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탄산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탄산수는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켜 만든 음료로, 18세기 조셉 프리스틀리에 의해 탄산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후 요한 야코프 슈베프에 의해 상업화되었으며, 1914년 미국에서 음료용 탄산수 충전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산업화가 시작되었다. 탄산수는 탄산음료, 칵테일 등의 재료로 사용되며, 튀김 반죽에 넣어 바삭한 질감을 내는 데에도 활용된다. 또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젤처수, 클럽 소다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산수 - 토닉 워터
    토닉 워터는 말라리아 예방 목적으로 퀴닌을 복용하던 영국인들이 쓴맛을 줄이기 위해 소다수와 설탕을 섞어 마시던 것에서 시작된 퀴닌 함유 탄산 음료로, 현재는 칵테일 혼합제로 널리 쓰이지만 퀴닌 함량 규제를 받으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탄산수 - 보르조미 (물)
    조지아 보르조미 계곡에서 추출되는 천연 미네랄 워터인 보르조미는 소련 시절부터 인기를 얻었으나, 경제적 어려움과 러시아의 수입 금지 조치, 그리고 최근 소유권 변화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지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홍보 활동과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 도입 노력으로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 18세기 발명품 - 백신
    백신은 약화된 병원체나 일부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과 효과의 다양성, 백신 거부와 오해로 인한 접종률 저하 및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 18세기 발명품 - 섭씨
    섭씨는 켈빈에서 273.15를 뺀 값으로 정의되는 국제단위계의 온도 단위로, 켈빈과 함께 사용되며 켈빈 1도와 크기가 같고, 안데르스 셀시우스의 이름을 땄으며, 온도와 온도 간격, 변화량 표시에 사용되고 화씨, 켈빈 등 다른 온도 단위로 환산이 가능하다.
탄산수

2. 역사

현대의 탄산수는 압력을 가한 이산화탄소를 물에 주입하여 만든다.[36] 압력이 증가하면 용해도가 증가하여 표준 대기압보다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용해될 수 있다. 병을 열면 압력이 해제되어 용액에서 기체가 빠져나와 특징적인 거품이 형성된다. 현대 이산화탄소의 공급원은 발전소에서 석탄, 메탄과 같은 화석 연료를 연소하거나 수증기 개질을 통한 수소 생산 등의 산업 공정에서 나온다.

미국에서는 무첨가 탄산수가 나트륨염을 함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소다수(soda water)' 또는 독일 젤터스(Selters) 마을(이 마을은 광천으로 유명)에서 유래한 '젤처수(seltzer water)'로 알려져 있었다.[37] 나트륨염은 '젤터스(Selters)', '비시워터(Vichy water)', '사라토가워터(Saratoga water)'와 같은 유명한 광천수의 맛을 모방하기 위한 향미 증진제와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될 때 생성되는 탄산의 산성도(pH 5~6)를 상쇄하기 위한 산도 조절제로 첨가되었다.[8] 1950년대에는 '클럽소다(club soda)'라는 용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38] 일반적으로 '젤처수'에는 나트륨염이 첨가되지 않지만, '클럽소다'에는 여전히 일부 나트륨염이 포함되어 있다.[38]

역사적으로 최초의 탄산수는 레모네이드에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한 것으로 여겨진다. 중탄산나트륨과 레몬즙에 포함된 구연산의 화학 반응으로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 방법은 고압 장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수중 용해가 보편화되기 전,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중탄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재료와 물을 함께 병에 밀봉함으로써 가내 수공업 수준에서도 탄산수 제조를 용이하게 하였다. 화학 반응의 산물인 나트륨염의 풍미를 없애기 위해 레모네이드처럼 과즙, 감미료, 향료 등으로 맛을 내어 다양한 탄산음료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원래 나트륨 화합물을 가리키는 '소다'가 탄산음료의 대명사가 되기도 하였다.


  • 1769년, 영국인 조셉 프리스틀리는 리즈의 양조장에서 맥주통 위에 물그릇을 걸어두면 물에 이산화탄소가 녹는다는 것을 발견하여 탄산수를 발명하였다.[58]
  • 1771년, 스웨덴의 화학 교수 토르비외른 베리만도 독자적으로 비슷한 탄산수 제조법을 발명하였다. 그는 허약하여 자연 발생적인 비등을 모방하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60]


현재(2023년 10월 19일 기준) 탄산수는 수온을 낮추고, 탱크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가스[64]를 가압하여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이 방법은 용해도를 증가시켜 자연계보다 많은 CO₂를 물에 용해시킨다. 병을 열면 용기 내 압력이 낮아지고, 가스는 특징적인 거품을 만들며 용해가 해제된다.

풍미를 첨가한 탄산수도 판매되고 있다. 감미료는 첨가하지 않고 풍미만 더했다는 점이 소다와 다르다. 레몬, 라임, 체리, 오렌지, 라즈베리 등 과일의 풍미를 첨가한 것이 많다.

2. 1. 세계의 탄산수 역사

조셉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는 18세기에 탄산화 방법을 개척했습니다.


맥주, 샴페인, 사이다, 스프리처와 같은 많은 알코올 음료는 발효 과정을 통해 자연적으로 탄산화되었습니다. 1662년 크리스토퍼 머릿(Christopher Merret)은 '스파클링 와인'을 만들었습니다.[21] 1740년대 초 윌리엄 브라운리그(William Brownrigg)는 광산에서 채취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인공 탄산수를 생산한 최초의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2] 1750년 프랑스인 가브리엘 프랑수아 베넬(Gabriel François Venel)도 인공 탄산수를 생산했지만, 탄산화의 원인이 되는 기체의 성질을 잘못 이해했습니다.[23] 1764년 아일랜드의 화학자 맥브라이드(Dr. Macbride) 박사는 발효와 부패에 대한 일련의 실험의 일환으로 이산화탄소를 물에 주입했습니다.[24][25] 1766년 헨리 캐번디시(Henry Cavendish)는 조셉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에게 영감을 주어 탄산수에 대한 자신의 실험을 수행하게 한 통풍 장치를 고안했습니다.[26] 캐번디시는 당시 브라운리그의 관찰 사항도 알고 있었으며, 다음 해 1월 초 근처 광천수에 대한 자신의 실험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27]

프리스틀리가 기체와 물의 탄산화에 대한 실험에 사용한 장비


1767년 프리스틀리는 잉글랜드 리즈의 현지 양조장에서 맥주통 위로 물을 앞뒤로 부어 물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28][29][30] 발효 중인 맥주를 덮고 있는 공기( '고정된 공기'라고 함)는 그 안에 매달린 쥐를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프리스틀리는 이렇게 처리된 물이 맛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시원하고 상쾌한 음료로 친구들에게 제공했습니다. 1772년 프리스틀리는 "고정된 공기를 물에 주입하기"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여 황산을 석회석에 떨어뜨려 이산화탄소 기체를 생성하고, 그 기체가 흔들리는 그릇의 물에 용해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31] 프리스틀리는 이렇게 처리된 물을 자신의 발명품으로 여기며 가장 "행복한" 발견이라고 말했습니다.[29]

1771년, 스웨덴의 화학 교수 토르비외른 베리만도 독자적으로 비슷한 탄산수 제조법을 발명했습니다. 그는 허약하여 자연 발생적인 비등을 모방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60]

프리스틀리의 장치는 5년 전 헨리 캐번디시가 발명한 장치와 매우 유사하여 발생기와 흡수 탱크 사이에 이산화탄소의 흐름을 조절하는 주머니가 있었고, 곧 다양한 다른 장치들이 추가되었지만, 인공 광천수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가 설립되어 대규모로 탄산수를 생산하기 시작한 것은 1781년이 되어서였습니다. 최초의 공장은 잉글랜드 맨체스터의 토마스 헨리에 의해 건설되었습니다. 헨리는 프리스틀리의 시스템에서 주머니를 큰 풀무로 교체했습니다.[33] J. J. 슈베프는 프리스틀리의 발견을 기반으로 병에 든 탄산 광천수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하여 1783년 제네바에 슈웹(Schweppes)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슈베프는 프리스틀리를 "우리 산업의 아버지"로 여겼습니다.[34] 1792년 슈베프는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런던으로 이전했습니다. 1799년 어거스틴 스웨이츠(Augustine Thwaites)는 더블린에 스웨이츠 탄산수(Thwaites' Soda Water)를 설립했습니다. ''런던 글로브(London Globe)'' 기사는 이 회사가 "탄산수(Soda Water)"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받고 판매한 최초의 회사라고 주장합니다. 이 기사는 1777년 런던의 무더운 여름에 "탄산수(aerated waters)"(즉, 탄산이 함유된 물)가 잘 팔렸지만, 아직 "탄산수"라는 언급은 없었지만, 최초의 발포성 음료는 아마도 베이킹 파우더를 포함한 "소다 가루"와 타타르산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말합니다.[35] 탄산수라는 이름은 맛과 pH를 조절하기 위해 종종 탄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가 첨가되었기 때문입니다.

헝가리인 예드리크 아뇨슈(1800년 ~ 1895년)는 탄산수의 대량생산법을 발명했습니다. 또한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세계 최초의 탄산수 공장을 건설했습니다.[53] 이후 헝가리에서 와인과 탄산수를 섞은 스프리처의 일종인 "fröccs"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1800년대 후반 무렵에는 가소진과 같은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한 소다 사이펀이 가정에까지 보급되었습니다.

1889년경, 일본에 정착한 영국인 클리포드 윌킨슨이 사냥 중에 효고현 아리마군 시오세촌 생세(현재의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시오세정 생세)에서 천연 탄산 광천을 발견하였습니다.[61] 후에 윌킨슨 탄산음료로 일본 국내외 27개 지역에서 판매하였습니다.

1914년, 미국에서 Liquid Carbonic사가 코카콜라사에 음료용 탄산수 충전 시스템을 공급한 것을 계기로 음료용 탄산수의 산업화에 불이 붙었습니다.[62] 대공황 무렵에는 소다 분수대에서 팔리는 가장 저렴한 음료라는 의미로 "two cents plain"이라고도 불렸습니다.

1940년대, 미국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탄산수(carbonated water)"보다 "소다수(soda water)"라는 명칭이 일반적이었다. 1950년대에는 "스파클링 워터"나 "셀처수"라는 명칭도 사용되기 시작한다. "셀처수(seltzer water)"라는 명칭은 원래 독일 Selters산 발포 미네랄워터의 일종을 가리키며, 상표의 보통명사화의 한 예입니다.[63]

현대의 탄산수는 압력을 가한 이산화탄소를 물에 주입하여 만듭니다.[36] 압력이 증가하면 용해도가 증가하고 표준 대기압보다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용해될 수 있습니다. 병을 열면 압력이 해제되어 용액에서 기체가 빠져나와 특징적인 거품이 형성됩니다.

2. 2. 한국의 탄산수 역사

1889년경, 영국인 클리포드 윌킨슨이 사냥 중 효고현 아리마군 시오세촌(현재의 니시노미야시 시오세정)에서 천연 탄산 광천을 발견하면서 한국에 탄산수가 처음 소개되었다.[61] 윌킨슨은 이 광천수를 이용해 탄산수를 생산, "윌킨슨 탄산"이라는 이름으로 일본 국내외 27개 지역에서 판매하였다.[61]

2006년에는 기린비버리지에서 무가당 탄산수 NUDA를 출시하면서 일본에서 탄산수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65] 2009년경부터는 하이볼(위스키에 탄산수를 섞은 음료)이 유행하면서 탄산수가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5]

3. 제조

탄산수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켜 만든다. 이 과정을 탄산화라고 한다. 상업용 탄산수는 여과된 물을 8°C 이하로 냉각시킨 후, 이산화탄소로 압력을 가하여 만든다. 이때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알칼리성 화합물을 첨가하여 산도를 중화시키기도 한다.[46]

가정에서도 탄산수 제조기를 이용하여 탄산수를 만들 수 있다.[54] 시판되는 탄산수에는 소금, 구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중조), 탄산수소칼륨 등의 첨가물이 들어있기도 하다. 이는 과거 중조와 식용산을 사용해 만들던 탄산수의 짠맛을 재현하기 위한 것이다.

최초의 탄산수는 레모네이드에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탄산나트륨과 레몬즙의 구연산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1769년, 영국의 조셉 프리스틀리는 맥주 발효조 위에 물을 담은 그릇을 걸어두는 방식으로 탄산수를 발명했다.[58] 1772년에는 황산을 석회석에 떨어뜨려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이를 물에 녹이는 방법을 제안하는 논문을 발표했다.[59]

1889년경, 일본에 정착한 영국인 클리포드 윌킨슨은 효고현에서 천연 탄산 광천을 발견했다.[61] 이후 그의 이름을 딴 탄산수가 일본 국내외에서 판매되었다. 1914년, 미국의 Liquid Carbonic사는 코카콜라사에 탄산수 충전 시스템을 공급하면서 탄산수의 산업화가 시작되었다.[62] 현재 탄산수는 수온을 낮추고 이산화탄소 가스를 가압하여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3. 1. 상업적 제조

천연 및 인공 탄산수에는 제품에 따라 소량의 염화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구연산칼륨, 황산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광천수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만,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탄산수에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첨가로 인한 산도를 상쇄하고 자연스러운 풍미를 모방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첨가된다.[8]

1767년 조셉 프리스틀리는 잉글랜드 리즈의 현지 양조장에서 맥주통 위로 물을 앞뒤로 부어 물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방법을 발견했다.[28][29][30] 1772년 프리스틀리는 "고정된 공기를 물에 주입하기"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여 황산을 석회석에 떨어뜨려 이산화탄소 기체를 생성하고, 그 기체가 흔들리는 그릇의 물에 용해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했다.[31]

프리스틀리의 장치는 5년 전 헨리 캐번디시가 발명한 장치와 매우 유사하여 발생기와 흡수 탱크 사이에 이산화탄소의 흐름을 조절하는 주머니가 있었고, 곧 다양한 다른 장치들이 추가되었지만, 인공 광천수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가 설립되어 대규모로 탄산수를 생산하기 시작한 것은 1781년이 되어서였다. 최초의 공장은 잉글랜드 맨체스터의 토마스 헨리에 의해 건설되었다. 헨리는 프리스틀리의 시스템에서 주머니를 큰 풀무로 교체했다.[33] J. J. 슈베프는 프리스틀리의 발견을 기반으로 병에 든 탄산 광천수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하여 1783년 제네바에 슈웹(Schweppes) 회사를 설립했다. 슈베프는 프리스틀리를 "우리 산업의 아버지"로 여겼다.[34]

현대식 바의 탄산수 기계


현대의 탄산수는 압력을 가한 이산화탄소를 물에 주입하여 만든다.[36] 압력이 증가하면 용해도가 증가하고 표준 대기압보다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용해될 수 있다. 병을 열면 압력이 해제되어 용액에서 기체가 빠져나와 특징적인 거품이 형성된다.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키는 과정을 탄산화라고 한다. 상업용 탄산수는 여과된 일반 물을 8°C 이하로 냉각시켜 만드는데, 이산화탄소로 물에 압력을 가할 때 생성되는 산을 중화하기 위해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소듐 또는 포타슘 기반의 알칼리성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첨가한다.[46] 기체가 물에 용해되고, 사이펀에 120psi 정도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이산화탄소를 추가로 채운다.

많은 현대식 레스토랑과 바에서는 탄산수 제조기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탄산수를 제조한다. 탄산수 제조기는 기계식 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가압실로 펌핑하고, 약 100psi의 압력으로 압축 탱크의 이산화탄소와 혼합한다.

3. 2. 가정용 제조

가정용 탄산수 제조는 이산화탄소가 들어 있는 작은 일회용 강철 용기를 사용하여 평범한 물에 탄산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용기를 탄산수통 상단의 밸브 조립체에 삽입하여 가스를 주입한 다음 용기를 빼낸다.

영국 사이펀사에서 제작한 빅토리아 시대 후기 가스오젠


가스오젠(gazogene 또는 seltzogene)은 탄산수를 만드는 빅토리아 시대 후기 장치이다. 두 개의 연결된 유리 구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래쪽 구체에는 탄산화할 물이나 다른 음료가 들어 있고, 위쪽 구체에는 탄산가스를 생성하는 반응을 하는 주석산과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이 들어 있다. 생성된 기체는 아래쪽 용기의 액체를 관을 통해 위로 밀어 장치 밖으로 내보낸다. 유리 구체는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커 또는 철망으로 된 보호망으로 둘러싸여 있다.[39]

가정용으로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올인원 탄산수 제조기. 재충전 가능한 이산화탄소 용기와 고압 용기가 자주 포함되어 있다.


오늘날에는 탄산수 제조기 또는 탄산수 발생기라는 다회용 이산화탄소 용기를 사용하여 물에 탄산을 주입하는 기구를 사용한다. 다양한 시스템이 제조업체와 아마추어들에 의해 생산된다.[42][43] 상업용 제품은 향이 첨가된 청량 음료를 만들기 위한 농축 시럽과 함께 판매될 수 있다.

탄산수 제조기의 주요 생산업체 중 하나는 소다스트림(SodaStream)이다. 이들 제품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영국에서 인기를 끌었고, 그 시대에 대한 향수와 관련이 있으며 2000년대에 부활을 경험했다.[44][45]

4. 화학 및 물리적 특성

탄산수는 약산성이지만, 이 산성도는 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화될 수 있다.[14] 한 연구에 따르면 탄산 광천수는 탄산이 없는 물보다 치아에 약간 더 부식성이 있지만, 청량음료의 약 1% 수준의 부식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15]

높은 온도에서는 탄산의 결합이 더 쉽게 끊어져 물과 이산화탄소 기체가 생성된다. 따라서 저온(맨 오른쪽)의 탄산수는 고온(맨 왼쪽)보다 더 많은 탄산을 함유한다.
[16]

물에 용해된 이산화탄소 기체는 소량의 탄산(H2CO3)을 생성한다.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H2O(l) + CO2(g) <=> H2CO3(aq)

탄산의 농도는 이산화탄소의 약 0.17%이다.[17]

때문에 탄산수는 약간 신맛이 난다. pH는 5~6 사이이다.[8] 산성도는 사과 주스오렌지 주스의 중간 정도이지만 위산보다 훨씬 덜 산성이다. 정상적인 건강한 사람의 신체는 산-염기 항상성을 통해 pH 균형을 유지하므로 탄산수 섭취로 인해 실질적으로 악영향을 받지는 않는다.[18] 혈액에 있는 이산화탄소는 폐를 통해 배출된다. 알칼리성 , 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또는 구연산칼륨은 pH를 높인다.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기체의 양은 헨리의 법칙으로 설명된다. 헨리의 법칙 계수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17] 탄산화 과정에서 물은 최적으로 어는점 바로 위로 차가워져 물에 용해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최대화한다. 더 높은 기체 압력과 더 낮은 온도는 액체에 더 많은 기체가 용해되도록 한다. 온도가 올라가거나 압력이 감소하면(탄산수 용기를 열 때 발생하는 현상), 이산화탄소가 거품을 일으켜 용액에서 빠져나온다.

탄산수의 밀도는 순수한 물보다 약간 더 높다. 탄산수의 양은 물의 부피를 취하고 이산화탄소 1g당 0.8 입방센티미터를 더하여 계산할 수 있다.[19][20] 물과 이산화탄소에 압력을 가해 탄산(화학식: H2CO3)을 생성하는 과정을 탄산화라고 한다. 압력을 가해 생성된 탄산이지만, 압력의 영향이 없어지면 서서히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리되고, 이산화탄소는 기포의 형태로 물속에서 방출된다.

천연 및 인공 탄산수에는 제품에 따라 소량의 염화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구연산칼륨, 황산칼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광천수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만,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탄산수에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첨가로 인한 산도(물에 용해될 때 낮은 5~6 pH의 탄산 용액을 생성함)를 상쇄하고 자연스러운 풍미를 모방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첨가된다.[8]

시판 탄산수는 순수한 탄산수인 경우도 있지만, 소금, 구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중조), 탄산수소칼륨, Potassium citrate|구연산칼륨영어, 황산칼륨, 피로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을 소량 첨가하는 경우도 있으며, 제조사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첨가물은 과거 중조와 식용산을 사용하여 가정에서 만들었던 탄산수의 약간의 짠맛을 재현하기 위해 첨가되고 있다.

용해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가스 볼륨"이 있으며, 20℃ 1기압의 조건 하에서 물의 양에 대해 용해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같은 양일 때 1 가스 볼륨이 된다.[55][56]

5. 건강 영향

탄산수는 건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0]

미국 법률에서는 클럽 소다나 스파클링 워터와 같은 탄산수는 미네랄, 비타민 또는 인공 감미료가 첨가되더라도 영양가가 거의 없는 식품으로 정의된다.[11]

탄산수는 역류성 식도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2] 뇌졸중을 경험한 사람들의 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잠정적인 증거가 있다.[13] 탄산수는 약산성이지만, 이 산성도는 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화될 수 있다.[14] 한 연구에 따르면 탄산 광천수는 탄산이 없는 물보다 치아에 약간 더 부식성이 있지만, 청량음료의 약 1% 수준의 부식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15]

탄산 온천에 입욕한 경우, 혈관 확장 작용[66]에 의해 체온이 상승한다. 또한, 이 체온 상승 작용은 탄산 농도에 따라 변동한다[67]. 특히, 41℃의 고농도 인공 탄산수 온욕은 진통 효과가 높다는 보고가 있다.[68]

반면, 음용에 의한 체온 변화에 대해서는 “저하한다”는 보고와 “상승한다”는 보고가 있다.

; 저하한다는 보고

: 탄산수 음용 및 삼키지 않고 구강 내에 넣었다가 뱉는 가상 섭취(Sham-feeding; SF)에 의한 구강 내 자극으로 말초 체온 저하와 일시적인 심박수 상승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69]

; 상승한다는 보고

: 시즈오카 현립 대학 식품영양학부 와타나베(渡辺) 등의 연구에 따르면 “탄산수 음용으로 체온 저하 억제가 확인되었다”[70]고 보도되었다.

6. 용도

탄산수는 음료, 요리, 얼룩 제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탄산수는 탄산음료의 주요 성분이며, 소주위스키와 같은 알코올 음료를 희석하거나 위스키 앤 소다, 캄파리 앤 소다와 같은 칵테일의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서구 요리에서는 튀김 반죽에 일반 물 대신 탄산수를 넣어 튀김과 같이 가벼운 질감을 내는 데 사용된다. 탄산수에 녹아 있는 기체는 일시적인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여 얼룩, 특히 레드 와인 얼룩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52]

6. 1. 음료

미국에서는 무첨가 탄산수가 일반적으로 나트륨염을 함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소다수(soda water)' 또는 독일 젤터스(Selters) 마을(이 마을은 그 유명한 광천으로 유명하다)에서 유래한 '젤처수(seltzer water)'로 알려져 있었다.[37]

나트륨염은 천연 탄산수인 '젤터스(Selters)', '비시워터(Vichy water)', '사라토가워터(Saratoga water)'와 같은 유명한 광천수의 맛을 모방하기 위한 향미 증진제와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될 때 생성되는 산성도 5~6 pH의 탄산을 상쇄하기 위한 산도 조절제로 무첨가수에 첨가되었다.[8]

1950년대에 '클럽소다(club soda)'라는 용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38] 일반적으로 '젤처수(seltzer water)'에는 나트륨염이 첨가되지 않지만, '클럽소다(club soda)'에는 여전히 일부 나트륨염이 포함되어 있다.[38]

1922년경 탄산수통


탄산수통 또는 셀처 병(셀처 병은 압력이 가해진 탄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밸브와 주둥이가 달린 유리 또는 금속 압력 용기)은 술집과 20세기 초중반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었으며, 중산층의 풍요의 상징이 되었다. 탄산수통의 가스 압력은 상단의 밸브 레버를 누르면 탄산수통 내부의 튜브를 통해 탄산수를 위로 밀어 올린다. 시판되는 탄산수통은 물과 가스를 미리 충전하여 제공되었으며, 비어 있으면 소매업체에 반환하여 교환받았다. 보증금 제도 덕분에 함부로 버려지지 않았다. 가정용 탄산수통은 이산화탄소가 들어 있는 작은 일회용 강철 용기를 사용하여 평범한 물에 탄산을 주입할 수 있다. 이 용기를 탄산수통 상단의 밸브 조립체에 삽입하여 가스를 주입한 다음 용기를 빼낸다.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키는 과정을 탄산화라고 한다. 사이펀에 들어있는 상업용 탄산수는 여과된 일반 물을 8°C 이하로 냉각시켜 만드는데, 이산화탄소로 물에 압력을 가할 때 생성되는 산을 중화하기 위해 소디움 또는 포타슘 기반의 알칼리성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첨가한다(물에 용해되면 높은 8~10 pH의 탄산-중탄산염 완충 용액을 생성한다).[46] 기체가 물에 용해되고, 사이펀에 120psi 정도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이산화탄소를 추가로 채운다.

많은 현대식 레스토랑과 바에서는 탄산수 제조기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탄산수를 제조한다. 탄산수 제조기는 기계식 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가압실로 펌핑하고, 약 100psi의 압력으로 압축 탱크의 이산화탄소와 혼합한다. 그런 다음 가압된 탄산수는 직접 수도꼭지나 믹싱 헤드로 흘러 들어가는데, 여기서 음료를 제공하기 전에 향료가 첨가된다.

탄산수는 탄산음료의 주요 성분이며, 탄산음료는 일반적으로 탄산수, 감미료, 그리고 콜라, 생강, 또는 감귤류와 같은 향료로 구성된다. 일반 탄산수 또는 탄산 광천수는 탄산음료의 대안으로 자주 소비된다. 클럽 소다는 중탄산나트륨 또는 황산칼륨과 같은 화합물이 첨가된 탄산수이다.[47] 많은 제조업체는 에센셜 오일과 같은 방향족 성분을 첨가하여 가볍게 향이 첨가된 무가당 탄산수 제품을 생산한다.[48][49] 탄산수는 종종 과일 주스와 섞어서 탄산이 들어간 알코올성 및 무알코올성 펀치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50]

탄산수는 희석제로서, 알코올 음료에 첨가하여 음료의 양을 늘리고 청량감을 더하는 데 사용된다. 소주나 위스키와 같은 "짧은" 음료에 탄산수를 첨가하면 음료가 희석되어 "긴" 음료가 된다(롱 드링크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베르무트로 만든 음료). 탄산수는 위스키, 브랜디, 캄파리와 같은 짧은 음료에도 잘 어울린다. 탄산수는 오렌지 스쿼시와 같은 과즙 음료를 희석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탄산수는 위스키 앤 소다나 캄파리 앤 소다와 같은 많은 칵테일의 필수 재료이다.

6. 2. 요리

탄산수는 서구 요리에서 일반 물 대신 튀김옷에 사용되어 반죽에 가벼운 질감을 부여하는 데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튀김과 유사하다.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의 식품과학자 케빈 라이언(Kevin Ryan)은 반죽에 탄산수를 섞으면 거품이 발생하여 가벼운 튀김과 같은 질감을 만들어내 일반 튀김옷보다 칼로리가 낮은 착각을 준다고 말한다. 이러한 가벼움은 이산화탄소 기체가 반죽에 들어가 주머니를 형성하기 때문이며(이는 효모를 사용한 자연 발효 과정에서도 발생하는 현상이다), 조리 시 더욱 팽창한다.[51]

6. 3. 기타

미국에서는 무첨가 탄산수가 일반적으로 나트륨염을 함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소다수(soda water)' 또는 광천으로 유명한 독일 젤터스(Selters) 마을에서 유래한 '젤처수(seltzer water)'로 알려져 있었다.[37]

나트륨염은 '젤터스(Selters)', '비시워터(Vichy water)', '사라토가워터(Saratoga water)'와 같은 유명한 광천수의 맛을 모방하기 위한 향미 증진제와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될 때 생성되는 산성도 5~6 pH의 탄산을 상쇄하기 위한 산도 조절제로 무첨가수에 첨가되었다.[8]

1950년대에 '클럽소다(club soda)'라는 용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38]

일반적으로 '젤처수(seltzer water)'에는 나트륨염이 첨가되지 않지만, '클럽소다(club soda)'에는 여전히 일부 나트륨염이 포함되어 있다.[38] 탄산수에 녹아 있는 기체는 일시적인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므로, 특히 레드 와인 얼룩 제거를 위한 가정 요법으로 추천되어 왔다.[52]

7. 명칭

천연 및 인공 탄산수에는 제품에 따라 염화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구연산칼륨, 황산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이 소량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광천수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만,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탄산수에는 이산화탄소 가스 첨가로 인한 산도(물에 용해될 때 pH 5~6 정도의 탄산 용액을 생성함)를 상쇄하고 자연스러운 풍미를 모방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첨가된다.[8]

자연 용출정은 불가리아 로도페 산맥의 미할코보, 북마케도니아의 메지트리야, 특히 독일 타우누스 산맥의 젤터스와 같은 지역에서 천연 탄산 광천수를 생산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The Medical Origins of Seltzer https://www.theatlan[...] 2016-12-13
[2] 논문 Seltzer or Sparkling Water: An Alternative to Flat Water https://www.jrnjourn[...] 2018-09-01
[3] 논문 Dr William Brownrigg, F.R.S.: Physician, Chemist and Country Gentleman https://www.jstor.or[...] 1977
[4] 웹사이트 Aerial Acid: A short history of artificial mineral waters https://idus.us.es/x[...] 2007-09-22
[5] 뉴스 Our fizzy seas of soda water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6-09-21
[6] 웹사이트 Schweppes Holdings Limited https://www.royalwar[...]
[7] 논문 Joseph Priestley and The Copley Medal 2013-07-18
[8] 논문 The pH of beverage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ada.org/~[...] 2016-04
[9] 웹사이트 Powerful Effervescence https://www.scienceh[...] 2008
[10] 서적 Manual of Dietetic Practi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
[11] 웹사이트 Foods of Minimal Nutritional Value https://www.fns.usda[...] Food and Nutrition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3-09-13
[12] 논문 Systematic review: the effects of carbonated beverages on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2010-03
[13] 논문 Management of faecal incontinence and constipation in adults with central neurological diseases 2014-01-13
[14] 서적 Advanced dental nursing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0
[15] 논문 Investigation of mineral waters and soft drinks in relation to dental erosion 2001-08
[16] 서적 Culinary Reactions https://archive.org/[...] Chicago Review Press
[17] 웹사이트 Carbon Dioxide in Water Equilibrium, Page 1 http://www.thuisexpe[...]
[18] 웹사이트 Can I drink carbonated water? - CNN.com http://edition.cnn.c[...]
[19] 논문 Con gas, sin gas https://www.newscien[...] 2009-11-04
[20] 웹사이트 Density of Aqueous Solutions of CO2 https://escholarship[...]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01-10-11
[21] 서적 The Sotheby's Wine Encyclopedia (4th Edition) Dorling Kindersley
[22] 논문 The "Subtile Aereal Spirit of Fountains": Mineral Waters and the History of Pneumatic Chemistry 2016-11-15
[23] 서적 Chocolate, Strawberry, and Vanilla https://books.google[...] Popular Press
[24] 서적 Sundae Best: A History of Soda Fountains https://books.google[...] Popular Press
[25] 웹사이트 The London Medical and Physical Journal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6] 웹사이트 AERIAL ACID: a short history of artificial mineral waters https://idus.us.es/x[...]
[27] 논문 XI. Experiments on Rathbone-place water http://rstl.royalsoc[...] Rstl.royalsocietypublishing.org
[28] 웹사이트 Joseph Priestley — Discovery of Oxygen — Invention of Soda Water by Joseph Priestley http://inventors.abo[...] Inventors.about.com 2009-09-16
[29] 서적 The Invention of Air: An experiment, a journey, a new country and the amazing force of scientific discove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09
[30] 뉴스 The Man Who Discovered Oxygen and Gave the World Soda Water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5-01-10
[31] 웹사이트 DIRECTIONS FOR IMPREGNATING WATER WITH FIXED AIR; In order to communicate to it the peculiar Spirit and Virtues of Pyrmont Water, And other Mineral WAters of a similar Nature. https://todayinsci.c[...]
[32] 웹사이트 The Great Soda-Water Shake Up https://www.theatlan[...]
[33] 서적 How James Watt Invented the Copier: Forgotten Inventions of Our Great Scientis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34] 서적 Springs and Bottled Waters of the World: Ancient History, Source, Occurrence, Quality and Us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35] 뉴스 Invention of Soda Water https://news.google.[...] 1904-01-04
[36] 뉴스 Is sparkling water really bad for you? https://www.bbc.com/[...] 2015-09-14
[37] 웹사이트 Definition of seltzer —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07-11-07
[38] 웹사이트 Carbon water https://carbonwater1[...] 2022-06-30
[39] 웹사이트 Mixing it up: A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Siphon-Bottle https://web.archive.[...] 2014-06-09
[40] 뉴스 "Secret lemonade drinker": the story of R White's and successors in Barking and Essex. http://barkinghistor[...] 2021-10-19
[41] 웹사이트 A load of codswallop https://web.archive.[...] 2016-03-15
[42] 웹사이트 Making Carbonated Mineral Water http://milwaukeemake[...] 2011-09-26
[43] 웹사이트 Home Carbonation System http://www.instructa[...] 2007-07-15
[44] 웹사이트 Sodastream https://web.archive.[...] Waitrose 2006-09-12
[45] 뉴스 Wham! Big hair and Eighties pop make internet comeback http://technology.gu[...] 2006-06-18
[46] 웹사이트 Carbonic acid, britannica.com https://www.britanni[...]
[47] 웹사이트 What Is Seltzer - Is Seltzer Bad For You https://www.delish.c[...] 2021-08-01
[48] 잡지 The Mysterious Allure of LaCroix's 'Natural Flavor' https://www.wired.co[...] 2016-12-15
[49] 웹사이트 Why is LaCroix defending itself on Twitter? https://www.vox.com/[...] 2018-10-04
[50] 웹사이트 About Flavored Sparkling Water with No Calories https://healthyeatin[...] 2014-02-02
[51] 웹사이트 Sparkling water lightens foods https://www.chicagot[...] 2014-12-27
[52] 웹사이트 How does club soda remove red wine stains? http://www.scientifi[...] 2016-04-15
[53] PDF 炭酸飲料の日本農林規格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54] PDF 意匠分類定義カード(C5)の C5-313 https://www.jpo.go.j[...] 特許庁
[55] PDF 発泡性のお酒その設備と技術発泡 http://www.kitasangy[...] きた産業
[56] PDF 缶ビール等の内圧の温度依存 http://www.kitasangy[...] きた産業
[57] 뉴스 「ザ・タンサン・ストロング」「ザ・タンサン・レモン」 3月26日(月)から全国で発売 https://www.cocacola[...] 日本コカ・コーラ 2018-02-07
[58] 웹사이트 Joseph Priestley - Discovery of Oxygen - Invention of Soda Water by Joseph Priestley http://inventors.abo[...] Inventors.about.com 2009-09-23
[59] 웹사이트 Impregnating Water with Fixed Air, Page 7 http://www.truetex.c[...] 1772
[60] 서적 身近なモノ事始め事典 東京堂出版
[61] 웹사이트 ウィルキンソン WILKINSON https://www.asahiinr[...] asahiinryo.co.jp 2017-08-18
[62] 웹사이트 Albany Asbestos Attorney: Lipsitz & Ponterio http://www.lipsitzpo[...] Liquid Carbonic Corporation
[63] 웹사이트 Definition of seltzer -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07-11-07
[64] 웹사이트 炭酸ガス http://www.sdk.co.jp[...] 昭和電工ガスプロダクツ株式会社
[65] 뉴스 若者がハイボールを飲み始めた? ブームの裏側を徹底検証! http://trendy.nikkei[...] 日経トレンディネット
[66] 논문 人工炭酸浴に関する研究 (第1報) 炭酸泉の有効炭酸濃度について 1984
[67] 논문 高濃度炭酸水温浴の体温に及ぼす効果 (第1報) 高濃度炭酸水温浴における深部体温計と表面皮膚温の変化
[68] 논문 高濃度人工炭酸水温浴による電流知覚閾値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CPT) の変化 2001
[69] 논문 炭酸水による口腔への刺激が深部・末梢体温に及ぼす作用―Sham-feeding (偽飲) による口腔内刺激を用いた評価― 2014
[70] PDF 炭酸水で体温低下抑制 http://www.u-shizuok[...] 静岡新聞 2012-04-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