 키르기스스탄의 내륙호인 이식쿨 호가 있고, 북쪽으로는 일리 강 계곡, 남쪽으로는 타림 분지의 아커쑤 오아시스가 펼쳐져 있다.
칸텡그리 봉은 험준한 텡그리 타그 하위 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이 산맥에는 차파예프 봉(6371m)과 고르키 봉(6050m)도 포함된다. 과거에는 극적이고 가파른 모양 때문에 톈산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는 실제 최고봉인 제니쉬 초쿠수가 문명 지역에서 잘 보이지 않는 반면, 칸텡그리 봉은 카자흐스탄 남부 평원에서도 보이기 때문일 수 있다. 현재 칸텡그리 봉 정상은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산악인 아나톨리 부크레예프는 칸텡그리 봉의 기하학적인 능선과 대칭성을 보고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봉우리일지도 모른다고 평가했다.
해발 4200m에 위치한 베이스 캠프는 주로 헬리콥터를 통해 접근하며, 도보 캐러밴으로는 가지 않는다. 따라서 국제 캠프가 있는 칼카라를 거점으로 사전에 고도 순응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02년에 발행된 키르기스스탄의 100솜 지폐 뒷면 도안으로 채택되었다.
4. 등반 역사
칸텡그리는 이웃 봉우리인 젱기쉬 초쿠수보다 430m 낮지만, 1943년 젱기쉬 초쿠수가 측량되기 전까지는 이 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여겨졌다. 1857년 표트르 세묘노프가 유럽인 최초로 톈샨산맥과 칸텡그리봉을 목격했다.[3]
1931년 미하일 포그레베츠키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팀이 남쪽(키르기스스탄 방면)에서 서쪽 능선을 따라 처음으로 정상에 올랐다. 이후 1964년 M. 쿠즈민이 이끄는 팀이 북쪽(카자흐스탄 방면)에서 처음 등정하는 데 성공했다. 칸텡그리는 소련 시절 산악인들이 권위 있는 스노우 레오파드 상을 받기 위해 올라야 했던 다섯 개의 7,000미터급 봉우리 중 하나이다.
1990년에는 아나톨리 부크레예프가 최초로 단독 속도 등반 기록을 세웠다. 1992년 2월 7일에는 발레리 크리치차티, 빅토르 데디, 유리 모이세예프, 발디미르 수비가, 알렉산드르 사빈, 이고르 푸틴체프, 말리크 이스메토프 등으로 구성된 카자흐스탄 팀이 최초로 겨울 등반에 성공했다.[4][5]
등반 중 사고도 발생했다. 1992년 8월 17일 오스트리아 산악인 토니 뒨버거가 등반 후 하산 도중 사망했다.[6] 2004년에는 가장 인기 있는 등반 루트인 포그레베츠키 루트에서 대규모 눈사태가 발생하여 12명 이상의 등반가가 목숨을 잃었다.
1989년 국제 산악 캠프가 개방된 후 오노 타케히코, 나카노 요시토, 코니시 히로후미 등이 일본인 최초로 등정했으며, 1993년에는 타베이 준코, 2012년에는 히라이데 카즈야가 등정했다.
이 봉우리는 100 키르기스스탄 솜 지폐에 그려져 있다.
4. 1. 한국인 등반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확인된 한국인의 한텡그리봉 등반 기록은 없다.5. 기타
산 이름은 위구르어로 "하늘의 왕"을 의미한다. 또한, 카자흐어 이름 "Kan Tau"는 "피의 산"이라는 뜻이다.
2002년에 발행된 키르기스스탄의 100솜 지폐에 도안으로 채택되었다.
해발 4200m의 베이스 캠프에는 도보를 통한 캐러밴이 아닌 헬리콥터로 이동하기 때문에, 국제 캠프가 있는 칼카라를 거점으로 사전 고도 순응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조
[1]
opentopomap
Khan Tengri
2023-06-30
[2]
웹사이트
The Central Asian Republics: Ultra-Prominence Page
http://www.peaklist.[...]
2014-05-26
[3]
서적
Travels in the Tian'-Shan' 1856-1857
The Hakluyt Society, London
[4]
간행물
Khan Tengri, Tien Shan, First Winter Ascent
http://publications.[...]
2023-06-30
[5]
간행물
Russia and Central Asia 1992-1994
http://www.alpinejou[...]
2023-06-30
[6]
Youtube
Video in Gedenken an den österreichischen Bergsteiger Toni Dürnberger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