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베트남 전쟁 이후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발생한 일련의 무력 충돌을 지칭하며,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의 공산 정권 간의 갈등, 중소 분쟁의 영향, 캄보디아 내 반(反)베트남 정서 심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주요 전쟁으로는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중국-베트남 국경 분쟁 등이 있으며, 라오스 내전과 태국-라오스 국경 분쟁, 스프래틀리 군도 해전 등도 관련되어 있다. 이 전쟁으로 인해 캄보디아의 크메르 루주 정권이 붕괴되고 캄보디아 내전이 종식되었으나, 캄보디아는 이후 장기간의 혼란을 겪었다. 베트남은 국제적으로 고립되었지만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하며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했다.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결속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의 외교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이 참전한 전쟁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중국이 참전한 전쟁 - 일본 전역
일본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연합군의 공습, 해상 봉쇄, 소련의 참전 등을 포괄하며 태평양 전쟁 종결과 일본 항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원자 폭탄 투하와 만주 침공 등의 주요 사건과 함께 전후 일본 사회의 민주주의 국가 전환을 가져왔다. - 라오스가 참전한 전쟁 - 라오스 내전
라오스 내전은 1945년부터 1975년까지 프랑스 식민 지배 종식 후 독립 운동 세력 등장, 공산주의 세력과 왕정 지지 세력 간 대립, 베트남 전쟁 연관, 그리고 1975년 파테트 라오 승리로 이어진 복잡한 무장 분쟁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적 재앙을 초래했다. - 라오스가 참전한 전쟁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캄보디아가 참전한 전쟁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캄보디아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와 베트민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저항한 베트민의 독립 투쟁으로,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민의 승리 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분단되고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종식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
일부 | 인도차이나 전쟁 냉전 중소 분쟁 |
기간 | 1975년 5월 1일 ~ 1991년 10월 23일 (16년 5개월 3주 2일) |
장소 |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중국 |
결과 | |
주요 결과 | 1991년 파리 평화 협정 체결 크메르 루주의 권력 상실 캄보디아 집단 학살 종결 친베트남 정부 수립 중월 전쟁 이후 중국군 철수 태국 공산당의 무장 투쟁 포기 1989년 베트남의 캄보디아 철수 1990년 청두 정상회담을 통한 중국과 베트남의 관계 정상화 캄보디아의 노로돔 왕가 복원 라오스 반란 (저강도 분쟁)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민주 캄푸치아 (1979/82년까지) CGDK (1982년 이후) PDK FUNCINPEC KPNLF 라오스 왕당파 몽족 반군 FULRO 지원국: |
교전국 2 | (1989년까지) (1989년부터) 지원국: |
교전국 3 | 태국 공산당 팍마이 지원국: 말라야 공산당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화궈펑 (중국 공산당 주석, 총리) 덩샤오핑 (총참모장) 예젠잉 (전국인민대표대회 위원장) 쉬샹첸 (국방부장) 양더즈 (쿤밍 군구 사령관) 쉬스유 (광저우 군구 사령관) 폴 포트 키우 삼판 이엥 사리 손 산 디엔 델 노로돔 시아누크 |
교전국 2 지휘관 | 레주안 쯔엉찐 응우옌반린 보응우옌잡 반티엔중 레득아인 부럽 담꽝쭝 헹 삼린 훈 센 체아 심 펜 소반 찬 시 |
교전국 3 지휘관 | 미상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약 800,000명 |
교전국 2 병력 | 약 430,000명 |
교전국 3 병력 | 미상 |
사상자 및 손실 | |
교전국 1 사상자 | 약 310,000명 사망 |
교전국 2 사상자 | 베트남: |
교전국 3 사상자 | 미상 |
일본어 정보 | |
전투 명칭 | 第三次インドシナ戦争 |
관련 전쟁 |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중월 전쟁 |
기간 | 1978년 12월 ~ 1991년 10월 |
장소 |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 (윈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랑선, 까오방, 라오까이 등) 남사 군도 |
결과 | 캄보디아에서 파리 평화 협정에 따른 휴전 및 종결 중국군은 일시적으로 베트남 북부를 점령했으나 베트남군의 반격에 어려움을 겪은 후 철수 |
교전국 1 | |
교전국 2 | 민주 캄푸치아 연합 정부 [[File:Flag of FULRO.svg|border|25px]] 풀로 |
교전국 1 지휘관 | 레주안 쯔엉찐 응우옌반린 보응우옌잡 반티엔중 레득아인 en en 헹삼린 훈센 |
교전국 2 지휘관 | 폴포트 키우삼판 이엥사리 노로돔 시아누크 노로돔 라나리드 손산 화궈펑 덩샤오핑 예젠잉 쉬샹첸 양더즈 zh |
교전국 1 병력 | 캄보디아 침공 시: 베트남군 60,000명 캄보디아 점령 시: 주캄보디아 베트남군 120,000 - 130,000명, 헹 삼린군 30,000명 중월 전쟁 시: 베트남군 70,000명, 민병 50,000명 |
교전국 2 병력 | 캄보디아 침공 시: 캄보디아군 50,000명 캄보디아 점령 시: 폴 포트파 40,000명, 시아누크파 10,000명, 손 산파 15,000명 중월 전쟁 시: 중국군 200,000명 |
교전국 1 사상자 | 캄보디아 침공 시: 30,000명 전사 중월 전쟁 시: 30,000명 전사 |
교전국 2 사상자 | 캄보디아 침공 시: 캄보디아 50,000명 이상 전사/희생 중월 전쟁 시: 중국군 26,000명 전사 |
한국어 정보 | |
분쟁 명칭 |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
전체 | 냉전 인도차이나 전쟁 |
기간 | 1975년 5월 1일 ~ 1992년 |
장소 | 동남아시아 및 중화인민공화국 남부 국경 |
결과 | 1990년대 대부분의 분쟁 종결 캄보디아에서 크메르 루주 몰락 캄보디아 집단살해 종결 친베트남 정권이 캄보디아에 수립 동남아시아 일대의 국경 확정 1990년 베트남 주둔 중국군 철수 1991년 캄보디아 주둔 중국군 철수 노로돔가의 복권 라오스 반란 지속 |
교전국 1 | (1992년경까지) 라오스 왕당파 민주 캄푸치아 (1982년경까지) 크메르 루주 CGDK FULRO |
교전국 2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1988년경까지) |
2. 배경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배경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했다.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관계 악화론 놀 정권은 베트콩과 북베트남, 남베트남 모두에 저항하던 FULRO을 지지했다.[51] 론 놀은 캄보디아 내 베트남인을 몰아내고 참파라는 국가로 남베트남이 복귀되기를 원했다.[51] 크메르 루주는 론 놀 정권이 몰락한 이후에도 캄보디아 내 베트남인에 대한 집단살해를 자행했다.[52] 크메르 루주는 캄보디아 왕국의 구조를 자본주의, 제국주의, 관료주의의 상징으로 보았고, 이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3] 그러나 이들의 사회주의적 사고는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크메르 루주는 통치 유지를 위해 반베트남 정서를 이용, 자민족 우월주의를 내세웠다.[54] 베트남 전쟁 직후 크메르 루주와 베트남의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고, 1974년부터 양측 간 무력 충돌이 시작되었다.[55]
베트남과 중국의 관계 악화베트남 전쟁이 끝나기 전인 1972년, 중국은 미국의 외교단인 헨리 키신저와 리처드 닉슨을 초청하여 미국과 우호 관계를 맺었다. 당시 북베트남은 소련을 비롯한 공산 국가들의 지지를 받고 있었고 중국도 그 중 하나였지만, 중국은 미국과 수교하면서 북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 베트남-캄보디아 전쟁에서 중국은 캄보디아와 우호 관계를 맺었고, 1975년부터는 반베트남 단체인 FULRO도 지지했다. 1978년 집권한 덩샤오핑은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을 위해 소련과의 관계보다 미국과의 관계 발전에 힘썼다. 같은 해 11월 3일, 소련은 베트남과 25년 기한의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했다.[56] 1979년,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을 파기하고 베트남 공격을 준비했다.[57][58]
기타 요인친중 정권이었던 크메르 루주가 베트남의 침공을 피해 태국으로 이동하자, 베트남군은 크메르 루주 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해 태국 국경을 넘었다. 베트남은 태국에서 활동하던 태국 공산당을 지원했고, 이는 분쟁을 더욱 확대시켰다. 말레이 반도에서 태국 공산당은 말레이시아 공산당과 함께 활동했고, 태국 공산당의 활동은 말레이시아 공산당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는 결국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말레이시아와 미국이 개입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라오스에서 발생한 반란 역시 초기에는 내전 양상을 보였으나, 태국과 중국이 흐몽족을 지원하고[59] 베트남이 라오스 공산 정권과 연합하여 군대를 파병하면서 베트남과 태국의 대리 전쟁 양상으로 변화했다.
2. 1. 인도차이나 반도의 정세 변화
베트남 전쟁 종전 후, 인도차이나반도에는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에 공산 정권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이들 국가들은 이념적 지향점과 국가 이익의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게 되었다.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은 소련과 동맹을 맺고,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 라오스와 캄보디아 침공을 정당화했다. 그들은 "인도차이나 전역은 하나의 전략적 단위이자 전장"이며, 베트남 인민군이 이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산 혁명의 국제적 성격을 근거로 들었다.[17] 북베트남은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라오스 내전에 개입했고, 1977년 7월 "우호 및 협력 조약"을 체결했다. 상주하는 북베트남군은 중요한 보급로와 전략적 집결지(호치민 루트)를 확보하고 유지했다.[17]
그러나 이러한 국제주의는 "한편으로는 중국과 베트남, 다른 한편으로는 베트남과 크메르 사이의 오랜 대립"과 같은 복잡한 지역적 역사적 현실에 의해 방해받았다.[18] 1958년부터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전투 부대는 호치민 루트를 계속해서 이용하기 위해 캄보디아 동부의 외딴 정글에 침투하기 시작했다. 캄보디아 공산 반군은 1960년대 후반 이러한 은신처에 합류했다. 협력이 이루어졌지만, 크메르 공산주의자들은 현대 사회주의 이론을 채택하지 않았고 결국 중국과 동맹을 맺었다.[19][20]
미국의 완전한 철수는 모든 공산 세력의 주요 공통의 적을 제거했다.[21]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의 공산 정권은 소련과 중국, 두 대립 세력 중 하나에 충성을 맹세했다. 특히 베트남은 소련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고, 이는 중국의 지원을 받는 캄보디아 크메르 루주 정권과의 대립을 심화시켰다.
2. 2. 중소 분쟁의 영향
중소 분쟁은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소련과 중국은 각각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지원하며 대리전 양상을 보였다. 1953년 조세프 스탈린 사망 후,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의 지도자가 되었다.[13] 흐루쇼프는 스탈린을 규탄하고 온건한 공산주의 정책과 서방과의 평화 공존 외교 정책을 펼쳤는데, 이는 마오쩌둥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를 분노케 했다.[14] 마오쩌둥은 국가 통합을 위해 인격 숭배를 고집하는 엄격한 스탈린주의 노선을 따랐다.[14]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이 집권한 중국은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하며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고, 이는 소련과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1972년 중국은 미국의 외교단인 헨리 키신저와 리처드 닉슨을 초청하여 미국과 우호 관계를 수립했고, 북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끊었다. 1978년, 소련은 베트남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했고,[56] 1979년, 중국은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을 파기하며 베트남 침공을 준비했다.[57][58]
1980년대 후반, 베트남 공산당은 쇄신(도이모이) 정책을 채택하면서 중국과의 관계를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중국과의 장기적인 적대 관계는 경제 개혁, 국가 안보, 정권 유지에 해롭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련의 정치적 양보는 1991년 양국 간 국교 정상화로 이어졌다.[49]
2. 3.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관계 악화
크메르 루주 정권은 반(反)베트남 정책을 추진하며 캄보디아 내 베트남인들을 탄압하고 학살했다.[52] 론 놀 정권 시기부터 이어져 온 반베트남 정서는 크메르 루주 집권 이후 더욱 심화되었으며, 이는 베트남과의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55] 크메르 루주는 자본주의, 제국주의, 관료주의를 캄보디아 왕국의 구조적 상징으로 규정하고, 이를 타파하고자 했다.[53] 그러나 이들의 사회주의적 사고는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크메르 루주는 반베트남 정서를 이용해 자민족 우월주의를 내세워 통치를 유지했다.[54]1975년 4월과 5월에 사이공과 프놈펜이 함락되었고, 그 5개월 후 공산주의자들이 라오스를 장악한 후, 인도차이나반도는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지배되었다.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의 무력 충돌은 크메르 루주 군이 베트남 영토 깊숙이 진입하여 마을을 습격하여 수백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기 때문에 곧 격화되어 확대되었다. 베트남은 반격했고, 1978년 12월 베트남 인민군이 캄보디아에 침공했다. 군대는 1979년 1월 프놈펜에 도착했고, 1979년 봄에는 태국 국경에 도착했다.[43][44]
그러나 중국, 미국 및 국제 사회의 대부분이 베트남의 군사 행동에 반대했기 때문에, 남은 크메르 루주는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 지역에 영구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7개의 비동맹 국가가 휴전과 베트남의 철군 결의안을 작성했지만,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의 반대로 실패했다.[24][25] 태국은 크메르 루주가 베트남과 태국의 국내 게릴라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자국에 크메르 루주가 존재하는 것을 용인했다. 그 후 10년 동안 크메르 루주는 베트남의 적들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고, 태국, 중국, 아세안,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협상 도구로 기능했다.[45][46]
3. 주요 전쟁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여러 개의 개별 전쟁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전쟁은 다음과 같다.
- 중국-베트남 전쟁
- 중화인민공화국-베트남 국경 분쟁
-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 라오스 내전
- 라오스 반란
- 라오스-태국 국경 분쟁
- 스프래틀리 군도 해전
3. 1.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1978년-1989년)
1975년 4월과 5월, 사이공 함락과 프놈펜 함락으로 인도차이나 지역은 공산주의 정권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크메르 루주군이 베트남 영토 깊숙이 침입하여 마을을 습격하고 수백 명의 민간인을 살해하면서 상황은 악화되었다. 특히, 크메르 루주는 바쭝 마을 학살을 일으켜 3,157명의 베트남 민간인을 학살했다.[43] 이에 베트남은 반격했고, 1978년 12월 베트남 인민군이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1979년 1월 프놈펜에 도착했고, 1979년 봄에는 태국 국경에 도착했다.[43][44]그러나 중국, 미국 및 국제 사회 대다수는 베트남의 침공에 반대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회의에서 7개의 비동맹국가가 휴전과 베트남군 철수를 위한 결의안을 작성했지만,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의 반대로 실패했다.[45] 남은 크메르 루주는 태국-캄보디아 국경 지역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태국은 베트남과 태국 내부 게릴라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이유로 자국 영토 내 크메르 루주의 존재를 용인했다.[45] 그 후 10년 동안 크메르 루주는 베트남의 적들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고, 태국,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교섭 카드로 활용되었다.[45][46]
3. 2. 중국-베트남 전쟁 (1979년)
중국은 베트남의 캄보디아 점령에 대한 응답으로 1979년 베트남을 공격하여 베트남 북부로 진입하고 국경 근처의 여러 도시를 점령했다.[28][29] 1979년 3월 6일, 중국은 응징 작전이 성공했다고 선포하고 베트남에서 철군했다. 그러나 중국과 베트남 모두 승리를 주장했다. 베트남군이 캄보디아에 10년 이상 더 머물렀다는 것은 중국의 작전이 전략적으로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이 분쟁에서 중국은 소련의 동맹국 베트남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49]베트남군과 중국 인민해방군은 1990년까지 10년에 걸친 일련의 국경 분쟁과 해상 충돌에 참여했다. 어느 쪽도 장기적인 군사적 이익을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적인 교전은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고립 상태에서 소모되었다.[49] 1980년대 후반 베트남 공산당은 쇄신(도이모이) 정책을 채택하기 시작했고, 특히 대중 정책을 재검토했다. 중국과의 장기적인 적대 관계는 경제 개혁, 국가 안보, 정권 유지에 해롭다고 인식되었다. 많은 정치적 양보를 통해 1991년 국교 정상화 과정의 길이 열렸다.[30]
3. 3. 중화인민공화국-베트남 국경 분쟁 (1979년-1991년)
중국-베트남 전쟁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과 베트남 간의 국경 분쟁은 1990년대 초까지 계속되었다. 양측은 국경 지역에서 산발적인 무력 충돌을 벌였으며, 이는 양국 관계의 정상화를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었다.[30][49]1980년대 후반,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모이'(쇄신) 정책을 채택하고 중국과의 관계를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중국과의 장기간의 적대 관계는 경제 개혁, 국가 안보, 그리고 정권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 변화와 일련의 정치적 양보를 통해 1991년 양국 간 국교 정상화가 이루어졌다.[30][49]
3. 4. 라오스 내전 및 라오스 반란 (1975년-1990년대)
라오스 내전은 베트남 전쟁과 연계되어 진행되었으며, 1975년 파테트라오의 승리로 공산 정권이 수립되었다. 이후 흐몽족 등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세력의 저항이 계속되었으며, 이는 태국과 중국의 지원을 받으며 국제적인 분쟁으로 비화되었다.[17][18]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은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지원하며 군대를 파병했고, 1977년 7월 "우호 및 협력 조약"을 체결하여 라오스가 베트남의 위성국가로 전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17] 북베트남군은 호치민 루트 등 주요 보급로와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 및 유지했다.[17]3. 5. 태국-라오스 국경 분쟁 (1987년-1988년)
태국과 라오스는 국경 지역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분쟁을 벌였다.[1] 이 분쟁은 양국 간의 외교적 갈등으로 이어졌으며,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다.[1]3. 6. 스프래틀리 군도 해전 (1988년)
1988년 존슨 사우스 리프 소규모 충돌은 스프래틀리 군도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베트남과 중국이 해상에서 충돌한 사건이다. 이 해전은 남중국해에서의 영유권 분쟁이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현재까지도 이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1]4. 결과 및 영향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인도차이나 반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캄보디아 침공으로 베트남은 국제사회에서 고립되었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30][49]
4. 1. 베트남의 고립과 개혁
베트남은 캄보디아 침공으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고립되었고 경제적으로도 큰 어려움을 겪었다. 1980년대 후반,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머이(쇄신) 정책을 채택하고 특히 중국 정책을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중국과의 장기간의 적대 관계는 경제 개혁, 국가 안보 및 정권의 생존에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30][49] 이러한 일련의 정치적 양보는 1991년 중국과의 국교 정상화 과정을 열었다.[30]참조
[1]
웹사이트
Cambodia - 20 years on from the Paris Peace Agreements
http://www.ohchr.org[...]
OHCHR
2011-10-21
[2]
웹사이트
UNTAC in Cambodia – from Occupation, Civil War and Genocide to Peace -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89
http://www.mpil.de/f[...]
Max-Planck-Institut für ausländisches öffentliches Recht und Völkerrecht
[3]
웹사이트
Outside Interference in Vietnamese Affairs Condemned
https://cambodiatoka[...]
1978-07-20
[4]
문서
Chuyên đề 4 CÔNG TÁC TÌM KIẾM, QUY TẬP HÀI CỐT LIỆT SĨ TỪ NAY ĐẾN NĂM 2020 VÀ NHỮNG NĂM TIẾP THEO
http://datafile.chin[...]
[5]
서적
The Third Indochina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
[6]
웹사이트
Second Life, Second Death: The Khmer Rouge After 1978
http://opus.macmilla[...]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7]
웹사이트
1978-1979 - Vietnamese Invasion of Cambodia
https://www.globalse[...]
GlobalSecurity
[8]
학술지
The Third Indochina Conflict
https://www.foreigna[...]
1986-09
[9]
웹사이트
The 1979 campaign
https://wss.apan.org[...]
All Partners Access Network
[10]
뉴스
Viets shell Cambodian positions...
https://news.google.[...]
1985-01-02
[11]
웹사이트
UNTAC in Cambodia – from Occupation, Civil War and Genocide to Peace -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89
http://www.mpil.de/f[...]
Max-Planck-Institut für ausländisches öffentliches Recht und Völkerrecht
[12]
웹사이트
Cambodia - 20 years on from the Paris Peace Agreements
http://www.ohchr.org[...]
OHCHR
2011-10-21
[13]
뉴스
Joseph Stalin dies - Mar 05, 1953
http://www.history.c[...]
1953-03-05
[14]
뉴스
Soviets, After 33 Years, Publish Khrushchev's Anti-Stalin Speech
https://www.nytimes.[...]
1989-04-06
[15]
웹사이트
Chinese Communist Critiques of Soviet Society
https://www.marxists[...]
Encyclopedia of Anti-Revisionism
[16]
웹사이트
CAMBODIA UNDER SIHANOUK, 1954-70 Facts and Details
http://factsanddetai[...]
[17]
웹사이트
SECURITY ISSUES IN SOUTHEAST ASIA: THE THIRD INDOCHINA WAR
https://www.scribd.c[...]
SCRIBD
[18]
웹사이트
Vietnam, the Third Indochina War and the meltdown of Asian internationalism, p. 161
https://cgoscha.uqam[...]
UQAM - Université du Québec à Montréal
[19]
서적
The Second Indochina War: A Concise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8-10-17
[20]
웹사이트
America's Vietnam War in Indochina War in Cambodia
http://www.u-s-histo[...]
US History
[21]
학술지
The Third Indochina War
[22]
뉴스
Vietnam's forgotten Cambodian war
https://www.bbc.com/[...]
BBC
2014-09-14
[23]
웹사이트
Vietnam War - Facts, information and articles about The Vietnam War
http://www.historyne[...]
HistoryNet
[24]
웹사이트
Bangladesh, Bolivia, Gabon, Jamaica, Kuwait, Nigeria and Zambia: draft resolution
https://digitallibra[...]
1979-01-15
[2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Official Records: Thirty-Fourth Year — 2112th Meeting: January 15, 1979
https://documents.un[...]
1982-05-04
[26]
웹사이트
U.S. Aid to Anti-Communist Rebels: The "Reagan Doctrine" and Its Pitfalls
https://object.cato.[...]
Cato Institute
[27]
뉴스
Vietnam, Thai clash continues
https://news.google.[...]
Star News
1980-06-25
[28]
웹사이트
The Third Indochina War
https://www.globalse[...]
Global Security
[29]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archive.org/[...]
Routledge
[30]
학술지
Vietnam's Domestic–Foreign Policy Nexus: Doi Moi, Foreign Policy Reform, and Sino Vietnamese Normalization
2013-06-26
[31]
웹사이트
インドシナ戦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2]
웹사이트
カンボジア紛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3]
웹사이트
中越戦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4]
웹사이트
【国際】六万人のベトナム軍カンボジア侵攻
https://www.library-[...]
福井新聞
1978-06-29
[35]
웹사이트
(2)カンボディア問題
https://www.mofa.go.[...]
外務省
1988
[36]
웹사이트
南シナが再び緊張「中越戦争」とはどんな戦争?
https://news.yahoo.c[...]
六辻彰二
2014-06-19
[37]
웹사이트
ベトナム軍のカンボジア侵攻
https://www.y-histor[...]
世界史の窓
2023-07-18
[38]
웹사이트
Vietnam's forgotten Cambodian war
https://www.bbc.com/[...]
英国放送協会
2014-09-14
[39]
웹사이트
柬越战争
https://baike.baidu.[...]
百度百科
2023-07-18
[40]
웹사이트
インドシナ戦争
https://www.y-histor[...]
世界史の窓
2023-07-18
[41]
논문
The Third Indochina War
[42]
웹사이트
Chinese Communist Party: The Leaders of the CPSU are the Greatest Splitters of Our Times
http://legacy.fordha[...]
Fordham University
1964-02-04
[43]
뉴스
Vietnam's forgotten Cambodian war
https://www.bbc.com/[...]
BBC
2014-09-14
[44]
웹사이트
Vietnam War - Facts, information and articles about The Vietnam War
http://www.historyne[...]
HistoryNet
2018-03-31
[45]
웹사이트
U.S. Aid to Anti-Communist Rebels: The "Reagan Doctrine" and Its Pitfalls
https://object.cato.[...]
Cato Institute
2018-03-31
[46]
웹사이트
UNTAC in Cambodia – from Occupation, Civil War and Genocide to Peace -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89
http://www.mpil.de/f[...]
Max-Planck-Institut für ausländisches öffentliches Recht und Völkerrecht
2018-03-31
[47]
뉴스
Vietnam, Thai clash continues
https://news.google.[...]
Star News
1980-06-25
[48]
논문
The Third Indochina War
[49]
논문
Vietnam's Domestic–Foreign Policy Nexus: Doi Moi, Foreign Policy Reform, and Sino Vietnamese Normalization
2013-06-26
[50]
서적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51]
서적
Blood and Soil: Modern Genocide 1500-2000
https://books.google[...]
Melbourne Univ. Publishing
[52]
서적
Blood and Soil: Modern Genocide 1500-2000
https://books.google[...]
Melbourne Univ. Publishing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in Asia
Yale University Press
[57]
서적
Kampuchea Between China and Vietnam
Singapore University Press
[58]
서적
Asia in a Global Context: Strategic Issue for the Soviet Union
Auburn House Publishing Company
[59]
서적
Chinese Military Strategy in the Third Indochina War: The Last Maoist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