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아민 피로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아민 피로인산은 티아졸 고리에 피리미딘 고리가 연결되고 피로인산 작용기가 결합된 화합물이다. 티아민 피로인산은 탄소 음이온을 형성하여 산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일리드 형이라고 한다.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α-케토글루타르산 탈수소효소, 트랜스케톨레이스 등 여러 효소에서 보결분자단으로 작용하며, 가역적 탈카복실화 반응을 촉매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아민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은 티아민 결핍으로 발생하는 베르니케 뇌병증과 코르사코프 증후군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만성 알코올 중독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눈의 이상, 정신 상태 변화, 운동실조, 기억 장애, 작화증 등의 증상을 보이고 조기 진단과 티아민 치료가 중요하다.
  • 티아민 - 각기병
    각기병은 티아민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며 건성, 습성, 영아, 위장관 각기병으로 분류되고 말초 신경계, 심혈관계, 영아, 위장관에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개발도상국, 교도소, 난민 캠프 등에서 백미 위주의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한다.
  • 싸이아졸 - 세포탁심
    세포탁심은 광범위 항생제로, 그람 양성균과 일부 그람 음성균에 작용하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약물이지만, 최근 내성이 증가하고 효능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싸이아졸 - 세프트리악손
    세프트리악손은 3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로, 다양한 미생물 감염 치료에 사용되며, 근육 또는 정맥 주사로 투여 가능하나 특정 환자군에게는 주의가 필요하고, 특히 고빌리루빈혈증 신생아에게는 금지된다.
  • 피로인산염 - 유리딘 이인산
  • 피로인산염 - 고에너지 인산 결합
    고에너지 인산 결합은 인산 유도체가 탈수되어 형성되는 산 무수물 결합으로, ATP 가수분해 시 에너지를 방출하며 세포 과정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물질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이다.
티아민 피로인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티아민 이인산
티아민 이인산
IUPAC 이름2-[3-[(4-아미노-2-메틸피리미딘-5-일)메틸]-4-메틸-1,3-티아졸-3-이움-5-일]에틸 포스포노 수소 인산
다른 이름티아민 이인산
식별
ChemSpider ID10670483
ChEBI9532
KEGGC00068
UNIIQ57971654Y
InChI1/C12H17N4OS.ClH.H4O7P2/c1-8-11(3-4-17)18-7-16(8)6-10-5-14-9(2)15-12(10)13;;1-8(2,3)7-9(4,5)6/h5,7,17H,3-4,6H2,1-2H3,(H2,13,14,15);1H;(H2,1,2,3)(H2,4,5,6)/q+1;;/p-1
InChIKeyNBSUTVXQOGUTJX-REWHXWOFAB
표준 InChI1S/C12H17N4OS.ClH.H4O7P2/c1-8-11(3-4-17)18-7-16(8)6-10-5-14-9(2)15-12(10)13;;1-8(2,3)7-9(4,5)6/h5,7,17H,3-4,6H2,1-2H3,(H2,13,14,15);1H;(H2,1,2,3)(H2,4,5,6)/q+1;;/p-1
표준 InChIKeyNBSUTVXQOGUTJX-UHFFFAOYSA-M
CAS 등록번호136-08-3
PubChem1132
SMILESCc2ncc(C[n+]1csc(CCOP(=O)(O)OP(=O)(O)O)c1C)c(N)n2
MeSH 이름티아민 피로인산
속성
화학식C12H19N4O7P2S+
몰 질량425.314382 g/mol
위험성

2. 화학

티아민 피로인산(TPP)의 일리드 형태


화학적으로 티아민 피로인산(TPP)은 피리미딘 고리와 티아졸 고리가 연결된 구조이며, 티아졸 고리는 다시 피로인산 작용기에 연결되어 있다.

TPP 분자에서 반응에 주로 관여하는 부분은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티아졸 고리이다. 이 티아졸 고리의 2번 탄소(C2)는 양성자를 내어주고 탄소 음이온(카르바니온)을 형성할 수 있어 으로 작용한다.[7] 일반적으로 탄소 음이온 형성은 에너지적으로 불리하지만, TPP에서는 탄소 음이온 바로 옆에 위치한 양전하를 띤 질소 원자가 음전하를 안정화시켜 반응이 훨씬 쉽게 일어나도록 돕는다.[7] 이처럼 인접한 원자에 양전하와 음전하를 동시에 갖는 화합물을 일리드(ylide)라고 부르며, TPP의 탄소 음이온 형태를 '일리드 형태'라고도 한다.[14][16][5][8] 이 일리드 형태는 TPP가 촉매하는 여러 생화학 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 1. 반응 메커니즘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α-케토글루타르산 탈수소효소, 트랜스케톨레이스를 포함하는 여러 효소 반응에서, 티아민 피로인산(TPP)은 기질 화합물의 특정 탄소-탄소 결합 절단을 포함하는 가역적 탈카복실화 반응을 촉매한다. 이 결합은 보통 카보닐기에 인접한 카복실산이나 알코올(하이드록시기)과 같은 반응성 작용기에 연결되어 있다. 이 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본 단계로 이루어진다.

# TPP 일리드의 탄소 음이온(카르바니온)이 기질의 카보닐기를 친핵적으로 공격하여 TPP와 기질 사이에 단일 결합을 형성한다.

# 기질의 특정 결합(표적 결합)이 끊어지고, 전자가 TPP 쪽으로 이동한다. 이는 기질 탄소와 TPP 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을 생성하고, TPP의 질소-탄소(N-C) 이중 결합 전자를 질소 원자로 밀어내어 양전하를 띤 질소를 중성 형태로 환원시킨다.

# 본질적으로 2단계의 역반응으로, 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면서 기질 탄소와 다른 원자 사이에 새로운 결합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탈카복실화효소의 경우 새로운 탄소-수소 결합을 생성하고, 트랜스케톨레이스의 경우 새로운 기질 분자를 공격하여 새로운 탄소-탄소 결합을 형성한다.

# 본질적으로 1단계의 역반응으로, TPP와 기질 사이의 결합이 끊어져 TPP 일리드와 기질 카보닐기가 다시 형성된다.

티아민 피로인산(TPP)의 반응 메커니즘

3. 티아민 피로인산을 보결분자단으로 하는 효소의 예


  •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
  • 알코올 발효에서의 피루브산 탈탄산효소
  • 옥소글루타르산 탈수소효소
  • 3-메틸-2-옥소부탄산 탈수소효소
  • 2-히드록시피타노일-CoA 리아제
  • 트란스케톨라아제

참조

[1] 논문 "[Vitamin disturbances in chronic renal insufficiency. I. Water soluble vitamins]"
[2] 논문 Identificat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yeast mitochondrial transporter for thiamine pyrophosphate 2002-11-01
[3] 논문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tochondrial thiamine pyrophosphate carrier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2010-03-01
[4] 논문 Knockout of Slc25a19 causes mitochondrial thiamine pyrophosphate depletion, embryonic lethality, CNS malformations, and anemia 2006-10-24
[5]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Laboratory Techniques (4th Ed.) Thomson Brooks/Cole
[6] 웹사이트 PDBs for Biochemistry http://chemistry.gsu[...] Georgia State University 2009-02-07
[7] 간행물 7.15 - Thiamin Biosynthesi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10-01-01
[8]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Inc
[9] 웹사이트 Glactone: Vitamin B1 http://chemistry.gsu[...]
[10] 뉴스 "[Vitamin disturbances in chronic renal insufficiency. I. Water soluble vitamins]" Przegla̧D Lekarski
[11] 논문 Identificat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yeast mitochondrial transporter for thiamine pyrophosphate http://emboj.embopre[...] 2002-11-01
[12] 논문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tochondrial thiamine pyrophosphate carrier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http://onlinelibrary[...] 2010-03-01
[13] 논문 Knockout of Slc25a19 causes mitochondrial thiamine pyrophosphate depletion, embryonic lethality, CNS malformations, and anemia http://www.pnas.org/[...] 2006-10-24
[14]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Laboratory Techniques (4th Ed.) Thomson Brooks/Cole
[15] 웹인용 PDBs for Biochemistry http://chemistry.gsu[...] Georgia State University 2009-02-07
[16]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