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툴롱 포위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툴롱 포위전은 프랑스 혁명 시기, 왕당파가 영국, 스페인 연합군의 지원을 받아 툴롱을 점령하자 혁명 정부군이 이를 탈환하기 위해 벌인 전투이다. 툴롱은 주요 해군 기지이자 전략적 요충지였기에 혁명 정부는 툴롱 탈환을 중요하게 여겼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전략과 활약으로 혁명군은 툴롱을 탈환했지만, 점령 후 보복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나폴레옹은 이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준장으로 승진했으며, 툴롱은 이후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원정의 출발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툴롱의 역사 - 툴롱 전투 (1707년)
    툴롱 전투 (1707년)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연합군이 프랑스 해군 기지인 툴롱을 공격하려 했으나, 프랑스의 방어 강화와 연합군의 병력 부족으로 인해 실패하고 막대한 사상자만 낸 전투이다.
  • 툴롱의 역사 - 소시에떼 누벨르 지중해 조선소
    소시에떼 누벨르 지중해 조선소는 다양한 국가의 해군과 상선을 위한 함선을 건조한 프랑스 조선소로서, 19세기에는 여러 나라 해군을 위해, 20세기에는 프랑스 해군을 위한 대형 함선과 상선 및 지원함 등을 제작했다.
  • 1793년 분쟁 - 방데 전쟁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1793년부터 1796년까지 프랑스 서부 방데 지역에서 혁명 정부의 정책에 반발한 농민 반란으로 시작된 내전으로, 혁명 정부의 잔혹한 진압과 대량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프랑스 혁명의 폭력성과 종교·정치적 갈등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아있다.
  • 1793년 분쟁 -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은 1789년부터 1799년까지 프랑스에서 앙시앵 레짐의 모순, 재정 위기, 계몽 사상, 민중의 불만 등으로 발생한 사회적, 정치적 격변기로, 자유, 평등, 박애라는 혁명 정신을 유럽에 전파했다.
  • 1793년 프랑스 - 1793년 프랑스 헌법
    1793년 프랑스 헌법은 프랑스 혁명기에 국민공회에서 채택된 프랑스 최초의 공화정 헌법으로, 인민주권, 직접 민주주의적 요소, 보통선거권을 포함했으나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프랑스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793년 프랑스 - 공포 정치
    공포 정치는 프랑스 혁명 시기 프랑스에서 일어난 정치적 격변으로, 혁명 지도자들이 내전과 반혁명에 맞서 공포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했으며, 많은 사람들의 처형과 과도한 폭력으로 비판받다가 로베스피에르의 몰락과 함께 종식되었다.
툴롱 포위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툴롱 포위전
관련 전쟁연방주의자 반란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위치프랑스 툴롱
기간1793년 8월 29일 - 12월 19일 (3개월 3주)
결과프랑스 공화파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왕당파
프랑스 연방주의자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스페인
나폴리 왕국
시칠리아 왕국
사르데냐 왕국
교전국 2프랑스 제1공화국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Baron d'Imbert (남작 디베르)
새뮤얼 후드
찰스 오하라
시드니 스미스
헨리 핍스
후안 데 랑가라
교전국 2 지휘관장 프랑수아 카르토
자크 프랑수아 뒤고미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 프랑수아 코르뉘 드 라 포이프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1,500명
8,000명 & 37척의 함선
7,000명 & 32척의 함선
6,500명 & 5척의 함선
총합: 23,000명, 74척의 함선
교전국 2 병력32,000명
피해 규모
교전국 1 피해사망 또는 부상 1,200명
사망 또는 부상 700명
사망 또는 부상 200명
포로 1,000명
포로 1,500명
총합: 4,600명
함선 1척 나포
전열함 14척, 프리깃함 1척, 코르벳함 2척이 버려져 공화군에 압수됨
교전국 2 피해사망 또는 부상 1,700명
전열함 9척 항구에서 자침, 전열함 4척, 프리깃함 7척, 코르벳함 5척 나포
이미지
1793년 12월 툴롱에서 철수하는 연합군
1793년 12월 툴롱에서 철수하는 연합군

2. 역사적 배경

프랑스 대혁명으로 루이 16세가 처형되고 혁명이 극단으로 치닫자, 유럽 군주들은 격분했다. 이들은 프랑스 혁명 사상이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영국, 스페인, 프로이센 등 11개국이 참여하는 대불동맹을 결성했다. 1793년 2월 1일, 프랑스 혁명정부가 영국과 네덜란드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제1차 대불동맹 전쟁이 시작되었다.[35]

프랑스 군은 국경 각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연패했고, 이에 혁명 정부는 “30만명 모병”을 선포했다.[36] 그러나 왕당파가 반발하며 반란을 일으켰고,[37] 이는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항구도시 툴롱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왕당파가 도시를 장악했다.

8월 23일, 혁명세력인 공화파는 “국가총동원”을 선포하고[38] 징병제를 실시하여 군비를 정돈하고, 왕당파 반란과 대불동맹군에 대한 반격에 나섰다. 혁명정부군이 리옹, 마르세유를 탈환하고 처참한 보복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당베르 남작이 이끄는 툴롱의 왕당파군은 영국-스페인 연합 함대에 도움을 요청했다. 8월 28일, 새뮤얼 후드 제독과 스페인의 랑가라 제독은 13,000명의 군대를 툴롱에 보냈다. 10월 1일, 당베르 남작은 루이 17세의 프랑스 왕위 계승을 선언하고 왕당파의 깃발인 백합 문장을 게양하며 툴롱을 영국 해군에 넘겼다.

2. 1. 프랑스 혁명과 툴롱

1793년 6월 2일 지롱드파 의원 체포 이후 리옹, 아비뇽, , 마르세유 등 프랑스 남부 도시에서 연방주의 반란이 일어났다.[35] 툴롱에서는 연방주의자들이 지역 자코뱅 클럽 지부를 몰아냈지만, 곧 더 많은 왕당파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마르세유 탈환과 혁명가들에 의한 보복 소식이 전해지자, 자비에 르브레 드 임베르 남작이 이끄는 왕당파는 영국-스페인 함대에 지원을 요청했다. 8월 28일, 영국 해군 새뮤얼 후드 제독과 스페인 해군 후안 데 랑가라 제독은 영국, 스페인, 나폴리, 사르데냐 출신 13,000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임베르 남작은 툴롱 항구를 영국 해군에 넘겨주었다.[4][5]

툴롱은 왕실 깃발인 백합 문장을 게양했고, 임베르는 10월 1일에 8세의 루이 17세를 프랑스 왕으로 선포했다. 이로 인해 프랑스 공화국은 치명적인 상황에 놓일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툴롱이 주요 해군 병기창이자 26척의 전열함(프랑스 해군 전체의 약 3분의 1)의 기지였기 때문이다.[3] 이 항구가 없으면 프랑스는 동맹국, 특히 영국과 해상 지배권을 다툴 수 없었다. 또한, 툴롱의 상실은 공화국에 반란을 일으키려는 다른 이들에게 위험한 신호를 보낼 수 있었다.[7]

3. 툴롱 포위전

혁명 정부는 툴롱 탈환을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초기에는 장 프랑수아 카르토 장군이 지휘를 맡았으나, 작전은 지지부진했다. 포병대장 도마르탱이 부상당한 후, 젊은 포병 장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아비뇽마르세유를 탈환한 공화파 혁명정부군은 장 프랑소와 카르토 장군의 지휘 아래, 9월 8일, 올리울 마을을 거쳐 서쪽에서 툴롱에 도착했다. 동쪽에서는 라 포이프 장군이 이끄는 6,000명의 알프스 해병대가 합류했다. 라 포이프는 라 발레트 마을에 진을 치고 동쪽을 방어하는 펄롱 산 요새를 탈환하려고 했다. 또한 드 셍 줄리앙 제독이 지휘하는 3,000명의 수병이 참가했는데, 이들은 영국에 항복한 왕당파 지휘관 고흐 제독과 함께 싸우는 것을 거부했다.[9]

카르토군의 포병대장 단마르땅이 울리울 마을에서 부상을 당하자, 국민 공회의 대표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와 앙투안 크리스토프 살리세티는 젊은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대위를 후임으로 임명했다. 자크 프랑수아 두고미에 장군은 툴롱 포위전에서 나폴레옹에 대해 장 밥티스트 노엘 부쇼트 전쟁 장관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8]

에두아르 데타유의 툴롱 포위전의 보나파르트


나폴레옹은 툴롱 주변의 요새를 공격하기 위해 충분한 포병 부대를 소집했다. 그는 마르세유, 아비뇽, 이탈리아군에서 대포를 가져왔고, 지역 주민들은 포위군에 물자를 공급하도록 강요받았다. 그의 활동으로 부대는 100문의 대포를 확보했다. 살리체티와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의 도움으로 은퇴한 포병 장교들을 다시 입대시켰다. 나폴레옹은 보병들에게 포병 운용 훈련을 시켜 포병 전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10]

몇 차례의 정찰 후, 보나파르트는 에귈레트와 발라기예를 점령하여 항구의 소규모 항구와 대규모 항구 사이의 통행을 막아 포위된 사람들에게 필요한 해상 보급을 차단하는 계획을 구상했다.

3. 1. 나폴레옹의 전략과 역할

나폴레옹은 르 케르(카이로 언덕)를 점령하여 레기에트와 발라기에 요새를 공략할 계획을 세웠다. 이 요새들은 툴롱 내항과 외항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어, 이곳을 장악하면 포위된 툴롱에 필수적인 해상 보급을 막을 수 있었다.[8] 그러나 사령관 장 프랑소와 카르토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9월 22일에 시도된 공격은 실패했다. 이로 인해 르 케르 언덕의 중요성을 인지한 영국-스페인 연합군은 그곳에 멀그레이브 요새를 구축했다. 이 요새는 "작은 지브롤터"라고 불릴 정도로 견고했다.

9월 19일부터 나폴레옹은 "산"이라고 불리는 포대를 설치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9월 21일에는 브레갈리옹 해안에 "상 퀼로트" 포대를 추가로 구축했다. 새뮤얼 후드 제독은 이 포대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0월 1일 펄롱 산 공격 실패 후, 나폴레옹은 마르브스케 대 요새를 포격할 것을 요청했다. 그는 주변 지역에서 포병을 집결시켜 50개 포대를 정렬했고, 10월 19일 대대 지휘관으로 승진한 후 아레네 언덕 위에 "국민 공회의 포대"를 구축했다. 이 포대는 다른 여러 포대의 지원을 받았다.

나폴레옹은 주변 지역에서 장비와 대포를 징발하여 포병 전력을 강화했다. 마르세유, 아비뇽, 이탈리아군 등에서 대포를 가져왔고, 지역 주민들은 물자 공급을 강요받았다. 그의 노력으로 부대는 100문의 대포를 확보했다. 또한,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와 앙투안 크리스토프 살리세티의 도움으로 은퇴한 포병 장교들을 재입대시켰다. 나폴레옹은 보병들에게 포병 운용 훈련을 실시하여 포병 전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10]

11월 11일, 장 프랑소와 카르토가 해임되고 도페를 거쳐, 뒤고미에가 새로운 사령관이 되었다. 뒤고미에는 나폴레옹의 전략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12월 16일 밤, 총공세가 시작되었고, 격전 끝에 나폴레옹은 영국군 하사관에게 허벅지를 부상당하면서도 진지를 점령했다. 아침이 되자 프랑스군은 에귈레트와 발라기예에 포병을 배치할 수 있었고, 연합군은 철수했다.

3. 2. 전투의 경과

11월 11일 카르토가 경질되고 의사였던 도페가 새 지휘관이 되었으나, 그도 결단력이 부족하여 11월 16일 마르그레이브 요새 공략에 실패했다. 도페는 무능함을 통감하고 스스로 사임했다. 후임으로 온 뒤고미에는 훈련을 통해 성장한 직업 군인으로, 나폴레옹 전술의 장점을 인정하고 작은 지브롤터(마르그레이브 요새) 탈취에 착수했다.

11월 20일, 뒤고미에는 도착하자마자 솟아 오른 지형에 "자코뱅 당원" 포대를 구축했고, 11월 28일 그 왼쪽에 "공포를 모르는 남자" 포대를 구축했으며, 12월 14일 그 사이에 "샤스 코캥(Chasse Coquins)" 포대를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연합군의 함대를 격퇴하기 위해 "큰 항구" 및 "4개의 풍차"라고 하는 2개의 포대가 추가되었다.

포격의 압력을 받은 영국-나폴리 연합군이 출격하여 "국민 공회" 포대를 탈취했다. 뒤고미에와 나폴레옹은 반격의 선두에 서서 그들을 퇴각시켰다. 그때, 영국의 지휘관 오하라 장군이 부상당해 프랑스군에게 잡혔다. 그는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 및 앙투안 루이 알비트와 연방주의자와 왕당파 군의 무장 해제와 항복 협상을 시작했다.

오하라를 포로로 잡은 뒤, 뒤고미에, 라 포이프, 나폴레옹(대령으로 승진)은 12월 16일 밤 사이에 일제히 공격을 감행했다. 공격은 자정 무렵 작은 지브롤터에서 시작되어 밤새 계속되었다. 나폴레옹은 영국군 중사에게 총검으로 허벅지에 부상을 입었다. 그러나 아침에 거점을 탈취한 나폴레옹의 부관 오귀스트 드 마르몽은 레기에트 요새와 바라기에 요새를 향해 대포를 설치했다. 영국군은 그날 더 이상 싸우지 않고 철수를 했다. 그전에 라 포이프도 펄롱과 마르브스케 요새를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연합군은 바다로 탈출을 결정했다. 후군을 맡은 영국의 시드니 스미스 제독은 소각선을 항구에 보내 시설과 배를 불태웠다.

장-앙투안-시메옹 포르가 그린 툴롱 포위전

4. 툴롱 포위전의 결과

12월 19일, 국민공회 군대가 툴롱에 입성했다. 폴 바라스와 스타니슬라스 프레롱이 지휘한 왕당파 진압은 극도로 유혈 사태로 이어졌다. 툴롱의 마르스 광장에서 700명에서 800명 사이의 포로가 총살되거나 칼에 찔려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39] 장 프랑수아 에르난데스의 치료를 받은 보나파르트는 학살 현장에 없었다. 12월 22일 여단장으로 진급한 그는 이미 이탈리아 육군 포병 사령관으로서 니스에 있는 새로운 임지로 향하고 있었다.[40] 툴롱 시의 옛 성벽 일부를 이루는 문은 그의 출발을 연상시키며, 기념 명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 문은 "포르트 달리아"(Porte d'Italie)라고 불린다.

국민공회는 징벌의 의미로 도시의 이름을 산악파를 따라 로 변경했다.

4. 1. 진압과 보복

12월 19일 혁명정부군은 툴롱 시내에 진입했다. 폴 바라스와 스타니슬라 프레롱은 왕당파와 반혁명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보복을 시작했다.[39] 800명에서 2,000명에 달하는 포로들은 툴롱의 샹 드 마르스에서 총살되거나 총검에 찔려 살해되었다.[39] 이 과정은 매우 잔혹하게 진행되어, 혁명 정부의 공포 정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당시 장 프랑수아 에르난데스에게 부상 치료를 받고 있었던 나폴레옹은 이 학살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는 12월 22일에 준장으로 승진했다.[40]

1796년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원정을 툴롱에서 시작했다. 그가 떠난 문에는 기념 장식패가 놓여 있으며, 이 문은 “이탈리아 문(Porte d' Italie)”이라고 불린다.

4. 2. 나폴레옹의 부상

12월 16일 밤, 오하라를 포로로 잡은 듀고미에, 라 포이프, 그리고 대령으로 승진한 나폴레옹은 일제 공격을 개시했다. 공격은 자정 무렵 작은 지브롤터에서 시작되어 밤새 계속되었다. 이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영국군 중사에게 총검으로 허벅지에 부상을 입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침에 거점을 탈취한 나폴레옹의 부관 오귀스트 마르몽은 레기에트 요새와 바라기에 요새를 향해 대포를 배치할 수 있었다. 영국군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그날 철수했다. 이와 함께 라 포이프도 펄롱과 마르브스케 요새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연합군은 바다로 탈출하기로 결정했고, 영국의 시드니 스미스 장군 대리가 후군을 맡아 방화대를 항구에 보내 시설과 배를 불태웠다.[14]

나폴레옹은 폴 바라스와 스타니슬라 프레롱이 주도한 학살에는 장 프랑수아 에르난데스에게 부상 치료를 받느라 참여하지 않았다. 12월 22일, 나폴레옹은 준장으로 승진했다.[19]

1796년,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원정 (1796-1797년)을 툴롱에서 시작했다. 그가 출발했던 문에는 기념 장식이 있으며, 이 문은 "이탈리아 문(''Porte d'Italie'')"이라고 불린다.

5. 툴롱의 지리적 특징

툴롱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복잡한 해안선과 주변 지형이 특징이다. 툴롱 항구는 여러 개의 반도로 둘러싸여 있어 천혜의 요새와 같은 지형을 이루고 있다.

툴롱 항구는 지중해로 튀어나온 셍 만도리에 쉬르 메르 반도로 인해 외해와 멀리 떨어져 있지만, 더 안쪽에 있는 두 개의 반도에 의해 내항이 형성되어 있다. 내항의 북동쪽에는 툴롱 시가 있고, 시내에는 도시를 내려다보는 펄롱 산이 우뚝 솟아 있다.

내항을 억제하는 형태로 동쪽에서 뻗은 지앙 반도에 무리욘 지구가 있고, 끝 쪽으로는 16세기부터 라 투르 로얄 요새가 있다. 서쪽에서 길게 뻗은 반도가 라 세인느 쉬르 메르로, 두 개의 끝 부분에 있는 것이 레기에트와 바라기에 요새이다. 두 요새의 후방에 있는 돈대가 카이로 (르 스케일) 언덕이며, 여기에 쌓은 마르그레이브(프랑스어: Murgrave) 요새에서 일어난 쟁탈전은 툴롱 포위전의 중요한 전투였다. 레기에트와 바라기에 두 요새를 연결하는 도로는 오늘날 "보나파르트 거리"라고 명명되었다.[25]

6. 툴롱 포위전의 의의와 영향

툴롱 포위전은 프랑스 혁명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였다. 이 사건으로 혁명 정부는 권위를 강화하고, 반혁명 세력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특히, 나폴레옹이라는 뛰어난 군사 지도자가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나폴레옹은 툴롱에서 포병 장교로서 도시 항구를 제압하기 위한 포병 진지 위치를 찾아 이름을 알렸다. 새뮤얼 후드가 지휘하는 영국 함대는 나폴레옹이 격렬한 공격으로 공략한 지점을 위협으로 간주하여 항구에서 탈출할 수밖에 없었고, 반란은 진압되었다.[1] 그 공적으로 나폴레옹은 24세에 단숨에 포병대 사령관(준장)이 되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1]

국민공회군은 12월 19일에 시내에 진입했고, 폴 바라스와 스타니슬라 프레롱은 피비린내 나는 보복을 자행했다.[2] 800명에서 2,000명에 달하는 죄수가 마르스 광장에서 총살되거나 총검에 찔려 살해된 것으로 여겨진다.[2] 장 프랑수아 에르난데스에게 부상 치료를 받고 있었던 나폴레옹은 이 대량 학살에 참여하지 않았고, 12월 22일에 준장으로 승진했다.[2]

1796년,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원정 (1796-1797년)의 진군을 툴롱에서 시작했다.[4] 그가 출발했던 문에는 기념 장식이 놓여 있고, 이 문은 "이탈리아 문(''Porte d'Italie'')"이라고 불린다.[4]

6. 1. 한국사에 주는 교훈

툴롱 포위전은 외세가 국내 정치에 개입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프랑스 혁명 당시 왕당파는 영국, 스페인 등 외세와 결탁하여 혁명 정부를 전복시키려 하였다. 이는 외세에 의존하는 태도가 국가 안보와 주권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 re Militari: Guerras Napoleónicas. http://remilitari.co[...]
[2] 문서 See Castex, Théories Stratégiques
[3] 웹사이트 Batailles navales de la Francev http://archive.org/d[...] Challamel ainé 1867-04-01
[4] 서적 The Wars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Napoleon, 1792–181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5] 서적 British Battles of the Napoleonic Wars 1793–1806: Despatched from the Front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3
[6] 웹사이트 French Revolutionary wars {{!}} Causes, Combatants, & Battles https://www.britanni[...] 2020-08-03
[7] 웹사이트 Siege of Toulon | Summary https://www.britanni[...] 2024-05-14
[8] 서적 Napoleon Bonaparte: an intimate biography https://books.google[...] Morrow 1972
[9] 문서 Chandler 1966, p. 20
[10] 문서 Chandler 1966, p. 24
[11] 문서 'Correspondence of Napoleon I, Vol. I, No. 2, p. 12'
[12] 서적 Napoleon Bonaparte and the siege of Toulon
[13] 서적 Napoleon: A Life
[14] 문서 Clowes, p. 209
[15] 문서 James, p. 80
[16] 문서 Tracy, p. 44
[17] 문서 Tracy, p. 42
[18] 문서 James, p. 78
[19] 문서 Mostert, p. 116
[20] 문서 Tracy, p. 29
[21] 문서 Clowes, p. 210
[22] 서적 Table alphabetique et analytique des archives parlementaires, LXXXII https://sul-philolog[...] Archives Parlementaires 2023-11-10
[23] 문서 Forczyk, pp. 23–25
[24] 문서 Smith 1999, pp. 63–64
[25] 문서 Krebs & Moris, pp. 147–148, 150
[26] 간행물 French Army before Toulon 11 December 1793 https://usacac.army.[...] United States Army Combined Arms Center 2021-07-04
[27] 문서 A unique legion, comprising 14 x [[Chasseurs à Pied|Chasseur]] Companies, 3 x [[Dragoon]] troops, and an artillery battery. Totalling by itself some 1,129 troops.
[28] 웹사이트 Les bataillons de volontaires et de réquisitions de l'Ariège (1791–1803) http://assosehri.fr/[...]
[29] 문서 Chartrand, pp. 11, 36–37
[30] 문서 All one battalion strength unless noted
[31] 문서 Duncan, pp. 58, 67
[32] 문서 Standard organisation is two battalions unless stated.
[33] 서적 나폴레옹의 시대 을유문화사 2006
[34]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5]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6]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7]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8]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9] Youtube "[토크멘터리 전쟁史] 192부 나폴레옹의 등장, 툴롱 전투2" https://www.youtube.[...]
[40] Youtube "[토크멘터리 전쟁史] 193부 나폴레옹의 등장, 툴롱 전투2"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