톤레사프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톤레사프 호는 캄보디아 북서부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최대의 호수이자, 메콩강 하류 평야에 있는 하천 범람원으로, 계절에 따라 면적과 수심이 크게 변동하는 특징을 갖는다. 건기에는 좁아지지만, 우기에는 메콩강의 역류로 인해 면적이 16,000km²까지 확장되며, 톤레사프 강을 통해 메콩강과 연결된다. 톤레사프 호는 주변의 삼림, 농경지와 함께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며, 다양한 어류와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다. 이 지역은 캄보디아 어업의 중요한 중심지이며, 캄보디아인들의 단백질 섭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댐 건설, 산림 훼손,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으며,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톤레사프 호수는 메콩강 하류 평야 북서쪽에 위치하며,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 및 그로 인한 지질학적 긴장과 침강으로 형성된 하천 범람원에 자리 잡고 있다.[6]
톤레사프호 유역은 남서쪽으로 높이 1700m가 넘는 카르다몸 산맥과 접하고, 북쪽으로는 평균 높이 500m인 피안단 산맥과 접한다. 유역의 면적은 86000km2이다.[5][11] 길이 120km의 톤레사프강은 톤레사프호와 메콩강을 연결하며, 메콩강 전체 유량의 9%를 차지하는 중요한 수로이다.[5][11] 호수는 메콩강 하류 평야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 및 침강으로 형성되었다.[6] 메콩강 하류 평야는 과거 만(灣)이었으나, 마지막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과 지난 6,000년간의 메콩강 삼각주 형성 과정을 거치며 북서쪽 모퉁이에 남은 물이 현재의 톤레사프 호수가 되었다.[9][10]
톤레사프 호수는 독특한 수문학적 특징과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닌 중요한 생태계이다. 1년 중 대부분 건기에는 수심이 1m 이내이고 면적은 2700km2 정도이지만,[5] 여름 몬순 기간에는 메콩강의 물이 톤레사프강을 통해 역류하면서 호수의 면적이 16000km2까지 확장되고 수심도 9m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주변의 토지와 숲이 침수되면서 육상 식물에서 유래한 풍부한 유기물이 호수로 공급되고, 다량의 플랑크톤이 발생하여 어류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톤레사프 호수는 물고기들의 중요한 번식지가 된다.[38] 우기가 끝나 물이 빠지면 번식을 마친 물고기들은 메콩강 하류로 이동한다.
2. 지리
과거 메콩강 하류 평야는 바닷물이 들어오는 만(灣)이었으나,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후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지형 변화가 일어났다. 약 7,900년에서 7,3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해발 4.5m 높이 지점의 코어(core)에서는 조석 퇴적물을 비롯해 염습지와 맹그로브 습지에서 유래한 퇴적물이 발견되었으며,[7] 이는 과거 이 지역이 바다의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8] 지난 6,000년 동안 메콩강 삼각주가 형성되는 과정에서,[9] 메콩강 하류 평야 북서쪽에 남아 있던 물이 현재의 톤레사프 호수를 이루게 되었다.[10]
호수의 모양은 표주박과 비슷하다.
2. 1. 면적의 확대와 축소
톤레사프 호수의 크기와 수량은 계절에 따라 극적으로 변화한다. 건기(11월~3월)에는 호수의 수심이 1m 정도로 얕아지고, 면적은 약 2500km2 에서 3000km2 사이로 줄어든다.[15][36] 이때 수량은 약 1km3 정도이다.[15] 수심이 얕아지기 때문에 프놈펜과 시엠리아프를 연결하는 정기선 운항 시 암초에 부딪힐 위험이 있다.[36]
반면, 우기(5월~10월)가 시작되어 몬순의 영향을 받으면 상황이 달라진다.[13][14] 메콩강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프놈펜 부근에서 호수로 연결되는 톤레사프강의 물이 역류하기 시작한다.[14][37] 이 역류 현상으로 인해 호수 주변의 넓은 토지와 숲이 물에 잠기면서 호수의 면적은 최대 16000km2까지 크게 확장되고,[15][37] 수심 역시 9m 에서 14m까지 깊어진다.[12][37] 이때 호수의 수량은 약 80km3에 달한다.[15] 우기가 끝나고 메콩강의 유량이 줄어들면 톤레사프강의 흐름은 다시 정상으로 돌아와 호수의 물을 메콩강으로 흘려보낸다.[14]
호수로 유입되는 물의 약 53.5%는 메콩강에서 오며, 34%는 호수로 직접 흘러드는 다른 강들, 나머지 12.5%는 강수량에서 비롯된다.[5] 이처럼 계절에 따른 극적인 수위와 면적 변화는 톤레사프 호수 생태계와 주변 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수문학
호수 수량의 약 53.5%는 메콩강에서 유입되며, 약 34%는 호수로 직접 흘러드는 다른 강들에서, 나머지 12.5%는 강수량에서 비롯된다.[5] 연 강수량은 1000mm에서 4000mm에 달하며, 대부분 우기인 5월부터 10월 사이에 집중된다.[13]
톤레사프호의 가장 큰 특징은 계절에 따른 극적인 수위 및 면적 변화이다. 건기(11월~3월) 말에는 호수의 수심이 일반적으로 1m에 불과하고, 면적은 약 2500km2에서 3000km2, 수량은 약 1km3 정도이다.[15][14] 이 시기에는 호수의 물이 톤레사프강을 통해 메콩강으로 흘러나가며, 수심이 얕아 프놈펜과 시엠리아프를 연결하는 정기선 운항에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
그러나 5월경 몬순 우기가 시작되면 메콩강의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여 톤레사프강의 물 흐름이 역전된다. 메콩강의 물이 톤레사프강을 통해 호수로 역류하면서 호수의 수위는 약 10m 이상 증가하고,[14] 최대 수심은 9m에서 14m에 달한다.[12] 이로 인해 호수의 면적은 건기의 5배 이상인 최대 16000km2까지 확장되고, 수량은 약 80km3까지 늘어난다.[15] 확장된 호수는 주변의 토지와 숲을 침수시키며, 이 과정에서 육상 식물의 유기물이 풍부하게 공급되고 플랑크톤이 대량 발생하여 어류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진다. 우기가 끝나고 물이 빠지면 번식을 마친 생선은 하류로 돌아간다. 톤레사프강의 역류는 메콩강 하류에 홍수를 유발하기도 한다. 우기가 끝나고 물이 빠지면, 호수 주변에는 양분이 풍부한 퇴적물이 남아 농경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이처럼 시간과 공간에 따라 극심하게 변화하는 수리 역학적 복잡성 때문에 특정 지점의 유량을 측정하기는 어렵다. 대신 수위 변화가 물의 이동과 호수 주변의 지형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15] 호수에 쌓이는 현대 퇴적물의 약 72%는 메콩강에서 운반된 것이며, 28%만이 호수 상류 유역에서 유래한다.[10] 퇴적물에 포함된 인 성분은 식물성 플랑크톤을 통해 먹이 사슬의 기초를 이루며, 이러한 내부 영양 순환은 범람원의 생산성과 호수 생태계 전체의 지속 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6]
4. 생태
호수 주변은 주로 "범람림"으로 알려진 담수 맹그로브 숲으로 둘러싸여 있으며,[31] 이는 호수 분지 면적의 약 3%를 차지한다.[5] 분지 전체의 토지 피복은 삼림지 55%, 농경지 45%로 구성된다.[5] 범람림을 포함한 호수 주변 지역은 낮은 구릉으로 둘러싸인 충적평야이며, 상록수 또는 낙엽성 열대 식물로 덮여 있다. 주로 쌍떡잎식물목 굴피나무과, 콩과, 락란드과 식물이 우세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소나무과, 로한 소나무과 또는 대나무도 자란다. 호수에서 멀어질수록 숲은 점차 덤불, 초원으로 변하며,[31][17] 토질이 좋거나 고도가 높은 지역에는 낙엽 활엽수 혼효림과 아열대 상록수림이 나타난다.[18][19] 이러한 다양한 식생 유형은 200종 이상의 고등 식물이 기록될 정도로[20] 톤레사프 생태계의 풍부한 종 다양성을 뒷받침하며, 숲, 초원, 습지가 얽혀 지역 야생 동물의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한다.[19]
톤레사프 호수에는 최소 149종의 어류가 서식하며, 그중 11종은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20] 전체적으로는 메콩오오나마즈( ''Pangasianodon gigas'' ), 파커호( ''Catlocarpio siamensis'' ),[38] 타이거발브 (''Probarbus jullieni''), ''Cirrhinus microlepis'',[39] 복어 등 600종 이상의 담수어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무게가 100kg이 넘는 개체도 발견되는 메콩오오나마즈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어 중 하나이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 개체 수가 감소하여 현재는 포획이 금지되어 있다.[21] 톤레사프 수계에서 잡히는 물고기는 캄보디아인 단백질 섭취량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38]
어류 외에도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한다. 점박이부리황새, 대머리황새, 벵골황새, 흑배황새, 회색머리물수리, 극동갈대 등 6종의 준위협종 조류와 멸종 위기에 처한 샴악어, 바타구르거북, 히지리가메를 포함한 많은 담수 파충류가 서식한다.[20][39][40] 또한 크낙새원숭이, 젤만톤 (''Trachypithecus germaini''), 수마트라강수달, 비버수달, 아시아물개구리, 황새, 흑황새 등 다양한 포유류와 양서류도 발견된다.[39][42] 수생 식물도 풍부하지만, 부레옥잠의 과도한 번성은 문제가 되고 있어 일본 기업이 이를 바이오매스에탄올 원료로 활용하는 실험을 진행하기도 했다.[41]
이처럼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인정받아 톤레사프 호수는 1997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39][42] 호수 북부의 본 찌말(1999년),[38] 북서부의 프레크 토알(2015년),[40] 남동부의 스툰 센 하구(2018년)[39]는 람사르 협약 습지로도 등록되어 보호받고 있다.
4. 1. 댐 건설과 환경 문제
톤레사프 호수는 메콩강 전체 시스템의 자연적인 홍수 저수지로서 우기 동안 프놈펜 하류 지역의 홍수를 조절하고, 건기에는 메콩 삼각주의 유량을 보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2]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1997년 유네스코는 톤레사프 호수 일대를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했다.[39][42]
그러나 최근 중국 남부와 라오스에 건설된 대형 댐들이 톤레사프 호수로 유입되는 물의 역류 강도와 유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호수의 어류 개체 수를 감소시키고, 물고기들의 둥지 틀기, 번식, 산란, 먹이 섭취 등 필수적인 서식 환경을 파괴하여 결국 어류 생산성과 생물 다양성 전반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한다.[23][24]
산림 훼손 역시 호수 생태계를 위협하는 주요 문제이다. 특히 보호 구역이 위치한 저지대 충적평야 지역의 산림 파괴가 심각하며, 농경지 확장(주로 하류와 상류 충적평야의 경계 지역), 인구 증가, 땔나무 채취를 위한 벌목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25] 농업 활동의 집약화와 상류 지역의 수력 발전소 건설은 자연 서식지의 완충 기능을 약화시켜 산림 손실의 위험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25] 일부 연구에서는 2030년대까지 수력 발전의 영향으로 호수 주변 서식지에 큰 변화가 일어나 연안 삼림 면적이 82%나 감소하는 반면, 논 면적은 10~13% 증가할 수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26]
기후 변화와 인위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호수 수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실제로 2020년 7월에는 엘니뇨 현상과 메콩강 지류에 건설된 댐들의 저수량 증가가 겹치면서 톤레사프 호수의 수위가 지난 60년 동안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했다.[27]
5. 어업
톤레사프 호수는 캄보디아의 중요한 어업 생산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앙코르 문명의 유지에 기여해왔다.[28] 호수 지역에 거주하는 약 120만 명은 캄보디아 연간 담수 어획량 40만 톤의 약 60%를 생산하며, 이는 캄보디아 인구 전체 단백질 섭취량의 60%에 해당한다.[32][29][30]
몬순 기간에 메콩강 물이 톤레사프강을 통해 역류하면 호수 면적이 크게 확장되고 수심도 깊어진다. 이때 육지에서 흘러든 풍부한 유기물과 다량의 플랑크톤은 물고기에게 좋은 먹이가 되며, 침수된 숲과 범람원은 치어들의 은신처와 산란 장소가 된다.[31] 이처럼 독특한 생태 환경 덕분에 톤레사프 호수에는 무게 100kg이 넘는 메콩오오나마즈( ''Pangasius gigas'' )와 파커호[38], 타이거발브( ''Probarbus jullieni'' ), ''Cirrhinus microlepis''[39], 복어 등 600종 이상의 담수어가 서식한다. 우기가 끝나 물이 빠지면 번식을 마친 물고기들은 메콩강 하류로 돌아간다.
잡힌 물고기는 대부분 신선하게 소비되지만, 남거나 인기가 없는 생선은 발효시켜 프라혹(Prahok)이라는 생선 페이스트로 만들어 저장한다.[31] 불교의 영향으로 어부들은 전통적으로 가족이 먹을 만큼만 잡고, 물고기를 직접 죽이지 않고 물 밖에서 자연스럽게 죽기를 기다리는 방식을 따르기도 한다.[33] 수확기가 끝나면 어부들은 카누를 수리하거나 새로 만들어 물 축제의 보트 경주를 준비한다. 이 축제는 우기가 끝날 때 호수의 물을 바다로 흘려보내고 물고기를 메콩강으로 데려온다고 믿는 신화 속 물뱀 나가(Nāga)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33][31]
톤레사프 호수 어업의 상당 부분은 호수 위 수상 마을에 거주하는 베트남계 캄보디아인들이 담당하고 있다.[34] 이들은 오랫동안 캄보디아 어업 시장의 주요 공급자 역할을 해왔으나, 1975년부터 1979년까지 크메르 루주 정권 하에서는 박해를 피해 베트남으로 피난해야 했다. 크메르 루주 정권 붕괴 후 이들은 다시 돌아와 톤레사프 호수에서 어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35]
한편, 1세기 이상 동안 호수의 가장 생산적인 어업 구역들은 정부 임대 시스템을 통해 사유화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연간 200만달러 이상의 세수를 창출하고 있다.[32]
6. 사람과 문화
톤레사프 호수 주변에는 물 위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이 많으며, 호수는 맑지 않고 항상 황토색을 띤다. 시엠리아프에서 약 6km 떨어져 있고 호수로 가는 길은 일부 비포장 상태여서 불편할 수 있다. 호수 주변에는 관광객을 태우기 위한 보트들이 늘어서 있으며, 일정 인원이 모이면 관광을 할 수 있다.
톤레사프 호수 지역은 캄보디아의 중요한 어업 및 농업 생산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앙코르 유적지를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28] 이 지역에 거주하는 약 120만 명은 캄보디아 연간 담수 어획량 40만 톤의 약 60%를 생산하며, 이는 캄보디아 전체 인구 단백질 섭취량의 60%에 해당한다.[32][29][30] 잡은 물고기는 주로 신선하게 먹지만, 남거나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생선은 발효시켜 생선 페이스트인 프라혹을 만든다.[31] 오랫동안 호수의 생산적인 구역은 정부 임대 시스템을 통해 사유화되어 연간 200만달러 이상의 세수를 창출했다.[32]
불교는 살생을 금기시하기 때문에 어부들은 가족이 먹을 만큼만 물고기를 잡는 경향이 있으며, 물고기를 직접 죽이지 않고 물 밖에서 자연스럽게 죽기를 기다린다.[33] 수확기가 끝나면 주민들은 수백 년 동안 사용해 온 전통 카누를 수리하거나 새로 만들어 물 축제의 보트 경주를 준비한다. 이틀간의 경주 후에는 우기가 끝날 때 호수의 물을 바다로 돌려보낸다고 믿는 물뱀 나가(Nāga)를 기리는 축제를 연다.[33] 나가는 톤레사프 강을 통해 메콩강으로 물고기를 데려온다고 여겨진다.[31]
호수 지역, 특히 보트 위 수상 마을에는 많은 베트남계 캄보디아인이 살고 있다.[34] 톤레사프 호수 어부의 대부분은 베트남계이며, 이들은 오랫동안 캄보디아에 살면서 캄보디아 어업 시장의 주요 공급자 역할을 해왔다. 이들은 크메르 루주 통치 시기(1975년~1979년)에 베트남으로 피난했다가, 정권 붕괴 후에 돌아와 톤레사프 호수에서 계속해서 어업을 하고 있다.[35]
호수에 떠 있는 보트하우스 마을인 촌크니아 등에서는 우기에 배를 타고 집, 상점, 학교 등을 둘러볼 수 있어 중요한 관광 자원이 되고 있다. 이 지역 수상 생활자 약 38,000명 중 8,000명 정도가 베트남계 공동체로 알려져 있다.[43]
7. 보존 노력
톤레사프호는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인정받아 1997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39][42] 또한, 호수와 주변 지역의 중요 습지들은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보호받고 있다. 호수 북부의 본 찌말 지역은 1999년에[38], 북서부의 프레크 토알 지역은 2015년에[40], 남동부의 스툰 센 강 하구 지역은 2018년에[39] 각각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참조
[1]
뉴스
When the river flows backwards
https://www.khmertim[...]
2020-07-13
[2]
뉴스
Conservation Project of the Century
1997-07-13
[3]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Cambodia's Inland Fisheries
http://www.mrcmekong[...]
2015-07-15
[4]
뉴스
At a Cambodian Lake, a Climate Crisis Unfolds
https://www.nytimes.[...]
2020-12-10
[5]
저널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River Flows in the Tonle Sap Lake Basin, Cambodia
2019-03-25
[6]
저널
Wrench-Slip Reversals and Structural Inversions: Cenozoic Slide-Rule Tectonics in Sundaland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 University Kebangsaan Malaysia
2014-04-28
[7]
저널
Initiation of the Mekong River Delta at 8 ka: Evidence from the sedimentary succession in the Cambodian lowland
2009
[8]
저널
The Holocen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Tonle Sap, Cambodia
2006
[9]
웹사이트
State of the Basin Report, 2010
http://www.mrcmekong[...]
2010
[10]
저널
Mid to Late Holocene (5-3 ka) Origin of the Modern Tonle Sap Lake System, Cambodia
https://www.research[...]
2022-04-04
[11]
웹사이트
Hydrology
http://www.mrcmekong[...]
2015-05-18
[12]
서적
Tonle Sap
https://www.britanni[...]
2022-04-19
[13]
서적
Environment and Society in the Lower Mekong Basin: A Landscaping Review
http://www.mekonginf[...]
Institute for Development Anthropology, SUNY
2018-01-04
[14]
웹사이트
Cambodia; 1.4. Hydrology
http://www.wepa-db.n[...]
2015-05-12
[15]
저널
Overview of the Hydrology of the Mekong Basin
http://www.mekonginf[...]
Mekong River Commission
2021-03-09
[16]
저널
Sediment: Curse or Blessing for Tonle Sap Lake?
2008-05-01
[17]
웹사이트
A. Flora of Cambodia
http://treeseedfa.or[...]
2018-01-04
[18]
웹사이트
Semi-evergreen Seasonal Tropical Forest
http://www.encyclope[...]
2015-05-26
[19]
웹사이트
Dry Forest Ecology
http://cambodia.pand[...]
2015-05-20
[20]
저널
Species diversity and ecology of Tonle Sap Great Lake, Cambodia
2006-10-01
[21]
뉴스
Tonle Sap: The Flowing Heart of Cambodia
https://www.npr.org/[...]
2021-03-09
[22]
서적
Sustaining Tonle Sap: An Assessment of Development Challenges Facing the Great Lake
The Sustainable Mekong Research Network
2008
[23]
웹사이트
UNESCO conducts consultations at core areas of the Tonle Sap Biosphere Reserve to strengthen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livelihoods
https://en.unesco.or[...]
2021-03-09
[24]
서적
Impacts on the Tonle Sap Ecosystem
http://www.probeinte[...]
Mekong River Commission
2018-01-04
[25]
저널
Large net forest loss in Cambodia's Tonle Sap Lake protected areas during 1992–2019
2022-02-08
[26]
저널
Impacts of Hydrological Alterations in the Mekong Basin to the Tonle Sap Ecosystem
http://ir.canterbury[...]
2015-07-15
[27]
뉴스
Ủy hội sông Mekong báo động về mực nước Biển Hồ Campuchia
https://www.vietnamp[...]
2022-04-05
[28]
저널
Geohydrology and the Decline of Angkor
http://www.khamkoo.c[...]
2018-01-04
[29]
웹사이트
The Tonle Sap Lake and Floodplain
https://cambodia.wcs[...]
2021-03-09
[30]
웹사이트
Tonle Sap Fisheries
http://www.fao.org/d[...]
2013-04-30
[31]
서적
CASE STUDY No. 3: TRADITIONAL USE AND AVAILABILITY OF AQUATIC BIODIVERSITY IN RICE-BASED ECOSYSTEM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5-05-18
[32]
웹사이트
Data Requirements for Fisheries Management in the Tonle Sap
http://www.fao.org/d[...]
UN FAO
2018-01-04
[33]
비디오
Children of the Seven-Headed Snake: The Sacred Waters of Cambodia
https://emro.librari[...]
Ampersand
2021-03-09
[34]
뉴스
Quyên góp gây quỹ ủng hộ người gốc Việt trên Biển Hồ Campuchia
https://www.vietnamp[...]
2022-03-20
[35]
뉴스
When There Are No More Fish
https://www.eater.co[...]
2018-01-04
[36]
서적
세계의 호수와 수환경
성산당서점
2001
[37]
서적
세계의 호수와 수환경
성산당서점
2001
[38]
웹사이트
Boeng Chhmar and Associated River System and Floodplain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1
[39]
웹사이트
Stung Sen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1
[40]
웹사이트
Prek Toal Ramsar Sit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1
[41]
뉴스
수초로 바이오에탄올, 산웨스파가 실험 캄보디아에서
https://www.nikkei.c[...]
日経産業新聞
2018-11-06
[42]
웹사이트
Tonle Sap Biosphere Reserve, Cambodia
https://en.unesco.or[...]
2019-08
[43]
웹사이트
http://kaigaigo.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