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플라고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플라고니아는 흑해 남쪽에 위치한 고대 지역으로, 현재 터키 북부에 해당한다. 지리적으로는 험준한 산악 지형과 비옥한 계곡을 모두 포함하며,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인 시노프를 비롯한 여러 도시가 존재했다. 파플라고니아는 히타이트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트로이 전쟁에도 참여했다. 이후 페르시아,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폰토스 왕국에 편입되었다가 로마 제국에 속하게 되었다. 로마와 비잔틴 제국 시대를 거치며 파플라고니아는 독립적인 주로 부활하기도 했다. 파플라고니아 출신으로 시노페의 디오게네스, 테오도라 황후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틴주의 역사 - 비티니아
    비티니아는 현재 튀르키예 북서부에 위치한 소아시아 북서부의 고대 지역으로, 산악 지형, 숲, 비옥한 해안으로 이루어져 니코메디아와 니케아 같은 도시가 번성했으며 독립 왕국을 거쳐 로마와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 카라뷔크주의 역사 - 잔다르 베이국
    잔다르 베이국은 1309년 셈세딘 야만에 의해 건국된 아나톨리아의 튀르크계 베이국으로, 흑해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팽창으로 15세기 후반 멸망했다.
파플라고니아
개요
위치아나톨리아 북중부, 튀르키예
존속 기간기원전 5세기 – 기원전 183년
역사적 수도강가라 (현재의 앙카라, 튀르키예)
아케메네스 제국 속주카파도키아
로마 제국 속주폰투스
지리
아나톨리아 내 파플라고니아 위치
아나톨리아 내 파플라고니아 위치
고대 아나톨리아 지역 내 파플라고니아
고대 아나톨리아 지역 내 파플라고니아
명칭
영어Paphlagonia
튀르키예어Paflagonya

2. 지리

파플라고니아는 대부분 험준한 산악 지형이지만, 비옥한 계곡을 품고 있어 개암, 자두, 벚나무, 배 등 과일이 풍부하게 생산된다. 산에는 빽빽한 숲이 우거져 있으며, 특히 회양목이 많이 자란다.[1]

2. 1. 주요 도시

파플라고니아 해안에는 일찍부터 그리스인들이 정착했다. 그 중 밀레투스 출신 식민지 개척자들이 기원전 630년경 세운 시노프는 번성한 도시였다. 아마스라는 파르테니우스 강 동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마케도니아 왕조 통치하에 중요해졌다. 삼순은 할리스 강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시노프의 식민지로, 모도시와 거의 경쟁할 정도로 성장했다.

내륙의 가장 중요한 도시로는 강그라가 있는데, 고대에는 파플라고니아 왕의 수도였으며, 후에 게르마니코폴리스로 불렸다. 강그라는 갈라티아의 경계 근처에 있었다. 폼페이오폴리스는 암니아스 강 계곡에 위치해 있었으며, 스트라보가 "산다라케"(적색 비소 또는 비소 황화물)라고 부른 광산이 근처에 있어, 시노프에서 대량으로 수출되었다.

3. 역사

히타이트 시대부터 비잔티움 제국 시대까지 파플라고니아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 '''고대''': 히타이트 시대에 카스카인이 거주했으며, 트로이 전쟁에 트로이 동맹으로 참전했다. 크로이소스에게 정복당하기도 했고, 크세르크세스 1세의 군대에 병력을 보내기도 했다.
  • '''폰토스 왕국 시대''': 마케도니아 지배를 받다가 알렉산더 대왕 사후 에우메네스에게 배정되었으나, 원주민 군주들이 통치하다 폰토스 왕국에 흡수되었다.
  • '''로마와 비잔티움 제국 시대''': 폼페이우스에 의해 해안 지역은 로마 속주 비티니아 에 폰투스에 통합되었지만, 내륙 지역은 토착 군주가 통치하다가 결국 로마 제국에 병합되었다. 이후 독립적인 주, 테마의 일부를 거쳐 다시 독립적인 주를 형성했다.

3. 1. 고대

히타이트 시대에 파플라고니아에는 카스카인들이 거주했는데, 이들이 파플라고니아인과 정확히 어떤 민족적 관계를 가졌는지는 불확실하다. 아마도 이들은 인도유럽어족의 아나톨리아어를 사용하는 이웃 국가 카파도키아 사람들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스트라보의 증언에 따르면, 이들의 언어는 독특했던 것으로 보인다.

파플라고니아 왕 필라이메네스 2세/3세 에우르게테스. 기원전 133년~103년경


파플라고니아인들은 아나톨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 중 하나였으며, 트로이 전쟁 (기원전 1200년 또는 기원전 1250년경)에서 트로이의 동맹국으로 언급되었다. 그들의 왕 필라이메네스와 그의 아들 하르팔리온은 이 전쟁에서 전사했다(''일리아스'', ii. 851–857). 호메로스와 리비우스에 따르면, 에네토이라고 불리는 파플라고니아인 집단이 혁명으로 인해 고국에서 추방되었다. 트로이 왕자 안테노르의 지도 아래 패배한 트로이인 집단과 함께 이들은 아드리아해 북쪽 해안으로 이주하여 토착 에우가네이와 합쳐져 정착한 지역에 베네치아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left

파플라고니아인들은 헤로도토스에 의해 크로이소스에게 정복당한 민족들 중 하나로 언급되었으며, 기원전 480년에 크세르크세스의 군대에 중요한 병력을 보냈다. 크세노폰은 그들이 이웃한 사트라프와 전혀 관련 없이 자체 군주에 의해 통치되었다고 말하는데, 이는 아마도 높은 산맥과 험난한 고개로 이루어진 그들의 나라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이 모든 통치자들은 일리아스에서 파플라고니아인들의 지도자로 등장하는 그 이름의 족장으로부터 혈통을 이어받았다고 주장하는 징표로 '필라이메네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3. 2. 폰토스 왕국 시대

이후 파플라고니아는 마케도니아 왕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알렉산더 대왕 사후에는 카파도키아미시아와 함께 에우메네스에게 배정되었다. 그러나 원주민 군주들이 계속 통치하다가 폰토스 왕국의 세력에 흡수되었다. 폰토스 왕조의 통치자들은 미트리다테스 1세 퀴스티스(기원전 302–266년) 통치 초기에 파플라고니아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파르나케스 1세가 고대 그리스 도시인 시노프를 지배하에 둔 것은 기원전 183년이 되어서였다. 그 이후, 이 지역 전체는 폰토스 왕국에 편입되어 미트리다테스 6세가 몰락할 때까지(기원전 65년) 유지되었다.

3. 3. 로마와 비잔티움 제국 시대

폼페이우스는 파플라고니아 해안 지역과 폰토스 대부분을 로마 속주인 비티니아 에 폰투스에 통합했지만, 토착 군주가 통치하는 내륙 지역은 왕조가 멸망하고 전체 국가가 로마 제국에 병합될 때까지 남겨두었다. 지리학자들은 파플라고니아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지만, 지리학자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는 그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았다. 파플라고니아는 서기 5세기에 독립적인 주로 다시 등장했다(히에로클레스, ''시네크데무스''). 7세기에는 옵시키온 테마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부켈라리안 테마의 일부가 되었다가, 약 820년에 분리되어 다시 독립적인 주를 형성했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 그리스인들은 파플라고니아인들을 특히 10세기에서 12세기에 걸쳐 사기꾼으로 폄하했다. 이 기간 동안, 궁정 내시와 같은 권력 요직에 파플라고니아인들이 많이 진출하면서 사회 전반에서 반발을 사기도 했다.[2]

4. 주요 인물


  • 아르톡사르스 (기원전 5세기): 페르시아의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다리우스 2세를 섬긴 환관이자 사절이었다.[1]
  • 시노페의 디오게네스 (기원전 4세기): 견유학 철학을 창시한 그리스 철학자 중 한 명이다.[2]
  • 알렉산더 (서기 105년 경 – 서기 170년 경): 파플라고니아의 알렉산더 또는 거짓 예언자 알렉산더라고도 불렸다.
  • 성 필라레토스 (8세기)
  • 테오도라 (9세기): 비잔틴 제국의 황제 테오필로스의 아내였다.
  • 요한 마우로포스 (11세기): 동로마 제국의 시인이자 작가였다.
  • 미카엘 4세 (서기 1010년 경 – 1041년): 비잔틴 제국의 황제였다.
  • 카르디아의 에우메네스: 트로이로 떠나 카르디아로 돌아가기 전까지 파플라고니아에 있었다.

참조

[1] 서적 Eustath. ad Horn. II. ii. 851, ad Dion. Per. 787; Steph. B. t.v.; Const. Porph. de Them. i. 7.
[2] 서적 The Greeks and Romans in the Black Sea and the Importance of the Pontic Region for the Graeco-Roman World (7th Century BC-5th Century AD): 20 Years On (1997–2017) Archaeopress Publishing Limit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