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시그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시그 강은 필리핀 루손 섬을 가로지르는 길이 약 25km의 강으로, 필리핀 최대의 호수인 라구나 데 바이에서 마닐라 만으로 흐른다. 파시그 강은 파시그 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메트로 마닐라를 통과하며, 마리키나 강, 산후안 강 등의 지류를 포함한다. 과거에는 마닐라의 주요 교통 수단이자 경제 중심지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오염이 심각해졌다. 파시그 강 복원 노력이 진행되었으며, 20개의 다리가 파시그 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강 - 카가얀강
    카가얀강은 필리핀 루손섬 북동부를 흐르는 520km 길이의 강으로, 루손섬과 필리핀에서 가장 길며 벼, 담배 등을 재배하는 비옥한 평야를 이루고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파시그강
개요
2019년 마닐라의 파시그강
2019년 마닐라의 파시그강
원어 명칭필리핀어: Ilog Pasig (일로그 파시그)
스페인어 명칭Río Pásig (리오 파시그)
지리적 위치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칼라바존
지리 정보
발원지라구나데바히
발원지 위치타기그/리살 주 타야타이
하구마닐라만
하구 위치마닐라
길이25.2km
평균 폭90m
최소 깊이0.5m
최대 깊이5.5m
유역 면적4678km2
평균 유량12m3/s ~ 275m3/s
왼쪽 지류에스테로 데 프로비소르
에스테로 데 탄케
에스테로 데 판다칸
파테로스 강
오른쪽 지류에스테로 데 비논도
에스테로 델라 레이나
에스테로 데 울리울리
에스테로 데 산미겔
에스테로 데 파코
산후안 강
발리사한 크리크
마리키나 강
나핀단 강
횡단
교량20개

2. 어원

이 강은 파시그 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이 도시의 이름은 타갈로그어 단어 ''pasig''에서 유래하였으며, "바다로 흘러드는 강" 또는 "강의 모래 사장"을 의미한다. 전자는 파시그 강이 라구나 데 바이에서 마닐라 만을 거쳐 남중국해로 흘러가는 것을 가리킨다.[6]

3. 지리

파시그 강은 필리핀에서 가장 큰 호수인 라구나 데 베이(Laguna de Bay)에서 마닐라 만(Manila Bay)으로 약 길이로 흐르는 강이다. 베이호의 조수 차이에 따라 물의 흐름이 바뀌는데, 건기에는 라구나 데 베이의 수위가 낮아져 조수에 따라 흐름이 변하고, 우기에는 호수의 수위가 높아져 마닐라 만으로 물이 흐른다.[36]

파시그 강은 타구이그(Taguig)와 리살주 타이타이(Taytay, Rizal) 사이를 지나 파시그(Pasig)에 이른다. 마리키나 강(Marikina River)과 합류하는 지점까지는 나핀단 강 또는 나핀단 수로라고 불린다. 이후 파시그 강은 타구이그 강(Taguig River)과 합류하고, 북쪽의 만달루용(Mandaluyong)과 남쪽의 마카티(Makati)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 그 후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만달루용과 마닐라(Manila) 사이의 경계를 이루다가, 다시 서쪽으로 방향을 바꿔 메트로 마닐라 산후안 강(San Juan River (Metro Manila))과 합류한 후 마닐라 중심부를 지나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36]

파시그 강 전체와 대부분의 지류는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내에 위치한다. 파시그 강에는 콘발레센시아 섬(Isla de Convalecencia)이라는 유일한 섬이 있으며, 이 섬에는 산호세 호스피시오(Hospicio de San Jose)가 있다.[35]

수원인 바에호와 마닐라 수도권(좌상)

3. 1. 지류 및 운하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빠져나가는 주요 하천 중 하나는 타기그 강인데, 이 강은 타기그를 지나 파테로스 강이 된다. 이 강은 파테로스마카티 시의 경계를 이룬다. 파테로스 강은 마리키나 강과 나핀단 수로가 만나는 합류점으로 흘러든다. 마리키나 강은 파시그 강의 두 주요 지류 중 더 큰 강이며, 리살 산맥에서 남쪽으로 흘러 마리키나 계곡을 가른다. 산 후안 강은 퀘손 시가 있는 고원 지역의 물을 배수하며, 주요 지류는 딜리만 크릭이다.[36]

마닐라 시 내부에서는 여러 개의 에스테로(운하)가 도시를 가로질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북쪽의 툴라한 강과 서쪽의 파라냐케 강과 연결된다.[35]

3. 2. 교량

파시그 강에는 현재 총 20개의 다리가 있습니다. 라구나데베이(Laguna de Bay)에서 발원하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다리는 나핀단 다리(Napindan Bridge)이며, 서쪽에는 아르세니오 히메네스 다리(Arsenio Jimenez Bridge)가 있습니다. 파시그의 나핀단 수로를 가로지르는 다리는 밤방 다리(Bambang Bridge)입니다. 이어서 파시그의 부팅(Buting)과 수밀랑(Sumilang) 바랑가이를 연결하는 카운라란 다리(Kaunlaran Bridge)가 있습니다.[7]

다음 하류 쪽 다리는 마카티와 파시그 도시를 연결하는 C-5 도로를 지나는 C.P. 가르시아 다리(C.P. Garcia Bridge)입니다. 2015년 승인된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오르티가스 연결 도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1년 6월에 개통된 최신 다리인 산타 모니카-로턴 다리(Sta. Monica–Lawton Bridge)가 이어집니다. 이 다리는 마카티의 로턴 애비뉴(Lawton Avenue)를 파시그 피네다(Pineda)의 페어레인 스트리트(Fairlane Street)와 연결합니다.[8]

마카티와 만달루용 사이의 과달루페 다리(Guadalupe Bridge)는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간선도로인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Epifanio de los Santos Avenue)와 과달루페 역에서 보니 역(Boni station)까지 MRT 3호선을 운행합니다. 에스트렐라-판탈레온 다리와 마카티-만달루용 다리도 하류 쪽에서 두 도시를 연결하며, 후자는 마카티 애비뉴(Makati Avenue)의 끝을 형성합니다.

마닐라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교차로는 산타 아나 지역에 있는 람빙안 다리(Lambingan Bridge)입니다. 그 다음은 푼타(Punta) 지역과 산타 아나 중심부를 연결하는 최신 보행자 전용 다리인 툴레이 판가랍 보행자 전용 다리(Abante Bridge)가 있습니다.[9] 산타 아나에 있는 아반테 다리(툴레이 판가랍 보행자 전용 다리), 스카이웨이 3단계, 그리고 판다칸과 산타 메사 지역을 연결하는 파드레 사모라(판다칸) 다리(Padre Zamora (Pandacan) Bridge)는 필리핀 국철 남선을 운행합니다. 북부 루손 고속도로(North Luzon Expressway)와 남부 루손 고속도로(South Luzon Expressway)를 연결하는 스카이웨이 3단계의 고속도로 다리는 산 후안 강 하구 근처에 건설되었으며, 대부분의 부분이 건설되었고 파드레 사모라 다리와 필리핀 국철 다리와 평행한 또 다른 다리가 산타 메사의 NLEX 커넥터와 합류하기 위해 건설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EDSA의 심각한 교통 체증에 대한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C-2 도로의 일부인 나그타한 거리(Nagtahan Street)를 건너는 통로를 제공합니다. 아얄라 다리(Ayala Bridge)는 아얄라 대로(Ayala Boulevard)를 지나 이스라 데 콘발레센시아(Isla de Convalecencia)를 파시그 양쪽 강둑과 연결합니다.

더 하류 쪽에는 키아포에서 에르미타까지 이어지는 센트럴 터미널 역에서 캐리도 역(Carriedo station)까지 이어지는 1호선 다리, 산타 크루즈에서 에르미타까지 이어지는 맥아더 다리, 그리고 비논도에서 에르미타까지 이어지는 존스 다리(Jones Bridge) 등이 있습니다. 파시그 강 하구 근처의 마지막 다리는 산 니콜라스에서 항만 지역과 인트라무로스(Intramuros)까지 이어지는 록사스 다리(Roxas Bridge) (M. 로페즈 다리(M. Lopez Bridge)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전에는 델 판 다리(Del Pan Bridge)라고 불림)입니다.

3. 3. 섬

파시그 강의 유일한 섬인 ''Isla de Convalescencia''에는 호스피시오 데 산 호세(Hospicio de San Jose)라는 고아원이 있다.[1]

4. 역사

파시그강은 원래 베이호의 조수 차에 따라 물의 흐름이 바뀌는 조류로 형성된 어귀이다. 건기에는 라구나 데 베이의 수위가 낮아져 파시그강의 흐름이 조수에 따라 달라진다. 우기에는 호수의 수위가 높아져 흐름이 라구나 데 베이에서 마닐라만으로 흐른다.

1917년 파시그 강의 카스코 바지선, 증기선 및 기타 범선


1930년대경, 포트 보니파시오(포트 윌리엄 맥킨리)와 파시그 강의 항공 사진


1900년 파시그 강


오염이 심각해진 파시그강


파시그강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마닐라의 생명선이자 경제 활동의 중심지였다.

4. 1. 식민지 이전 시대

파시그 강변에서는 수세기에 걸쳐 필리핀인, 스페인인, 중국인, 미국인 등 다양한 민족이 혼재하여 살았다.[40] 16세기 중엽 필리핀이 스페인 식민지가 되기 전부터 파시그 강은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지점이었다.[36] 역사적으로 상류 지역의 마을은 파시그 강과 바에 호수(Lake Baé)에 크게 의존하는 어촌이었고, 하류 지역의 마을은 상류 지역보다 빨리 도시화되어 다른 지역과 다른 나라의 상인들이 찾아왔다.[36] 10세기부터 16세기까지 나마얀 왕국, 마이닐라 왕국, 톤도 왕국 등 필리핀 역사에서 유명한 왕국들이 파시그 강변에서 발전하였다.

4.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파시그강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중요한 교통로였다.[40] 파시그 강변에서는 수세기에 걸쳐 필리핀인, 스페인인, 중국인, 미국인 등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았다.[40]

16세기 중엽 필리핀이 스페인 식민지가 되기 전부터 파시그강은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지점이었다.[36] 10세기부터 16세기까지 나마얀 왕국, 마이닐라 왕국, 톤도 왕국 등 필리핀 역사에서 유명한 왕국들이 파시그 강변에서 발전하였다. 1571년 스페인인들은 마닐라를 건설하고 극동 전체의 수도로 삼았다. 스페인인들은 파시그강 하구 근처 남쪽 기슭에 인트라무로스라는 성벽 도시를 건설하였다.

4. 3. 미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구 급증, 기반 시설 건설, 마닐라 외곽으로의 경제 활동 분산으로 인해 파시그 강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 빈곤한 농촌 지역에서 마닐라 수도권으로 인구가 유입되었고, 이들 대부분은 강둑의 판잣집에 거주하게 되었다.[36] 1950년 필리핀 의회는 토지 이용 및 오염 관련 조항이 포함된 민법을 제정했지만, 전후 마닐라의 급격한 도시화에는 효과가 없었다.[35] 마닐라 수도권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인구 유입으로 파시그 강은 거대한 하수도로 변했다.[35] 강에는 기름막이 떠 있었고, 불쾌한 냄새가 났으며, 물 색깔은 탁했고, 부유물과 배설물이 흘러넘쳤다.[35] 중금속, 살충제, 질산염, 인산염 등이 섞여 들어가 수질을 악화시켜 하천 생태계를 파괴했다.[35] 산업화로 인해 파시그 강은 심각하게 오염되었다.[41]

1930년대에 이미 바에 호수에서 오는 어류 이동 감소로 하천 오염을 인지한 사람들이 있었다. 1960년대에는 강변 주민들이 강물을 세탁에 사용하지 않게 되었고, 나룻배 운송량도 줄었다. 1970년대에는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했고, 1980년대에는 파시그 강에서의 어업이 금지되었다. 1990년대에는 생물학적으로 "죽은 강"이 되었다.[41] 1986년 홍수 때는 마닐라 수도권 전체가 물에 잠겼고, 일부 지역에서는 침수량이 2.1m에 달했는데, 이는 낡은 배수 시설과 막힘 때문이었다.[3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심각한 오염 이전에는 파시그 강에 어류 25종과 식물 13종이 서식했지만, 현재는 어류 6종과 식물 2종만 남아있다.[36]

4. 4. 오염과 복원 노력

파시그강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중요한 교통로였으나, 관리 소홀과 산업 발달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되어 생태학적으로 생명이 살 수 없는 '죽은 강'이 되었다.[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구가 급증하고, 인프라 건설과 경제 활동 분산으로 인해 파시그 강은 방치되었다. 강둑에는 무허가 거주민들이 몰려들었고, 공장들은 폐기물을 강에 버려 파시그 강은 거대한 하수 시스템처럼 되어 버렸다.[18] 1930년대에 라구나 데 바이에서 어류 이동이 감소하면서 오염이 심화됨이 관찰되었고, 1960년대에는 강물 세탁이 중단되고 페리 운송도 감소했다. 1970년대에는 악취가 발생했고, 1980년대에는 어업이 금지되었다. 1990년에는 덴마크 국제개발청(Dan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y)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죽은 강으로 간주되었다.[19][18]

파시그 강 오염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가정 쓰레기가 전체 오염의 60~65%를 차지한다.[20] 둘째, 강 근처 산업 시설(제혁소, 섬유 공장, 식품 가공 공장, 증류소, 화학 및 금속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30~35%를 차지한다.[20] 셋째, 고형 폐기물이 나머지 오염을 유발한다.[20] 필리핀 공과대학교(Polytechnic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연구에 따르면, 파시그 강은 미세 플라스틱으로도 오염되어 있다.[21]

파시그 강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1973년 파시그 강 개발 위원회(PRDC)가 설립되었고,[35] 1975년 이멜다 마르코스(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부인)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개발 계획을 세웠으나 곧 중단되었다.[36]

1989년 덴마크 당국의 도움으로 환경 및 천연자원부(DENR)를 중심으로 파시그 강 복원 프로그램(PRRP)이 설립되었다.[22] 1994년, 아멜리타 라모스는 "피소 파라사 파시그" 캠페인을 통해 약 5,200만 페소를 모금했다.[23] 1999년,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은 파시그 강 복원 위원회(PRRC)를 설립하여 권한을 확대했다.[22] PRRC는 2019년 폐지되었다.[24]

2010년, 방송사 ABS-CBN과 PRRC는 "파시그 강을 위한 달리기" 모금 행사를 시작했다.[25][26][27] 2018년, PRRC는 아시아 리버프라이즈를 수상했다.[28][29] 2021년, 산 미구엘 코퍼레이션은 규모의 파시그 강 고속도로 프로젝트의 일부로 파시그 강 정화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0]

4. 4. 1. 불법 점거 문제

파시그 강변에는 불법 점거자들의 판잣집이 약 1만 2천 채나 지어져 있으며, 약 2천 가구가 수상 가옥 또는 다리 아래에서 생활하고 있다.[36] 사람이 거주하기에 부적합한 이러한 상황은 그들 자신뿐만 아니라 하천을 통행하는 선박까지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36] 이 판잣집들은 위생 시설이 없어 배설물이 하천에 직접 버려진다.[36] 쓰레기와 배설물을 계속해서 버림으로써 강바닥이 퇴적되고, 홍수 시에는 하천변 주택가로 오염된 물이 흘러들어온다.[36]

5. 수문

파시그 강은 마닐라 만과 바에 호(라구나 데 바이) 사이 평야에 주로 흐른다. 마리키나 강 유역은 마리키나 단층선으로 형성된 마리키나 계곡 대부분을 차지한다. 망가한 배수로는 우기에 마리키나 계곡의 홍수를 줄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으며, 다른 하천이 배수할 수 없는 빗물을 바에 호로 보낸다.

파시그 강은 조수 간만의 영향을 받는 감조 하천이다. 6월부터 12월까지 우기에는 바에 호수에서 물고기가 파시그 강으로 들어온다. 홍수 때는 강물의 용존산소량이 늘어나 수생 생물이 살기 좋아진다.[36] 3월부터 5월까지 건기에는 수량이 줄고, 바에 호수의 오염과 염분 농도가 높아져[38] 물 흐름이 막혀 사실상 "죽음의 강"이 된다.[36]

5. 1. 홍수

파시그 강은 여름 또는 건기(4월과 5월)가 끝날 무렵 만조 시에 라구나 데 바이의 수위가 마닐라 만의 수위보다 낮아져 바닷물이 역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시기 라구나 데 바이는 오염과 염분 수치가 증가한다.[11]

파시그 강은 폭우 시 홍수에 취약하며, 마리키나 강 지류가 홍수의 주요 원인이다. 과도한 홍수량을 마리키나 강에서 라구나 호로 우회시키기 위해 망가한 홍수 방지로가 건설되었고, 라구나 호는 일시적인 저수지 역할을 한다. 망가한 홍수 방지로는 초당 2400m3의 수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실제 유량은 초당 2000m3이다. 홍수 방지로를 보완하기 위해 1983년 마리키나 강과 나핀단 운하의 합류 지점에 나핀단 수리 제어 시스템(NHCS)이 건설되어 파시그 강과 호수 사이의 수량을 조절한다.[12] [39]

파시그 강의 주요 유역은 마닐라 만과 바에 호 사이의 평야에 집중되어 있다. 마리키나강 수계의 유역은 마리키나 단층선에 의해 형성된 마리키나 계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망가한 배수로는 우기에 발생하는 마리키나 계곡의 홍수 감소를 목적으로 인공적으로 건설된 수로이며, 다른 하천이 배수할 수 없는 빗물을 바에 호로 배출하고 있다.[39]

6. 생태

파시그강은 원래 베이호의 조수 차에 따라 물의 흐름이 바뀌는 조류로 형성된 어귀이다. 건기에 라구나 드 베이의 수위가 낮으면 파시그강의 흐름은 조수에 따라 달라진다. 우기에는 호수의 수위가 높아져 라구나 드 베이에서 마닐라만으로 물이 흐른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파시그강은 중요한 교통로였다. 그러나 관리 소홀과 산업 발달로 인해 강은 매우 오염되었고, 생태학적으로 생명이 살 수 없는 죽은 강이 되어버렸다.

파시그강을 살리기 위해 파시그강 생태 위원회(PRRC)가 설립되었다. 파시그강 상태 위원회를 지원하는 것은 개별 기관에 의존한다.

6. 1. 외래종

2020년 10월 마닐라 마카더 다리(MacArthur Bridge) 부근 파시그 강을 뒤덮은 부레옥잠


파시그 강은 침입종으로 심각하게 오염되었는데, 특히 부레옥잠과 청소 물고기가 문제이다. 1912년경 관상용 식물로 필리핀에 도입된 부레옥잠은 파시그 강에 버려졌고, 조수 변화로 인해 강과 라구나 데 베이에서 무성하게 자라게 되었다.[32] 현재 이 식물은 수로를 막기 때문에 악명 높은 해충으로 간주된다.[33] 1990년대에 조류를 청소하기 위해 도입된 청소 물고기는 가장 파괴적인 물고기 중 하나가 되었다.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강의 탁도를 높이는 것 외에도, 천적이 부족하여 개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32]

6. 2. 문학

라구나 데 베이(Laguna de Bay)는 스페인 회사가 운영하던 파시그 강 증기선으로, 호세 리살(José Rizal)의 소설에 등장하여 유명해진 선박 유형이다. 사진은 미국 군함으로 개조된 후의 모습이다.


호세 리살(José Rizal)의 소설 ''엘 필리부스테리스모(El filibusterismo)'' 3장에서는 스페인 식민 시대 파시그 강을 따라 있는 부와양 바토(Buwayang Bato), 말라파드 나 바토(Malapad na Bato), 도냐 제로미나의 동굴(Doña Geromina's Cave) 등 여러 지리적 특징에 얽힌 이야기들이 언급된다.[10]

전설에 따르면, 도냐 제로미나의 동굴은 마닐라 대주교가 그의 전 애인을 위해 지었다고 한다.[10] 이 동굴은 파시그의 피네다(Pineda) 마을, 바롱 일로그(Bagong Ilog) 다리 아래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다리는 파시그와 타구이그를 잇는 순환 도로 5(Circumferential Road 5)를 지나간다.

6. 3. 기념

2024년 12월, 필리핀우편공사는 파시그 강을 기념하기 위해 보니파시오 신전에서 헬로 안드레스와 레나시미엔토 마닐라의 작품인 150페소짜리 "파시그 강의 심방가비" 우표를 발행했다.[34] 이 우표는 234mm x 40mm 크기로, 현재까지 발행된 우표 중 가장 긴 규격이다.[34] 우표 디자인에는 파시그 강을 따라 빈온도에서 안티폴로까지 9개의 역사적인 교회가 담겨 있다.[34]

7. 수상 교통

파시그강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중요한 교통로였다. 그러나 관리 소홀과 산업 발달로 강이 매우 오염되어 생태학적으로 생명이 살 수 없는 죽은 강이 되었다.[36]

1960년대에는 파시그강의 수질 오염 심화로 파시그강에서 운항되는 나룻배가 감소했다. 1990년 마그사이사이선(Magsaysay Line)이 마카티시 과달루페(Guadalupe) 지역과 마닐라 에스콜타(Escolta) 거리를 약 15km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으나, 수면 위 쓰레기와 악취 문제,[36] 재정난으로 1991년에 운항을 중단했다.

1996년에는 다른 민간 기업이 스타크래프트 페리(Starcraft Ferry)라는 이름으로 30척의 쌍동선을 이용하여 운항을 재개했다. 이 선박들은 에어컨이 설치된 30석 규모였으나, 쓰레기와 악취 문제는 해결되지 않아 1997년 영업을 중단했다.

2007년 2월 14일, SCC 선박 교통 서비스(SCC Ship Management Services)가 파시그강 페리 서비스(Pasig River Ferry Service)라는 수상버스 운영을 시작했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이 운항 개시를 선언했으며, 이 수상버스는 파시그시 파나구부아탄 지역과 마닐라 인트라무로스 성벽 지역을 연결했다. 150명 수용 가능한 수상버스 10척이 에어컨, 음악, TV, 화장실 등의 설비를 갖추고 운행되었다. 초기 승객 수는 적었지만, 석유 가격 상승으로 다른 교통 수단 이용객이 전환하면서 2008년 7월 이후 매주 15%씩 증가하여 추가 선박 구매가 검토되기도 했다. 쓰레기와 악취 문제는 이전보다 덜 심각했다.

2011년 2월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2014년 4월 28일 재개되었다.[43]

파시그 강(Pasig River)에서 운항되는 나룻배


파시그 강 페리(Pasig River Ferry) 선내

참조

[1] 웹사이트 House Bill No. 5641 https://www.congress[...] 2015-05-07
[2] 웹사이트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Basin Management: Water Quality, River Basin Management and Governance Dynamics in the Philippines http://www.wepa-db.n[...]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2011-09-21
[3] 뉴스 Process of resurrection continues for once-dead Pasig River https://news.abs-cbn[...] 2019-04-20
[4] 간행물 Biodiversity Assessment of Pasig River and Its Tributaries: Ecosystems Approach (Phase On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 Ecosystems Research and Development Bureau (DENR-ERDB) 2009-02
[5] 뉴스 Pasig river is feeding ground for exotic species, study shows https://www.pressrea[...] The Manila Times 2009-08-15
[6] 웹사이트 Pasig City History https://www.pasigcit[...]
[7] 웹사이트 Pasig City http://www.pasigcity[...]
[8] 웹사이트 NEDA Board Approved Projects (Aquino Administration) From June 2010 to June 2017 http://www.neda.gov.[...] 2017-02-28
[9] 뉴스 Manila LGU inaugurates 'Tulay Pangarap' in Sta. Ana https://mb.com.ph/20[...] Manila Bulletin 2023-07-20
[10] 서적 The Reign of Greed by José Rizal https://www.gutenber[...]
[11] 웹사이트 [Laguna de Bay] Lake Elevation http://www.llda.gov.[...] Laguna Lake Development Authority
[12] 웹사이트 Laguna de Bay Masterplan http://www.llda.gov.[...] Laguna Lake Development Authority
[13] 서적 Fossil man in Spain http://archive.org/d[...] New Haven, Pub. for the Hispanic Society of America by the Yale University Press 1924
[14] 논문 Estado actual de las investigaciones sobre el hombre fósil https://www.cervante[...] 1945
[15] 서적 Ecce Homo! A Lexicon of Man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1979-01-01
[16] 서적 Man In India Vol.10 http://archive.org/d[...] 1930
[17] 서적 Un cráneo humano prehistórico de Manila (Filipinas) https://books.google[...] Museo Nacional de Ciencias Naturales 1921
[18] 웹사이트 Pasig River Rehabilitation Program http://www.hic-net.o[...] 2004
[19] 서적 Asian And Pacific Coast 2017 –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ac 2017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7-09-21
[20] 논문 The Water Quality of the Pasig River in the City of Manila, Philippines: Current Status, Management and Future Recovery 2010
[21] 논문 Occurrence of microplastic fragments in the Pasig River 2019-01-22
[22] 웹사이트 A dying river comes back to life http://www.pia.ops.g[...]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23] 웹사이트 Clean, green and a not-so-secret garden https://www.philstar[...]
[24] 뉴스 Duterte Abolishes Pasig River Rehabilitation Commission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9-11-15
[25] 뉴스 Save the Pasig River, sign up and run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09-11-01
[26] 뉴스 Pasig River run claims Guinness world record https://sg.style.yah[...] Yahoo Life Singapore 2011-02-22
[27] 뉴스 Why run for the Pasig River?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3-10-03
[28] 뉴스 'Instagrammable?' Restored Pasig River wins international environment award https://news.abs-cbn[...] ABS-CBN News 2018-10-17
[29] 뉴스 Pasig River rehabilitation program feted in first Asia RiverPrize awards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8-10-17
[30] 뉴스 Pasig River cleanup to start in May https://www.cnnphili[...] CNN Philippines 2021-04-20
[31] 뉴스 PBBM leads efforts to bring Pasig River back to its old glory through "Pasig Bigyang Buhay Muli" project https://pco.gov.ph/n[...] Presidential Communications Office 2024-01-17
[32] 뉴스 Not out of this world: The danger posed by invasive species https://mb.com.ph/20[...] Manila Bulletin 2023-08-11
[33] 뉴스 Water hyacinths ground Pasig River Ferry ops https://www.pna.gov.[...] Philippine News Agency 2020-10-07
[34] 뉴스 PHLPost launches ‘world’s longest usable’ Christmas stamps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4-12-01
[35] 웹사이트 Pasig River Pollution http://www.wepa-db.n[...] Water Environment Partnership in Asia(WEPA)
[36] 웹사이트 The Pasig River, Philippines http://www.who.int/w[...]
[37] 웹사이트 Blessing and Inauguration of Kaunlaran Bridge at Brgy. Sumilang and Buting http://www.pasigcity[...]
[38] 웹사이트 Lake Elevation http://www.llda.gov.[...]
[39] 웹사이트 Laguna de Bay Masterplan http://www.llda.gov.[...]
[40] 웹사이트 History http://www.prrc.gov.[...]
[41] 웹사이트 Unknown http://www.hic-net.o[...]
[42] 웹사이트 A dying river comes back to life http://www.pia.ops.g[...]
[43] 웹사이트 Unknown http://news.pia.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