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톤도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톤도 왕국은 필리핀 루손 섬에 위치했던 역사적인 정치체로, 상업 중심지로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톤도는 파시그 강, 마닐라 만 등 수역으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징을 가졌으며, 16세기 중국, 일본 등과의 무역을 통해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톤도는 여러 다투(datu)들이 이끄는 바랑가이로 구성되었으며, 라칸(lakan)이 최고 통치자였다. 1570년 마닐라 전투와 1571년 방쿠사이 해협 전투를 거치며 스페인의 식민 지배에 저항했지만, 1587-1588년 톤도 음모의 실패로 인해 스페인에 복속되었다. 톤도의 역사는 중국, 자바 등 주변 국가와의 교류와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등의 문화적 영향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별 역사 - 건지섬의 역사
    건지섬은 기원전 6000년경 유럽 대륙과 분리된 후 신석기 시대 농부들이 정착했으며, 노르망디 공국 합병, 잉글랜드-프랑스 전쟁, 나폴레옹 전쟁, 세계 대전을 거쳐 금융 및 관광 산업을 발전시켜 오늘날에 이르렀다.
  • 브루나이의 역사 - 브루나이 술탄국
  • 마닐라의 역사 - 마닐라 갈레온
    마닐라 갈레온은 1565년부터 1815년까지 스페인 제국이 마닐라와 아카풀코를 연결한 무역선과 무역을 지칭하며, 아시아 물품과 아메리카 은을 교환하며 세계 경제와 문화 교류에 기여했지만 필리핀 민중의 희생을 동반했다.
  • 마닐라의 역사 - 마닐라 인질극
    마닐라 인질극은 2010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해고된 전직 경찰관 롤란도 멘도사가 자신의 복직을 요구하며 홍콩 관광객을 태운 버스를 납치하여 벌인 사건으로, 미흡한 경찰 대응으로 인질 다수가 사망하며 국제적 비판과 외교적 긴장을 야기했다.
톤도 왕국
지도 정보
1570년 톤도의 위치 (빨간색으로 표시)
기본 정보
공식 명칭톤도
로마자 표기Tondo
다른 표기Tundun
시대고대사 ~ 근대 초기
정부 형태바얀 봉건 군주제, 라칸 칭호를 가진 왕이 다스림, 각각의 다투가 다스리는 여러 바랑가이 공국으로 구성됨
존속 기간 시작900년 이전
존속 기간 끝1589년
주요 사건 시작라구나 동판 비문에서 첫 역사적 언급; 마타람 왕국과의 교역 관계 암시
주요 사건 끝톤도 음모 발각, 토착 통치 해산 및 스페인령 동인도로 통합
추가 사건 1인접한 마닐라 왕국 설립에 대한 다양한 제안된 날짜는 1200년대 초 (1258년 마닐라 전투 및 1365년 참조)부터 1500년대 (1500년 마닐라 전투 참조)까지 다양함
추가 사건 1 날짜1200년대 ~ 1500년대
추가 사건 2명나라와 정기적인 무역 관계 수립
추가 사건 2 날짜1373년
추가 사건 3라자 마탄다의 어머니 통치 기간 동안 마닐라와의 영토 분쟁
추가 사건 3 날짜1520년경
추가 사건 4마닐라 함락
추가 사건 4 날짜1570년
추가 사건 5방쿠사이 해협 전투
추가 사건 5 날짜1571년
추가 사건 6리마홍의 공격 및 1574년 동시 발생한 타갈로그 반란
추가 사건 6 날짜1574년
후계 국가 1마닐라 (1500년경)
후계 국가 2필리핀 총독령 (1589년)
후계 국가 3마닐라 (주)
국기 유형국기 (1450–1589)
공용어고대 타갈로그어, 카팜팡안어, 고전 말레이어
종교힌두교
탄트라야나 불교
이슬람교
타갈로그 다신교
수도톤도
통화필론시토스, 금반지, 물물교환
현재 국가필리핀
정치
통치자 칭호라칸
통치자 1자야데와, 파이라의 대신 (채무 변제 기록에 따름)
통치자 1 통치 시기900년경
통치자 2가트 론톡과 다양 칼랑기탄
통치자 2 통치 시기1450–1500년
통치자 3말랑시
통치자 3 통치 시기15세기 후반 - 1521년
통치자 4라칸둘라
통치자 4 통치 시기1521–1575년
통치자 5아구스틴 데 레가스피
통치자 5 통치 시기1575–1589년

2. 명칭과 어원

톤도는 역사적으로 상업 중심지였기 때문에 다양한 문헌과 언어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톤도(Tondo)''' 외에도 '''툰도(Tundo)''', '''툰둔(Tundun)''', '''툰독(Tundok)''', '''퉁리오(Tung-lio)''', '''툰다안(Tundaan)''', '''툰두(Tunduh)''', '''툰다(Tunda)''', '''통라오(Tong-Lao)''' 등으로도 불린다.[28]

"톤도"라는 이름은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것과 같이, 900년경에 이미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톤도 연구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한다.


  • 툰독(Tundok): 높은 지대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
  • 툰독(Tundok): 맹그로브의 일종인 ''애기세라스 코르니쿨라툼(Aegiceras corniculatum)''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 이 나무는 당시 이 지역에 많이 자생했던 것으로 보인다.


프란시스코 마누엘 블랑코(Francisco Manuel Blanco)의 "플로라 데 필리피나스(Flora de Filipinas)"에 나오는 "툰독(tundok)" 나무(Aegiceras corniculatum)를 묘사한 판화


초기 타갈로그어 사전에는 톤도가 "바얀(bayan)"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용어는 현대 필리핀에서 "국가"를 뜻하는 "반사(bansa)"와 함께 쓰인다.

2. 1. 다른 이름 및 표기

톤도는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상업 중심지였기 때문에 다양한 문헌과 언어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톤도(Tondo)''' 외에도 '''툰도(Tundo)''', '''툰둔(Tundun)''', '''툰독(Tundok)''', '''퉁리오(Tung-lio)''', '''툰다안(Tundaan)''', '''툰두(Tunduh)''', '''툰다(Tunda)''', '''통라오(Tong-Lao)''' 등으로도 불린다.[28]

2. 2. "톤도" 명칭의 기원

"톤도"라는 이름은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것과 같이, 900년경에 이미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톤도 연구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한다.

  • 툰독(Tundok): 높은 지대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
  • 툰독(Tundok): 맹그로브 나무의 일종인 ''애기세라스 코르니쿨라툼(Aegiceras corniculatum)''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 이 나무는 당시 이 지역에 많이 자생했던 것으로 보인다.


2. 3. "바얀"으로서의 톤도

초기 타갈로그어 사전에는 톤도가 "바얀(bayan)"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용어는 현대 필리핀에서 "국가"를 뜻하는 "반사(bansa)"와 함께 쓰인다. 스페인 식민 지배 이전의 톤도는 "마을", "톤도 왕국", "대규모 바랑가이" 등 다양하게 묘사되었다. 학술 논문에서는 "톤도 정치체" 또는 "톤도 정착지"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3. 역사

톤도는 지리적으로 남쪽의 파시그 강, 서쪽의 마닐라 만, 그리고 여러 삼각주 지류들로 둘러싸여 있었다.[41] 학계에서는 이곳을 "'''톤도 정치체'''" 또는 "'''톤도 정착지'''"라고 부른다.[14][16][32] 초기 타갈로그어 사전에서는 이곳을 도시 국가를 의미하는 "'''바얀(bayan)'''"으로 분류했다.[19][113][16][32] 톤도는 중국인, 포르투갈인, 스페인인 등과 접촉하였는데, 이들은 종종 톤도를 "'''톤도 왕국'''"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초기 스페인 기록에서는 톤도를 요새화된 마닐라 정치체에 비해 더 작은 정착지로 언급했다.[46]

정치적으로 톤도는 바랑가이라고 불리는 여러 사회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다투가 이끌었다.[32][14][44][16] 이러한 다투들은 다시 라칸이라는 최고 통치자의 지도력을 인정했다.[16][32][14] 16세기 중후반, 라칸은 톤도, 마닐라, 불라칸, 팜팡가를 포함한 마닐라 만 지역 동맹에서 높이 평가받았다.[32][44] 1570년 스페인이 처음 도착했을 때 톤도의 인구는 약 4만 3천 명이었을 것으로 추산된다.[21]

톤도의 팜팡간족과 타갈로그족은 군도의 초기 주민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유한 언어와 문자, 종교, 예술, 음악을 가진 오스트로네시아 문화를 지니고 있었다.[22][9] 이 문화는 명나라,[24]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마자파히트 제국과의 무역 관계에 영향을 받았다.[9][23]

3. 1. 초기 역사 (900년 이전)

"톤도"라는 이름은 높은 지대를 뜻하는 "툰독(tundok)"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닉 조아킨(Nick Joaquin)에 의해 제기되었다.[29] 그러나 프랑스 언어학자 장-폴 포테(Jean-Paul Potet)는 "툰독(tundok)"(현재는 "틴둑-틴두칸(tinduk-tindukan)"이라고 불림)이라고 불렸던 맹그로브 나무인 ''애기세라스 코르니쿨라툼(Aegiceras corniculatum)''가 그 이름의 기원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제안했다.[30]

초기 타갈로그어 사전에 따르면,[16][32] 라칸이나 라자(rajah)가 최고 지도자가 되는 톤도와 마닐라 같은 대규모 해안 정착지는 타갈로그어로 "''bayan''"이라고 불렸다.[16][32][44] 이 용어는 오늘날 "국가" 또는 "마을"로 번역되며, 현대에는 "bansa"(국가를 의미함)와 함께 필리핀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식민지 이전 톤도 정착지에 대한 여러 묘사는 다음과 같다.

  • 스페인의 초기 기록: 톤도를 마닐라의 요새화된 정치체와 비교하여 더 작은 "''마을''"로 묘사했다.[46] 그러나 이 용어는 스페인 식민 지배자들의 강한 히스파노중심주의적 편향을 반영하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14]
  • 군주제 문화권 출신 여행자들 (중국인, 포르투갈인, 스페인인 포함):[114] 톤도를 "''톤도 왕국''"으로 잘못 표현했다.[114][32][16] 초기 아우구스티노 연대기 작가 페드로 데 산 부에나벤투라(Pedro de San Buenaventura)는 1613년 그의 저서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에서 이것이 오류라고 설명했다.[113] 그러나 역사가 빈센테 L. 라파엘은 스페인 식민 시대의 대중 문학에서는 이 명칭이 나중에 받아들여졌는데, 그 당시 스페인어 작가들은 해양 동남아시아 지도 구조의 복잡한 권력 관계를 묘사할 적절한 단어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3]
  • 역사가 F. 란다 호카노: 톤도를 "대규모 바랑가이"로 묘사하여, 톤도를 필리핀 역사가들이 전통적으로 식민지 이전 사회의 "기본적인 정치 구조"로 간주해 온 것보다 더 큰 규모로 만들었다.[14] 그러나 이러한 목적으로 "바랑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최근 역사가 데이몬 우즈가 의문을 제기했는데, 그는 이 용어의 사용이 20세기 미국인의 잘못된 번역의 결과라고 믿고 있다(후안 데 플라센시아의 저술).[20]


톤도의 정치 구조에 대한 문화 간의 부정확성을 피하기 위해,[114] 학술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톤도 정치체'''" 또는 "'''톤도 정착지'''"로 묘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4][16][32]

3. 2. 명나라와의 관계 (14세기-16세기)

명나라와의 초기 관계는 1373년 루손(Luzon)의 사신이 명나라에 도착했다는 명실록[107]의 기록에서 나타난다. 톤도(東都|둥두중국어)의 통치자들은 단순한 족장이 아닌 왕(왕)으로 인정받았다.[108]

당나라송나라 시대의 도자기와 자기 조각은 필리핀 원주민과 중국 사이의 무역에 대한 초기 고고학적 증거를 제시한다.[110] 명나라 시대에는 최초의 중국 정착민들이 톤도에 도착하여 현지 주민들과 조화롭게 살았으며, 혼인을 통해 오늘날 많은 필리핀 사람들이 중국계 혈통을 가지게 되었다.[110]

명나라 황제들이 해금(海禁) 정책을 시행하여 해상 무역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톤도 왕국과의 무역은 복주 항구를 통해 공납 체제로 위장하여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85] 또한 광저우와 취안저우에서 비밀 무역이 이루어져 루손으로 중국 상품이 유입되었다.[86] 이러한 배경에서 루손과 톤도는 중국 상품이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거래되는 중심지가 되었다. 중국 무역이 엄격했기 때문에, 루손 상인들은 중국 상품을 운반하며 "중국인"으로 간주되기도 했다.[86]

3. 3. 스페인과의 충돌 (16세기)

1571년 방쿠사이 해협 전투에서 스페인이 승리하면서 톤도는 스페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전투에서 톤도의 마지막 왕 라칸둘라가 이끄는 군대가 패배하면서 톤도 왕국은 멸망했다.

그러나 톤도 사람들은 스페인에 저항했다. 1587년부터 1588년까지 톤도 음모가 일어났다. 이 음모는 라칸둘라의 조카 아구스틴 데 레가스피가 주도했으며, 스페인에 의해 엔콤엔데로로 전락한 토착 지배자들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내부 배신으로 실패했다.[94]

3. 3. 1. 마닐라 전투 (1570)

마닐라와 카인타와 같은 요새화된 정치체를 제외하고, 타갈로그 정치체의 영토 경계에 대한 1차 자료들은 학자들이 정확한 경계를 제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왜냐하면 이러한 자료들은 톤도와 같은 밀집된 정치체의 경계조차도 점차 줄어드는 가구의 밀도로 묘사하며, 농경지(''parang'')로, 그리고 결국 야생 식물(''sukal'')로 흩어져 사라지는 것으로 묘사하기 때문이다.[31] 톤도의 영토 경계는 또한 마닐라,[32][38] 나마얀(현재 산타 아나와 만달루용),[39][37] 탐보봉(현재 말라본), 부타스(현재 나보타스), 판다칸, 파사이 등 각각 자체 지도자를 가진 영토를 제외했다.[41]

3. 3. 2. 방쿠사이 해협 전투 (1571)

1571년, 스페인이 부라칸과 팜팡가에 진출하면서 마르틴 데 고이티는 라칸둘라가 "이 땅을 다스리는 단일한 왕은 없다"고 설명하는 것에 놀랐다.[46][32] 타갈로그족은 자신들의 지도자에게는 '하리'(왕)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외국 군주에게만 적용했다.[32] 이는 톤도와 마닐라의 지도력이 영토적 주장이 아닌 동맹 네트워크에 기반했음을 보여준다.[16][32] 이러한 구조는 "상대적으로 분권화되고 고도로 분절된 구조"였다.[44]

3. 3. 3. 톤도 음모 (1587-1588)

1587년에서 1588년에 걸쳐 일어난 톤도 음모는 "라칸들의 반란" 또는 "마하리카들의 음모"라고도 불리며, 마닐라와 부라칸, 팜팡가 일부 마을의 타갈로그족카팜팡안족 귀족들이 스페인 식민 지배에 대항하여 꾸민 음모였다.[94] 이들은 스페인에 굴복한 후, 조공을 징수하거나 스페인 총독에게 보고해야 하는 엔콤엔데로로 전락한 토착 지배자들이었다.

이 음모는 톤도의 주요 족장 중 한 명인 마기누(Maginoo)의 아들이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손자, 라칸둘라의 조카인 아구스틴 데 레가스피가 이끌었다. 그의 사촌이자 톤도의 고베르나도르실료(gobernadorcillo)인 마르틴 판간(Martin Pangan)도 함께 했다. 다투(datu)들은 무기를 들고 일어설 맹세를 했지만, 칼라미안네스(Calamianes)의 안토니오 수라바오(Antonio Surabao, Susabau)가 스페인 당국에 배신하면서 반란은 실패로 돌아갔다.[94]

다른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94]

  • 라칸 둘라의 아들이자 톤도의 왕세자인 마가트 살라마트(Magat Salamat)
  • 톤도의 또 다른 왕자이자 살라마트의 매부인 후안 바날(Juan Banal)
  • 아구스틴 데 레가스피의 형제인 헤로니모 바시(Geronimo Basi)와 가브리엘 투암바카르(Gabriel Tuambacar)
  • 판다칸의 영주 페드로 발링깃(Pedro Balingit)
  • 폴로의 영주 펠리페 살롱가(Felipe Salonga)
  • 칸다바의 영주이자 펠리페 살롱가의 형제인 디오니시오 카폴로(Dionisio Capolo, Kapulong)
  • 타기그의 영주 후안 바시(Juan Basi)
  • 부라칸의 영주 에스테반 타에스(Esteban Taes, Tasi)
  • 미실(Misil)의 영주 펠리페 살랄릴라(Felipe Salalila)
  • 펠리페 살랄릴라의 아들인 아구스틴 마누기트(Agustín Manuguit)
  • 톤도의 또 다른 왕자인 루이스 아마니칼로아(Luis Amanicaloa)
  • 카탕갈란(Katanghalan)의 사령관 펠리페 아말랑가귀(Felipe Amarlangagui)
  • 나보타스의 장관 오마기콘(Omaghicon)
  • 톤도의 또 다른 왕자인 피통가탄(Pitongatan, Pitong Gatang)
  • 말로로스와 기긴토의 두 명의 총독

4. 지리적 위치와 정치적 영향력

여러 학자들은 톤도마닐라가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을 포함하는 풀리란 지역과 무역 및 정치적 동맹을 맺었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이들은 풀리란을 톤도와 마닐라의 동맹 네트워크의 일부로 명확하게 규정하지는 않는다.[49][50]

필라 역사 학회 재단과 지역 사학자 하이메 F. 티옹손(Jaime F. Tiongson)은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장소에 대한 해석을 통해 풀리란이 톤도의 동맹 네트워크에 속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티옹손은 "Pailah"는 필라, "Puliran"은 라구나 호 남동부 지역의 옛 이름인 풀리란, "Binwangan"은 카팔롱가의 비나왕안 마을을 가리킨다고 해석한다.[49][50]

톤도와 마닐라의 동맹 네트워크 영향 아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풀리란 지역의 정치체는 다음과 같다.

정치체위치비고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Puliran Kasumuran"으로 언급[49][50]
Pila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Pailah"로 언급[8][49][50][51]
Pakil[52]


4. 1. 영토 경계

1500년대 부나오 라칸둘라 통치 시기, 톤도 왕국은 "바이바이"라고 불리는 지역을 지배했는데, 이곳은 현재 마닐라 산 니콜라스(San Nicolas, Manila) 구역이다.[32][40][41] 윌리엄 헨리 스콧은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선교사 기록[42]을 인용하여, 부나오 라칸둘라가 일본의 박해를 피해 도망친 중국 난민들이 그곳에 정착하도록 허락했다고 전한다. 이들은 해안가를 따라 제방을 쌓고 물을 빼내 땅을 개간하여[32] 톤도의 해안선을 마닐라만 쪽으로 확장했다.

톤도가 지배했던 또 다른 지역은 비타스 강 기슭의 "수노그 아포그"로, 굴 껍데기를 태워 석회를 생산하는 곳으로 유명했다.[43][41] 톤도는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의 풀리란 지역과 무역 및 정치적 동맹을 맺었다.[49][50] Tiongson의 해석에 따르면, "Pailah"는 Pila, "Puliran"은 당시 Laguna de Bay의 남동부를 차지했던 지역의 옛 이름인 풀리란을 가리킨다.[49][50]

톤도의 영향 아래 있었던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설명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언급된 "Puliran Kasumuran"[49][50]
Pila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언급된 "Pailah"[8][49][50][51]
Pakil[52]
비투캉 마녹다양 칼랑기탄이 파리안 크릭에 세운 영토[31]
따기그[48]
판다칸[48]
바이바이[40]현재 산 니콜라스[42]
쿠민탕[31]현재 바탕가스(Batangas)주


4. 2. 주요 지역

1500년대 부나오 라칸둘라 통치 아래 톤도 왕국이 지배했던 주목할 만한 지역 중 하나는 "바이바이(Baybay)"였다. 이곳은 현재 마닐라 산 니콜라스(San Nicolas, Manila) 구역으로 알려져 있다.[32][40][41] 윌리엄 헨리 스콧은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선교사 기록[42]을 인용하여, 부나오 라칸둘라가 일본의 박해를 피해 도망친 중국 난민 집단이 그곳에 정착하도록 허락했다고 적고 있다. 이들은 "해안가를 따라 제방을 쌓고, 물을 빼내고, 땅을 개간하여"[32] 톤도의 해안선을 마닐라 만 쪽으로 더욱 확장했다.

톤도가 지배했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지역은 비타스 강 기슭에 있는 "수노그 아포그(Sunog Apog)"였다. 이 지역은 결국 가갈랑긴의 인근 에스테로 데 수노그 아포그라는 이름을 남겼다. 이 지역은 굴 껍데기를 태워 석회를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1929년까지도 그 지역에 석회 가마가 있었다.[43][41]

4. 3. "동맹 네트워크"를 통한 영향력

준커(Junker, 1990)와 스콧(Scott, 1994) 등 여러 학자들은 톤도마닐라가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을 포함하는 풀리란 지역과 무역 및 정치적 동맹을 맺었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이들은 풀리란을 톤도와 마닐라의 동맹 네트워크의 일부로 명확하게 규정하지는 않는다.[49][50]

필라 역사 학회 재단과 지역 사학자 하이메 F. 티옹손(Jaime F. Tiongson)은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장소에 대한 해석을 통해 풀리란이 톤도의 동맹 네트워크에 속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티옹손은 "Pailah"는 필라, "Puliran"은 라구나 호 남동부 지역의 옛 이름인 풀리란, "Binwangan"은 카팔롱가의 비나왕안 마을을 가리킨다고 해석한다.[49][50]

스페인 식민지 이전 마닐라, 판팡가, 라구나타갈로그 바랑가이는 비사야 지역보다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졌다. 보르네오와의 활발한 교역과 벼농사를 통해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며, 마르틴 데 라다는 타갈로그인들을 전사보다는 상인으로 묘사했다.[54]

윌리엄 헨리 스콧은 1500년대 타갈로그 사회가 마기누(지배 계급), 티마와와 마할리카(자유민), 알리핀(노예)의 세 계층으로 구성되었다고 설명한다.[16] 다투 또는 라칸은 족장을, 아포는 귀족 계급인 마기누를 지칭하며, 이들은 개인적인 업적으로 다투가 될 수 있었다.[54]

티마와는 자유민을 의미했지만, 스페인인 도착 이후에는 노예에서 해방된 알리핀에게 잘못 적용되기도 했다. 타갈로그 사회의 전사 계급은 마할리카로, 라구나에만 존재했다. 알리핀 계급은 알리핑 나마마하이(평민, 농노)와 알리핑 사 기길리드(하인, 노예)로 나뉜다. 타갈로그 사회 구조는 스페인인 도착 당시에도 분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덜 안정적이었다.[54]

4. 3. 1. 불라칸과 팜팡가의 정치체

역사 기록과 구전 전통에 따르면,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불라칸판팡가 지역의 여러 정치체는 톤도마닐라의 영향을 받았다. 1571년 말, 톤도의 라칸(지도자)이었던 부나오는 마르틴 데 고이티의 불라칸과 판팡가 원정에 동참하라는 요청을 받기도 했다.[46][32]

라구나 구리판 비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톤도의 영향력 아래 있었던 불라칸과 팜팡가의 정치체는 다음과 같다.

정치체위치비고
파일라(Paila)불라칸주 노르자가라이의 산 로렌조 바랑가이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8]
불라칸주 풀리란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8]
빈왕간(Binwangan)불라칸주 오반도의 바랑가이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 벨라르데 지도에는 비누앙가(Vinuanga)로 표기[105][47][8]
팜팡가주 칸다바
카탕갈란(Katanghalan)현재 불라칸주 오반도 시
기타불라칸주의 기타 지역[48]


4. 3. 2. 라구나 호수 지역 정치체

역사 기록과 구전 전통에 따르면,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 톤도는 불라칸과 판팡가 지역의 여러 정치체의 다투(datu, 지방 지배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이러한 영향력을 인정하여 1571년 톤도의 라칸(Lakan, 지도자) 부나오에게 불라칸과 판팡가 원정에 동참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46][32]

파타네, 아비날레스, 아모로소는 포스트마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을 해석하여, 톤도가 빈왕간, 파이라, 풀리란 지역과 동맹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한다. 포스트마는 이 지역들이 불라칸/판팡가에 있다고 보았다.

학자들은 라구나 구리판 비문을 분석하여 9세기 초 톤도가 이미 해양 동남아시아의 힌두교와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혀냈다.[56]
인도 문화권을 보여주는 지도. 필리핀은 인도 문화권 외부에 있지만, 역사적으로 상당한 인도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Junker와 Scott, Jocano, Odal-Devora, Dery와 같은 학자들은 풀리란을 톤도의 동맹 네트워크의 일부로 명시적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풀리란을 톤도의 동맹 네트워크의 일부로 보는 해석은 필라 역사 학회 재단과 지역 사학자 Jaime F. Tiongson이 제기한 문제에서 암시적으로 나타난다.[49][50]

Tiongson은 "Pailah"는 Pila, "Puliran"은 당시 Laguna de Bay의 남동부를 차지했던 지역의 옛 이름인 풀리란을, "Binwangan"은 현재 Capalonga의 비나왕안(Binawangan) 마을을 가리킨다고 해석한다.[49][50]
톤도와 마닐라의 동맹 네트워크 영향 아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정치체

  • 불라칸과 판팡가 지역

정치체위치비고
파일라(Paila)불라칸주 노르자가라이 산 로렌조 바랑가이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8]
불라칸주 풀리란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8]
빈왕간(Binwangan)불라칸주 오반도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 1734년 지도에는 비누앙가(Vinuanga)로 표기[8][105] [47]
판팡가주 칸다바
카탕갈란(Katanghalan)불라칸주 오반도
불라칸주의 기타 지역[48]


  • 풀리란 지역

정치체위치비고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Puliran Kasumuran"으로 언급[49][50]
Pila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Pailah"로 언급[8][49][50][51]
Pakil[52]


4. 3. 3. 기타 정착지/정치체

역사 기록과 구전 전통에 따르면,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 불라칸판팡가 지역의 여러 정치체의 다투(datu, 지방 지배자)들은 톤도마닐라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이러한 영향력은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 해석을 통해 톤도와 빈왕간(Binwangan), 파이라(Pailah), 풀리란(Puliran) 지역과의 관계에서 나타난다.

톤도와 마닐라의 동맹 네트워크의 영향 아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불라칸과 판팡가의 정치체는 다음과 같다.

정치체위치비고
파일라(Paila)불라칸주 노르자가라이 산 로렌조 바랑가이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언급[8]
불라칸주 풀리란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언급[8]
빈왕간(Binwangan)불라칸주 오반도의 빈왕간 바랑가이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언급, Carta Hydrographica y Chorographica de las Islas Filipinas (1734)에는 비누앙가(Vinuanga)로 표기[8]
팜팡가주 칸다바
카탕갈란(Katanghalan)현재 불라칸주 오반도 시
기타불라칸주의 기타 지역[48]



학자들은 톤도와 마닐라가 라구나호 남동쪽 해안을 포함하는 풀리란 지역과 무역 및 정치적 동맹을 맺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풀리란을 톤도와 마닐라의 동맹 네트워크의 일부로 명시적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필라 역사 학회 재단(Pila Historical Society Foundation)과 지역 사학자 Jaime F. Tiongson은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장소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다른 해석을 제시했다.[49][50] Tiongson의 해석에 따르면, "Pailah"는 Pila, "Puliran"은 당시 Laguna de Bay의 남동부를 차지했던 지역의 옛 이름인 풀리란을, 그리고 "Binwangan"은 현재 Capalonga의 비나왕안(Binawangan) 마을을 가리킨다.

톤도와 마닐라의 동맹 네트워크의 영향 아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풀리란 지역의 정치체는 다음과 같다.

정치체위치비고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Puliran Kasumuran"으로 해석[49][50]
Pila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Pailah"로 해석[8][49][50][51]
Pakil[52]


5. 사회와 문화

톤도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고유 신앙과 관습을 바탕으로 힌두교, 대승불교,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62][22][32][9] 타갈로그족은 이러한 종교적 신앙과 관습을 통칭하는 특정한 명칭은 없었으나, 후대 학자들은 이를 ''아니티즘''[62] 또는 "애니미즘"으로 부른다.[61]

타갈로그족은 바탈라(Bathala)라는 창조주 신을 믿었으며,[61] '마일리차'(창조자), '마이카팔'(주, 또는 전능자),[32] "몰라이리" 또는 "디와타"[32] 등으로 불렀다. 그러나 일상적인 예배 의식(''파가-아니토'')에서는 바탈라보다 "하위" 신들과 영혼들을 달래는 행위에 집중했다.[61] [11]

타갈로그족은 ''파가-아니토''(예배)의 대상인 영혼들을 "아니토"라고 불렀으며,[32] 이들은 중개자(바탈라의 대리인)이자 ''아보가도''(변호인)로 여겨졌다.[61] 현대 학자들은 이 영혼들을 조상 영혼, 자연 영혼, 수호 영혼 등으로 분류하지만, 그 경계는 모호하다.[61] 루손 타갈로그족과 팜팡간족은 비사야 지역에서 더 우세했던 "디와타" 대신 "아니토"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이 지역 사람들이 마자파힛 제국의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덜 받았음을 나타낸다.[61]

5. 1. 사회 구조

톤도 사회는 크게 세 계층으로 나뉘었다.

계층설명
마기누(Maginoo)지배 계층으로, 각 바랑가이를 이끄는 다투와 그 가족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최고 통치자인 라칸(Lakan) 또는 라자의 지위를 가질 수 있었다.[32][16]
티마와(Timawa)자유민 계층으로, 농업, 어업, 수공업 등에 종사했다.
알리핀(Alipin)최하층 계층으로, 부채나 범죄 등으로 인해 예속된 상태였다. 알리핀은 다시 알리핑 나마마하이(Aliping Namamahay)알리핑 사귈리드(Aliping Saguiguilid)로 나뉘었다.



이러한 사회 계층 구조는 발랑가이라는 대형 선박에서 유래된 '''바랑가이''' 사회 집단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44][14][32] 그러나 현대에는 필리핀의 가장 작은 행정 구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면서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44][14][32]

학자들은 톤도가 9세기 초부터 해양 동남아시아의 힌두교와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한다.[56] 이는 구 카위 문자로 쓰여진 라구나 구리판 비문을 통해 알 수 있다.[8]

5. 2. 지도 계층 구조

톤도는 각자 추종자를 거느린 다투들이 이끄는 대규모 해안 정착지였다. 이 추종자들은 "둘로한(dulohan)" 또는 "바랑가이"라고 불렸다.[32][16] 각 바랑가이의 다투들은 최고 계급의 다투, 즉 "최고 통치자"[27] 또는 "최고 다투"[14]로 불리는 "라칸"[32][16]의 지도력을 인정했다. 산 부에나벤투라에 따르면, 이러한 지도 구조를 가진 대규모 해안 정착지는 "바얀"이라고 불렸다.[113][32][16]

5. 3. 문화적 영향

톤도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고유 신앙과 관습을 바탕으로 힌두교, 대승불교,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62][22][32][9]

타갈로그족은 이러한 종교적 신앙과 관습을 통칭하는 특정한 명칭은 없었으나, 후대 학자들은 이를 ''아니티즘''[62] 또는 "애니미즘"으로 부른다.[61] 타갈로그족은 바탈라(Bathala)라는 창조주 신을 믿었으며,[61] '마일리차'(창조자), '마이카팔'(주, 또는 전능자)[32], "몰라이리" 또는 "디와타"[32] 등으로 불렀다. 그러나 일상적인 예배 의식(''파가-아니토'')에서는 바탈라보다 "하위" 신들과 영혼들을 달래는 행위에 집중했다.[61] [11]

타갈로그족은 ''파가-아니토''(예배)의 대상인 영혼들을 "아니토"라고 불렀으며,[32] 이들은 중개자(바탈라의 대리인)이자 ''아보가도''(변호인)로 여겨졌다.[61] 현대 학자들은 이 영혼들을 조상 영혼, 자연 영혼, 수호 영혼 등으로 분류하지만, 그 경계는 모호하다.[61]

루손 타갈로그족과 팜팡간족은 비사야 지역에서 더 우세했던 "디와타" 대신 "아니토"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이 지역 사람들이 마자파히트 제국의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덜 받았음을 나타낸다.[61]

현대 역사학자들은[14][32] 토착 종교 신앙의 우세를 주장하면서도, 초기 타갈로그 역사에서 다른 신앙 체계의 영향을 언급한다.[14] 과거에는 이러한 영향을 단순한 외래 종교의 유입으로 보았지만,[14] 현대 학자들은 외래 사상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분열되고 재진술되어 원래의 의미가 사라"[65]지는 "지역화"[64], 즉 혼합적 적응[9]의 결과로 해석한다.

5. 3. 1. 힌두교 및 불교 종교적 영향



학자들은 최초로 톤도(Tondo)가 언급된 라구나 구리판 비문을 분석하여 9세기 초 이미 톤도가 해양 동남아시아의 힌두교와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56] 구리판에 사용된 문자는 구 카위 문자이며, 사용된 언어는 구 말레이어(Old Malay) 변종으로, 산스크리트어(Sanskrit)에서 차용한 많은 외래어와 기원이 구 자바어(Old Javanese)일 수 있는 몇 가지 말레이어가 아닌 어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8] 라구나 구리판 비문(LCI)에 표시된 날짜는 율리우스력(Proleptic Gregorian calendar) 900년 4월 21일 월요일에 새겨졌음을 나타낸다.[57][58]

이러한 힌두교-불교 문화적 영향은 궁극적으로 인도 아대륙의 문화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것이 필리핀과 인도 간의 물리적 접촉을 나타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9][14][32][8][23] 초기 필리핀 정치체에 대한 인도 문화적 영향의 범위, 순서 및 메커니즘은 계속해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필리핀과 동남아시아 역사 및 역사 서술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의 대상이다.[9][14][32][23]

인도 아대륙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특히 동남아시아로의 힌두교 확산은 기원 1세기경 동남아시아에 초기 힌두교 정착지와 정치 체제가 수립되면서 시작되었다.


힌두교와 불교 문화가 필리핀 군도에 미친 영향의 정도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스리비자야 제국과 마자파힛 제국의 무역과 문화 교류를 통해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가 있다. 현재 학계의 일반적인 의견은 필리핀이 인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았지만, 스리비자야 제국과의 소규모 무역, 그리고 마자파힛 제국과의 더욱 확실하고 광범위한 무역을 통해 힌두교와 불교의 문화적, 종교적 영향이 전파되었다는 것이다.[14]

톤도에 인도 문화(언어)적 영향을 특히 보여주는 유물인 라구나 구리판 비문은 종교적 관습에 대해 명시적으로 논의하지 않는다.[105][58][8] 그러나 일부 현대 불교 신자들은 그레고리력 4월/5월에 해당하는 힌두교 달력의 바이삭하 달을 언급한 것이 그 달에 기념되는 힌두교 성일들에 대한 친숙함을 의미한다고 믿는다.[66]

필리핀의 다른 지역에서는 명시적으로 종교적인 유물의 존재를 통해 힌두교와 불교의 종교적 영향이 입증된다.[67][68][69] 적어도 한 경우에는 바탕가스주 칼라타간처럼 톤도와 가까운 곳에서 발견된다.[70] 현대 불교 신자들은 필리핀 문화가 스리비자야와 마자파힛과의 무역 접촉을 통해 금강승 불교와 상좌부 불교에 노출되었을 것이라고 믿으며,[66] 루손 섬에서의 고고학적 발견은 대승 불교와 관련된 유물들을 산출했다.[70]

5. 3. 2. 이슬람화

톤도와 마닐라의 최고 지도자들은 스스로를 무슬림이라고 칭했다.[32] 15세기 초 말라카에서 온 이주 선원인 루손 사람들도 마찬가지였다.[9] 그러나 당시의 여러 민족지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이름만 무슬림"이라는 명목상의 확인에 불과했다. 무슬림 규범(돼지고기 금기, 혈액 섭취 금지 등)에 대한 표면적인 인정만 있었을 뿐,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대한 이해"는 없었기 때문이다.[46] 학자들은 이러한 명목상의 이슬람 실천이 이슬람화의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것이며, 스페인이 도착하여 이베리아 가톨릭을 도입하지 않았다면 더 광범위한 무슬림 신앙의 실천이 있었을 것이라고 믿는다.[32] [11]

이슬람화는 톤도와 마닐라 시민들의 꾸준한 개종을 특징으로 하는 느린 과정이었으며, 이는 무슬림 영토를 만들어냈다. 루손의 이슬람화는 16세기에 브루나이 출신 상인들이 마닐라 지역에 정착하여 현지인과 결혼하고 브루나이 및 동남아시아의 다른 무슬림 중심지와 혈연 및 무역 관계를 유지하면서 시작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무슬림들을 "모로인"이라고 불렀는데, 그들이 해안 전체를 점령했다고 생각했다. 이슬람이 이 지역에서 주요 정치적 또는 종교적 세력이 되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디에고 데 에레라 신부는 모로인들이 일부 마을에만 거주하고 이름만 무슬림이라고 기록했다.[21][71]

6. 경제 활동

역사학자들은 스페인 식민지배 이전에 필리핀 군도 전역, 특히 톤도를 포함한 해안 지역에서 경제적 전문화와 사회 계층화가 이루어졌다고 본다.[14] 이는 도자기, 직물, 귀금속 등 사치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44]

톤도와 마닐라를 포함한 타갈로그족과 팜팡가족은 농업, 직조, 바구니 제작, 금속 세공, 사냥 등의 전문 산업에 종사했다.[32] 초기 스페인어 사전에는 이러한 지역 경제 활동의 다양한 뉘앙스를 보여주는 많은 단어들이 기록되어 있다.[32]

톤도는 명나라 시기 중국과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373년 루손에서 사신이 명나라에 도착했고, 톤도의 통치자는 왕으로 인정받았다.[107] 톤도는 중국 상품이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거래되는 중심지 역할을 했다.[86] 해금 정책에도 불구하고, 톤도는 복주 항구를 통해 공납 체제로 위장하여 무역을 계속했다.[85]

톤도 왕국의 사람들은 농업, 벼농사, 양식 등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시대의 보고서에 따르면 루손 섬에는 쌀, 가금류, 포도주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물소, 사슴, 야생 멧돼지, 염소 사육이 있었다고 한다.[32] 또한, 원주민들은 많은 양의 목화와 색깔 있는 옷, 밀랍, 포도주, 꿀, 그리고 대추야자를 생산했으며, 쌀, 목화, 돼지, 가금류, 밀랍, 그리고 꿀이 풍부했다.

6. 1. 무역

톤도는 파식 강 삼각주를 통해 상류 정착지와의 상품 흐름을 통제하고, 마닐라와의 무역 거래를 통해 군도 나머지 지역의 무역을 통제할 수 있었다.[32] 톤도 항구는 도착하는 중국 상선의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고, 마닐라의 무역선 함대가 이를 다시 군도의 나머지 정착지에 판매했다.[32]

마기누(Maginoo) 계급의 탄생으로 도자기, 직물, 귀금속 등 사치품에 대한 수요가 창출되었고,[44] 이는 톤도를 포함한 타갈로그족과 팜팡가족 지역의 농업, 직조, 바구니 제작, 금속 세공, 사냥 등 전문 산업과[32] 내부 및 외부 무역의 원동력이 되었다. 융커(Junker)는 톤도와 마닐라 같은 해안 정치체가 "외부 및 내부 무역 네트워크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하는 행정 및 상업 중심지"라고 설명한다.[44]

톤도와 마닐라의 중국과의 공동 무역 관계는 마닐라 만 지역을 실크로드의 최북단 지점 중 하나로 만들었다.


명실록(명실록)의 초기 중국 역사 기록에는 1373년 루손(Luzon)에서 사신이 명나라에 도착했다는 내용이 있으며,[107] 톤도의 통치자들은 단순한 족장이 아닌 왕(王)으로 인정받았다.[108] 빌헬름 졸하임의 누산타오 해상 무역 및 통신망(NMTCN) 이론은 현재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들, 그리고 현재 필리핀을 포함한 지역들 사이의 문화적 연관성이 이 지역들의 초기 정착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제시한다.[109] 필리핀 원주민과 중국 사이의 무역에 대한 초기 고고학적 증거는 당나라송나라 시대의 도자기와 자기 조각의 형태를 띠고 있다.[110]

6. 1. 1. 중국 상품 재분배

톤도는 중국 상품 재분배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렸다. 중국 상품은 톤도 항구를 통해 마닐라 만에 도착했고, 마닐라의 해상 운송 활동을 통해 필리핀 군도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32] 7세기부터 말레이시아와 필리핀 해안으로 중국인들이 이주하기 시작했고, 청나라중국을 정복한 1644년 이후 이주가 절정에 달했다. 이들은 마닐라와 파식 등 여러 항구에 정착했고, 매년 정크 무역선을 통해 비단, 차, 도자기, 옥 등을 가져왔다.[72]

윌리엄 헨리 스콧에 따르면, 중국 배가 마닐라 만에 도착하면 라칸둘라는 세금과 정박료를 받을 때까지 배의 돛과 키를 제거했다. 그는 상품 가치의 절반을 즉시 지불하고 나머지는 다음 해에 지불하며 모든 상품을 사들였다. 이 상품들은 군도 내 다른 지역으로 거래되었다. 다른 지역 주민들은 중국 상품을 톤도[54]와 마닐라[32]에서 구매해야 했고, 이는 톤도와 마닐라에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아우구스티노회 소속 마르틴 데 라다 레가스피 수사는 타갈로그족이 "''전사라기보다는 상인이었다''"라고 평가했다.[54] 스콧은 마닐라의 배가 톤도에서 상품을 얻어 군도 내 다른 지역으로 무역을 장악했으며, 이 배들이 중국 상품을 운반했기 때문에 "중국인"(Sina 또는 Sinina)이라고 불렸다고 설명했다.[32]

명나라의 부상과 함께 중국 정착민들이 필리핀 제도에 처음 도착했다. 이들은 현지 주민들과 조화롭게 살며 혼인했고, 오늘날 많은 필리핀 사람들이 중국계 혈통을 갖게 되었다.[110]

명나라 황제들이 1371년부터 1567년경까지 해금 정책을 시행하여 중국 해상 무역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톤도 왕국과의 무역은 복주 항구를 통한 공납 체제로 위장되어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85] 광저우와 취안저우에서는 비밀 무역을 통해 루손으로 중국 상품이 유입되었다.[86]

루손과 톤도는 중국 상품이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거래되는 중심지였다. 중국과의 무역이 엄격하게 통제되었기 때문에, 루손 상인들은 중국 상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만난 사람들에게 "중국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86]

6. 1. 2. 금을 화폐로 사용

초기 필리핀인들과 인근 섬의 상인들 사이의 교역은 물물교환을 통해 이루어졌다. 물물교환의 불편함 때문에 나중에 일부 물건을 교환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여러 섬 지역에서 풍부했던 [73]은 필론시토스(Piloncitos)와 같은 물건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작은 구슬 모양의 금괴 또는 금 조각으로, 현지 화폐학자들은 이를 고대 필리핀인들의 가장 초기의 동전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금으로 만든 물물교환용 반지도 사용되었다.[74]

바이바인(Baybayin)의 '마'(Ma) 문자가 새겨진 금괴의 일종인 필론시토스(Piloncitos). 금반지와 함께 초기 통화의 하나로 사용되었다.


필론시토스는 금괴의 일종으로 크기가 작으며, 일부는 옥수수 알갱이 크기이고 무게는 0.09~2.65g의 순금이다. 2.65g 무게의 큰 필론시토스는 한 덩어리의 무게와 거의 같다. 필론시토스는 만달루용, 바탄, 파식강 유역과 바탕가스에서 발굴되었다.[75] 1586년 기록처럼 스페인의 여러 기록들에는 이곳에서 금이 채굴되고 가공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필론시토스 외에도, 톤도 사람들은 금반지 모양의 인 물물교환용 반지를 사용했다. 이 물물교환용 반지는 도넛보다 크고 거의 순금으로 만들어졌다.[76] 또한, 오늘날 터키에 있는 리디아 왕국에서 발명된 최초의 동전과 매우 유사하다. 물물교환용 반지는 16세기까지 필리핀에서 유통되었다.[77]

6. 2. 농업

톤도 왕국의 사람들은 농업에 종사하여 벼농사, 양식 등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시대의 보고서에 따르면 루손 섬에는 쌀, 가금류, 포도주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물소, 사슴, 야생 멧돼지, 염소 사육이 있었다고 한다.[32] 또한, 원주민들은 많은 양의 목화와 색깔 있는 옷, 밀랍, 포도주, 꿀, 그리고 대추야자를 생산했으며, 쌀, 목화, 돼지, 가금류, 밀랍, 그리고 꿀이 풍부했다.

하위 섹션인 '작물 생산'과 '가축 사육'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6. 2. 1. 작물 생산

톤도 사람들은 농업, 벼농사 및 양식(특히 저지대 지역)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시대의 보고서에 따르면 루손 섬에는 쌀이 풍부했다. 쌀은 타갈로그족과 팜팡가족 정치체의 주식이었으며, 레가스피가 식민지 본부를 마닐라 만에 두고자 했던 이유 중 하나는 연간 강우량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루손 섬에서 쌀이 풍부하게 생산되었기 때문이다.[32] 초기 타갈로그 어휘 연구에 따르면 타갈로그족은 최소 22가지의 서로 다른 쌀 품종을 구분하는 단어를 가지고 있었다.[32]

방캉 피나와(Bangkang Pinawa)


군도의 다른 대부분 지역에서는 쌀이 부족한 계절에 근채류가 주식을 대신했다.[32] 루손 섬에서도 근채류를 재배했지만, 주식이라기보다는 채소로 더 선호되었다.[32] 우비(Ubi), 투기(Tugi), 가비(Gabi) 그리고 스페인 사람들이 카모티(Kamoti)라고 불렀던 현지 근채류(고구마, Ipomoea batatas와는 다른 것으로 보임)는 화전 농업으로 재배되었고, "락사(Laksa)"와 "나미(Nami)"는 야생에서 자랐다.[32] 고구마(현재는 카모테(Camote)라고 함)는 나중에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도입되었다.[32]

수수는 흔했으며, 타갈로그족은 "수수와 같은"이라는 뜻의 "다와다와(dawa-dawa)"라는 단어를 가지고 있었다.

6. 2. 2. 가축 사육

톤도 사람들은 농업, 벼농사 및 양식(특히 저지대 지역)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시대의 보고서에 따르면 루손 섬에는 , 가금류, 포도주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물소, 사슴, 야생 멧돼지, 염소 사육이 있었다고 한다.

오리 사육은 타갈로그족, 특히 파테로스 주변과 오늘날 타기그가 위치한 곳의 사람들에 의해 행해졌다.[78] 이는 계란의 인공 부화와 오리의 생애 전 단계에 대한 지식을 갖춘 중국식 방법과 유사했다. 이러한 전통은 현대까지도 발룻을 만드는 것으로 이어지고 있다.[78]

7. 대외 관계

톤도는 활발한 대외 관계를 맺고 있었다. 라구나 구리판 비문을 통해 9세기 초 톤도가 해양 동남아시아의 힌두교 및 불교 문화권과 교류했음을 알 수 있다.[56] 이 비문은 구 카위 문자로 작성되었으며, 구 말레이어(Old Malay)에 산스크리트어(Sanskrit) 차용어와 구 자바어(Old Javanes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비(非)말레이어 어휘 요소가 섞여 있다.[8]

이러한 힌두-불교 문화의 영향은 인도에서 비롯되었지만, 필리핀과 인도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하지는 않는다.[9][14][32][8][23] 초기 필리핀에 대한 인도 문화의 영향은 여전히 연구 주제이며,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8][9][14][32][23] 1485년부터 1521년까지 브루나이 술탄국은 톤도를 공격하여 마닐라를 위성 국가로 만들었다.[59][60]

명나라와의 관계는 톤도 경제에 중요했다. 1373년 루손 사신이 명나라에 도착하면서 톤도 통치자들은 왕으로 인정받았다.[107][108] 당나라송나라 시대의 도자기와 자기 조각은 필리핀 원주민과 중국 간의 무역에 대한 초기 고고학적 증거를 제시한다.[110] 명나라 부상 이후, 중국 정착민들이 필리핀에 도착하여 현지 주민들과 동화되었다.[110] 명나라의 해금(海禁) 정책에도 불구하고, 톤도는 복주 항구를 통해 조공 무역 형태로 무역을 계속했다.[85] 광저우와 취안저우에서의 비밀 무역도 루손으로 중국 상품을 가져왔다.[86] 톤도는 중국 상품 재분배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32]

무로마치 시대 이전부터 일본과 필리핀 왕국 간의 관계가 시작되어 일본 상인들이 루손에 정착했다.[87] 딜라오(Dilao) 지역에는 1600년경 약 3,000명의 일본계 필리핀인들이 거주하는 "니혼마치(Nihonmachi)"가 있었다.[87] 16세기와 17세기에는 수천 명의 일본 상인들이 필리핀으로 이주하여 현지 주민과 동화되었다.[87][88]

일본의 홍인선(朱印船). 도쿄 해군 과학 박물관.


사카이 시민회관에 있는 루손 스케자에몬(呂宋助左衛門) 동상.

7. 1. 필리핀 군도 내



학자들은 최초로 톤도가 언급된 라구나 구리판 비문을 분석하여, 9세기 초 톤도가 해양 동남아시아의 힌두교와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혀냈다.[56] 이 비문에 사용된 문자는 구 카위 문자이며, 사용된 언어는 구 말레이어(Old Malay)의 여러 변종으로, 산스크리트어(Sanskrit)에서 차용한 외래어와 구 자바어(Old Javanese)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는 비(非)말레이어 어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8]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새겨진 날짜는 율리우스력(Proleptic Gregorian calendar) 900년 4월 21일 월요일이다.[57][58]

이러한 힌두-불교 문화적 영향은 인도 아대륙에서 비롯되었지만, 학자들은 이것이 필리핀과 인도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한다고 보지는 않는다.[9][14][32][8][23] 초기 필리핀 정치체에 대한 인도 문화의 영향 범위, 순서, 메커니즘은 여전히 활발한 연구 주제이며, 필리핀과 동남아시아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의 대상이다.[8][9][14][32][23]

1485년부터 1521년까지 볼키아(Bolkiah) 술탄의 통치 기간 동안, 브루나이 술탄국은 톤도의 중국 무역 독점을 깨기 위해 톤도를 공격하고 마닐라를 브루나이의 위성 국가로 만들었다.[59][60]

톤도는 비사야 지역의 정치 세력들과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1570년 마르틴 데 고이티와의 최초 협상 당시 술레이만 라자는 비사야의 "핀타도스(pintados)"에 대해 "칠을 한 비사야인들과는 다르다"며 비하하는 발언을 했다.[46][32]

7. 1. 1. 마닐라 정치체

지리적으로 가까웠던 톤도는 이웃한 마닐라와 밀접하면서도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32] 톤도와 마닐라는 모두 중국 상품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고, 이 상품들이 군도 전체로 유통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32] 톤도의 항구는 중국 상품의 도착을 통제했고, 마닐라는 그 상품을 군도의 다른 정착지에 다시 판매했다.[32] 역사 기록에 따르면 마닐라는 "루손 왕국"으로도 알려져 있었지만, 포테(Potet)[30]와 알폰소(Alfonso)[79] 등 일부 학자들은 이 명칭이 바탄과 판팡가에서 카비테에 이르는 마닐라 만의 더 넓은 지역(톤도를 포함)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어찌 되었든, 두 정치체의 동맹 네트워크는 마닐라의 라자와 톤도의 라칸 모두가 현재 부라칸과 판팡가에 있는 여러 정착지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영토적 통제는 아님)을 행사했음을 보여준다.[46][32]

1521년의 기록에는 훗날 라자 마탄다[18]가 된 "왕자" 아체[80][32]가 등장하는데, 당시 아체의 어머니[80][18]가 통치하던 마닐라와 아체의 사촌이 따로 통치하던 톤도 사이에 격렬한 영토 분쟁이 있었음을 언급한다.[80][18] 이 분쟁은 아체가 톤도에 대한 지렛대로 삼아 군사적 지원을 얻기 위해 삼촌인 브루나이 술탄에게 도망갈 만큼 심각했다.[80][90][32]

톤도와 마닐라는 1570년 마르틴 데 고이티와의 최초 협상 당시 술레이만 라자가 비사야의 "핀타도스(pintados)"에 대해 비하하는 발언을 했기 때문에 비사야의 정치 세력들과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묘사된다.[46][32] 술레이만은 마닐라 사람들은 "칠을 한 비사야인들과는 다르다"며 비사야인들처럼 쉽게 자유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랑했다.[46][32] 스콧은 이것이 최소한 술레이만이 비사야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잘 알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13] 아마도 톤도와 마닐라가 군도 전역의 정치 세력들과 발전시킨 무역 관계에서 비롯된 것일 것이다.

7. 1. 2. 부타스, 탐보봉, 마카베베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 불라칸과 팜팡가 지역의 여러 정치체의 다투(datu, 지방 지배자)들은 톤도와 마닐라의 영향력을 받았다.[46][32] 그러나 톤도의 북쪽 이웃 정착지와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블레어와 로버트슨이 번역한 익명의 1571년 기록에는 "이웃 마을"인 "부타스"(현재 나보타스(Navotas))가 1571년 톤도와는 독립적으로 행동했으며,[46][32] 방쿠사이 전투에서 마카베베의 지도자와 동맹을 맺었다고 적혀 있다.[46][32][79] 다른 자료들에서는 나보타스 북쪽에 있는 또 다른 독립 마을인 탐보봉(Tambobong, 현재의 말라본(Malabon)시)을 언급한다.

7. 1. 3. 비사야인

톤도는 비사야 지역의 정치 세력들과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역사 기록과 구전 전통에 따르면,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 톤도와 마닐라의 영향력이 불라칸주와 판팡가주 지역의 다투(datu, 지방 지배자)들에게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이러한 영향력을 인정하여 1571년 말 톤도의 라칸(Lakan, 지도자)인 부나오에게 마르틴 데 고이티의 불라칸과 판팡가 원정에 동참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46][32]

7. 2. 필리핀 군도 외

필리핀 루손과 비사야 지역에서 수코타이 왕국과 사완칼록에서 온 여러 도자기류가 발견되었다. 필리핀에서 발견된 시암 유물은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본토 동남아시아와 필리핀 제도 사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시사한다.[83][84]

7. 2. 1. 자바

라구나 구리판 비문(900년경)은 자바에서 발전한 카위 문자로 쓰여졌다. 이 비문은 구말레이어로 쓰여졌으며, 일부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자바어 요소가 포함되어 있고, 많은 단어들이 타갈로그어와 상응하는 단어를 가지고 있다.[8] 이는 자바의 영향이 루손처럼 멀리 떨어진 섬까지 미쳤다는 희귀한 증거이며, 당시 섬들 사이의 교류 규모를 보여준다.[81]

네덜란드 인류학자 안톤 포스트마는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현대 필리핀의 특정 장소와 일치할 수 있는 지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결론지었다. 예를 들어, 'Tundun'(톤도), 'Pailah'(현재 노르자가라이의 바랑가이 산 로렌조 지역인 Paila), 'Binwangan'(현재 오반도의 일부인 Binuangan), 그리고 'Puliran'(풀릴란) 등이 있다.[47] 특히 'Mdaŋ'이라는 지명은 오늘날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마타람 왕국(9세기에서 10세기 무렵 번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어 흥미롭다. 그러나 톤도와 자바의 관계의 성격은 명확하지 않다.

7. 2. 2. 시암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본토 동남아시아와 필리핀 제도 사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시암 유물이 필리핀에서 발견되었다.[83][84] 수코타이 왕국과 사완칼록에서 온 여러 도자기류가 루손과 비사야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7. 2. 3. 명나라

명나라와의 관계는 톤도 왕국의 경제에 매우 중요했다. 1373년 루손에서 사신이 명나라에 도착했다는 기록이 명실록(明實錄)[107]에 처음으로 나타나는데, 이때 톤도의 통치자들은 단순한 족장이 아닌 왕(王)으로 인정받았다.[108]

빌헬름 졸하임의 누산타오 해상 무역 및 통신망 이론에 따르면, 중국과 동남아시아, 필리핀 지역 간의 문화적 연관성은 초기 정착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09] 필리핀 원주민과 중국 사이의 무역에 대한 초기 고고학적 증거는 당나라송나라 시대의 도자기와 자기 조각의 형태로 나타난다.[110]

명나라가 부상하면서 제도에 최초의 중국 정착민들이 도착했다. 이들은 현지 주민들과 조화롭게 살았고, 결국 혼인하여 오늘날 많은 필리핀 사람들이 중국계 혈통을 가지게 되었다.[110]

명나라 황제들이 1371년부터 약 1567년까지 해금(海禁) 법을 시행하여 중국을 해상 무역으로부터 폐쇄했을 때도, 톤도 왕국과의 무역은 복주 항구를 통해 조공 무역 형태로 위장하여 공식적으로 계속 허용되었다.[85] 이 외에도 광저우와 취안저우에서 더 광범위한 비밀 무역이 루손으로 중국 상품을 가져왔다.[86]

이러한 무역 관계를 통해 루손과 톤도는 중국 상품이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거래되는 중심지가 되었다. 중국과의 무역이 매우 엄격했기 때문에 이러한 상품을 운반하는 루손 상인들은 "중국인"으로 간주되기도 했다.[86] 톤도는 중국 상품의 재분배를 통해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32]

7. 2. 4. 일본

무로마치 시대 이전부터 일본과 필리핀 왕국 간의 관계가 시작되었으며, 당시 일본 상인들이 루손에 정착했다.[87] 특히 마닐라 교외의 딜라오(Dilao) 지역에는 1600년경 약 3,000명의 일본계 필리핀인들이 거주하는 "니혼마치(Nihonmachi)"가 있었다. 1593년 딜라오에 300~400명 정도의 거주지가 형성되었고, 1603년 상글리 반란(Sangley rebellion) 당시에는 1,500명, 1606년에는 3,000명으로 늘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수천 명의 일본 상인들이 필리핀으로 이주하여 현지 주민과 동화되었다.[87][88]

일본은 10년에 한 번만 무역이 허용되었다. 일본 상인들은 종종 왜구를 이용하여 비단과 자기와 같은 중국 상품을 획득했다. 시마이 소우시츠(島井宗室)와 카미야 소우탄(神屋宗湛)과 같이 16세기 유명한 일본 상인이자 차 전문가들은 루손 섬에 지사를 설립했다. 루손 스케자에몬(呂宋助左衛門)은 유명한 일본 상인으로, 나야(納屋)라는 성을 루손(呂宋)으로 바꾸기까지 했다.[89]

8. 역사적 사건 연표


  • 1521년: 마젤란 원정대가 필리핀에 도착.[46][32][18]
  • 1570년 중반: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마르틴 데 고이티를 파견하여 루손 섬의 모로 정착지를 조사.[46][32][18] 라자 마탄다(Rajah Matanda)는 고이티를 환영했지만, 라자 술라이만(Rajah Sulayman)이 스페인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협상 결렬.[46][32][18] 라칸둘라(Lakandula)는 협상에 참여하려 했으나 고이티가 마닐라에 집중하면서 무시당함.[46]
  • 1570년 5월 24일: 협상 결렬 후 마닐라에서 전투 발생. 마닐라 정착지가 불탐.[46][32][18] 스페인 측은 고이티가 방화를 명령했다고 주장하지만, 초토화 작전의 가능성도 제기됨.[32] 고이티는 승리 후 레가스피에게 복귀.[46][32]

8. 1. 마닐라와의 갈등 (1521년 이전)

지리적으로 가까웠기 때문에 톤도는 이웃한 마닐라와 긴밀하고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32] 톤도와 마닐라는 중국 상품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이 상품들이 군도 전체로 유통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32] 톤도의 항구는 중국 상품의 도착을 통제했고, 마닐라는 그 상품을 군도의 다른 정착지에 소매로 판매했다.[32]

훗날 라자 마탄다[18]가 된 "왕자" 아체[80][32]에 대한 1521년 기록에는, 당시 아체의 어머니가[80][18] 통치하던 마닐라와 아체의 사촌이 আলাদা(따로) 통치하던 톤도 사이에 격렬한 영토 분쟁이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80][18] 마젤란 원정대원 지네스 데 마프라, 로드리고 데 아간두루 모리스, 그리고 원정 기록관 안토니오 피가페타의 기록에 따르면, 라자 마탄다의 회상을 통해 1521년 이전 수년 동안 마닐라가 톤도와 영토 분쟁을 벌였다고 한다.[32]

당시 라자 마탄다의 어머니(이름은 기록에 없음)는 마닐라 정치체의 최고 통치자였는데, 라자 마탄다의 아버지(이름은 기록에 없지만 살랄릴라로 추정됨)[32]'''[97]'''가 사망한 후 어린 라자 마탄다를 대신하여 통치를 이어받았다.[80] 라자 마탄다는 당시 "젊은 왕자" 아체[18]로 알려져 있었고, 톤도의 통치자인 사촌과 함께 자랐다.[80] 일부에서는[18] 그 사촌을 젊은 부나오 라칸둘라로 추정하지만, 역사학자 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는 2016년 연구에서 "페르난도 말랑 발라가스타스의 유언"에 언급된 말란시 또는 말랑시로 확인했는데, 그는 아체의 삼촌과 고모인 발라가스타스 왕자와 판기노안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이는 그 이론을 뒷받침한다.'''[97]''' 그러나 스페인 기록에는 그 사촌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다.[32]

이때 아체는 톤도 정치체의 통치자인 그의 사촌이 아체의 어머니를 "''교활하게''"[80] 이용하여 마닐라의 영토를 빼앗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80] 아체가 어머니에게 그 문제를 해결할 허락을 구했지만, 어머니는 거절하고 대신 평화를 유지하라고 격려했다.[80] 아체 왕자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고, 아버지의 신임받는 신하들과 함께 마닐라를 떠나 브루나이 술탄인 "할아버지"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술탄은 아체에게 해군 사령관직을 주었다.[80] 이 분쟁은 아체가 톤도 왕국에 대한 지렛대로 삼아 군사적 지원을 얻기 위해 삼촌인 브루나이 술탄에게 망명할 만큼 심각했다.[80][90][32]

9. 톤도의 주요 통치자와 귀족

마젤란 원정대 기록에 따르면, 1521년 이전 마닐라는 톤도와 영토 분쟁을 겪었다.[32] 당시 마닐라의 최고 통치자는 라자 마탄다의 어머니였는데, 그녀는 아버지(살랄릴라로 추정) 사후 어린 아들을 대신해 통치했다.[32]'''[97]''' 라자 마탄다는 "젊은 왕자" 아체[18]로 알려졌으며, 톤도의 통치자인 사촌과 함께 자랐다.[80] 이 사촌은 부나오 라칸둘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역사학자 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는 아체의 삼촌과 고모의 아들인 말란시로 비정했다.'''[97]'''

아체는 톤도의 사촌이 어머니를 이용해 마닐라 영토를 빼앗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80] 아체는 브루나이 술탄에게 도움을 청했고, 술탄은 그에게 해군 사령관직을 주었다.[80] 1521년, 아체는 세바스티안 엘카노가 지휘하는 마젤란 원정대의 잔여 세력을 공격했다.[18][90][32] 이는 톤도 통치자인 사촌에 대한 지렛대로 함대를 이용하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18]

1570년, 스페인인들은 마닐라의 라자 마탄다(Rajah Matanda)에게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으나, 라자 술라이만(Rajah Sulayman)은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46][32][18] 톤도의 통치자 라칸둘라(Lakandula)는 협상에서 의도적으로 무시당했다.[46] 협상이 결렬되고 전투가 벌어져 마닐라 정착지가 불탔다.[46][32][18]

1571년 방쿠사이 해협 전투에서 타릭 술레이만(Tarik Sulayman)이 이끄는 현지인들의 저항이 패배하면서, 스페인은 마닐라와 인근 지역에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92]

9. 1. 톤도의 역사적 통치자

다수의 톤도 지배자들이 역사적 기록에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 마젤란과 레가스피 원정대원들의 편지 형식의 직접적인 기록 (스페인어로 "''relaciones''"라 함)[32]
  • 초기 스페인 식민 정부가 보관한 다양한 공증된 족보 기록,[32] 주로 해당 지배자들의 후손들의 유언장 형태[18]
  • 자야데와의 경우,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특정 언급[8]


직책이름세부 정보재위 기간주요 출처학계의 주요 출처에 대한 평가
세네파티익명세네파티[105] (제독).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서 자야데와를 대표하는 지배자이자, 900년경 나무와란 경과 그의 친척 다양 안가탄과 부카의 과도한 빚을 탕감해 준 인물로만 알려져 있다.900년경[8]라구나 구리판 비문900년경 톤도의 지배자로서의 신원은 안톤 포스트마[8]가 제안했으며 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짐[27]
라칸 또는 라칸둘라익명, 아마도 말랑시1882년 스페인 문서에 따르면, 톤도의 익명의 지배자는 아체의 사촌 형으로, 술탄 볼키아의 딸인 아체의 익명의 어머니의 섭정하에 마닐라를 공격했으며,[95] 말란시 또는 말랑시로 확인되며, 발라가타스 왕자와 판기누안의 장남이다.[97]'''[96]1521년경[95]"Coleccion de Documentos Inéditos para la Historia de España" by the Marquis of Fuensanta del Valle (1882)[95]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2016)에 의해 발라가타스 왕자의 장남인 말란시 또는 말랑시로 확인됨[96]
라칸 또는 라칸둘라판소문, 후에 돈 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97]로 세례 받음타붕가오 출신이라고 주장하며, 말란시와 만딕의 아들이며, "라칸둘라"(아마도 톤도의)로 고용되었고, 후에 비날라토난, 팡가시난에서 사망했다.[97]1521년경–1589년경[97]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 (데리, 2001 인용)[97]'''발라가타스와 그의 유언의 진위는 이사벨로 데 로스 레이스와 윌리엄 헨리 스콧이 의문을 제기했지만,[98][99] 루이스 카마라 데리와 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가 지지함[97][96]
라칸 또는 라칸둘라부나오 (라칸 둘라)부나오 라칸둘라, 톤도의 라칸, 그는 "라칸"이라는 칭호를 가진 마지막 지배자이다.출생:
사망: 1575년경
"레가스피와 라자 마탄다가 모두 1572년에 사망한 후 3년 후."[32] 재위: 1570년대 이전
레가스피 원정대 (1570년대 초)의 여러 직접 기록, 스페인 족보 문서[18]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직접 기록이며, 스페인 중심적 편향에 대한 수정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32][27], 족보 문서의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18][27]
[32] (아마도 라칸이지만, 용어의 실제 사용은 역사적 문서에 기록되지 않음.)[18]아구스틴 데 레가스피톤도의 마지막 토착 지배자. 라자 술라이만의 아들, 부나오 라칸 둘라 사후 톤도의 최고 지배자로 선포됨. 1588년 톤도 음모의 공동 주동자는 그의 사촌 마가트 살라마트 (라칸 둘라의 아들)였으며, 스페인에 체포되어 처형되어 최고 지배자 직책이 해체됨.[32]1575년–1589년레가스피 원정대의 직접 기록 (1570년대 중반), 스페인 족보 문서[18]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직접 기록이며, 스페인 중심적 편향에 대한 수정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32][27], 족보 문서의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18][27]


9. 2. 전설적인 통치자

구전 역사에 따르면 톤도에는 다음과 같은 통치자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직책이름세부 정보재위 기간주요 출처학계 평가
세네파티익명세네파티(제독)로서,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서 자야데와를 대표하여 나무와란 경과 그의 친척 다양 안가탄과 부카의 빚을 탕감해 준 인물로 알려져 있다.[105]900년경[8]라구나 구리판 비문안톤 포스트마[8]가 제안하고 필리핀 역사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수용[27]
라칸 또는 라칸둘라익명 (아마도 말랑시)1882년 스페인 문서에 따르면, 아체의 사촌 형으로 술탄 볼키아의 딸인 아체의 익명의 어머니의 섭정하에 마닐라를 공격했다.[95] 발라가타스 왕자와 판기누안의 장남인 말랑시 또는 말랑시로 확인된다.[97][96]1521년경[95]"Coleccion de Documentos Inéditos para la Historia de España" (1882)[95], 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 (데리, 2001 인용)[97]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2016)가 발라가타스 왕자의 장남인 말란시 또는 말랑시로 확인[96]
라칸 또는 라칸둘라판소문 (돈 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97]타붕가오 출신으로, 말란시와 만딕의 아들이며, "라칸둘라"(아마도 톤도의)로 고용되었고, 후에 비날라토난, 팡가시난에서 사망했다.[97]1521년–1589년[97]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 (데리, 2001 인용)[97]발라가타스와 그의 유언의 진위는 이사벨로 데 로스 레이스와 윌리엄 헨리 스콧이 의문을 제기했지만,[98][99] 루이스 카마라 데리와 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가 지지[97][96]
라칸 또는 라칸둘라부나오 (라칸 둘라)부나오 라칸둘라는 톤도의 라칸으로, "라칸"이라는 칭호를 가진 마지막 지배자이다.1575년경 사망[32] (1570년대 이전)레가스피 원정대 (1570년대 초)의 여러 기록, 스페인 족보 문서[18]필리핀 역사학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직접 기록이며, 스페인 중심적 편향에 대한 수정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32][27] 족보 문서의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18][27]
[32]아구스틴 데 레가스피톤도의 마지막 토착 지배자. 라자 술라이만의 아들이자 부나오 라칸 둘라 사후 톤도의 최고 지배자로 선포되었다. 1588년 톤도 음모의 공동 주동자인 사촌 마가트 살라마트와 함께 스페인에 체포되어 처형되면서 최고 지배자 직책이 해체되었다.[32]1575년–1589년레가스피 원정대의 기록 (1570년대 중반), 스페인 족보 문서[18]필리핀 역사학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직접 기록이며, 스페인 중심적 편향에 대한 수정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32][27] 족보 문서의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18][27]


9. 3. 톤도와 관련된 귀족

톤도는 여러 명의 다투(다투)들이 이끄는 대규모 해안 정착지였으며, 이들은 "둘로한" 또는 "바랑가이"라고 불리는 추종자들을 거느렸다.[32][16] 각 바랑가이를 이끄는 다투들은 "최고 통치자"[27] 또는 "최고 다투"[14]로 불리는 "라칸"[32][16]의 지도력을 인정했다.

마닐라 남부 정치체를 이끈 최고 다투는 "라자"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민다나오의 이슬람화된 정치체에서는 "술탄"이라는 유사한 칭호가 사용되었다.[14]

1587년에서 1588년에 걸쳐 일어난 톤도 음모는 "라칸들의 반란" 또는 "마하리카들의 음모"로도 불리며, 마닐라와 부라칸, 판팡가의 일부 마을의 타갈로그족과 팜팡가족 귀족들이 스페인 식민 지배에 대항하여 일으킨 사건이다.[94] 이 음모는 아구스틴 데 레가스피가 이끌었는데, 그는 톤도의 주요 족장 중 한 명인 마기누의 아들이자 스페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정복자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손자이자 라칸 둘라의 조카였다.

역사적 기록에 구체적으로 기록된 톤도 지배자들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세부 정보재위 기간주요 출처학계의 주요 출처에 대한 평가
세네파티익명세네파티(제독).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서 자야데와를 대표하는 지배자로, 나무와란 경과 그의 친척 다양 안가탄과 부카의 빚을 탕감해 준 인물로만 알려져 있다.900년경[8]라구나 구리판 비문에서 900년경 톤도의 지배자로 확인됨900년경 톤도의 지배자로서의 신원은 안톤 포스트마[8]가 제안했으며 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짐[27]
라칸 또는 라칸둘라익명, 아마도 말랑시1882년 스페인 문서에 따르면, 톤도의 익명의 지배자는 아체의 사촌 형으로, 술탄 볼키아의 딸인 아체의 익명의 어머니의 섭정하에 마닐라를 공격했다.[95] 말랑시 또는 말랑시로 확인되며, 발라가타스 왕자와 판기누안의 장남이다.[97][96]1521년경[95]"Coleccion de Documentos Inéditos para la Historia de España" by the Marquis of Fuensanta del Valle (1882)[95]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2016)에 의해 발라가타스 왕자의 장남인 말란시 또는 말랑시로 확인됨[96]
라칸 또는 라칸둘라판소문, 후에 돈 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97]로 세례 받음타붕가오 출신이라고 주장하며, 말란시와 만딕의 아들이며, "라칸둘라"(아마도 톤도의)로 고용되었고, 후에 비날라토난, 팡가시난에서 사망했다.[97]1521년–1589년경[97]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 (데리, 2001 인용)[97]발라가타스와 그의 유언의 진위는 이사벨로 데 로스 레이스와 윌리엄 헨리 스콧이 의문을 제기했지만,[98][99] 루이스 카마라 데리와 이안 크리스토퍼 알폰소가 지지했다.[97][96]
라칸 또는 라칸둘라부나오 (라칸 둘라)부나오 라칸둘라, 톤도의 라칸, 그는 "라칸"이라는 칭호를 가진 마지막 지배자이다.출생:
사망:1575년경
"레가스피와 라자 마탄다가 모두 1572년에 사망한 후 3년 후."[32] 재위: 1570년대 이전
레가스피 원정대 (1570년대 초)의 여러 직접 기록; 스페인 족보 문서[18]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직접 기록이며, 스페인 중심적 편향에 대한 수정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32][27] 족보 문서의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18][27]
[32]
(아마도 라칸이지만, 용어의 실제 사용은 역사적 문서에 기록되지 않음.)[18]
아구스틴 데 레가스피톤도의 마지막 토착 지배자; 라자 술라이만의 아들, 부나오 라칸 둘라 사후 톤도의 최고 지배자로 선포되었다. 1588년 톤도 음모의 공동 주동자는 그의 사촌 마가트 살라마트 (라칸 둘라의 아들)였으며, 스페인에 체포되어 처형되어 최고 지배자 직책이 해체되었다.[32]1575년–1589년레가스피 원정대의 직접 기록 (1570년대 중반); 스페인 족보 문서[18]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직접 기록이며, 스페인 중심적 편향에 대한 수정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32][27] 족보 문서의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심사의 대상임.[18][27]


10. 주요 자료

(오달-데보라가 기록한 구전에서 사용된 용어)[31]사사반니크 호아킨과 레오나르도 비벤시오가 전하는 구전에 따르면, 마자파힛 궁정으로 가서 솔레단 황제와 결혼한 "나마얀의 숙녀"로, 결국 발라가타스를 낳았고, 1335년에서 1380년 사이에 나마얀/파시그로 돌아왔다.[31]13세기 또는 14세기[31]레오나르도 비벤시오와 니크 호아킨이 인용한 구전[31]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니크 호아킨의 비학술적 저서에서 인용된 후, 2000년 오달-데보라에서 다시 언급되었다.[97][31]"공주" 또는 "숙녀"
(오달-데보라가 기록한 구전에서 사용된 용어)[31]팡기노안오달-데보라가 인용한 바탄가이뇨 민속 전통[31]에 따르면, 파시그의 통치자였던 칼랑기탄과 론톡의 딸로, 결국 발라얀과 타알의 왕 발라가타스와 결혼했다. 오달-데보라가 인용한 팜팡가[31] 민속 전통에 따르면, 결국 칼랑기탄의 손자바가타스와 결혼했다. 니크 호아킨과 레오나르도 비벤시오가 전하는 구전에 따르면, 나마얀의 통치를 통합하기 위해 1300년 마자파힛의 솔레단 황제의 아들 발라가타스와 결혼한 "파시그의 팡기노안 공주"이다.[31]15세기[97]바탄가이뇨 민속 전통, 팜팡가 민속 전통, 비벤시오와 호아킨이 인용한 구전[31]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니크 호아킨의 비학술적 저서에서 인용된 후, 2000년 오달-데보라에서 다시 언급되었다.[97][31]론톡오달-데보라가 인용한 바탄가이뇨 민속 전통[100]에 따르면, 칼랑기탄의 남편으로 함께 "파시그의 통치자" 역할을 했다.[100]15세기[101]팜팡가 민속 전통[31]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니크 호아킨의 비학술적 저서에서 인용된 후, 2000년 오달-데보라에서 다시 언급되었다.[97][31]다양 또는 술타나칼랑기탄[31]바탄가이뇨 민속 전통에서는 전설적인 "파시그의 여인"[102]으로, 팜팡가 민속 전통에서는 "사파의 통치자"(오달-데보라가 기록)[102]로 알려져 있다.15세기[97]팜팡가 민속 전통[31]페르난도 말랑 발라가타스의 유언장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니크 호아킨의 비학술적 저서에서 인용된 후, 2000년 오달-데보라에서 다시 언급되었다.[97][31]술탄볼키아[103][32]브루나이 민속사에 따르면, 술탄 볼키아는 필리핀을 정복한 것으로 알려진 "나코다 라감" 또는 "노래하는 선장"이다.[32] 이 전통은 그가 마닐라를 점령했다고 알려진 대포인 "시 간타르 알람"(지진을 일으키는 천둥)의 이름까지 기록하고 있다.[32] 그는 마닐라 전투(1500년)에서 톤도의 통치자들이 패한 후 마닐라 지역 중심부에 전초 기지를 설립했다. 이 전설에 따르면, 브루나이의 술탄 볼키아는 라디양 마탄다 또는 마탄다 라자로도 알려진 늙은 라자 아체의 할아버지이다.[18]약 1500년~1524년––


10. 1. 1차 사료

초기 타갈로그어 사전들에 따르면,[16][32] 라칸이나 라자가 최고 지도자가 되는 톤도와 마닐라와 같은 대규모 해안 정착지는 타갈로그어로 "''바얀''"이라고 불렸다.[16][32][44] 이 용어는 오늘날 "국가" 또는 "마을"로 번역되며, 현대에는 "''반사''"(국가를 의미함)와 함께 필리핀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하지만 식민지 이전 톤도 정착지는 여러 가지로 묘사되어 왔다. 톤도와 접촉했던 군주제 문화권 출신 여행자들(중국인, 포르투갈인, 스페인인 포함)[114]은 톤도를 "''톤도 왕국''"으로 잘못 표현하기도 했다.[114][32][16]

역사가 F. 란다 호카노는 톤도를 "대규모 바랑가이"로 묘사하여, 필리핀 역사가들이 전통적으로 식민지 이전 사회의 "기본적인 정치 구조"로 간주해 온 것보다 더 큰 규모로 만들었다.[14] 그러나 "바랑가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 최근 역사가 데이몬 우즈는 20세기 미국인의 잘못된 번역(후안 데 플라센시아의 저술) 결과라고 비판했다.[20]

톤도의 정치 구조에 대한 문화 간 부정확성을 피하기 위해,[114] 학술 논문에서는 "'''톤도 정치체'''" 또는 "'''톤도 정착지'''"로 묘사한다.[14][16][32]

명나라의 부상은 최초의 중국 정착민들이 필리핀 제도에 도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은 현지 주민들과 조화롭게 살았고, 결국 혼인하여 오늘날 많은 필리핀 사람들이 중국계 혈통을 가지게 되었다.[110] 많은 필리핀 문화 관습들은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통치보다 중국에서 유래했다.[110]

명나라 황제들이 1371년부터 약 1567년까지 해금 법을 시행하여 중국을 해상 무역으로부터 폐쇄했을 때도 톤도 왕국과의 무역은 복주 항구를 통해 공납 체제로 위장하여 공식적으로 계속 허용되었다.[85] 광저우와 취안저우에서 더 광범위한 비밀 무역이 루손으로 중국 상품을 가져왔다.[86] 루손과 톤도는 중국 상품이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거래되는 중심지가 되었고, 루손 상인들은 "중국인"으로 간주되었다.[86]

직책이름세부 정보기간주요 출처주요 출처에 대한 학술적 고찰
환 (Hwan, "존경하는" 또는 "영주")[8]남와란(Namwaran)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남와란과 부카의 조상이자, 해당 거래의 원래 채무자로 여겨짐.[8]안톤 포스트마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문
다양[8]앙카탄(Angkatan)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남와란의 후손(딸)이며, 부카와 남와란을 통해 연관.[8]안톤 포스트마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문
부카(Bukah)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남와란의 후손이며, 앙카탄과 관련.[8]안톤 포스트마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문
카수무란(Kasumuran)[8]
(불확실)
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인물일 가능성 있음[8]. 고위 관리 또는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의 고대 이름.[8]안톤 포스트마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문포스트마는 지명 또는 인명으로 해석.[8] 티옹손은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을 가리킬 가능성 제시.[49][50]
가트[8]비슈루타(Bishruta)[8]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빈와간"의 고위 관리 대표.[8]안톤 포스트마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문포스트마의 빈와간의 불라칸 위치에 대한 결론은 티옹손(2006)에 의해 의문 제기.[49][50]
가나샤크티(Ganashakti)[8]라구나 구리판 비문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파이라"의 고위 관리인 자야데와의 대표.[8]안톤 포스트마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번역문포스트마의 파이라의 불라칸 위치에 대한 결론은 티옹손(2006)에 의해 의문 제기.[49][50]
다투마가트 살라마트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 공모자. 부나오 라칸둘라의 아들이며, 라자 술라이만의 아들 아구스틴 데 레가스피 치하에서 다투로 활동. 레가스피는 라칸둘라 사후 톤도의 다투들 위에 최고 통치자로 선포.[32]레가스피 원정대(1570년대 중반) 1차 자료; 스페인 계보 문서[18]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1차 자료. 스페인 중심적 편향 수정은 학술적 동료 검토 대상;[32][27] 계보 문서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검토 대상.[18][27]
루이스 아마니칼로아(Luis Amanicaloa)[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에 참여한 톤도 출신 마기누 계급 구성원.
펠리페 아마를랑가귀(Felipe Amarlangagui)[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에 참여한 카탕할란 출신 마기누 계급 구성원.
영주 발링깃[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에 참여한 판다칸의 다투.
피통가탄(Pitongatan) (Pitong-gatang)[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에 참여한 톤도 출신 마기누 계급 구성원.
카풀롱(Kapulong)[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에 참여한 칸다바, 팜팡가 출신 마기누 계급 구성원.
후안 바시(Juan Basi)[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에 참여한 타기그의 다투.
에스테반 타에스(Esteban Taes) (지누웅 타시(Ginoong Tasi))[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에 참여한 불라칸 출신 다투.



스콧은 1984년 저서 "필리핀 역사 연구를 위한 이전 시대의 자료"에서 초기 역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계보 정보를 담고 있는 "준역사적" 계보 자료로 술루와 마긴다나오의 타르실라, 브루나이의 바투 타르실라(Batu Tarsila)를 확인한다.[114]

10. 1. 1. 명나라 궁정 기록 (1300년대경)

톤도에 대한 초기 중국 역사 기록은 명실록(明實錄)에서 찾을 수 있는데, 1373년 루손(Luzon)에서 온 사신이 명나라에 도착했다는 기록이 있다.[107] 톤도(東都)의 통치자들은 단순한 족장이 아니라 왕(王)으로 인정받았다.[108] 이는 톤도가 중국과 필리핀 제도 원주민 간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빌헬름 졸하임의 누산타오 해상 무역 및 통신망 이론에 따르면, 중국과 동남아시아, 그리고 필리핀 지역 간의 문화적 연결은 초기 정착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09] 필리핀 원주민과 중국 사이의 무역에 대한 초기 고고학적 증거는 당나라송나라 시대의 도자기와 자기 조각들이다.[110][111]

10. 1. 2. 직접적인 스페인 기록 (1521년 - 1500년대 후반)

초기 스페인 기록들은 마닐라에 비해 톤도를 작은 "''마을''"로 묘사했지만,[46] 이는 히스파노중심주의적 편향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14]

1521년 마젤란 원정대는 마닐라, 루손, 톤도를 언급했다.[32] 엘카노 지휘 하에 원정대는 브루나이 술탄의 해군 사령관을 사로잡았는데, 연구자들은 그가 라자 마탄다가 된 아체 왕자라고 추정한다.[32][18] 로드리고 데 아간두루 모리스, 지네스 데 마프라, 원정대 서기관 안토니오 피가페타 등이 이 사건과 아체의 심문을 기록했다.[112]

1500년대 파시그 강 삼각주 사건들은 스페인인들의 서간체 기록("relaciones")에 담겨있다.[18][32] 대부분 1571~1572년 마르틴 데 고이티, 미겔 데 레가스피 군대의 마닐라 만 도착 이후를 묘사한다. 원정대 서기관 에르난도 데 리켈, 기도 데 라베사레스, 레가스피의 기록이 포함된다.[32]

이 자료들은 후에 스페인에서 편찬되었고,[32] 일부는 블레어와 로버트슨의 "필리핀 제도, 1493-1898(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에 수록되었다.[32]

초기 타갈로그 사전과 문법서도 식민지 이전 타갈로그 문화를 보여준다. 프레이 산 부에나벤투라의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1613),[113] 프레이 프란시스코 블랑카스 데 산 호세의 ''Arte de la lengua tagala''(1610) 등이 그 예이다.[32]

1570년대 초 스페인 함대 도착 전후 톤도 통치자 계보는 (부나오) 라칸둘라 직계 후손, 마탄다, 술라이만 등이 작성한 공증된 스페인 문서[18]가 대부분이다.[18] 이들은 "라칸둘라 문서"로 국가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18]

10. 1. 3. 초기 타갈로그어 사전 (1500년대 후반 - 1600년대 초)

초기 타갈로그어 사전인 페드로 데 산 부에나벤투라의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1613)에서는 톤도가 "왕국"으로 잘못 표현되었다고 설명했다.[113] 그러나 빈센테 L. 라파엘은 스페인 식민 시대 작가들이 해양 동남아시아 지도 구조의 복잡한 권력 관계를 묘사할 적절한 단어가 없었기 때문에 이 명칭을 사용했다고 지적한다.[3]

10. 2. 주요 계보 자료

직책이름세부 정보기간주요 출처주요 출처에 대한 학술적 고찰
환 (Hwan, 아마도 "존경하는" 또는 "영주"를 의미)[8]남와란(Namwaran)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남와란과 부카의 조상이자, 해당 거래의 원래 채무자로 여겨짐.[8] "환"이라는 칭호는 LCI의 문맥에 따라 "존경하는" 또는 "영주"로 번역됨.안톤 포스트마(Antoon Postma)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번역문
다양(Dayang)[8]앙카탄(Angkatan)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남와란의 후손(딸)이며, 부카와 남와란을 통해 연관되어 있음.[8]안톤 포스트마(Antoon Postma)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번역문
부카(Bukah)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남와란의 후손이며, 앙카탄(Angkatan)과 관련 있음.[8]안톤 포스트마(Antoon Postma)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번역문
카수무란(Kasumuran)[8] (불확실)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에 언급된 인물일 가능성 있음.[8] 이는 고위 관리를 가리키거나,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의 고대 이름을 가리킬 수 있음.안톤 포스트마(Antoon Postma)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번역문포스트마는 이를 지명 또는 인명으로 해석했음.[8] 티옹손(Tiongson)이 제안한 라구나 호 남동쪽 해안 지역을 가리킬 가능성 있음.[49][50]
가트(Gat)[8]비슈루타(Bishruta)[8]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빈와간(Binwagan)"의 고위 관리 대표였음.[8]안톤 포스트마(Antoon Postma)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번역문포스트마의 빈와간(Binwagan)의 불라칸(Bulacan) 위치에 대한 결론은 라구나 지역 사학자 티옹손(Tiongson, 2006)에 의해 의문을 제기받았음.[49][50]
가나샤크티(Ganashakti)[8]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에 언급된 인물로 추정.[8] "파이라(Pailah)"의 고위 관리인 자야데와(Jayadewa)의 대표였음.[8]안톤 포스트마(Antoon Postma)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번역문포스트마의 파이라(Pailah)의 불라칸(Bulacan) 위치에 대한 결론은 라구나 지역 사학자 티옹손(Tiongson, 2006)에 의해 의문을 제기받았음.[49][50]
다투(Datu)마가트 살라마트(Magat Salamat)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의 공모자. 부나오 라칸 둘라(Bunao Lakan Dula)의 아들이며, 사촌이자 공모자인 라자 술라이만(Rajah Sulayman)의 아들인 아구스틴 데 레가스피(Agustin de Legaspi) 치하에서 다투로 활동했음. 레가스피는 라칸둘라(Lakandula) 사후 톤도(Tondo)의 다투들 위에 최고 통치자로 선포되었음.[32]레가스피 원정대(1570년대 중반)의 1차 자료; 스페인 계보 문서[18]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1차 자료. 스페인 중심적 편향에 대한 수정은 학술적 동료 검토 대상임;[32][27] 계보 문서의 진실성은 학술적 동료 검토 대상임.[18][27]
루이스 아마니칼로아(Luis Amanicaloa)[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에 참여한 톤도(Tondo) 출신 마기누(Maginoo) 계급 구성원.
펠리페 아마를랑가귀(Felipe Amarlangagui)[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에 참여한 카탕갈란(Katanghalan) 출신 마기누(Maginoo) 계급 구성원.
영주 발링깃(Balingit)[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에 참여한 판다칸의 다투(Datu).
피통가탄(Pitongatan) (Pitong-gatang)[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에 참여한 톤도(Tondo) 출신 마기누(Maginoo) 계급 구성원.
카풀롱(Kapulong)[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에 참여한 칸다바(Candaba), 팜팡가(Pampanga) 출신 마기누(Maginoo) 계급 구성원.
후안 바시(Juan Basi)[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에 참여한 타기그(타기그(Taguig))의 다투(Datu).
에스테반 타에스(Esteban Taes) (또는 지누웅 타시(Ginoong Tasi)로 알려짐)[104]1588년 "마할리카의 음모(Conspiracy of the Maharlikas)"에 참여한 불라칸(Bulacan) 출신 다투(Datu).


참조

[1] 간행물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2-04-01
[2] 문서 Earliest historical reference
[3] 서적 The Promise of the Foreign: Nationalism and the Technics of Translation in the Spanish Philippines 2005
[4] 문서 Earliest historical reference
[5] 문서 Participation as "Tondo" not explicitly mentioned in these oral history
[6]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1989
[7] 서적 Manila, My Manila Vera Reyes, Inc.
[8]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http://www.philippi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008-06-27
[9] 서적 Southeast Asia: An Introductory History Allen & Unwin 2004
[10] 문서 Practiced by some members of the "Maginoo" caste, the apex social class (Scott, 1994)
[11] 서적 Filipino Religious Consciousness Institute for Studies in Asian Church and Culture 1999
[12] 웹사이트 'Piloncitos' and the 'Philippine golden age' http://opinion.inqui[...] 2011-08-30
[13] 서적 Looking for the Prehispanic Filipino and Other Essays in the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New Day Publishers
[14] 서적 Filipino Prehistory: Rediscovering Precolonial Heritage Punlad Research House, Inc.
[15] 웹사이트 Maryland: Rowman and Littlefield http://malacanang.go[...]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16] 웹사이트 Pre-colonial Manila http://malacanang.go[...] Presidential Communications Development and Strategic Planning Office 2015-06-23
[17] 서적 Ranking, Resource, and Ex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A History of the Inarticulate New Day Publishers
[19] 서적 Urban Development and Civil Society: The Role of Communities in Sustainable C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20] 뉴스 The Explainer: Bamboozled by the barangay http://news.abs-cbn.[...] 2017-10-02
[21] 서적 Conquest and Pestilence in the Early Spanish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2] 서적 Paths Of Origins: The Austronesian Heritage In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The Museum Nasional Of Indonesia, And The Netherlands Rijksmuseum Voor Volkenkunde Artpostasia Pte Ltd 2011-09-16
[23] 서적 A Question of Origins Tuttle Publishing 2012-08-07
[24] 웹사이트 Ma'I in Chinese Records - Mindoro or Bai? An Examination of a Historical Puzzle http://www.philippin[...] Ateneo de Manila Press 2005
[25] 서적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Jose E. Marco's Kalantiaw Code: Implications for Philippine Historiography and Filipinos' Historical Consciousness https://scholarspace[...] 2011
[27] 간행물 Integrating History and Archaeology in the Study of Contact Period Philippine Chiefdoms
[28] 웹사이트 ANG TUNDO SA INSKRIPSYON sa Binatbat na Tanso ng Laguna (900 MK.-1588) http://www.bagongkas[...]
[29] 서적 Manila, My Manila: A History for the Young Anvil Publishing, Inc. 1990
[30] 서적 Arabic and Persian Loanwords in Tagalog https://books.google[...] Lulu.com 2013
[31] 서적 The River Dwellers, in Book Pasig: The River of Life (Edited by Reynaldo Gamboa Alejandro and Alfred A. Yuson) Unilever Philippines
[32] 서적 Barangay: Sixteenth 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33]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books.google[...] ABC-CLIO
[34]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35] 서적 The Philippines, a Unique Nation
[36] 서적 Plan de Manila, su Bahia, y Puerto de Cavite Madrid 1787
[37] 서적 Estado Geografico, Topografico, Estadistico, Historico-Religioso de la Santa y Apostolica Provincia de San Gregorio Magno Imprenta de M. Sanchez y Compañia 1865
[38] 서적 Historica general de las islas occidentals a la Asia adyacentes llamadas Philipinas 1882
[39] 서적 Oriental Ceramics Discovered in the Philippines Charles E. Tuttle Company 1967
[40] 서적 Ysla de Binondo Summit Publishing Co. 2014
[41] 학술지 Ang Tundo Ni Bonifacio, Si Bonifacio Sa Tundo http://www.bagongkas[...] Saliksikan Ng Kasaysayan : Bagong Kasaysayan (BAKAS), Incorporated. 2017-07-11
[42] 서적 Relación anónime de la conquista de la Isla de Luzón Isacio Rodriguez 1572-04-20
[43] 학술지 Full text of "The Philippine journal of science" https://archive.org/[...] 1928-07-02
[44] 학술지 The Organization of IntraRegional and LongDistance Trade in PreHispanic Philippine Complex Societies 1990
[45] 문서 Specifically meaning their "following", or group of loyal supporters
[46] 서적 Relation of the Conquest of the Island of Luzon Arthur H. Clark Company 1903
[47]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http://ojs.philippin[...] Philippine Studie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014-06-24
[48] 웹사이트 Magat Salamat http://geocities.com[...] 2008-07-14
[49] 웹사이트 Puliran in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Laguna de Bay or Pulilan, Bulacan? http://blog.bayangpi[...] 2011-11-18
[50] 웹사이트 Pailah is Pila, Laguna http://blog.bayangpi[...] 2011-11-18
[51] 웹사이트 History of Pila – A Glorious Past http://historyofpila[...] 2014-06-15
[52]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Mauban – History http://elgu2.ncc.gov[...] 2007-06-03
[53] 웹사이트 Maharlika and the ancient class system http://www.pilipino-[...] Pilipino Express 2012-07-18
[54] 서적 Cracks in the Parchment Curtain and Other Essays in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1982
[55] 서적 Pasig: The River of Life Unilever Philippines 2000
[56] 서적 Looking Back 6: Prehistoric Philippines Anvil Publishing, Inc. 2012
[57] 웹사이트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mts.net/~[...] 2006-07-14
[58]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bibingka.[...] 2008-09-04
[59] 서적 (Scott, 1984) 1984
[60] 웹사이트 Pusat Sejarah Brunei http://www.history-c[...] 2009-02-07
[61] 서적 The Soul Book: Introduction to Philippine Pagan Religion GCF Books, Quezon City 1991
[62] 서적 Popular Filipino Spiritual Beliefs with a proposed Theological Response OMF Literature Inc. 2005
[63] 서적 Philippine Folklore Stories https://www.gutenber[...]
[64] 서적 The Malays Wiley-Blackwell 2011
[65] 서적 History, culture, and region in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Southeast Asia Publications, Southeast Asia Program, Cornell University 1999
[66] 웹사이트 Early Buddhism in the Philippines https://philippinebu[...] Philippine Theravada Buddhist Fellowship 2017-12-01
[67] 학술지 Outline Review of Philippine Archaeology by Islands and Provinces 1947-07-00
[68] 웹사이트 Golden Tara http://agusandelsur.[...] Agusan Del Sur Provincial Information Management Office 2017-06-20
[69] 학술지 The excavation at Giong Ca Vo site 1977
[70] 웹사이트 A buddhist image from Karitunan site, Batangas province http://asj.upd.edu.p[...]
[71]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72] 웹사이트 Pasig City http://beta.pasigcit[...] 2017-05-12
[73] 뉴스 Review: 'Philippine Gold: Treasures of Forgotten Kingdoms' https://www.nytimes.[...] 2015-09-24
[74] 웹사이트 Money Museum http://www.bsp.gov.p[...]
[75] 웹사이트 'Piloncitos' and the 'Philippine golden age' http://opinion.inqui[...] 2011-08-30
[76]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Manila, Philippines: Art for All – www.metmuseum.ph http://www.metmuseum[...]
[77] 웹사이트 Philippine Coin Information: PILONCITOS: The treasure of Philippine numismatic http://coin.filipino[...]
[78] 웹사이트 Ancient Philippine Civilization https://web.archive.[...] 2013-01-07
[79] 서적 The Nameless Hero: Revisiting the Sources on the First Filipino Leader to Die for Freedom Holy Angel University Press
[80] 서적 Historia general de las Islas Occidentales a la Asia adyacentes, llamadas Philipinas Impr. de Miguel Ginesta
[81] 서적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https://books.google[...] Continental Sales, Incorporated
[82] 웹사이트 Liham mula sa nakaraan: Ang hiwaga ng Laguna copperplate http://www.laguna.go[...]
[83] 뉴스 Philippines-Thailand Diplomatic Relations Day http://www.mb.com.ph[...] 2012-06-13
[84] 서적 To Commemorate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Kingdom of Thailand and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Erawan Printing Ltd.
[85]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6] 서적 Conquistas de las Islas Filipinas 1565–1615 Pedro Galende, OSA 1998
[87] 서적 Interracial Intimacy in Japan: Western Men and Japanese Women, 1543–1900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3
[88] 문서
[89] 서적 Quests of the Dragon and Bird Clan https://books.google[...] Lulu.com 2006-10
[90] 서적
[91] 웹사이트 Foundation of the city of Manila, June 19, 1572 http://quod.lib.umic[...] Arthur H. Clark Company
[92] 웹사이트 Filipiniana.net – Act of Taking Possession of Luzon http://www.filipinia[...]
[93] 웹사이트 Manila – A History http://www.aenet.org[...] 1995-04-20
[94] 서적 The Roots of the Filipino Nation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95] 서적 Coleccion de Documentos Inéditos para la Historia de España National Library of Spain
[96] 간행물 Revisiting the Provenance of the Very Strange 1589 Last Will and Testament of Don Fernando Malang Balagtas https://pssc.org.ph/[...] 2016
[97] 서적 A History of the Inarticulate New Day Publishers
[98] 서적 El Folk-Lore Filipino (Volume 2)
[99] 서적 Cracks in the Parchment Curtain and Other Essays in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1982
[100] 서적 The River Dwellers, in Book Pasig : The River of Life (Edited by Reynaldo Gamboa Alejandro and Alfred A. Yuson) Unilever Philippines
[101] 서적 A History of the Inarticulate New Day Publishers
[102] 서적 The River Dwellers, in Book Pasig : The River of Life (Edited by Reynaldo Gamboa Alejandro and Alfred A. Yuson) Unilever Philippines
[103] 백과사전 Bolkiah, Sultan (r. 1485–1524) Scarecrow Press
[104] 서적 Conspiracy Against the Spaniards: Testimony in certain investigations made by Doctor Santiago de Vera, president of the Philipinas, May–July 1589 Arthur H. Clark Company
[105]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mts.net/~[...] 2006-07-14
[106]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bibingka.[...] 1996-10-26
[107] 웹아카이브 Ming Annals https://web.archive.[...]
[108] 웹아카이브 Volume 5 of 東西洋考 (A study of the Eastern and Western Oceans) mentions that Luzon first sent tribute to Yongle Emperor in 1406 https://web.archive.[...]
[109] 서적 Archaeology and Culture in Southeast Asia: Unraveling the Nusantao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110] 보도자료 Embassy Updates: China-Philippine Friendly Relationship Will Last Forever http://www.fmprc.gov[...]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03-10-15
[111] 웹사이트 Introduction | Southeast Asia in the Ming Shi-lu http://www.epress.nu[...]
[112] 서적 Relazione del primo viaggio intorno al mondo
[113] 서적 Vocabulario de lengua tagala: el romance castellano puesto primero
[114]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1984
[115] 간행물 The Houses of Lakandula, Matanda, and Soliman [1571–1898]:Genealogy and Group Ident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