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 페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페소는 필리핀의 통화로,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스페인령 아메리카에서 유입된 스페인 페소에서 유래되었다. 식민지 이전 시대에는 물물교환이 이루어졌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스페인 달러와 금 온사가 유통되었다. 미국 식민지 시대에는 금본위제가 도입되었고, 독립 이후 필리핀 중앙은행이 설립되어 통화 발행 및 관리를 담당하게 되었다. 필리핀 페소는 여러 차례 평가절하를 겪었으며, 현재는 변동 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필리핀 페소의 화폐는 주화와 지폐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념 화폐도 발행된다. 필리핀 중앙은행은 물가 목표제를 통해 통화 정책을 수행하며, 최근 화폐 오류, 위조, 환율 변동 등 다양한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경제 -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타기그 시에 위치한 금융 및 라이프스타일 중심지로, 과거 군 기지였던 보니파시오 요새 부지를 개발하여 고층 빌딩, 고급 주거 시설, 상업 시설, 교육 기관 등이 밀집한 현대적인 도시로 탈바꿈했으며, 2023년 대법원 판결로 타기그 시의 관할로 확정되었다.
  • 필리핀의 경제 - 필리핀 증권거래소
    필리핀 증권거래소(PSE)는 1927년 설립된 마닐라 증권거래소(MSE)와 1963년 설립된 마카티 증권거래소(MkSE)의 합병을 통해 1992년 출범한 필리핀의 주요 증권 거래소이다.
  • 페소 - 우루과이 페소
    우루과이의 공식 통화인 우루과이 페소는 금본위제 도입 후 경제 호황을 누렸으나, 인플레이션으로 여러 차례 통화 개혁을 거쳐 현재는 변동 환율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환율 안정과 수출 경쟁력 유지를 과제로 안고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도입을 검토 중이다.
  • 페소 - 쿠바 태환 페소
    쿠바 태환 페소는 1994년 쿠바 경제 위기 당시 미국 달러와 등가로 도입된 외화 환전권이었으나, 2020년 12월 폐지되어 쿠바 페소로 통합되면서 쿠바는 단일 통화 체제로 전환되었다.
  • 통화에 관한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중앙 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채굴을 통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된 자산이다.
  • 통화에 관한 - 피지 달러
    피지 달러는 피지의 공식 통화로, 과거 피지 파운드를 대체하여 재도입되었으며, 현재 지폐와 동전에는 피지의 동식물이 도안되어 피지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필리핀 페소
일반 정보
현지어 통화 이름 (필리핀어)Piso ng Pilipinas
현지어 통화 이름 (영어)Philippine peso
ISO 코드PHP
통화 기호
사용 국가필리핀
비공식 사용 국가팔라우
보조 단위 이름센티모 ()
보조 단위 비율1/100
복수 형태페소스
통화 정보
"신세대 통화 시리즈, 지폐 및 동전"
자주 사용되는 지폐₱20, ₱50, ₱100, ₱200, ₱500, ₱1000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해당사항 없음
자주 사용되는 동전5¢, 25¢, ₱1, ₱5, ₱10, ₱20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경제 정보
인플레이션율3.8%
인플레이션율 출처 및 날짜필리핀 통계청, 2024년 4월
인플레이션 측정 방법CPI
2019년 평균 인플레이션율2.5%
발행 정보
발행 기관필리핀 중앙은행 (BSP)
발행 기관 웹사이트필리핀 중앙은행 웹사이트
인쇄보안 공장 단지
인쇄 담당 기관 웹사이트국립 인쇄소
조폐보안 공장 단지
조폐 담당 기관 웹사이트필리핀 중앙은행 웹사이트

2. 역사

필리핀 페소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필리핀 페소는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마닐라 갈레온을 통해 스페인령 아메리카에서 대량으로 반입된 스페인 페소 또는 8레알화에서 유래했다. 같은 스페인 페소 또는 달러에서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여러 페소, 미합중국 달러, 홍콩 달러, 런민비(중국 위안), 일본 엔 등이 파생되었다.[5][6][7]

=== 식민지 이전 시대 ===

필리핀 제도의 식민지 이전 시대에는 현재 필리핀이 된 지역의 부족들 간, 그리고 인근 섬의 상인들과의 무역은 물물교환을 통해 이루어졌다.[8] 그러나 물물교환의 불편함 때문에 일부 물건이 교환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섬의 많은 지역에서 풍부했던 이 이러한 물건들에 사용되었다.[8] 필론시토스는 작은 구슬 모양의 금 조각으로, 현지 화폐학자들은 이를 고대 필리핀 사람들의 가장 초기 화폐로 간주하며, 금으로 만든 교환용 반지도 있었다.[8]

필론시토스, 필리핀 제도의 식민지 이전 시대 사람들이 사용했던 일종의 화폐


원래 은화 단위는 인도와 인도네시아와의 무역을 통해 유입된 루피아(rupiah)였다.[8]

오늘날 필리핀어에서 사용되는 돈을 뜻하는 두 개의 타갈로그어 단어는 ''salapi''와 아마도 ''pera''일 것이다. ''Salapi''는 ''isa''(하나) + ''rupya''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 타갈로그어로 적용되면 ''lapia''가 된다. 또는 아랍어 ''asrafi''(금화, 페르시아어 아쉬라피 참조) 또는 ''sarf''(돈, 환전)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Pera''는 말레이어 ''perak''(은)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단어는 타갈로그어/필리핀어에서 ''pilak''으로 직접적인 동족어 또는 변형어를 가지고 있다. 또는 스페인 페세타의 10센티모와 5센티모 동전인 ''perra gorda''와 ''perra chica''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 스페인 식민지 시대 ===

1521년 마젤란 원정을 통해 8레알 스페인 달러 또는 은 페소가 처음 소개되었고, 1565년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필리핀 정복 이후 대량으로 유입되었다.[6] 현지 통화인 살라피는 스페인 통치하에서 토스톤 또는 반 페소 동전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스페인 달러와 무게는 같지만 16실링 페소의 가치를 지닌 스페인 금 온사 또는 8에스쿠도 동전도 도입되었다.[6]

스페인령 아메리카에서 수입된 스페인 금화 온사 또는 8에스쿠도로, 16실링 페소의 가치를 지녔다.


마닐라 갤리온이 멕시코와 다른 스페인령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가져온 최초의 은화는 대략적으로 잘라낸 덩어리 형태인 콥 또는 마쿠키나였다. 이 동전들은 보통 한쪽에는 십자가, 다른 한쪽에는 스페인 왕실 문장이 새겨져 있었다. 1732년, 이러한 조잡한 동전들은 27.07그램의 순도 0.917 은(1771년에 0.903으로 수정됨)을 함유한 콜룸나리오(기둥 달러) 또는 "도스 문도스(두 세계)"라고 불리는 기계 주조 동전으로 대체되었다.[6]

스페인 달러 동전을 8조각으로 나누어 1스페인 레알의 가치를 지니게 하거나, 스페인 정부의 명령에 따라 필리핀에서 쿠아르토스 또는 바릴라스라고 불리는 조잡한 구리 또는 청동 동전을 주조하여 보조 화폐를 공급하였는데, 20쿠아르토가 1레알과 같았다(160쿠아르토가 1페소).[6] 19세기에 공식적으로 주조된 쿠아르토스가 부족하여 이고로트 구리 광부들이 코르디예라에서 만든 위조된 2쿠아르토 동전으로 부분적으로 해소되었다.

스페인, 중국, 그리고 인근 국가에서 수입된 동전에서 유래된 통화 시스템은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 화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동전으로 존재했고, 레알과 쿠아르토 외에도 보조 화폐가 존재했다. 화폐는 마닐라에서 거의 항상 부족했고, 풍부할 때는 지방으로[6] 수송되거나 수출품을 지불하기 위해 해외로 수출되었다.[9][10] 페소와 센티모(페소의 1/100)로 회계를 유지하도록 규정한 1857년 법령은 페소의 1/160에 해당하는 구리 쿠아르토의 존재를 고려할 때 상황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6]

스페인의 금 온자(또는 8-에스쿠도 동전)는 스페인 달러와 무게가 동일했지만, 공식적으로 16페소로 평가되어 페소를 금속병립제 기준에 두었다. 은 멕시코 페소(27.07g, 순도 0.903) 또는 금 온자의 1/16(1.6915g, 순도 0.875)의 가치를 지녔으며, 금-은 비율은 16이었다. 1850년대 국제 시장에서 금값이 하락하면서 은화 유출이 발생했고, 1875년 유럽에서 금본위제가 채택되면서 국제 금값이 상승하고 금화가 은 멕시코 페소로 대체되었다.

1877년부터 멕시코 페소 수입이 금지되었고, 1877년 이전의 멕시코 페소만이 필리핀 주조 페소와 ''페소 후에르테'' 지폐와 법적으로 동등했다. 필리핀 페소와 스페인 ''두로''(스페인의 "페소" 또는 5페세타 동전)는 ''신용화폐''(또는 법정화폐) 기준을 따랐다. 유통량 부족으로 멕시코 페소보다 가치가 높았지만, 두 동전 모두 금 페소에 비해 변동하는 할인율로 거래되었다.[11] 1877년 이전의 멕시코 페소는 1890년대까지 필리핀 10, 20, 50센티모 동전으로 재주조되었지만, 필리핀에서 더 높은 법정 가치 때문에 세관 공무원과의 공모로 지속적으로 밀수되었다.

1898년 이후 미국 식민 정부는 멕시코 페소의 무제한 수입을 허용했고, 필리핀 페소는 은본위제 통화가 되어 가치가 금 페소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1857년 필리핀에 마닐라 주화국(Casa de Moneda de Manila)이 설립되었고, 1861년부터 금 1, 2, 4페소 동전(4페소 동전은 6.766g의 순도 0.875 금)이 주조되었으며, 1864년부터 스페인 표준에 따라 50, 20, 10센티모 은화(100센티모는 25.96g의 순도 0.900 은, 1881년에 순도 0.835 은으로 낮춰짐)도 주조되었다.

1897년 스페인은 필리핀 유통을 위해 알폰소 13세의 흉상이 새겨진 1페소 은화와 5, 10센티모 데 페세타 동전을 1, 2센티모 데 페소 동전으로 도입했다. 스페인-필리핀 페소는 1904년 미국 당국이 새로운 미국-필리핀 페소를 선호하여 스페인-필리핀 페소를 통화에서 제외할 때까지 섬에서 유통되고 법정 통화였다.[12]

필리핀에서 처음 유통된 지폐는 엘 방코 에스파뇰 필리피노 데 이사벨 2세가 1851년에 발행한 필리핀 페소 후에르테였다. 은 페소 또는 금 온자로 전환 가능했으며, 1800,000 페소의 규모는 19세기 말 유통되던 약 40,000,000 은 페소에 비해 적었다.

=== 혁명 시대 ===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독립 선언 이후,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이 이끄는 필리핀 공화국(República Filipina)은 자국의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자체 주화와 지폐를 발행했다. 이 주화들은 페소의 하위 단위에 '센티모(céntimo)' 대신 '센타보(centavo)'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이었다. 파나이 섬에서도 혁명적인 주화가 발행되었다. 1901년 3월 23일 아기날도가 미국군에 의해 이사벨라주 팔라난에서 체포된 후, 혁명적인 페소는 사라졌다.

=== 미국 식민지 시대 ===

미국 의회는 1903년 필리핀 화폐법(Philippine Coinage Act of 1903)을 통과시켜, 순도 0.900의 금 12.9그레인(0.0241875 XAU)으로 구성된 이론적인 금 페소(실제 주조되지 않음)를 통화 단위로 설정했다.[13] 이 단위는 미국 달러의 절반에 해당했다. 1934년 미국 달러의 금 함량이 감소할 때까지 금본위제가 유지되었다. ₱2:미국 달러 1의 환율은 1946년 독립까지 유지되었다.

이 법은 멕시코 페소와 거의 동일한 무게와 순도의 필리핀 은 페소를 주조 및 발행하도록 규정했는데, 이는 50센트의 금 가치를 지니며 도서 재무부에서 금으로 상환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국민 사이에서 유일한 유통 수단이 될 것으로 의도되었다. 또한 이 법은 보조 및 소액 동전의 주조와 2페소 이상 10페소 이하(1905년부터 최대 500페소로 증가)의 은 지폐 발행을 규정했다.

191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주조된 미합중국 행정부 50센타보 은화.


1907년~1945년에 발행된 10센타보 동전.


또한 이 법은 허가된 동전의 평가액을 유지하기 위한 금본위제 기금의 조성을 규정하고, 도서 정부가 발행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되는 연 4%를 초과하지 않는 이자율의 일시적인 채무 증서를 발행할 수 있도록 허가했는데, 그 금액은 어느 시점에도 1,000만 달러 또는 2,000만 페소를 초과해서는 안 되었다.

미국령 행정부는 또한 1913년부터 1930년 사이에 쿨리온 나병 환자촌 주화를 발행했다.

=== 코먼웰스 시대 ===

1935년 필리핀이 미국령 코먼웰스가 되면서, 동전 뒷면에 사용되던 미합중국령 문장이 필리핀 코먼웰스의 국장으로 바뀌었고, 앞면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 문장은 날개를 위로 펼친 작은 독수리가 뾰족한 모서리가 있는 방패 위에 앉아 있고, 그 아래 "필리핀 코먼웰스"라고 적힌 두루마리가 있는 디자인이다. 이 디자인은 훨씬 복잡하고, 미적으로 덜 매력적이라고 널리 여겨진다.

필리핀 코먼웰스 시대의 1944년 5센타보 동전


=== 제2차 세계 대전 ===

1942년, 코레히도르 섬에서 일본군의 침략에 대한 저항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미-필리핀군은 마닐라 은행이 보유한 금과 중요 자산의 대부분을 오스트레일리아로 옮기는 데 성공했지만, 일본군에게 넘겨주기보다는 카바요 만 앞바다에 약 1,500만 페소(₱) 상당의 은화 페소를 바다에 버려야 했다. 전쟁 후 이 자산들은 필리핀 은행으로 반환되었고, 버려진 페소의 대부분은 회수되었지만 심하게 부식된 상태였다.[14]

필리핀을 점령한 일본군은 그 후 필리핀에서 사용할 법정화폐를 도입했다. 긴급 유통 지폐(게릴라 페소)는 은행과 지방 정부에서 조잡한 잉크와 재료를 사용하여 발행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 은화 페소로 교환할 수 있었다. 괴뢰 국가의 호세 P. 라우렐은 게릴라 화폐 소지 행위를 불법화하고 화폐 발행 독점을 선언했으며, 게릴라 지폐를 소지한 사람은 체포되거나 처형될 수도 있었다. 화폐의 법정화폐적 성격으로 인해 필리핀 경제는 초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았다.

인정받은 게릴라 부대를 포함한 미국과 필리핀 연방군은 필리핀 페소를 계속 인쇄했기 때문에, 1944년 10월부터 1945년 9월까지 긴급 게릴라 지폐를 제외한 모든 이전 발행분은 불법으로 간주되어 더 이상 법정 통화가 아니었다.

=== 독립 이후 ===

공화국 법률 제265호에 따라 1949년 1월 3일 필리핀 중앙은행(현재 방코 센트랄 응 필리피나스)이 설립되어 국가의 은행 및 신용 시스템을 관리하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 법에 따라 모든 필리핀 통화의 인쇄 및 주조 권한은 필리핀 중앙은행에 귀속되었고, 필리핀 제도 은행 및 필리핀 국립은행과 같은 은행의 통화 발행 권한이 박탈되었다.[15]

필리핀은 전후 농업 생산의 느린 회복, 상품 수입으로 인한 무역 적자, 상품 부족으로 인한 높은 인플레이션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필리핀 중앙은행은 1950년대에 고정 환율제를 도입하여 페소의 환전성을 미국 달러당 ₱2로 유지했다.[16] 이 제도는 수입 규제를 위한 "필리핀 우선" 정책과 결합되어 국가의 수입 패턴을 재편하고 국제수지(대외결제수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달러가 일반적으로 달러당 ₱3 이상에 거래되는 암시장이 생겨났다.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행정부는 외환 규제를 철폐하고 1965년부터 달러당 ₱3.90의 자유 시장 환율을 채택했다. 이 조치는 외환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맞추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국제수지(외환보유액)를 크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평가절하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1970년에는 달러당 ₱6.43으로 추가 평가절하가 필요했다.

1967년 주화에 영어 대신 필리핀어 용어가 채택되었고, 1969년 지폐도 이를 따랐다. 통화 용어는 영어 "centavo"와 "peso"에서 필리핀어 "sentimo"와 "piso"로 변경되었다.

1970년부터 1993년 BSP 재설립까지 필리핀 중앙은행은 "관리 부유 환율제"를 도입하여 단기 변동성을 줄이는 데만 전념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인플레이션 관리와 환율 안정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1983년부터 1986년까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에 대한 신뢰 위기로 환율이 달러당 ₱11에서 ₱20로 거의 두 배가 되고 상품 가격도 두 배가 되었다.

1990년대의 긍정적인 정치 및 경제적 발전은 경제 자유화를 심화시키고 중앙은행의 목표를 인플레이션 안정 유지로 변경할 기회를 제공했다. 1993년 제정된 새로운 중앙은행법(공화국 법률 제7653호)은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을 설립하여 물가 안정을 유지하고 정부 간섭으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했다. 필리핀 페소는 완전 변동 환율제에 편입되어 시장이 페소의 거래 수준을 결정한다.[17]

필리핀 페소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24~46, 2000년부터 2009년까지 ₱40~56, 2010년부터 2019년까지 ₱40~54의 범위에서 미국 달러에 대해 거래되었다. 1903년부터 1934년까지 페소를 0.9 금 12.9그레인(또는 0.0241875 XAU)으로 정의했던 기존 기준은 2021년 11월 기준 금값을 바탕으로 ₱2,266.03의 가치를 지닌다.[18]

2. 1. 식민지 이전 시대

필리핀 제도의 식민지 이전 시대에는 현재 필리핀이 된 지역의 부족들 간, 그리고 인근 섬의 상인들과의 무역은 물물교환을 통해 이루어졌다.[8] 그러나 물물교환의 불편함 때문에 일부 물건이 교환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섬의 많은 지역에서 풍부했던 이 이러한 물건들에 사용되었다.[8] 필론시토스는 작은 구슬 모양의 금 조각으로, 현지 화폐학자들은 이를 고대 필리핀 사람들의 가장 초기 화폐로 간주하며, 금으로 만든 교환용 반지도 있었다.[8]

원래 은화 단위는 인도와 인도네시아와의 무역을 통해 유입된 루피아(rupiah)였다.[8]

오늘날 필리핀어에서 사용되는 돈을 뜻하는 두 개의 타갈로그어 단어는 ''salapi''와 아마도 ''pera''일 것이다. ''Salapi''는 ''isa''(하나) + ''rupya''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 타갈로그어로 적용되면 ''lapia''가 된다. 또는 아랍어 ''asrafi''(금화, 페르시아어 아쉬라피 참조) 또는 ''sarf''(돈, 환전)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Pera''는 말레이어 ''perak''(은)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단어는 타갈로그어/필리핀어에서 ''pilak''으로 직접적인 동족어 또는 변형어를 가지고 있다. 또는 스페인 페세타의 10센티모와 5센티모 동전인 ''perra gorda''와 ''perra chica''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21년 마젤란 원정을 통해 8레알 스페인 달러 또는 은 페소가 처음 소개되었고, 1565년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필리핀 정복 이후 대량으로 유입되었다.[6] 현지 통화인 살라피는 스페인 통치하에서 토스톤 또는 반 페소 동전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스페인 달러와 무게는 같지만 16실링 페소의 가치를 지닌 스페인 금 온사 또는 8에스쿠도 동전도 도입되었다.[6]

마닐라 갤리온이 멕시코와 다른 스페인령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가져온 최초의 은화는 대략적으로 잘라낸 덩어리 형태인 콥 또는 마쿠키나였다. 이 동전들은 보통 한쪽에는 십자가, 다른 한쪽에는 스페인 왕실 문장이 새겨져 있었다. 1732년, 이러한 조잡한 동전들은 27.07그램의 순도 0.917 은(1771년에 0.903으로 수정됨)을 함유한 콜룸나리오(기둥 달러) 또는 "도스 문도스(두 세계)"라고 불리는 기계 주조 동전으로 대체되었다.[6]

스페인 달러 동전을 8조각으로 나누어 1스페인 레알의 가치를 지니게 하거나, 스페인 정부의 명령에 따라 필리핀에서 쿠아르토스 또는 바릴라스라고 불리는 조잡한 구리 또는 청동 동전을 주조하여 보조 화폐를 공급하였는데, 20쿠아르토가 1레알과 같았다(160쿠아르토가 1페소).[6] 19세기에 공식적으로 주조된 쿠아르토스가 부족하여 이고로트 구리 광부들이 코르디예라에서 만든 위조된 2쿠아르토 동전으로 부분적으로 해소되었다.

스페인, 중국, 그리고 인근 국가에서 수입된 동전에서 유래된 통화 시스템은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 화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동전으로 존재했고, 레알과 쿠아르토 외에도 보조 화폐가 존재했다. 화폐는 마닐라에서 거의 항상 부족했고, 풍부할 때는 지방으로[6] 수송되거나 수출품을 지불하기 위해 해외로 수출되었다.[9][10] 페소와 센티모(페소의 1/100)로 회계를 유지하도록 규정한 1857년 법령은 페소의 1/160에 해당하는 구리 쿠아르토의 존재를 고려할 때 상황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6]

스페인의 금 온자(또는 8-에스쿠도 동전)는 스페인 달러와 무게가 동일했지만, 공식적으로 16페소로 평가되어 페소를 금속병립제 기준에 두었다. 은 멕시코 페소(27.07g, 순도 0.903) 또는 금 온자의 1/16(1.6915g, 순도 0.875)의 가치를 지녔으며, 금-은 비율은 16이었다. 1850년대 국제 시장에서 금값이 하락하면서 은화 유출이 발생했고, 1875년 유럽에서 금본위제가 채택되면서 국제 금값이 상승하고 금화가 은 멕시코 페소로 대체되었다.

1877년부터 멕시코 페소 수입이 금지되었고, 1877년 이전의 멕시코 페소만이 필리핀 주조 페소와 ''페소 후에르테'' 지폐와 법적으로 동등했다. 필리핀 페소와 스페인 ''두로''(스페인의 "페소" 또는 5페세타 동전)는 ''신용화폐''(또는 법정화폐) 기준을 따랐다. 유통량 부족으로 멕시코 페소보다 가치가 높았지만, 두 동전 모두 금 페소에 비해 변동하는 할인율로 거래되었다.[11] 1877년 이전의 멕시코 페소는 1890년대까지 필리핀 10, 20, 50센티모 동전으로 재주조되었지만, 필리핀에서 더 높은 법정 가치 때문에 세관 공무원과의 공모로 지속적으로 밀수되었다.

1898년 이후 미국 식민 정부는 멕시코 페소의 무제한 수입을 허용했고, 필리핀 페소는 은본위제 통화가 되어 가치가 금 페소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1857년 필리핀에 마닐라 주화국(Casa de Moneda de Manila)이 설립되었고, 1861년부터 금 1, 2, 4페소 동전(4페소 동전은 6.766g의 순도 0.875 금)이 주조되었으며, 1864년부터 스페인 표준에 따라 50, 20, 10센티모 은화(100센티모는 25.96g의 순도 0.900 은, 1881년에 순도 0.835 은으로 낮춰짐)도 주조되었다.

1897년 스페인은 필리핀 유통을 위해 알폰소 13세의 흉상이 새겨진 1페소 은화와 5, 10센티모 데 페세타 동전을 1, 2센티모 데 페소 동전으로 도입했다. 스페인-필리핀 페소는 1904년 미국 당국이 새로운 미국-필리핀 페소를 선호하여 스페인-필리핀 페소를 통화에서 제외할 때까지 섬에서 유통되고 법정 통화였다.[12]

필리핀에서 처음 유통된 지폐는 엘 방코 에스파뇰 필리피노 데 이사벨 2세가 1851년에 발행한 필리핀 페소 후에르테였다. 은 페소 또는 금 온자로 전환 가능했으며, 1800,000 페소의 규모는 19세기 말 유통되던 약 40,000,000 은 페소에 비해 적었다.

2. 3. 혁명 시대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독립 선언 이후,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이 이끄는 필리핀 공화국(República Filipina)은 자국의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자체 주화와 지폐를 발행했다. 이 주화들은 페소의 하위 단위에 '센티모(céntimo)' 대신 '센타보(centavo)'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이었다. 파나이 섬에서도 혁명적인 주화가 발행되었다. 1901년 3월 23일 아기날도가 미국군에 의해 이사벨라주 팔라난에서 체포된 후, 혁명적인 페소는 사라졌다.

2. 4. 미국 식민지 시대

미국 의회는 1903년 필리핀 화폐법(Philippine Coinage Act of 1903)을 통과시켜, 순도 0.900의 금 12.9그레인(0.0241875 XAU)으로 구성된 이론적인 금 페소(실제 주조되지 않음)를 통화 단위로 설정했다.[13] 이 단위는 미국 달러의 절반에 해당했다. 1934년 미국 달러의 금 함량이 감소할 때까지 금본위제가 유지되었다. ₱2:미국 달러 1의 환율은 1946년 독립까지 유지되었다.

이 법은 멕시코 페소와 거의 동일한 무게와 순도의 필리핀 은 페소를 주조 및 발행하도록 규정했는데, 이는 50센트의 금 가치를 지니며 도서 재무부에서 금으로 상환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국민 사이에서 유일한 유통 수단이 될 것으로 의도되었다. 또한 이 법은 보조 및 소액 동전의 주조와 2페소 이상 10페소 이하(1905년부터 최대 500페소로 증가)의 은 지폐 발행을 규정했다.

또한 이 법은 허가된 동전의 평가액을 유지하기 위한 금본위제 기금의 조성을 규정하고, 도서 정부가 발행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되는 연 4%를 초과하지 않는 이자율의 일시적인 채무 증서를 발행할 수 있도록 허가했는데, 그 금액은 어느 시점에도 1,000만 달러 또는 2,000만 페소를 초과해서는 안 되었다.

미국령 행정부는 또한 1913년부터 1930년 사이에 쿨리온 나병 환자촌 주화를 발행했다.

2. 5. 코먼웰스 시대

1935년 필리핀이 미국령 코먼웰스가 되면서, 동전 뒷면에 사용되던 미합중국령 문장이 필리핀 코먼웰스의 국장으로 바뀌었고, 앞면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 문장은 날개를 위로 펼친 작은 독수리가 뾰족한 모서리가 있는 방패 위에 앉아 있고, 그 아래 "필리핀 코먼웰스"라고 적힌 두루마리가 있는 디자인이다. 이 디자인은 훨씬 복잡하고, 미적으로 덜 매력적이라고 널리 여겨진다.

2. 6.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코레히도르 섬에서 일본군의 침략에 대한 저항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미-필리핀군은 마닐라 은행이 보유한 금과 중요 자산의 대부분을 오스트레일리아로 옮기는 데 성공했지만, 일본군에게 넘겨주기보다는 카바요 만 앞바다에 약 1,500만 페소(₱) 상당의 은화 페소를 바다에 버려야 했다. 전쟁 후 이 자산들은 필리핀 은행으로 반환되었고, 버려진 페소의 대부분은 회수되었지만 심하게 부식된 상태였다.[14]

필리핀을 점령한 일본군은 그 후 필리핀에서 사용할 법정화폐를 도입했다. 긴급 유통 지폐(게릴라 페소)는 은행과 지방 정부에서 조잡한 잉크와 재료를 사용하여 발행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 은화 페소로 교환할 수 있었다. 괴뢰 국가의 호세 P. 라우렐은 게릴라 화폐 소지 행위를 불법화하고 화폐 발행 독점을 선언했으며, 게릴라 지폐를 소지한 사람은 체포되거나 처형될 수도 있었다. 화폐의 법정화폐적 성격으로 인해 필리핀 경제는 초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았다.

인정받은 게릴라 부대를 포함한 미국과 필리핀 연방군은 필리핀 페소를 계속 인쇄했기 때문에, 1944년 10월부터 1945년 9월까지 긴급 게릴라 지폐를 제외한 모든 이전 발행분은 불법으로 간주되어 더 이상 법정 통화가 아니었다.

2. 7. 독립 이후

공화국 법률 제265호에 따라 1949년 1월 3일 필리핀 중앙은행(현재 방코 센트랄 응 필리피나스)이 설립되어 국가의 은행 및 신용 시스템을 관리하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 법에 따라 모든 필리핀 통화의 인쇄 및 주조 권한은 필리핀 중앙은행에 귀속되었고, 필리핀 제도 은행 및 필리핀 국립은행과 같은 은행의 통화 발행 권한이 박탈되었다.[15]

필리핀은 전후 농업 생산의 느린 회복, 상품 수입으로 인한 무역 적자, 상품 부족으로 인한 높은 인플레이션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필리핀 중앙은행은 1950년대에 고정 환율제를 도입하여 페소의 환전성을 미국 달러당 ₱2로 유지했다.[16] 이 제도는 수입 규제를 위한 "필리핀 우선" 정책과 결합되어 국가의 수입 패턴을 재편하고 국제수지(대외결제수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달러가 일반적으로 달러당 ₱3 이상에 거래되는 암시장이 생겨났다.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행정부는 외환 규제를 철폐하고 1965년부터 달러당 ₱3.90의 자유 시장 환율을 채택했다. 이 조치는 외환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맞추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국제수지(외환보유액)를 크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평가절하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1970년에는 달러당 ₱6.43으로 추가 평가절하가 필요했다.

1967년 주화에 영어 대신 필리핀어 용어가 채택되었고, 1969년 지폐도 이를 따랐다. 통화 용어는 영어 "centavo"와 "peso"에서 필리핀어 "sentimo"와 "piso"로 변경되었다.

1970년부터 1993년 BSP 재설립까지 필리핀 중앙은행은 "관리 부유 환율제"를 도입하여 단기 변동성을 줄이는 데만 전념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인플레이션 관리와 환율 안정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1983년부터 1986년까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에 대한 신뢰 위기로 환율이 달러당 ₱11에서 ₱20로 거의 두 배가 되고 상품 가격도 두 배가 되었다.

1990년대의 긍정적인 정치 및 경제적 발전은 경제 자유화를 심화시키고 중앙은행의 목표를 인플레이션 안정 유지로 변경할 기회를 제공했다. 1993년 제정된 새로운 중앙은행법(공화국 법률 제7653호)은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을 설립하여 물가 안정을 유지하고 정부 간섭으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했다. 필리핀 페소는 완전 변동 환율제에 편입되어 시장이 페소의 거래 수준을 결정한다.[17]

필리핀 페소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24~46, 2000년부터 2009년까지 ₱40~56, 2010년부터 2019년까지 ₱40~54의 범위에서 미국 달러에 대해 거래되었다. 1903년부터 1934년까지 페소를 0.9 금 12.9그레인(또는 0.0241875 XAU)으로 정의했던 기존 기준은 2021년 11월 기준 금값을 바탕으로 ₱2,266.03의 가치를 지닌다.[18]

3. 화폐

## 화폐

최소 통화 단위는 필리핀 영어(스페인어 ''centavo''에서 유래)로는 센타보(centavo)라고 한다.[19] 1967년 "필리피노 시리즈" 채택 이후, 필리핀어(스페인어 ''céntimo''에서 유래)로는 공식적으로 센티모(sentimo)로 알려지게 되었다.[19] 그러나 "센타보(centavo)"와 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철자 ''síntabo'' 및 ''sentabo''는 여전히 타갈로그어에서 동의어로 사용된다. 다른 필리핀 언어, 예를 들어 아바크논어,[20] 비콜어,[21] 세부아노어,[22][23] 쿠요논어,[24] 일로카노어,[25] 그리고 와라이어[20]를 포함하여 센티모(sentimo)보다 센타보(centavo)가 더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다. 차바카노어에서는 센타보를 ''céns''(또는 ''séns'')라고 한다.[26]

20세기에는 센타보 단위의 동전에 대한 타갈로그어 단어가 더 일반적이었지만, 이후 사용량이 감소했다.[27]


  • 1/2센타보 동전은 쿠싱(kusing)이라고 불렸고, 1센타보 동전은 이쌍 페라(isang pera) 또는 삼페라(sampera)라고 불렸다.
  • 5, 10, 25, 50센타보 동전은 스페인어 이름인 싱코(singko), 디예스(diyes), 벤테싱코(bentesingko), 싱크웬타(singkwenta)로 불렸다. 또한 50센타보 동전은 살라피(salapi)라고도 불렸다.
  • "1페소씩", "50센타보씩", "1센타보씩"은 각각 마미소(mamiso), 마날라피(manalapi), 마메라(mamera)로 표현될 수 있다.


### 주화

스페인 식민 정부는 1857년 마닐라 주조국(Casa de Moneda de Manila)을 설립하여 10센티모, 20센티모, 50센티모 은화와 1페소, 2페소, 4 페소 금화를 주조했다.[28]

미국 정부는 1903년 필리핀 주화법(Philippine Coinage Act)에 따라 미국의 주조국에서 1/2센타보, 1센타보, 5센타보의 비금속 주화와 10센타보, 20센타보, 50센타보, 1페소의 은화를 주조했다. 1920년 마닐라 주조국을 재개장했고, 코먼웰스 시대까지 주화를 생산했다.[28] 1/2센타보와 일반 발행 1페소 주화는 제외되었으며, 기념 1페소 주화는 1936년에 주조되었다.

1937년, 독수리와 방패를 형상화한 뒷면 디자인이 필리핀 코먼웰스의 국장으로 변경되었지만, "미국 연합(United States of America)"이라는 문구는 유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으로 인해 1942년부터 1943년까지는 주화가 주조되지 않았다. 주조는 코먼웰스 시대 마지막으로 1944년에서 1945년 사이에 재개되었다. 주화는 1949년부터 1957년까지 센타보 단위의 소액권 지폐가 발행된 후 1958년에야 다시 발행되었다.[28]

1958년, 영어 주화 시리즈가 도입되어 청동 1센타보, 황동 5센타보, 니켈 황동 10센타보, 25센타보, 50센타보가 발행되었다. 20센타보는 단종되었다.[28]

1967년, 페소와 센타보가 각각 '피소'와 '센티모'로 개명된 필리피노어 주화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1센티모, 황동 5센티모, 니켈 황동 10, 25, 50센티모로 구성되었다. 1피소 주화는 1972년에 다시 도입되었다.[29]

1975년, 앙 바봉 리푸난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1센티모, 황동 5센티모, 니켈-구리 10센티모, 25센티모, 1피소와 순수 니켈 5피소 주화로 구성되었으며, 5피소 주화는 거의 유통되지 않았다.[30]

1983년, 동식물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1, 5, 10센티모, 황동 25센티모, 니켈-구리 50센티모, 1피소, 그리고 새로운 2피소 주화로 구성되었다.[31][32] 1991년부터 1994년까지 25센티모에서 2피소까지의 주화 크기가 개선된 동식물 시리즈에 따라 축소되었고, 새로운 니켈 황동 5피소 주화가 도입되었다.[31][32]

1995년, 신 디자인 주화 시리즈가 도입되어 1998년 1월 3일에 이전에 발행된 모든 주화 시리즈를 대체하고 폐지하였다. 처음에는 구리 도금 강철 1, 5, 10센티모, 황동 25센티모, 니켈-구리 1피소, 니켈 황동 5피소로 구성되었다. 2000년에는 이중금속 10피소 주화가 추가되었다. 2003년에는 25센티모와 1피소의 재질이 각각 황동 도금 강철과 니켈 도금 강철로 변경되었다.[31][32]

현행 시리즈는 2017년에 도입되었으며, 니켈 도금 강철 1, 5, 25센티모와 1, 5, 10피소로 구성된다. 2019년 12월에는 이중금속 도금 강철 20피소 주화가 도입되었고,[33] 둥근 강철 5피소 주화가 1피소와 10피소와 너무 비슷하다는 불만에 따라 수정된 9각형 5피소 주화가 발행되었다.

P0.25(~$0.005) 미만의 주화는 여전히 발행되고 있지만, 점점 불편함으로 여겨지고 있다. 1페소 미만의 모든 주화를 회수하고 폐지하자는 제안은 정부와 중앙은행(BSP)에 의해 거부되었다.[34]

신세대 주화 시리즈
가치앞면뒷면지름무게두께재질가장자리앞면뒷면도입
1센티모
38px
38px
15 mm1.90 g1.54 mm니켈 도금 강철평평"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세 개의 별과 태양(필리핀 국기의 양식화된 표현); 금액; 주조 연도; 주조 표시망코노/Xanthostemon verdugonianus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2018년 3월 26일
5센티모
40px
40px
16 mm2.20 g1.60 mm톱니카팔-카팔 바깅/Hoya pubicalyxmul[35];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2018년 3월 26일
25센티모
50px
50px
20 mm3.60 g1.65 mm평평캇몬/Dillenia philippinensis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1피소
58px
58px
23 mm6.00 g2.05 mm분절(평평 및 톱니 가장자리)"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호세 리살 초상화; 금액; 주조 연도; 주조 표시왈링-왈링/Vanda sanderiana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2018년 3월 26일
5피소
63px
63px
25 mm7.40 g2.20 mm평평"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초상화; 금액;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미세 인쇄; 주조 연도; 주조 표시타야박/Strongylodon macrobotrys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미세 인쇄2017년 11월 30일
5피소 (구각형 모양)
64px
68px
25 mm7.40 g2.20 mm2019년 12월 17일
10피소
68px
68px
27 mm8.00 g2.05 mm"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이탤릭체로 새겨진 가장자리"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초상화; 금액;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미세 인쇄; 주조 연도; 주조 표시카파-카파/Medinilla magnifica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미세 인쇄; 미세 점2018년 3월 26일
20피소
80px
83px
30 mm11.50 g2.10 mm테두리: 청동 도금 강철; 중앙: 니켈 도금 강철여섯 각도에 "BSP"가 새겨진 평평한 가장자리테두리: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중앙: 마누엘 케손 초상화; 금액;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미세 인쇄; 주조 연도; 주조 표시닐라드/Scyphiphora hydrophylacea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말라카냥궁;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미세 인쇄2019년 12월 17일



### 지폐

필리핀 페소 지폐는 1852년 ''엘 방코 에스파뇰 필리피노 데 이사벨 2세''(현재 필리핀 국립은행) 명의로 10, 25, 50, 200 페소 후에르테권이 처음 발행되었다. 1903년 미국 식민지 통치기관인 도서정부는 은증권을 발행했고, 1908년 필리핀 국립은행 지폐, 1916년 필리핀 국립은행 지폐, 1918년 필리핀 재무부의 재무증권이 추가되었다. 1946년 필리핀 독립 이후에는 재무증권만 법정통화로 남았다.

1918년에 도입된 재무증권 시리즈의 1페소 지폐.


미-필리핀 행정부 하에 발행된 모든 지폐는 16 x 6.6 cm 크기였으며, 이는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필리핀 총독의 제안으로 도입되었다.[36] 태프트 대통령은 미국의 지폐 크기를 필리핀 크기로 변경하는 것의 장점을 보고한 위원회를 임명했고,[36] 1928년부터 미국 달러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 지폐와 필리핀 지폐의 크기는 거의 동일해졌다.

1949년 필리핀 중앙은행은 지폐 발행을 인수했고, 1951년 영어 시리즈 지폐를 발행했다.[28] 1967년 '''필리피노 시리즈'''에서 필리핀어(타갈로그어)를 채택했고,[29] 1973년 앙 바공 리푸난 시리즈가 도입되었다.[30]

1951년에 도입된 영어 시리즈의 100페소 지폐.


1985년 필리핀 중앙은행은 '''신 디자인 시리즈'''를 발행하며 1987년 500페소 지폐, 1991년 1000페소 지폐, 2002년 200페소 지폐를 추가 발행했다.[37] 신 디자인 시리즈는 1993년 '''BSP 시리즈'''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2010년 신권 시리즈로 교체되었다.[38][39][40][41] 신 디자인/BSP 시리즈 지폐는 2016년 1월 1일부터 법정통화가 아니었고, 2018년 1월 3일에 화폐가 폐지되었다.[38][41]

필리핀 중앙은행은 2007년 신권(NGC) 프로젝트를 통해 보안 기능을 강화하고 내구성을 개선한 신권 시리즈를 2010년 12월 16일 발행했다.[42][43] 새 지폐는 유명 필리핀인과 상징적인 자연 경관을 특징으로 하며, 바이바인으로 "Pilipino"를 표기했다.[44] 500페소 지폐 뒷면의 푸에르토프린세사 지하강과 1000페소 지폐의 투바타하 암초 위치 오류 등 여러 오류가 발견되었으나, 이는 잉크 인쇄의 색상 제한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45][46][47] 2016년에는 100페소 지폐의 색상이 더 강한 보라색으로 수정되었다.[49]

2019년, 20페소 지폐를 대체할 20페소 동전이 도입되었고,[50][51] 2022년 4월 18일부터 1000페소 지폐가 폴리머 지폐로 교체되었다.[68]

현재 유통되는 지폐는 2010년에 발행된 1000, 500, 200, 100, 50, 20페소권이다. 1985년 발행된 구권은 2017년 4월 1일부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액면가앞면 도안뒷면 도안
100페소마누엘 아쿠냐 록사스필리핀 중앙은행 청사
500페소베니그노 아키노1986년 필리핀 피플파워를 포함한 베니그노 아키노의 일생을 담은 그림들.[70][71][72]
1000페소호세 아바드 산토스계단식 논



### 기념 화폐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은 필리핀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 지폐를 발행한다.[53] 일반적인 기념 방식은 유통되는 지폐의 워터마크 영역에 기념 오버프린트를 추가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고액권의 특별히 인쇄된 기념 비유통 지폐도 있다.


  • 2,000페소: 필리핀 독립 선언 100주년(Philippine Centennial|Centennial of Declaration of Philippine Independence), 1998년
  • 100,000페소: 필리핀 독립 선언 100주년(Philippine Centennial|Centennial of Declaration of Philippine Independence), 1998년
  • 5,000페소: 2021년 필리핀 500주년 기념(2021 Quincentennial Commemorations in the Philippines)

3. 1. 주화

스페인 식민 정부는 1857년 마닐라 주조국(Casa de Moneda de Manila)을 설립하여 10센티모, 20센티모, 50센티모 은화와 1페소, 2페소, 4 페소 금화를 주조했다.[28]

미국 정부는 1903년 필리핀 주화법(Philippine Coinage Act)에 따라 미국의 주조국에서 1/2센타보, 1센타보, 5센타보의 비금속 주화와 10센타보, 20센타보, 50센타보, 1페소의 은화를 주조했다. 1920년 마닐라 주조국을 재개장했고, 코먼웰스 시대까지 주화를 생산했다.[28] 1/2센타보와 일반 발행 1페소 주화는 제외되었으며, 기념 1페소 주화는 1936년에 주조되었다.

1937년, 독수리와 방패를 형상화한 뒷면 디자인이 필리핀 코먼웰스의 국장으로 변경되었지만, "미국 연합(United States of America)"이라는 문구는 유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으로 인해 1942년부터 1943년까지는 주화가 주조되지 않았다. 주조는 코먼웰스 시대 마지막으로 1944년에서 1945년 사이에 재개되었다. 주화는 1949년부터 1957년까지 센타보 단위의 소액권 지폐가 발행된 후 1958년에야 다시 발행되었다.[28]

1958년, 영어 주화 시리즈가 도입되어 청동 1센타보, 황동 5센타보, 니켈 황동 10센타보, 25센타보, 50센타보가 발행되었다. 20센타보는 단종되었다.[28]

1967년, 페소와 센타보가 각각 '피소'와 '센티모'로 개명된 필리피노어 주화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1센티모, 황동 5센티모, 니켈 황동 10, 25, 50센티모로 구성되었다. 1피소 주화는 1972년에 다시 도입되었다.[29]

1975년, 앙 바봉 리푸난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1센티모, 황동 5센티모, 니켈-구리 10센티모, 25센티모, 1피소와 순수 니켈 5피소 주화로 구성되었으며, 5피소 주화는 거의 유통되지 않았다.[30]

1983년, 동식물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1, 5, 10센티모, 황동 25센티모, 니켈-구리 50센티모, 1피소, 그리고 새로운 2피소 주화로 구성되었다.[31][32] 1991년부터 1994년까지 25센티모에서 2피소까지의 주화 크기가 개선된 동식물 시리즈에 따라 축소되었고, 새로운 니켈 황동 5피소 주화가 도입되었다.[31][32]

1995년, 신 디자인 주화 시리즈가 도입되어 1998년 1월 3일에 이전에 발행된 모든 주화 시리즈를 대체하고 폐지하였다. 처음에는 구리 도금 강철 1, 5, 10센티모, 황동 25센티모, 니켈-구리 1피소, 니켈 황동 5피소로 구성되었다. 2000년에는 이중금속 10피소 주화가 추가되었다. 2003년에는 25센티모와 1피소의 재질이 각각 황동 도금 강철과 니켈 도금 강철로 변경되었다.[31][32]

현행 시리즈는 2017년에 도입되었으며, 니켈 도금 강철 1, 5, 25센티모와 1, 5, 10피소로 구성된다. 2019년 12월에는 이중금속 도금 강철 20피소 주화가 도입되었고,[33] 둥근 강철 5피소 주화가 1피소와 10피소와 너무 비슷하다는 불만에 따라 수정된 9각형 5피소 주화가 발행되었다.

P0.25(~$0.005) 미만의 주화는 여전히 발행되고 있지만, 점점 불편함으로 여겨지고 있다. 1페소 미만의 모든 주화를 회수하고 폐지하자는 제안은 정부와 중앙은행(BSP)에 의해 거부되었다.[34]

신세대 주화 시리즈
가치앞면뒷면지름무게두께재질가장자리앞면뒷면도입
1센티모15 mm1.90 g1.54 mm니켈 도금 강철평평"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세 개의 별과 태양(필리핀 국기의 양식화된 표현); 금액; 주조 연도; 주조 표시망코노/Xanthostemon verdugonianus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2018년 3월 26일
5센티모16 mm2.20 g1.60 mm톱니카팔-카팔 바깅/Hoya pubicalyxmul[35];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25센티모20 mm3.60 g1.65 mm평평캇몬/Dillenia philippinensis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1피소23 mm6.00 g2.05 mm분절(평평 및 톱니 가장자리)"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호세 리살 초상화; 금액; 주조 연도; 주조 표시왈링-왈링/Vanda sanderiana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2018년 3월 26일
5피소25 mm7.40 g2.20 mm평평"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초상화; 금액;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미세 인쇄; 주조 연도; 주조 표시타야박/Strongylodon macrobotrys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미세 인쇄2017년 11월 30일
5피소 (구각형 모양)25 mm7.40 g2.20 mm2019년 12월 17일
10피소27 mm8.00 g2.05 mm"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이탤릭체로 새겨진 가장자리"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초상화; 금액;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미세 인쇄; 주조 연도; 주조 표시카파-카파/Medinilla magnifica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미세 인쇄; 미세 점2018년 3월 26일
20피소30 mm11.50 g2.10 mm테두리: 청동 도금 강철; 중앙: 니켈 도금 강철여섯 각도에 "BSP"가 새겨진 평평한 가장자리테두리: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중앙: 마누엘 케손 초상화; 금액; "필리핀 공화국(Republika ng Pilipinas)" 미세 인쇄; 주조 연도; 주조 표시닐라드/Scyphiphora hydrophylaceamul; 필리핀 중앙은행 로고; 말라카냥궁;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미세 인쇄2019년 12월 17일


3. 2. 지폐

필리핀 페소 지폐는 1852년 ''엘 방코 에스파뇰 필리피노 데 이사벨 2세''(현재 필리핀 국립은행) 명의로 10, 25, 50, 200 페소 후에르테권이 처음 발행되었다. 1903년 미국 식민지 통치기관인 도서정부는 은증권을 발행했고, 1908년 필리핀 국립은행 지폐, 1916년 필리핀 국립은행 지폐, 1918년 필리핀 재무부의 재무증권이 추가되었다. 1946년 필리핀 독립 이후에는 재무증권만 법정통화로 남았다.

미-필리핀 행정부 하에 발행된 모든 지폐는 16 x 6.6 cm 크기였으며, 이는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필리핀 총독의 제안으로 도입되었다.[36] 태프트 대통령은 미국의 지폐 크기를 필리핀 크기로 변경하는 것의 장점을 보고한 위원회를 임명했고,[36] 1928년부터 미국 달러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 지폐와 필리핀 지폐의 크기는 거의 동일해졌다.

1949년 필리핀 중앙은행은 지폐 발행을 인수했고, 1951년 영어 시리즈 지폐를 발행했다.[28] 1967년 '''필리피노 시리즈'''에서 필리핀어(타갈로그어)를 채택했고,[29] 1973년 앙 바공 리푸난 시리즈가 도입되었다.[30]

1985년 필리핀 중앙은행은 '''신 디자인 시리즈'''를 발행하며 1987년 500페소 지폐, 1991년 1000페소 지폐, 2002년 200페소 지폐를 추가 발행했다.[37] 신 디자인 시리즈는 1993년 '''BSP 시리즈'''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2010년 신권 시리즈로 교체되었다.[38][39][40][41] 신 디자인/BSP 시리즈 지폐는 2016년 1월 1일부터 법정통화가 아니었고, 2018년 1월 3일에 화폐가 폐지되었다.[38][41]

필리핀 중앙은행은 2007년 신권(NGC) 프로젝트를 통해 보안 기능을 강화하고 내구성을 개선한 신권 시리즈를 2010년 12월 16일 발행했다.[42][43] 새 지폐는 유명 필리핀인과 상징적인 자연 경관을 특징으로 하며, 바이바인으로 "Pilipino"를 표기했다.[44] 500페소 지폐 뒷면의 푸에르토프린세사 지하강과 1000페소 지폐의 투바타하 암초 위치 오류 등 여러 오류가 발견되었으나, 이는 잉크 인쇄의 색상 제한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45][46][47] 2016년에는 100페소 지폐의 색상이 더 강한 보라색으로 수정되었다.[49]

2019년, 20페소 지폐를 대체할 20페소 동전이 도입되었고,[50][51] 2022년 4월 18일부터 1000페소 지폐가 폴리머 지폐로 교체되었다.[68]

현재 유통되는 지폐는 2010년에 발행된 1000, 500, 200, 100, 50, 20페소권이다. 1985년 발행된 구권은 2017년 4월 1일부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액면가앞면 도안뒷면 도안
100페소마누엘 아쿠냐 록사스필리핀 중앙은행 청사
500페소베니그노 아키노1986년 필리핀 피플파워를 포함한 베니그노 아키노의 일생을 담은 그림들.[70][71][72]
1000페소호세 아바드 산토스계단식 논


3. 3. 기념 화폐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은 필리핀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 지폐를 발행한다.[53] 일반적인 기념 방식은 유통되는 지폐의 워터마크 영역에 기념 오버프린트를 추가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고액권의 특별히 인쇄된 기념 비유통 지폐도 있다.

  • 2,000페소: 필리핀 독립 선언 100주년(Philippine Centennial|Centennial of Declaration of Philippine Independence), 1998년
  • 100,000페소: 필리핀 독립 선언 100주년(Philippine Centennial|Centennial of Declaration of Philippine Independence), 1998년
  • 5,000페소: 2021년 필리핀 500주년 기념(2021 Quincentennial Commemorations in the Philippines)

4. 통화 정책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 BSP)은 1993년 7월 3일에 설립되어 1949년 설립된 이전의 필리핀 중앙은행을 계승하였다.[54] [55] BSP의 주요 통화정책 목표는 "균형 있고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에 유리한 낮고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을 유지하는 것"이다.[54] [55]

BSP는 이 목표를 물가 목표제를 통해 달성한다. 물가 목표제는 물가 목표치를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BSP가 2년의 기간 동안 통화정책 수단을 사용하여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약속하는 통화정책 접근 방식이다.

통화정책 수단은 다음과 같다.


  • BSP가 은행으로부터 차입하는 정책 금리 조정
  • BSP가 유동성을 증가(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정부 증권 및 BSP 증권을 매입(또는 매각)하는 공개시장조작
  • 유동성 흡수를 위한 기간 예금 제공
  • 필요에 따라 은행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상시 유동성 공급 시설
  • 대출 가능한 유동성을 감소(또는 증가)시키기 위한 은행 지급준비율 증가(또는 감소)


목표치를 초과하는 물가 상승률 전망은 정책 금리 인상, 지급준비율 인상, 또는 정부 증권 매각을 통해 유동성을 감소시켜 물가 상승률을 목표치로 낮추는 긴축 통화정책으로 대응한다. 경제적 비관론으로 인한 낮은 물가 상승률에 대응하기 위한 확장적 통화정책은 정책 금리 인하, 지급준비율 인하, 또는 정부 증권 매입과 같은 반대 조치를 포함한다.

5. 환율

1946년부터 1962년까지 필리핀 페소(₱)의 공식 환율은 미국 달러(U.S. dollar)에 대해 ₱2였으나, 1962년에는 ₱3.90, 1970년에는 ₱6.43으로 평가절하되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암시장 환율은 거의 항상 공식 환율보다 높았다.[56]

이후 여러 차례의 평가절하가 있었다. 1983년 변동환율제 하에서 ₱11.25였던 페소는 1984년 달러당 ₱18까지 거래되었고, 1986년에는 ₱21까지 되었다.[56] 1990년대 초 페소는 다시 ₱28까지 평가절하되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1997년 7월 ₱26이었던 페소는 1998년 ₱45, 2001년에는 약 ₱50까지 평가절하되었지만, 2007년에는 ₱41까지 가치가 상승했다.

2010년대에는 2012년 ₱40까지 가치가 상승했지만, 2018년에는 ₱54/$까지 평가절하되었다. COVID-19 범유행 중에는 2021년 ₱47까지 가치가 상승했으나, 2022년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경제적 영향으로 인해 사상 최저치인 달러당 ₱59.203까지 평가절하되었다.

과거와 같은 암시장 환율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공식 환율은 정치적 고려 사항이 아닌 기본적인 수요와 공급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6. 최근 이슈

6. 1. 화폐 오류

2005년,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의 성이 "Arrovo"로 잘못 인쇄된 100페소 지폐 약 7800만 장이 인쇄되어 유통될 예정이었다. 200만 장이 유통된 후에야 오류가 발견되었고,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조사를 명령했다.[57][58][59]

2010년 신세대 화폐 시리즈(New Generation Currency Series)에 과학적 이름이 잘못 인쇄된 문제는 2017년 개정판에서 수정되었다.

2017년 12월, 마누엘 아로요(Manuel A. Roxas)의 초상이 없고 100이라는 금액 표시도 없는 100페소 지폐가 발행되었다. 페이스북 게시물은 24,000회 이상 공유되었다.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이 지폐들이 드문 인쇄 오류 때문이라고 밝혔다.[60][61]

6. 2. 1페소 동전 사기

2006년 8월, 1페소 동전이 1UAE 디르함(United Arab Emirates dirham) 동전과 크기가 같다는 사실이 공개적으로 알려졌다.[62] 2010년 기준으로 1페소는 0.08디르함에 불과하여 UAE에서 자동판매기 사기(자동판매기 사기)가 발생했다.

6. 3. 가짜 화폐

2017년, 호세 리살의 소설 모험과 불운(Noli Me Tángere) 디자인을 뒷면에 새긴 1971년 주조 추정 1페소 동전이 최대 ₱1,000,000에 판매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3] 동전 소지자는 ''카푸소 모, 제시카 소호''에서 인터뷰를 했지만,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해당 디자인의 동전을 발행한 적이 없으며 동전이 유통되는 동전보다 얇아 조작 가능성을 언급했다.[63]

2018년 6월, 라몬 마그사이사이 대통령 초상화가 앞면에, 물소와 피나투보 산이 뒷면에 있는 ₱10,000 지폐 사진이 페이스북에 게시되었다.[64]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은 해당 지폐를 발행한 적이 없으며, 현재 유통 중인 지폐는 6가지 종류(20, 50, 100, 200, 500, 1,000 페소)뿐이라고 강조했다.[64] 필리핀 중앙은행은 해당 지폐가 위조지폐이며, 서명 또한 전 필리핀 중앙은행 총재 아만도 테탕코 주니어의 것이라고 밝혔다.[64] 조사 결과, 해당 사진은 도서관의 책에서 위조된 1만 페소 지폐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의 사진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6. 4. 접힌 지폐 논란

2022년 7월, 한 페이스북 사용자가 약간 접힌 1,000페소 지폐(₱1,000) (폴리머 재질) 사진을 게시하고 SM 슈퍼몰(SM Supermalls)에서 접혔다는 이유로 거부당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65] 사용자는 1,000페소 폴리머 지폐를 접지 말라고 대중에게 경고했다.[65] 페이스북과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나중에 접힌 폴리머 지폐도 받는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65][66][67]

참조

[1] 웹사이트 Consumer Price Index and Inflation Rate https://psa.gov.ph/p[...] 2023-11-23
[2] 웹사이트 Executive orders and proclamations issued by the governor-general. [1903] https://quod.lib.umi[...] University of Michigan 1903
[3]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BSP http://www.bsp.gov.p[...] 2013-10-01
[4] 웹사이트 BSP launches design contest for new https://web.archive.[...] CNN Philippines 2021-06-12
[5]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 BSP Notes and Coins – History of Philippine Money http://www.bsp.gov.p[...]
[6] 서적 Report of the Philippine commission to the President, January 31, 1900, page 142-149, Part IX: The Currency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The Silver Way' Explains How the Old Mexican Dollar Changed the World https://nationalinte[...] 2017-04-30
[8] 웹사이트 Coinage of the Pre-Hispanic Era http://www.bsp.gov.p[...] 2013-10-13
[9] 서적 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1493: Uncovering the New World Columbus Create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11] 웹사이트 The philippine currency system during the american colonial period Transformation from the gold exchange standard to the dollar exchange standard https://www.research[...]
[12] 뉴스 Dirhams to philippine peso al ansari today (AED/PHP) https://www.financeu[...] 2020-12-19
[13] 서적 Modern Currency Reforms; A History and Discussion of Recent Currency Reforms in India, Porto Rico, Philippine Islands, Straits Settlements and Mexico https://books.google[...] Macmillan
[14] 웹사이트 Silver Salvage in Caballo Bay: Japan's Sabotaged Treasure Hunt https://warfarehisto[...] Warfare History Network 2022-03-15
[15]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265 https://www.official[...] 2015-02-06
[16] 웹사이트 p 33 Appendix of "BSP Working Paper Series No. 2008-02 – Adjustments in the Face of Peso Volatility: Perspective from the Past and Policy Directions http://www.bsp.gov.p[...]
[17]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 About the Bank – History https://web.archive.[...] 2019-04-21
[18] 웹사이트 XE Currency Converter; XAU to PHP http://www.xe.com/uc[...] 2015-02-06
[19] 웹사이트 History of Philippine Currency – Demonetized Coin Series http://www.bsp.gov.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2016-02-02
[20] 웹사이트 Commerce http://corporaprojec[...] 3NS Corpora Project 2016-02-02
[21] 웹사이트 Bulan ni Balagtas http://planet.naga.p[...] Planet Naga 2016-02-02
[22] 웹사이트 sentabo http://www.binisaya.[...] Binisaya.com, English to Binisaya – Cebuano Dictionary and Thesaurus. 2011-08-27
[23] 웹사이트 Cebuano Study Notes http://www.learningc[...] LearningCebuano.com 2016-02-02
[24] 웹사이트 Pagsorolaten i' Cuyonon https://bisarangcuyo[...] Bisarang Cuyonon: The Official Language of Palawan 2016-02-02
[25] 서적 Let's Speak Ilokano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6] 논문 Zamboangueño Creole Spanish http://aboutphilippi[...]
[27] 서적 Learn Filipino the Easy Way: For Foreigners & Non-Tagalog Speakers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28]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Demonetized Coins and Notes https://www.bsp.gov.[...]
[29]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Demonetized Coins and Notes https://www.bsp.gov.[...]
[30]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Demonetized Coins and Notes https://www.bsp.gov.[...]
[31]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Demonetized Coins and Notes https://www.bsp.gov.[...]
[32]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Demonetized Coins and Notes https://www.bsp.gov.[...]
[33] 웹사이트 Bangko Sentral to create P20 coin http://www.rappler.c[...] 2019-07-17
[34] 웹사이트 Scrapping lower-valued coins unfair to consumers https://www.gmanetwo[...] 2008-12-04
[35] Youtube The Philippine New Generation Currency (NGC) Coin Series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8-03-26
[36] 서적 Standard Guide to Small-Size U.S. Paper Money - 1928-Date https://books.google[...] Penguin 2009-09-21
[37]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Demonetized Coins and Notes https://www.bsp.gov.[...]
[38] 뉴스 BSP to accommodate select individuals to exchange old peso bills on January 3 https://www.gmanetwo[...] GMA News 2017-12-28
[39] 뉴스 Still hanging on to your old peso bills? Read this http://www.abs-cbnne[...] ABS-CBNnews.com 2014-12-29
[40] 간행물 BSP Extends the Period for the Exchange or Replacement of New Design Series Banknotes at Par with the New Generation Currency Banknotes http://www.bsp.gov.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2016-12-28
[41] 간행물 BSP extends deadline for the exchange/replacement of old note series (NDS) at par with the new note series (NGC) until 30 June 2017 http://www.bsp.gov.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2017-03-30
[42] 웹사이트 The Bangko Sentral ng Pilipinas’ New Generation Currency Notes: Safeguarding the Integrity of the Philippine Currency https://www.bsp.gov.[...] Bsp.gov.ph
[43] 웹사이트 The New Generation Currency Program of the Philippines (Bangko Sentral ng Pilipinas) http://www.bsp.gov.p[...] Bsp.gov.ph 2010-03-26
[44] 뉴스 Cory, Ninoy together again on new 500-peso bill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12-16
[45] 뉴스 Errors found on new peso bills http://www.abs-cbnne[...] ABS-CBN News and Current Affairs 2010-12-19
[46] 뉴스 Error-filled peso bills spark uproar http://newsinfo.inq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0-12-20
[47] 뉴스 The peso's makeover from an insider's view https://web.archive.[...]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1-01-01
[48] 웹사이트 Philippine Money – Peso Coins and Banknotes: Error in Scientific Names on New Generation Banknotes http://philmoney.blo[...]
[49] 뉴스 BSP releases new P100 bills http://business.inqu[...] business.inquirer.net 2016-02
[50] 뉴스 BSP releases new design for 5-peso coin and introduces 20-peso coin https://news.abs-cbn[...] GMA News 2019-12-17
[51] 뉴스 BSP explains why P20 bill is missing from new 'enhanced' banknotes https://www.gmanetwo[...]
[52] 웹사이트 New polymer banknotes coming in 2025 https://business.inq[...] 2024-12-05
[53]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Commemorative Currency https://www.bsp.gov.[...]
[54]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About the Bank https://www.bsp.gov.[...]
[55]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Price Stability https://www.bsp.gov.[...]
[56] 뉴스 Philippine Peso Devalued 11 To A US Dollar https://news.google.[...] 1983-06-23
[57] 뉴스 'Arrovo' bills to be replaced; firm to pay cost http://globalnation.[...] Philippine Daily Inquirer 2006-10-10
[58] 웹사이트 Typo drives up peso's 'worth' –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mobile.abc.ne[...] 2005-12-20
[59] 웹사이트 Philippine Money – Peso Coins and Banknotes: Banknote Error – "Arrovo" on 100 Peso Banknote http://philmoney.blo[...]
[60] 뉴스 'Faceless' bills due to 'rare misprint,' Bangko Sentral says http://news.abs-cbn.[...] ABS-CBN News
[61] 뉴스 Philippines bank left red-faced over 'faceless' notes https://web.archive.[...]
[62] 뉴스 Hey presto! A Peso's as good as a Dirham http://gulfnews.com/[...] gulfnews.com 2006-08-01
[63] 비디오 Kapuso Mo, Jessica Soho: Isang milyong piso kapalit ng 1971 piso? https://www.youtube.[...] GMA Public Affairs 2017-08-21
[64] 뉴스 Bangko Sentral warns against fake ₱10,000 bill https://web.archive.[...]
[65] 웹사이트 BSP: OK to fold new P1,000 bills https://newsinfo.inq[...] 2022-07-13
[66] 웹사이트 Social media post on rejected P1,000 polymer banknote goes viral https://newsinfo.inq[...] 2022-07-11
[67] 웹사이트 SM Supermalls -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circulating... https://www.facebook[...]
[68] 웹사이트 Bangko Sentral ng Pilipinas Coins And Notes - Polymer Banknotes https://www.bsp.gov.[...]
[69] 이미지 아키노가 새겨진 500페소 앞˙뒷면 https://ko.wikipedia[...]
[70] 이미지 뒷면의 도안이 된, 필리핀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당시 군인에게 구걸하는 필리핀 소년의 사진 http://xiaochua.file[...]
[71] 웹사이트 필리핀 피플 파워: 목격의 역사 http://propagandapho[...]
[72] 문서 500이라고 크게 쓰여진 좌측의 숫자를 기준하여 좌측 상단에서 시계방향으로, "필리핀의 여러 민족과 계층의 단합을 상징하는 5명의 인물"→"중앙 월계수잎 위에 크게 그려진 [[피플 파워 혁명|1986년 필리핀 피플 파워]] ([http://xiaochua.files.wordpress.com/2013/02/41-nararamdaman-mong-kapatid-mo-ang-kapwa-mo-pilipino.jpg?w=500 뒷면의 도안이 된, 필리핀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당시 군인에게 구걸하는 필리핀 소년의 사진]), ([http://propagandaphotos.wordpress.com/2011/10/22/people-power-an-eyewitness-history/ 필리핀 피플 파워: 목격의 역사])"→"Study now Pay later 프로그램"→"타를라크(tarlac) 타운홀 전경"→"타를라크 주 국회의사당 전경"→"월계수 잎"→"{{llang|en|[https://en.wikipedia.org/wiki/1st_Cavalry_Division_(United_States) 1st Cav라는 약칭으로 쓰여진 미국 육군 제1 기병 사단]}}의 활약상이 쓰여져 있는 신문을 배경으로, 마닐라타임즈의 기자로 재직하고 있는 아키노의 사진(좌측 하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