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자는 자본을 투입하여 미래의 수익을 기대하는 행위로,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로 구분된다. 개인 투자자는 유동 자산 및 부동산 등에 투자하며, 워런 버핏 등이 유명하다. 기관 투자자는 증권사, 보험사, 연기금 등이 있으며, 조지 소로스 등이 대표적이다. 투자는 유동 자산(주식 등) 및 부동산을 대상으로 하며,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어 있다. 투자자 보호를 위해 금융감독원 등 정부 기관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금융인은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며, 벤처 자본가, 헤지 펀드 매니저 등이 해당된다. 투자는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금융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자가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투자가 | |
---|---|
투자자 | |
정의 | 자본을 할당하여 재정적 수익을 기대하는 사람 |
투자자 유형 | |
개인 투자자 | 자신의 계좌로 투자하는 개인 |
기관 투자자 | 다른 사람의 돈을 투자하는 기관 (예: 뮤추얼 펀드, 헤지 펀드, 연금 펀드) |
투자 전략 | |
가치 투자 | 저평가된 자산에 투자 |
성장 투자 |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자산에 투자 |
배당 투자 | 배당금을 많이 지급하는 자산에 투자 |
사회 책임 투자 | 사회적, 윤리적 기준을 고려하여 투자 |
투자 대상 | |
주식 | 기업의 소유 지분 |
채권 | 정부나 기업에 대한 대출 |
부동산 | 토지, 건물 등 |
원자재 | 금, 석유, 농산물 등 |
파생 상품 | 다른 자산의 가치에 연동된 계약 |
투자 위험 | |
시장 위험 | 시장 변동에 따른 손실 위험 |
신용 위험 | 채무 불이행에 따른 손실 위험 |
유동성 위험 |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하기 어려워 발생하는 위험 |
인플레이션 위험 |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실질 가치가 하락하는 위험 |
투자 관련 용어 | |
포트폴리오 | 투자 자산의 집합 |
분산 투자 | 여러 자산에 투자하여 위험을 줄이는 방법 |
수익률 | 투자로 얻는 이익의 비율 |
위험 감수 | 투자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정도 |
2. 투자자의 유형
투자자는 크게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로 분류된다.[4] 전자는 개인 자격으로 투자하는 사람을, 후자는 법인 형태로 투자하는 주체를 말한다.
투자자는 프로필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투자자 심리 특성은 위험 태도이다.
2. 1. 개인 투자자
개인투자자는 법인에 소속되지 않고 개인 자격으로 유동성 자산 및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사람을 말한다. 투자업계에서는 주식이나 파생상품 등을 매매하는 개인을 속칭 '개미'라고 지칭하기도 한다.국제적으로 유명한 개인투자자로는 워런 버핏, 앙드레 코스톨라니, 고레카와 긴조,[25] BNF(고테가와 다카시)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안랩의 2대 주주였던 원종호,[26] 현대약품의 1대 주주였던 박성득,[27] 삼천리자전거의 대주주였던 김정환,[28] 선물·옵션 분야의 선경래[29] 등이 대중에 알려져 있는 개인투자자이다. 증권가에서는 이와 같이 수십억 원 이상의 많은 자금을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를 속칭 '슈퍼개미'라고도 부른다.[30]
2. 2. 기관 투자자
기관 투자자는 증권사, 보험사, 은행, 연기금, 사모펀드 등 법인 형태로 투자하는 주체를 말하며, 대한민국에서는 '기관'이라고 칭한다.[4] 이들은 주로 증권이나 파생상품 등 유동자산에 투자한다.국민연금과 같이 공적인 목적을 가지고 다수의 자금을 모아 투자하는 기금도 대표적인 기관 투자자에 해당한다. 또한, 수수료를 받고 고객의 자산을 대신 투자하여 운용해주는 자산운용업도 발달해 있다.
자산운용업계에서 유명한 인물로는 피터 린치[20], 제시 리버모어[21], 조지 소로스, 제임스 사이먼스[22] 등이 있다.

3. 투자 대상 및 방식
투자 대상은 주식, 채권 등의 금융 상품, 부동산, 상품 등이 있지만, 그 보유 목적(투자의 목적)은 다양하다.[17] 예를 들어 주식의 경우 경제적 이윤(배당이나 시세 상승에 따른 이익)이 목적일 수도 있고, 회사의 경영 참여일 수도 있다.[17] 단기적인 시세 변동에 따른 이익을 노리는 투기꾼이나 트레이더와 달리, 장기적인 시세 상승을 기대하는 경우도 투자라고 한다.
은행 예금은 저축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여겨져 투자로 보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예금자와 은행 간의 금전 소비 위탁 계약이며, 이는 은행 등이 발행하는 회사채 등에 투자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다.[17]
투자를 하는 주체에는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가 있다. 외국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사람은 투자 대상 국가에서 ''''외국인 투자자''''로 불리며, 해당 국가 투자자보다 주목받기도 한다. 일본 주식 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 매매 점유율이 50%를 넘어 그 동향에 주의를 기울인다. 투자자 중에는 재능과 기회로 막대한 부를 쌓아 세계 부호 순위에 이름을 올리는 사람도 있다.
노동을 미덕으로 여기는 사회에서는 자본 이득을 목표로 투자하여 이익을 얻는 투자자를 공격하기도 한다. 그러나 투자자는 '높은 확률로 존재하는' 매수자이므로 유동성을 높이고, 기업의 자금 조달(증자나 잉여 부동산 처분)을 원활하게 하여 경제 활동의 기동성과 효율성, 규모를 향상시켜 경제 전체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주식이나 부동산 취득을 원하는 경우에도 '높은 확률로 존재하는' 매도자가 되므로 유동성을 높여 경제 전체의 향상에 기여한다.[18]
3. 1. 유동자산 투자
투자업계에서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는 법인을 '기관'이라고 부르며, 그 법인에 속하여 투자 행위를 하는 사람을 '기관 투자자'라고 부른다.[17] 기관은 구체적으로 증권사, 보험사, 투신사, 은행, 종금, 기금, 사모펀드 등을 의미한다. 투자 주체를 기관으로 부르는 것은 대체로 증권이나 파생상품 등 유동자산에 투자할 경우에 한한다.기금이란 공적인 목적을 가지고 다수에게서 돈을 모아 투자하는 국민연금과 같은 단체이다. 또한 수수료를 받고 고객의 자산을 대리로 투자하여 운용해주는 일을 자산운용업이라 한다. 자산운용업계에서 유명한 인물로는 피터 린치[20], 제시 리버모어[21], 조지 소로스, 제임스 사이먼스[22]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윤강로[23], 성필규[24]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개인투자자는 법인에 소속되지 않고 유동성 자산 등에 투자하는 개인을 말하며, 투자업계에서는 주식이나 파생상품 등을 매매하는 개인을 '개미'라고 칭하기도 한다. 국제적으로 유명한 개인투자자로는 워런 버핏, 앙드레 코스톨라니, 고레카와 긴조[25], BNF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원종호[26], 박성득,[27] 김정환[28], 선경래[29] 등이 알려져 있다. 증권가에서는 수십억 원 이상을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를 '슈퍼개미'라고도 부른다.[30]
현대 개인 투자자는 증권 회사 창구 및 영업을 통한 주식 매매(대면 거래)에서, 컴퓨터나 휴대 전화를 인터넷에 연결하여 행하는 온라인 트레이딩이 성행하고 있다. 미성년자나 무직자도 계좌 개설이 가능하며, 투자에 필요한 최소 금액 및 수수료도 하락 추세에 있어, 투자가가 되기 위한 허들은 이전보다 낮아지고 있다.
3. 2. 부동산 투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부동산 투자자로는 도널드 트럼프, 리카싱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임대주택사업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한 부영그룹 회장 이중근[31], YG엔터테인먼트 설립자 양현석[32], 전직 농구선수 서장훈[33] 등이 유명하다.4. 투자자 보호 및 관련 제도
정부의 투자자 보호는 시장의 공정성을 보장하고 사기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정부 기관의 규제 및 집행을 포함한다. 미국의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와 영국의 금융 서비스 보상 제도(FSCS) 등이 투자자 보호 장치의 예시이다.[1][7]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금융감독원을 통해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으며, 불공정거래 행위 감시 및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으며, 특히 개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4. 2. 해외
미국은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를 통해 투자자를 보호하고 있으며, SEC는 미국의 합리적인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한다.[1]영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도 유사한 보호 장치가 존재하며, 개인 투자자는 금융 서비스 보상 제도(FSCS)를 통해 특정 보호를 받는다.[7]
5. 금융인의 역할
금융인은 주로 유망하거나 이미 자리 잡은 기업 및 사업체에 투자 자금을 지원하거나 직접 제공하는 사람이다. 일반적으로 막대한 자금이 오가며, 주로 사모 펀드 및 벤처 캐피털, 기업 인수 합병, 차입 매수, 기업 금융, 투자 은행, 또는 대규모 자산 관리와 관련된다.[9][10]
금융인은 투자가 이자를 포함하여 상환될 때,[11] 사업 거래에 명시된 대로 회사의 지분 일부를 받거나, 수수료, 성과 및 관리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또한 금융인은 자신의 명성을 활용하여 자금 지원을 받은 사업의 성공을 도울 수도 있다.[12] 금융인의 경험과 능력이 많을수록 자금 지원을 받은 법인의 성공에 더 많이 기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보상도 더 커진다.[13]
경제학자 에드먼드 펠프스는 금융가가 정부와 사회 단체가 수행하는 데 제약이 있는 투자를 자본으로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펠프스에 따르면, 금융가는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가적인 아이디어를 통찰력 있게 평가할 수 있으며, 국가나 사회 파트너의 승인 없이도 독자적으로 투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실패 시에도 사회 단체에 책임을 지지 않으므로, 불투명하고 불확실한 프로젝트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4]
6. 투자와 사회
에드먼드 펠프스는 금융가가 정부나 사회 단체가 수행하기 어려운 투자를 자본으로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14] 그러나 금융가들은 다른 사람의 희생으로, 그리고 유형적인 노동에 참여하지 않고 부를 창출하는 경향이 있다고 인식되어 비판을 받기도 했다.[16]
노동을 중시하는 사회에서는 자본 이득을 목표로 한 투자를 통해 이익을 얻는 투자자가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투자자는 유동성을 높이고, 기업의 자금 조달을 원활하게 하여 경제 활동과 경제 전체의 향상에 기여하는 면이 있다.[18]
외국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사람은 투자 대상 국가로부터 ''''외국인 투자자''''라고 불리며, 때로는 해당 국가의 투자자보다 더 주목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매매 점유율이 50%를 넘기 때문에 그 동향에 항상 주의를 기울인다.
참조
[1]
논문
Reasonable Investor(s)
2015
[2]
서적
Investor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11-29
[3]
서적
The Law of Investor Protection
Sweet & Maxwell
2003
[4]
웹사이트
Institutional vs. Retail Investors: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investop[...]
2023-08-11
[5]
웹사이트
Retail Investor Definition
https://www.investop[...]
2020-12-17
[6]
웹사이트
Institutional Investor – Overview, Types, Investing Risks
https://corporatefin[...]
2020-12-17
[7]
웹사이트
Investments
https://www.fscs.org[...]
Financial Services Compensation Scheme
2023-11-11
[8]
웹사이트
Investment Tax Basics for All Investors
http://www.investope[...]
2014-12-30
[9]
웹사이트
financier
https://www.ahdictio[...]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10]
웹사이트
financier | meaning of financier
https://www.ldoceonl[...]
[11]
서적
Microeconomics of Banking
2008
[12]
서적
Handbook of Research on Venture Capital
2007
[13]
서적
Modern Financial Systems: Theory and Applications
2009
[14]
웹사이트
Dynamic Capitalism
http://www.europains[...]
Europa-Institut
2006-10-10
[15]
서적
Good Roads: Devoted to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Roads
1896
[16]
서적
Vest Pocket Essays
1916
[17]
서적
証券事典
きんざい
[18]
문서
流動性 (経済学)|流動性 が低下すると、資金調達の際の買い手探しや資産取得の際の売り手との交渉に時間が掛かるなどして、機を失ったり想定外の出費がかさんだりすることになる。これらのリスクを嫌気して投資意欲が減退したり、企業経営の効率が低下したり、場合によっては資金調達の遅れにより経営計画が達成出来ず倒産してしまうなど、経済全体へ大きく影響を与えることになる。
[19]
간행물
近世大阪堂島米先物市場における合理的期待の成立
http://www.jcfia.gr.[...]
日本商品先物振興協会
1995-06
[20]
뉴스
세계의전설적인투자가들 | 월스트리트의 영웅 피터 린치, 누적 수익률 2,703%의 기적 실현, 한경비즈니스 2006년 1월호
http://topclass.chos[...]
[21]
뉴스
월가 최고의 투기꾼, 제시 리버모어를 읽고[무극선생의 정석투자]
머니투데이
2006-11-17
[22]
뉴스
수학으로 연봉 1조원 벌다
조선일보
2006-08-20
[23]
뉴스
"[연봉공개] 윤강로 KR선물 회장 작년 9억5145만원 수령 - 뉴스1"
2014-03-31
[24]
뉴스
파생 시장 승부사 성필규 PK투자자문 회장 - 한국경제매거진
한국경제
2013-04-24
[25]
뉴스
"[고수X파일]투자 베테랑, 고레카와 긴조 - 프라임경제"
2009-05-29
[26]
뉴스
MK News - 안철수연구소 2대주주 슈퍼개미 원종호씨는?
매일경제
2011-11-22
[27]
뉴스
슈퍼개미열전 ⑭ 100억대 주식부자가 된 15세 주방보조-박성득
한국경제
2009-06-17
[28]
뉴스
슈퍼개미열전 ① 김정환…7000만원으로 120억원 번 비결
한국경제
2009-02-16
[29]
뉴스
뉴 '슈퍼 개미' 선경래씨 직격 인터뷰 … "선물 · 옵션 투자로 1조 벌었다는 건 헛소문"
한국경제
2008-12-03
[30]
뉴스
수퍼개미 주의보 ① "내가 경영하겠다"며 화려하게 등장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3-01-25
[31]
뉴스
"'임대주택 재벌' 이중근, 차기사업이 없다"
http://www.businessp[...]
비즈니스포스트
2014-05-23
[32]
뉴스
연예인 부동산 자산 1순위는?…종합 1위 양현석
헤럴드경제
2012-10-25
[33]
뉴스
서장훈 78억 빌딩, 250억으로 껑충
아시아경제
2013-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