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화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화학)은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루이스의 세 가지 정의에 따라 분류되는 물질이다. 아레니우스 산은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을 내놓고,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은 양성자를 다른 물질에 주는 물질이며, 루이스 산은 전자쌍을 받아들이는 물질이다. 산은 화학적 성질에 따라 강산과 약산으로 구분되며, 산 해리 상수(Ka)와 pH를 통해 산의 세기를 측정한다. 산은 산업, 식품, 인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중화 반응, 산의 세기, 염기도 등과 관련된 다양한 화학적 특성을 보인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무기산, 유기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 (화학) - 왕수
왕수는 진한 질산과 염산을 1:3 몰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금이나 백금 같은 귀금속을 녹일 수 있는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용액이며, 염화 금산 제조, 식각, 분석화학 등에 사용된다. - 산 (화학) - 질산
질산은 강산이자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무색 액체로, 비료, 폭발물, 나일론 생산 등 산업에 널리 쓰이지만 부식성과 테러 악용 위험성도 있으며, 현재는 주로 암모니아 산화법으로 생산된다. - 화학에 관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화학에 관한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 (화학)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양성자를 내어 놓거나 전자쌍을 받아들일 수 있는 화학 물질 |
라틴어 어원 | acidus (시다) |
산의 종류 | |
브뢴스테드-로리 산 | 양성자 공여체 |
루이스 산 | 전자쌍 수용체 |
무기산 | 무기산 |
유기산 | 유기산 |
산성 산화물 | 산성 산화물 |
강산 | 강산 |
초강산 | 초강산 |
약산 | 약산 |
고체산 | 고체산 |
주요 성질 | |
산-염기 반응 | 산-염기 반응 |
산-염기 항상성 | 산-염기 항상성 |
산-염기 추출 | 산-염기 추출 |
중화 반응 | 중화 반응 |
산 강도 | 산 강도 |
산도 함수 | 산도 함수 |
하메트 산도 함수 | 하메트 산도 함수 |
이온화 상수 | 이온화 상수 |
평형 화학 | 평형 화학 |
양성자 친화도 | 양성자 친화도 |
물의 자기 이온화 | 물의 자가 이온화 |
pH | pH |
pH 지시약 | 산-염기 지시약 |
완충 용액 | 완충 용액 |
산-염기 적정 | 산-염기 적정 |
루이스 산 촉매 | 루이스 산 촉매작용 |
불완전 결합 루이스쌍 | 불완전 결합 루이스쌍 |
카이랄 루이스 산 | 카이랄 루이스 산 |
공여체 수 | 공여체 수 |
수용체 수 | 수용체 수 |
ECW 모델 | ECW 모델 |
2. 정의
산의 정의는 시대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각 정의는 특정한 범위의 화학 반응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며, 산-염기 반응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일반적으로 산은 프로톤(H+)을 제공하거나 전자쌍을 받는 물질을 의미한다.
현대적인 정의는 모든 산에 공통적인 기본적인 화학 반응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산은 수용액이거나 물에 녹일 수 있으므로 아레니우스와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가 가장 관련이 있다.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의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산-염기 반응은 산에서 염기로 양성자(H+)의 이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산과 염기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어떤 물질에 대한 산이 다른 물질에 대해서는 염기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물은 암모니아에 대해서는 산(H+를 제공)이지만, 염화수소에 대해서는 염기(H+를 받음)이다.
:
:
산으로 작용하는 성질을 '''산성'''이라고 한다.[25] 산의 세기는 일반적으로 산도 상수 '''Ka''' 또는 그 음의 상용로그 pKa로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산 해리 상수가 큰 산을 강산, 작은 산을 약산이라고 한다. 순수한 황산보다 강한 산을 특히 초산(초강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산성 수용액은 pH가 7 미만이며, 일반적으로 신맛을 낸다.
다음은 산의 정의를 요약한 표이다.
산 | 염기 | |
---|---|---|
아레니우스 | 수용액 상에서 | 수용액 상에서 |
브뢴스테드-로우리 | ||
루이스 | 전자쌍을 받는 물질 | 전자쌍을 내놓는 물질 |
2. 1. 아레니우스의 정의
1884년, 스웨덴의 화학자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물에 녹았을 때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을 산으로 정의하였다.[4][18] 이 정의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수용액에서 일어나는 반응에만 적용 가능하다.
# 수소 이온은 수용액에서 홀로 존재하지 않고, 물 분자와 결합하여 하이드로늄 이온(H₃O⁺) 형태로 존재한다.[18]
#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이나 수산화 이온(OH⁻)을 직접 내놓지 않는 물질에는 적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염기성 물질인 암모니아는 물에 녹으면 물에서 수소 이온을 빼앗아 간접적으로 수산화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지만, 직접 수산화 이온을 내놓지는 않으므로 아레니우스 정의에 따르면 염기가 아니다.

산성 용액에서 하이드로늄 이온의 농도는 10-7 mol/L보다 크다. pH는 히드로늄 이온 농도의 음의 상용로그로 정의되므로, 산성 용액의 pH는 7보다 작다.
2. 2.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1923년, 화학자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와 토마스 마틴 로우리는 독립적으로 산-염기 반응이 양성자의 이동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양성자(수소이온 H⁺)를 내놓는 물질을 산, 양성자(수소이온 H⁺)를 받는 물질을 염기로 정의했다.[18] 이때, 전자를 양성자 주개(proton donor), 후자를 양성자 받개(proton acceptor)라 부른다.:
위와 같은 식의 경우 HA를 산, B를 염기라 한다. 이때 산과 염기의 관계를 짝산 짝염기 관계라고 하는데, 이는 '짝산 ↔ 짝염기 + H⁺'의 관계를 가지는 물질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HA와 B의 관계이다.
아레니우스 정의는 수용액에서의 반응은 설명할 수 있지만, 비수용성 용액에서의 반응이나 기체상에서 나타나는 반응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래의 두 번째 반응식을 보면,
:
:
히드로늄 이온(hydronium ion)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아레니우스 산이라 부를 수는 없다. 이와 같이 비수용성 용액에서의 반응이나 기체상에서 나타나는 반응에 대해서는 아레니우스 정의를 통해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브뢴스테드-로우리 산 염기 정의를 도입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아레니우스 이론보다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아세트산(CH3COOH)의 다음 반응을 보면,
두 이론 모두 첫 번째 반응을 쉽게 설명한다. CH3COOH는 물에 녹았을 때 H3O+의 공급원으로 작용하므로 아레니우스 산으로 작용하며, 물에 양성자를 기증하므로 브뢴스테드 산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 예에서 CH3COOH는 같은 변환을 거치는데, 이 경우 암모니아(NH3)에 양성자를 기증하지만, 반응이 히드로늄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아레니우스 산의 정의와는 관련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H3COOH는 아레니우스 산이자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이다.
브뢴스테드-로우리 이론은 비수용액 또는 기체상의 분자 화합물의 반응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염화수소(HCl)와 암모니아는 여러 가지 다른 조건에서 결합하여 염화암모늄(NH4Cl)을 형성한다. 수용액에서 HCl은 염산(hydrochloric acid)으로 작용하며 히드로늄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존재한다. 다음 반응은 아레니우스 정의의 한계를 보여준다.
# H3O + Cl + NH3 → Cl + NH(aq) + H2O
# HCl(벤젠) + NH3(벤젠) → NH4Cl(s)
# HCl(g) + NH3(g) → NH4Cl(s)
아세트산 반응과 마찬가지로, 물이 용매이고 히드로늄 이온이 HCl 용질에 의해 형성되는 첫 번째 예에서는 두 정의 모두 작용한다. 다음 두 반응은 이온 형성을 포함하지 않지만 여전히 양성자 전달 반응이다. 두 번째 반응에서 염화수소와 암모니아(벤젠에 용해됨)는 벤젠 용매에서 고체 염화암모늄을 형성하고, 세 번째 반응에서 기체 HCl과 NH3는 고체를 형성한다.

산과 염기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어떤 물질에 대한 산이 다른 물질에 대해서는 염기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물은 암모니아에 대해서는 산(H+를 제공)이지만, 염화수소에 대해서는 염기(H+를 받음)이다.
:
:
2. 3. 루이스의 정의
1923년, 미국의 화학자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전자쌍을 받는 물질을 산으로 정의하였다. 이 정의는 수소이온이 포함되지 않은 반응에도 적용될 수 있다.[18] 루이스 산과 루이스 염기가 형성하는 결합을 배위 결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삼플루오르화붕소(BF3)는 플루오르화물(F-) 이온으로부터 전자쌍을 받아 루이스 산으로 작용한다. 이 반응은 양성자 이동이 없으므로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로는 설명할 수 없다.
금속이온은 전자가 부족하고 원자가 오비탈이 비어있어 대개 루이스 산으로 작용한다. 금속이온(루이스 산)과 루이스 염기가 결합하여 착이온을 형성한다.
루이스 정의는 전자쌍을 받는 모든 물질을 산으로 정의하여, 아레니우스 정의나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보다 산의 범위를 더 넓혔다.[4]
산 | 염기 | |
---|---|---|
아레니우스 | 수용액 상에서 | 수용액 상에서 |
브뢴스테드-로우리 | ||
루이스 | 를 받는 물질 | 를 내놓는 물질 |
산(AH)이 물에 녹으면 다음과 같이 이온화한다.
산의 세기는 양성자를 잃는 능력 또는 경향을 말한다. 강산은 물에서 완전히 해리되는 반면, 약산은 부분적으로만 해리된다. 강산의 예로는 염산(HCl), 요오드화수소산(HI), 브롬화수소산(HBr), 과염소산(HClO4), 질산(HNO3), 황산(H2SO4)이 있다. 이들은 물에서 거의 100% 이온화된다.[4] 산이 강할수록 양성자(H+)를 잃기 쉽다.
산 1분자에 포함된 수소 원자 중 금속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수소 원자의 수를 그 산의 염기도라고 하며, 염기도가 2 이상인 산을 다염기산이라고 한다.[11] 일염기산은 중화 반응에서 분자 하나당 하나의 양성자를 방출한다.
중화 반응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염과 물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예를 들어,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은 염화나트륨과 물을 생성한다.[12]
산은 산업, 식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3. 화학적 성질
:
이 반응의 평형 상태는 산 해리 상수(Ka)로 나타낸다.
:
염산(HCl)과 같이 Ka 값이 큰 산을 강산이라고 하며, 아세트산(CH₃COOH)과 같이 Ka 값이 작은 산을 약산이라고 한다.[4] 예를 들어 염산(HCl)의 Ka값은 107이고, 아세트산의 Ka값은 1.8 × 10-5이다.
1884년, 스반테 아레니우스(Svante Arrhenius)는 산의 성질이 수소 이온(H+) 때문이라고 설명했는데, 이는 나중에 양성자 또는 히드로늄으로 묘사되었다. '''아레니우스 산'''은 물에 녹아 H+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이다.[18] 화학자들은 산-염기 반응을 설명할 때 H+(aq)를 써서 수소 이온을 언급하지만, 자유 수소 핵인 양성자는 물 속에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히드로늄 이온'''(H3O+) 또는 다른 형태(H5O2+, H9O4+)로 존재한다. 따라서 아레니우스 산은 물에 첨가되었을 때 히드로늄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도 설명할 수 있다.
아레니우스 염기는 물에 녹았을 때 수산화물(OH−)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이것은 이온들이 반응하여 H2O 분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히드로늄 농도를 감소시킨다.
:H3O + OH ⇌ H2O(liq) + H2O(liq)
이 평형으로 인해 히드로늄 농도의 증가는 수산화물 농도의 감소를 수반한다. 따라서 아레니우스 산은 수산화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물질이라고 할 수도 있으며, 아레니우스 염기는 그것을 증가시킨다.
산성 용액에서는 히드로늄 이온의 농도가 10−7 몰/리터보다 크다. pH는 히드로늄 이온 농도의 음의 로그로 정의되므로, 산성 용액의 pH는 7보다 작다.
산의 반응은 종종 로 일반화되는데, 여기서 HA는 산을, A−는 공액 염기를 나타낸다. 이 반응을 '''프로토리시스'''라고 한다. 산의 양성자화된 형태(HA)는 때때로 '''유리산'''이라고도 한다.[5]
산-염기 공액 쌍은 양성자 하나 차이가 나며, 양성자의 첨가 또는 제거(각각 양성자화 및 탈양성자화)를 통해 상호 변환될 수 있다. 용액에는 산과 그 공액 염기 사이에 평형이 존재한다. 평형 상수 ''K''는 용액 내 분자 또는 이온의 평형 농도를 나타내는 식이다. 산 해리 상수 ''K''a는 일반적으로 산-염기 반응의 맥락에서 사용된다. ''K''a의 수치는 반응물이 산(HA)이고 생성물이 공액 염기와 H+일 때, 생성물 농도의 곱(곱셈)을 반응물 농도로 나눈 값과 같다.
:
두 산 중 더 강한 산은 더 약한 산보다 ''K''a가 더 높다. 더 강한 산은 양성자를 잃는 경향이 더 크기 때문에, 더 강한 산의 경우 수소 이온 대 산의 비율이 더 높다. ''K''a의 가능한 값의 범위는 여러 자릿수에 걸쳐 있기 때문에, p''K''a = −log10 ''K''a인 더 다루기 쉬운 상수 p''K''a가 더 자주 사용된다. 더 강한 산은 더 약한 산보다 p''K''a가 더 작다.
아레니우스 산은 음이온의 이름에 따라 명명된다. 고전적인 명명법에서는 이온 접미사를 제거하고 다음 표에 따라 새로운 접미사로 바꾼다. 산이 수소와 다른 원소 하나로만 구성된 경우 접두사 "하이드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HCl은 음이온으로 염화물을 가지므로 하이드로- 접두사를 사용하고 -화 접미사를 사용하여 이름을 염산(염산)이라고 한다.
''고전적 명명법:''음이온 접두사 음이온 접미사 산 접두사 산 접미사 예시 과 산염 과 산 과염소산(과염소산) (HClO4) 산 염소산(염소산) (HClO3) 아산염 아산 아염소산(아염소산) (HClO2) 차아 아산염 차아 아산 차아염소산(차아염소산) (HClO) 화물 하이드로 산 염산(염산) (HCl)
IUPAC 명명법에서는 이온 화합물의 이름에 "수용액"을 추가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염화수소의 경우 산성 용액으로서 IUPAC 이름은 수용액 염화수소이다.
약산과 그 짝염기의 염 용액은 완충 용액을 형성한다.
4. 산의 세기
강산은 약산보다 더 큰 산 해리 상수(''K''a)와 더 작은 p''K''a를 갖는다. 예를 들어 염산(HCl)의 ''K''a값은 107이다. 반대로 약산은 작은 값을 가지는데, 아세트산의 ''K''a값은 1.8 × 10-5이다.
술폰산은 유기 옥시산의 한 종류로, 강산에 속한다. 일반적인 예로는 톨루엔술폰산(토실산)이 있다. 황산 자체와 달리 술폰산은 고체일 수 있다.
초강산은 100% 황산보다 강한 산이다. 초강산의 예로는 플루오로안티몬산, 매직산, 과염소산이 있다.
5. 염기도
(예: HA=일염기산):
:
다염기산은 중화 반응에서 그 염기도의 수만큼 양성자를 내놓을 수 있다.
(예: H2A = 이염기산)
:
:
여기서 일반적으로 ''K''a1 > ''K''a2가 된다.
다염기산의 농도 분율은 일반적으로 ''α''
:
로 구할 수 있다.
6. 중화 반응
:HCl(aq) + NaOH(aq) → H2O(l) + NaCl(aq)
중화 반응은 산-염기 적정의 기본 원리이며, 여기서 pH 지시약은 염기의 몰수가 산과 동일해지는 등량점을 나타낸다. 중화 반응의 결과로 pH 7.0의 용액이 생성된다고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반응 중 산과 염기의 세기가 비슷할 때만 해당된다.
산보다 약한 염기를 사용한 중화 반응은 약산성 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강산인 염화수소와 약염기인 암모니아로부터 생성되는 약산성 염화암모늄이 있다. 반대로, 강염기를 사용하여 약산을 중화하면 약염기성 염이 생성된다(예: 불화수소와 수산화나트륨으로부터 생성되는 불화나트륨).
산-염기 적정은 수용액 속 산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보통 NaOH 또는 KOH인 알려진 농도의 강염기 용액을 첨가하여 첨가된 염기의 양에 따른 지시약의 색 변화에 따라 산 용액을 중화시킨다. 염기로 적정된 산의 적정 곡선은 x축에 염기 부피, y축에 용액의 pH 값을 갖는다. 용액에 염기를 첨가하면 용액의 pH는 항상 증가한다.
7. 산의 응용
황산은 비료, 세제, 배터리, 염료 생산 등 여러 산업 공정에 사용되며, 불순물 제거와 같은 많은 제품의 가공에도 사용된다.[19] 화학 산업에서 산은 중화 반응을 통해 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질산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비료인 질산암모늄을 만든다. 카르복실산은 알코올과 에스터화 반응하여 에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산은 산세 과정을 통해 금속의 녹 및 부식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자동차 배터리의 황산처럼 습식 전지의 전해질로 사용될 수 있다.
구연산, 옥살산, 아스코르브산 등 다양한 유기산이 많은 과일과 채소에 포함되어 있다. 아세트산은 식초의 주성분이며, 탄산은 청량음료에 첨가되어 탄산음료를 만든다.[21] 레몬, 귤, 석류 등의 과일에는 구연산이, 식초에는 아세트산이 들어있어 시큼한 맛이 난다. 타르타르산은 덜 익은 망고와 타마린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구연산은 오렌지, 레몬 및 기타 감귤류 과일에 존재하며, 옥살산은 토마토, 시금치, 카람볼라, 루바브 등에 존재한다.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은 인체에 필수적인 비타민이며, 아물라(인도 구스베리), 레몬, 감귤류 과일, 구아바 등에 들어 있다.
인산은 콜라 음료의 구성 요소이고, 아세트산은 식초로 사용되며, 구연산은 소스와 피클의 방부제로 사용되는 등, 많은 산이 맛을 바꾸고 방부제 역할을 하여 다양한 식품에 첨가제로 사용된다. 탄산은 청량음료에 널리 첨가되는 산 첨가제 중 하나이다.
염산은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의 주요 성분으로, 단백질과 다당류의 가수분해를 돕고 비활성 전효소인 펩시노겐을 효소인 펩신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된다.[22] 아미노산은 신체 조직의 성장과 재생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에 필요하며,[22] 지방산은 신체 조직의 성장과 재생, 세포막의 인지질 구성에 필요하다.[22] 핵산은 DNA와 RNA 제조 및 유전자를 통한 자손에게 형질 전달에 중요하다.
7. 1. 산업
황산은 비료, 세제, 배터리, 염료 생산 등 다양한 산업 공정에 사용되며, 불순물 제거와 같은 많은 제품의 가공에도 사용된다.[19] 2011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황산의 연간 생산량은 약 2억 톤이었다.[20] 인산염 광물은 황산과 반응하여 인산비료 생산에 사용되는 인산을 생성하고, 아연은 산화 아연을 황산에 용해하고 용액을 정제하여 전해 채취하여 생산된다.
화학 산업에서 산은 중화 반응에 참여하여 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질산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비료인 질산암모늄을 생성한다. 또한, 카르복실산은 알코올과 에스터화 반응하여 에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산은 종종 산세라는 과정을 통해 금속에서 녹 및 기타 부식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자동차 배터리의 황산과 같이 습식 전지의 전해질로 사용될 수도 있다.
7. 2. 식품
많은 과일과 채소에는 구연산, 옥살산, 아스코르브산 등 다양한 유기산이 포함되어 있다. 아세트산은 식초의 주성분이며, 탄산은 청량음료에 첨가되어 탄산음료를 만든다.[21] 시큼한 맛이 나는 음식에는 산이 들어 있는데, 예를 들어 레몬, 귤, 석류 등의 과일에는 구연산이, 식초에는 아세트산이 들어있다.
타르타르산은 덜 익은 망고와 타마린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천연 과일과 채소에도 산이 들어 있다. 구연산은 오렌지, 레몬 및 기타 감귤류 과일에 존재한다. 옥살산은 토마토, 시금치, 특히 카람볼라와 루바브에 존재한다. 루바브 잎과 덜 익은 카람볼라는 옥살산 농도가 높기 때문에 독성이 있다.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은 인체에 필수적인 비타민이며, 아물라(인도 구스베리), 레몬, 감귤류 과일, 구아바와 같은 식품에 존재한다.
많은 산은 맛을 바꾸고 방부제 역할을 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식품에 첨가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산은 콜라 음료의 구성 요소이다. 아세트산은 일상생활에서 식초로 사용된다. 구연산은 소스와 피클의 방부제로 사용된다.
탄산은 청량음료에 널리 첨가되는 가장 일반적인 산 첨가제 중 하나이다. 제조 과정에서 CO2는 일반적으로 가압되어 이러한 음료에 용해되어 탄산을 생성한다. 탄산은 매우 불안정하여 상온 및 상압에서 물과 CO2로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청량음료 병이나 캔을 열면 CO2 기포가 나오면서 청량음료가 거품이 난다.
7. 3. 인체
염산은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의 주요 성분으로, 단백질과 다당류의 가수분해를 돕고 비활성 전효소인 펩시노겐을 효소인 펩신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된다.[22] 아미노산은 신체 조직의 성장과 재생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에 필요하며,[22] 지방산은 신체 조직의 성장과 재생, 세포막의 인지질 구성에 필요하다.[22] 핵산은 DNA와 RNA 제조 및 유전자를 통한 자손에게 형질 전달에 중요하다.
8. 대표적인 산
대표적인 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무기산
- 할로겐화수소 및 그 수용액: 염산, 브롬화 수소산, 아이오딘화 수소산
- 할로겐옥소산: 차아염소산, 염소산, 과염소산 및 브로민과 아이오딘에 해당하는 유사체
- 황산, 플루오로술폰산, 질산, 인산, 헥사플루오로안티몬산,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헥사플루오로인산, 크롬산, 붕산
- 유기산
- 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폴리스티렌술폰산
- 카복실산: 아세트산, 구연산, 포름산, 글루콘산, 젖산, 옥살산, 주석산
- 비닐로그 카복실산: 아스코르브산, 말론산
- 핵산: 데옥시리보핵산, 리보핵산
8. 1. 무기산
- 할로젠화 수소 및 그 수용액: 염산(HCl), 브롬화 수소산(HBr), 아이오딘화 수소산(HI)
- 할로젠 옥소산: 차아염소산(HClO), 염소산(HClO₃), 과염소산(HClO₄) 및 브롬과 아이오딘에 해당하는 유사체
- 황산(H₂SO₄)
- 질산(HNO₃)
- 인산(H₃PO₄)[11]
8. 2. 유기산
카복실산은 일반식 R-C(O)OH를 가지며, 여기서 R은 유기 치환기이다. 카복실기 -C(O)OH는 카보닐기 C=O와 히드록실기 O-H를 포함한다. 카복실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아세트산(CH3COOH)
- 구연산(C6H8O7)
- 개미산(HCOOH)
- 글루콘산 HOCH2-(CHOH)4-COOH
- 젖산(CH3-CHOH-COOH)
- 옥살산(HOOC-COOH)
- 타르타르산(HOOC-CHOH-CHOH-COOH)
알파 위치에서의 할로겐화는 산의 세기를 증가시키므로, 다음 산들은 모두 아세트산보다 세다.
- 플루오로아세트산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 클로로아세트산
- 디클로로아세트산
-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일반적인 카르복시산은 카르보닐기와 히드록시기가 직접 결합된 형태이다. 비닐로그(vinylogous) 카르복시산에서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카르보닐기와 히드록시기를 분리하고 있다. 비닐로그 카복실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술폰산(sulfonic acid)은 일반적으로 RS(=O)₂–OH의 화학식을 가지며, 여기서 R은 유기 라디칼이다. 술폰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메탄술폰산(메실산, CH₃SO₃H)
- 에탄술폰산(에실산, CH₃CH₂SO₃H)
- 벤젠술폰산(베실산, C₆H₅SO₃H)
- p-톨루엔술폰산(토실산, CH₃C₆H₄SO₃H)
-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트리플릭산, CF₃SO₃H)
- 폴리스티렌술폰산(술폰화된 폴리스티렌, polystyrene sulfonic acid, [CH₂CH(C₆H₄)SO₃H]ₙ)
핵산은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유기산이다. 핵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IUPAC Gold Book - acid
http://goldbook.iupa[...]
[2]
서적
General Chemistry: Principles and Modern Applications
Prentice Hall
2002
[3]
웹사이트
Merriam-Webster's Online Dictionary: ''acid''
http://www.merriam-w[...]
[4]
서적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Brooks Cole
2015
[5]
서적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Wiley-VCH
2008
[6]
웹사이트
Hydridohelium (CHEBI:33689)
https://www.ebi.ac.u[...]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7]
논문
Evaluated Gas Phase Basicities and Proton Affinities of Molecules; Heats of Formation of Protonated Molecules
[8]
논문
The ECW Model
[9]
서적
Lewis Basicity and Affinity Scales, Data and Measurement
Wiley
2010
[10]
논문
Graphical display of the enthalpies of adduct formation for Lewis acids and bases
[11]
서적
Biophysical Chemistry - Volume 1
[12]
서적
Aqueous Acid–Base Equilibria and Titr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Assignment of the proton-association constants for 3-(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14]
서적
Ion Exchange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1962-01-01
[15]
웹사이트
Titration of Diprotic Acid
http://dwb.unl.edu/c[...]
2016-01-24
[16]
서적
Chemistry & Chemical Reactivit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1-24
[17]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5-01-01
[18]
서적
Gener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01-01
[19]
웹사이트
The Top 10 Industrial Chemicals - For Dummies
http://www.dummies.c[...]
2016-02-05
[20]
웹사이트
Sulfuric acid
http://www.essential[...]
2016-02-06
[21]
특허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a carbonated beverage utilizing propellant carbon dioxide gas for carbonating
https://patents.goog[...]
2016-02-06
[22]
서적
8 - Biological roles of amino acids and peptides - University Publishing Online
http://ebooks.cambri[...]
2012-06
[23]
웹사이트
Acid Buffering
http://fitsweb.uchc.[...]
University of Connecticut
2016-02-06
[24]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2004
[25]
웹사이트
酸性(さんせい)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国語辞書
2020-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