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콜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톰 콜린스는 진, 레몬 주스, 설탕 시럽, 탄산수를 섞어 만든 롱 드링크 칵테일이다. 1882년 해리 존슨의 저서에 처음 등장했으며, 19세기 중반 런던의 바텐더 존 콜린스가 네덜란드 진으로 만든 존 콜린스에서 유래되었다. 1874년 미국에서는 '톰 콜린스 봤어?'라는 유행어가 돌며 톰 콜린스를 찾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톰 콜린스는 다양한 변형 레시피가 존재하며, 한국에서도 즐겨 마시는 칵테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톰 콜린스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하이볼 |
| 기반 | 진 |
| 제공 방식 | 온 더 락 |
| 장식 | 레몬 조각 및 마라스키노 체리 |
| 음료 용기 | 콜린스 글라스 |
| 재료 | |
| 드라이 진 | 60ml |
| 레몬 즙 | 25ml |
| 설탕 시럽 | 15ml |
| 탄산수 | 50ml |
| 제조법 | |
| 제조법 | 진, 레몬 즙, 설탕 시럽을 얼음이 든 높은 글라스에 섞고, 탄산수로 채운 후 장식하고 제공한다. |
2. 역사
최초로 출판된 콜린스 및 피즈 레시피는 1882년 해리 존슨의 ''신규 및 개선된 바텐더 매뉴얼 또는 현재 스타일의 음료 혼합 방법''에 실려 있다. 여기에는 올드 톰 진을 사용한 톰 콜린스와 홀랜드 진을 사용한 존 콜린스가 포함된다.
1884년 O. H. 바이런의 ''모던 바텐더 가이드''에는 진 종류를 명시하지 않고 진, 레몬 주스, 설탕, 소다를 사용한 "존 콜린스' 진"이, 브랜디, 레몬 주스, 검 시럽, 마라스키노 리큐어를 사용하고 얼음 위에 소다수를 채운 "톰 콜린스' 브랜디"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톰 콜린스 진과 위스키" 레시피도 있는데, "브랜디 레시피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되, 각 주류를 대체한다"고만 안내한다.
같은 해 E.N. 쿡 & Co의 ''과학적인 바텐딩''에도 존 콜린스(홀랜드 진 사용)와 톰 콜린스(위스키 사용)가 모두 포함된다. 1887년 제리 토마스의 사후판 ''바텐더 가이드''에는 "콜린스"라는 제목 아래 위스키 및 브랜디와 유사한 이름의 음료와 함께 톰 콜린스 진 레시피가 다음과 같이 소개되었다.[11]
> '''톰 콜린스 (1887)'''
> (큰 바 글라스를 사용한다.)
> 검 시럽 5~6 방울을 넣는다.
> 작은 레몬 1개의 즙.
> 진 1 큰 와인 글라스.
> 얼음 2~3 조각;
> 잘 흔들어 큰 바 글라스에 걸러 넣는다. 플레인 소다수로 글라스를 채우고 생생하게 마신다.[7]
진 피즈는 레몬 주스 3방울을 탄산수로 "피즈" 처리하여 "진과 소다수"를 만드는 반면, 톰 콜린스는 "작은 레몬의 즙"을 검 시럽으로 단맛을 내 "진과 스파클링 레모네이드"를 만든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7] 1887년 책에는 토마스가 사용한 진 종류가 명시되지 않았지만, 음료 이름 변경에 책임이 있다면 올드 톰 진일 가능성이 높다.[12]
1891년 윌리엄 슈미트는 저서 『플로잉 볼: 언제 무엇을 마실까』에서 톰 콜린스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 '''톰 콜린스 진 (1891)'''
>
> 큰 잔에 레몬 반 개의 즙,
>
> 바 스푼 설탕 한 스푼,
>
> 톰 진 한 잔; 잘 섞는다;
>
> 얼음 2덩이,
>
> 일반 소다 한 병.
>
> 잘 섞어 제공한다.[14]
20세기 초 한 레시피에서는 레몬 즙 대신 라임 즙을 사용했다.[15]
2. 1. 기원
1891년 8월, 영국의 의사 모렐 매켄지 경은 19세기 잡지 ''포트나이트리 리뷰''에 톰 콜린스 칵테일의 기원이 영국이며, 존 콜린스라는 사람이 창시자라고 주장하는 글을 썼다.[2] 그러나 영국 주간지 ''펀치''는 1891년 8월에 매켄지가 "Jim Collins"라는 노래 제목을 잘못 인용했다고 지적했다.[2]칵테일 역사학자 데이비드 원드리치는 19세기 전반기에 런던 클럽에서 제공된 진 펀치와 매우 흡사하다는 언급을 했다.[1]
1898년 미국 작가 찰스 몽고메리 스키너는 톰 콜린스가 영국, 프랑스, 독일의 "미국 바"로 건너가 미국의 발명품이 유럽의 호기심을 자극했다고 언급하며 혼란이 계속되었다.[3] 미국 금주법 동안 H. L. 멩켄은 톰 콜린스의 기원이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4]
존 콜린스라는 음료는 적어도 1860년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1790년에서 1817년 사이에 런던의 리머스 올드 하우스에서 일했던 존 콜린스라는 지배인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프랭크와 찰스 셰리던은 존 콜린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 내 이름은 존 콜린스, 리머스 지배인이라네,
>
> 하노버 스퀘어의 컨duit 스트리트 모퉁이에,
>
> 내 주요 직업은 손님들을 위해 술잔을 채우는 것,
>
> 젊은 신사들이 자주 찾는 곳이라네.
데이비드 원드리치는 1850년대 뉴욕에 소개된 원래 레시피가 19세기 전반기 런던 클럽에서 제공되었던 진 펀치와 유사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는 이러한 펀치가 "진, 레몬 주스, 차가운 탄산수, 마라스키노 리큐어"와 같은 종류였을 것이라고 말한다.[5]
1869년 레시피에서 올드 톰 진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은 1887년 제리 토마스의 레시피에서 "톰 콜린스"로 이름이 변경된 이후의 가능한 원인이다. 이전 버전의 진 펀치는 더치 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5]
다른 주장에 따르면, 톰 콜린스의 기원은 세인트루이스에 있다.[16] 19세기 중반, 영국 런던의 Conduit Street영어에 있던 "리머스 코너"의 바텐더 존 콜린스가 네덜란드 진(Jenever영어, 주네바 진)을 사용하여 만든 "존 콜린스"라는 칵테일이 시초이다.[24][25][26] 베이스가 되는 진을 올드 톰 진으로 바꾸면서 "톰 콜린스"라고 불리게 되었다.[27] 1960년대에 올드 톰 진이 단종된 이후에는 드라이 진 (런던 진)을 베이스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2. 2. 톰 콜린스 사기극 (1874)
1874년, 뉴욕, 펜실베이니아 등 미국 각지에서 사람들은 "톰 콜린스 봤어?"라는 말로 대화를 시작하곤 했다.[7][8] 상대방이 톰 콜린스를 모른다고 하면, "톰 콜린스가 당신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닌다"며 "바로 근처", "[지역] 술집" 등에 있다고 말했다.[7] 이는 실존하지 않는 인물 톰 콜린스를 이용한 사기극이었다.[7] '거대한 톰 콜린스 사기극'으로 알려진 이 사건에서, 사람들은 터무니없는 이야기에 흥분하여 톰 콜린스를 찾아 나섰다.[7]뉴욕 동물원 사기극처럼, 여러 신문들이 톰 콜린스를 봤다는 허위 기사를 냈다.[7] 이 사기극은 유명해져서 1874년에는 여러 음악 공연에서 이를 기리는 노래가 나왔고, 그 악보들은 현재 미국 의회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7][9]
2. 3. 미국 전파와 인기
1898년, 미국 작가 찰스 몽고메리 스키너는 톰 콜린스가 영국, 프랑스, 독일의 "미국 바"로 건너갔으며, 이는 미국의 발명품이 유럽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미국 예술을 반영하는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3] 1920년대 초 미국 금주법 동안 미국 언론인이자 미국 영어 연구가인 H. L. 멩켄은 톰 콜린스의 기원이 밝혀지지 않았다고 언급했다.[4]1878년까지 톰 콜린스는 뉴욕시와 다른 지역의 술집에서 제공되었다.[13] O. H. 바이런의 1878년판 『현대 바텐더 가이드』 광고에서 '어디에서나 수요가 있는 인기 음료' 중 하나로 확인되었으며, 톰 콜린스 진, 위스키, 브랜디 모두 고급 음료로 여겨졌다.[13]
3. 레시피
톰 콜린스는 진, 레몬 주스, 설탕, 탄산수를 기본으로 하는 칵테일로, 다양한 변형 레시피가 존재한다. 진의 종류나 다른 재료를 변경하여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다.
- 기본 변형: 진 대신 다른 종류의 술을 사용한다.
| 이름 | 설명 |
|---|---|
| 존 콜린스[28] | 위스키 |
| 커넬 콜린스(Colonel Collins)[29] | 버번 위스키 |
| 샌디 콜린스(Sandy Collins)[30] | 스코치 위스키 |
| 마이클 콜린스(Michael Collins) | 아이리시 위스키 (마이크 콜린스라고도 함) |
| 캡틴 콜린스(Captain Collins) | 캐나디안 위스키 |
| 페드로 콜린스(Pedro Collins) | 럼주 (다크 럼) (럼 콜린스라고도 함) |
| 피에르 콜린스(Pierre Collins) | 꼬냑 |
| 조 콜린스(Joe Collins) | 보드카 (보드카 콜린스라고도 함) |
| 루벤 콜린스(Ruben Collins) | 데킬라 (페피토 콜린스, 호세 콜린스(José|호세es)라고도 함) |
| 잭 콜린스(Jack Collins) | 애플잭 |
- 기타 변형:
- 섬머 콜린스: 진과 레모네이드를 동량으로 섞어 얼음을 채운 잔에 과일 장식을 곁들인다.
- 보드카 콜린스: 진 대신 보드카를 사용한다.[18]
- 사우스 사이드: 레몬 대신 또는 레몬과 함께 라임 주스를 사용하고 민트를 넣는다.
- 럼 콜린스: '론 콜린스'라고도 하며, 진 대신 라이트 럼을, 레몬 주스 대신 라임 주스를 사용한다.[19][20]
- 프렌치 75: 탄산수 대신 샴페인을 사용한다.
- 후안 콜린스: 테킬라, 라임 주스, 설탕 또는 기타 감미료, 클럽 소다를 사용하며, 보통 콜린스 잔에 얼음을 채워 제공한다.[21]
최근에는 올드 톰 진 대신 드라이 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진 피즈와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거의 비슷해졌다. 다만, 사용하는 잔(콜린스 글라스)과 장식(과일)에서 차이가 있다.
3. 1. 표준 레시피
해리 존슨이 1882년에 쓴 ''신규 및 개선된 바텐더 매뉴얼 또는 현재 스타일의 음료 혼합 방법''에는 존 콜린스와 톰 콜린스, 두 가지 콜린스 칵테일에 대한 레시피가 나온다. 존 콜린스는 홀랜드 진(제네버)을 사용하며, 톰 콜린스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7]> '''톰 콜린스'''
> (매우 큰 바 글라스를 사용한다.)
> * 설탕 3/4 테이블스푼;
> * 라임 또는 레몬 주스 3~4 방울;
> * 깨진 얼음 3~4 조각;
> * 올드 톰 진 1 와인 글라스;
> * 플레인 탄산수 1병;
> * 스푼으로 잘 섞은 후, 얼음을 제거하고 제공한다.
> 소다수의 거품이 글라스에 넘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887년 제리 토마스의 ''바텐더 가이드''에는 톰 콜린스에 대한 레시피가 수록되어 있다.[7][10]
> '''톰 콜린스 (1887)'''
> (큰 바 글라스를 사용한다.)
> * 검 시럽 5~6 방울을 넣는다.
> * 작은 레몬 1개의 즙.
> * 진 1 큰 와인 글라스.
> * 얼음 2~3 조각;
> * 잘 흔들어 큰 바 글라스에 걸러 넣는다. 플레인 탄산수로 글라스를 채우고 생생하게 마신다.[7]
1891년 윌리엄 슈미트는 톰 콜린스를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 '''톰 콜린스 진 (1891)'''
> * 큰 잔에 레몬 반 개의 즙
> * 바 스푼 설탕 한 스푼
> * 톰 진 한 잔; 잘 섞는다;
> * 얼음 2덩이
> * 일반 소다 한 병.
> 잘 섞어 제공한다.[14]
1986년 발간된 ''칵테일 북''의 1876년 톰 콜린스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 '''존 (또는 톰) 콜린스 (1986)'''
> * 얼음 조각
> * 드라이 진 6cL
> * 레몬 주스 6cL
> * 설탕 1 티스푼 (고무나무) 시럽
> * 탄산수
> * 레몬 슬라이스
> * 색색의 체리 1개
> 큰 유리잔에 얼음을 충분히 넣는다. 진, 레몬 주스, 시럽을 넣는다. 탄산수로 채우고 잘 젓는다. 레몬 슬라이스, 체리, 빨대를 곁들여 제공한다.[17]
현대에는 다음의 재료가 사용된다.
3. 2. 제조 방법
톰 콜린스의 제조 방법에 대한 최초의 출판된 레시피는 1882년 해리 존슨의 저서 ''신규 및 개선된 바텐더 매뉴얼 또는 현재 스타일의 음료 혼합 방법''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는 존 콜린스와 톰 콜린스, 두 가지 콜린스 칵테일에 대한 레시피가 포함되어 있는데, 존 콜린스는 제네버로도 알려진 홀랜드 진을 사용한다. 1882년 책에 실린 톰 콜린스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톰 콜린스'''
> (매우 큰 바 글라스를 사용한다.)
>
> * 설탕 3/4 테이블스푼;
> * 라임 또는 레몬 주스 3~4 방울;
> * 깨진 얼음 3~4 조각;
> * 올드 톰 진 1 와인 글라스;
> * 플레인 소다수 1병;
> * 스푼으로 잘 섞은 후, 얼음을 제거하고 제공한다.
> * 소다수의 거품이 글라스에 넘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884년 O. H. 바이런의 저서 ''모던 바텐더 가이드''에는 "존 콜린스' 진"이라는 음료가 있는데, 여기에는 진 종류의 명시 없이 진, 레몬 주스, 설탕, 그리고 소다가 사용되었다. 이 책에는 또한 브랜디, 레몬 주스, 검 시럽, 마라스키노 리큐어를 사용하고 얼음 위에 소다수를 채워 넣는 "톰 콜린스' 브랜디"도 있다. 이 책은 또한 "톰 콜린스 진과 위스키"에 대한 레시피도 수록했는데, 이는 "브랜디 레시피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되, 각 주류를 대체한다"는 지침만 제공한다.
1884년 또 다른 책인 E.N. 쿡 & Co의 ''과학적인 바텐딩''에도 존 콜린스와 톰 콜린스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전자는 홀랜드 진을, 후자는 위스키를 사용한다. 1887년 제리 토마스의 사후판인 ''바텐더 가이드''에는 톰 콜린스에 대한 레시피가 있다.[7][10] 제리 토마스의 톰 콜린스 진은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 '''톰 콜린스 (1887)'''
> (큰 바 글라스를 사용한다.)
>
> * 검 시럽 5~6 방울을 넣는다.
> * 작은 레몬 1개의 즙.
> * 진 1 큰 와인 글라스.
> * 얼음 2~3 조각;
> * 잘 흔들어 큰 바 글라스에 걸러 넣는다. 플레인 소다수로 글라스를 채우고 생생하게 마신다.[7]
이는 진 피즈 칵테일과 구별되는데, 진 피즈의 레몬 주스 3방울은 탄산수로 "피즈" 처리되어 기본적으로 "진과 소다수"를 형성하는 반면, 톰 콜린스의 "작은 레몬의 즙"은 검 시럽으로 단맛을 내면 기본적으로 "진과 스파클링 레모네이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7]
1986년 발간된 ''칵테일 북''은 1876년 톰 콜린스의 레시피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을 제공한다. 이 롱 드링크에 대한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 '''존 (또는 톰) 콜린스 (1986)'''
>
> * 얼음 조각
> * 드라이 진 6cL
> * 레몬 주스 6cL
> * 설탕 1 티스푼 (고무나무) 시럽
> * 탄산수
> * 레몬 슬라이스
> * 색색의 체리 1개
> * 큰 유리잔에 얼음을 충분히 넣는다. 진, 레몬 주스, 시럽을 넣는다. 탄산수로 채우고 잘 젓는다. 레몬 슬라이스, 체리, 빨대를 곁들여 제공한다.[17]
현대적인 톰 콜린스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셰이커에 진, 레몬 주스, 설탕과 얼음을 넣고 셰이킹한다.
2. 위를 얼음을 넣은 콜린스 글라스(일반적인 롱 드링크에 사용되는 것은 약 226.80g 텀블러이지만, 약 283.50g~약 396.89g까지 들어가는, 더 높고 가느다란 글라스)에 붓고, 탄산수를 더해 살짝 스테어한다.
3. 칵테일 픽에 꽂은 레몬 슬라이스와 마라스키노 체리를 장식한다.
3. 3. 변형 레시피
간단한 '''섬머 콜린스'''는 진과 레모네이드를 동량으로 섞어 얼음을 채운 잔에 담아 과일 장식을 곁들인 2가지 재료로 만든 칵테일이다. '''보드카 콜린스'''는 진 대신 보드카를 사용한다.[18] '''사우스 사이드'''는 레몬 대신 또는 레몬과 함께 라임 주스를 사용하고 민트를 넣는다. '''럼 콜린스'''는 '론 콜린스'라고도 하며 진 대신 라이트 럼을, 레몬 주스 대신 라임 주스를 사용한다.[19][20] '''프렌치 75'''는 소다수 대신 샴페인을 사용한다. '''후안 콜린스'''는 테킬라, 라임 주스, 설탕 또는 기타 감미료, 클럽 소다로 만든다. 이 음료는 일반적으로 콜린스 잔에 얼음을 채워 제공된다.[21]현재는 올드 톰 진 대신 드라이 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진 피즈와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거의 같아졌다(사용하는 잔(콜린스 글라스)이나 장식 과일이 다르다).
| 이름 | 설명 |
|---|---|
| 존 콜린스[28] | 진을 위스키로 바꾼 것. |
| 커넬 콜린스(Colonel Collins)[29] | 진을 버번 위스키로 바꾼 것. |
| 샌디 콜린스(Sandy Collins)[30] | 진을 스코치 위스키로 바꾼 것. |
| 마이클 콜린스(Michael Collins) | 진을 아이리시 위스키로 바꾼 것. 마이크 콜린스(Mike Collins)라고 불리기도 한다. |
| 캡틴 콜린스(Captain Collins) | 진을 캐나디안 위스키로 바꾼 것. |
| 페드로 콜린스(Pedro Collins) | 진을 럼주 (다크 럼)로 바꾼 것. 럼 콜린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
| 피에르 콜린스(Pierre Collins) | 진을 꼬냑으로 바꾼 것. |
| 조 콜린스(Joe Collins) | 진을 보드카로 바꾼 것. 보드카 콜린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
| 루벤 콜린스(Ruben Collins) | 진을 데킬라로 바꾼 것. 페피토 콜린스(Pepito Collins), 호세 콜린스(José|호세es)라고 불리기도 한다. |
| 잭 콜린스(Jack Collins) | 진을 애플잭으로 바꾼 것. |
4. 한국에서의 톰 콜린스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gaz's Cocktail Book
http://www.ardentspi[...]
[2]
간행물
An 'umble corrections
https://books.google[...]
2008-11-25
[3]
서적
Myths and Legends Beyond Our Borders
https://books.google[...]
J. B. Lippincott & Co.
2008-11-25
[4]
서적
The American Language: An Inquiry into the Development of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2008-11-25
[5]
웹사이트
The Tom Collins and the John Collins: A Discussion
http://www.ardentspi[...]
[6]
서적
Classic Cocktails
Prion
[7]
뉴스
The Great Tom Collins Hoax
https://www.scribd.c[...]
2008-11-25
[8]
서적
Handy-Book of Literary Curiosities
https://archive.org/[...]
J. B. Lippincott Company
2008-11-25
[9]
문서
For the 1874 sheet music about the Tom Collins hoax, see Library of Congress.
http://lcweb2.loc.go[...]
[10]
서적
Cocktails: Over 2250 Cocktails
https://books.google[...]
diffordsguide
2008-11-25
[11]
서적
Jerry Thomas' Bar-Tender's Guide or How to Mix Drinks
http://www.theartofd[...]
Dick and Fitzgerald
2008-11-25
[12]
웹사이트
Ardent Spirits Bartender Bulletin
http://www.ardentspi[...]
ardentspirits.com
2015-08-26
[13]
서적
Jennie June's American Cookery Book, Containing Upwards of Twelve Hundred Choice and Carefully Tested Recipes
https://archive.org/[...]
Excelsior Publishing House
2008-11-25
[14]
서적
The Flowing Bowl: When and What to Drink: Full Instructions how to Prepare, Mix, and Serve Beverages
https://books.google[...]
C.L. Webster
2008-11-25
[15]
서적
Beverages and Their Adulteration: Origin, Composition, Manufacture, Natural, Artificial, Fermented, Distilled, Alkaloidal and Fruit Juices
https://archive.org/[...]
P. Blakiston's Son
2008-11-25
[16]
웹사이트
Early St. Louis Hotels
http://genealogyinst[...]
Genealogy in St. Louis
2012-03-22
[17]
서적
The Book of Cocktails
https://books.google[...]
HPBooks
2008-11-25
[18]
웹사이트
2-Ingredient Cocktails You'll Want to Memorize
https://www.tasteofh[...]
[19]
웹사이트
AN EASY RECIPE TO MAKE THE BEST RUM COLLINS COCKTAIL
https://flourchild.c[...]
2021-01-15
[20]
웹사이트
RON COLLINS
https://havana-club.[...]
[21]
웹사이트
Juan Collins Recipe
http://cocktails.abo[...]
About Food
2016-02-11
[22]
서적
色でひけるカクテル
大泉書店
[23]
서적
おうちでカクテル
池田書店
[24]
웹사이트
トム・コリンズ
https://cocktailreci[...]
2019-03-08
[25]
서적
酒の伝説
新紀元社
[26]
서적
カクテルの図鑑
マイナビ出版
[27]
서적
世界一のカクテル
主婦の友社
[28]
서적
世界一のカクテル
主婦の友社
[29]
서적
Cocktails: Over 2250 Cocktails
diffordsguide
[30]
서적
シューマンズ バー ブック
河出書房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