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인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타인잔은 1796년 베트남에서 태어난 인물로, 응우옌 왕조 시기 관리로 활동했다. 그는 1862년 제1차 사이공 조약 체결을 통해 프랑스와의 외교에 참여했지만, 조약의 내용으로 인해 비난을 받았다. 이후 프랑스 파견 사절단의 대표로 활동하며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를 만나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 반환을 요청했으나 실패했다. 청불 전쟁 발발 후, 항전을 피하고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을 프랑스에 넘겨준 뒤 자결했다. 그는 베트남의 굴욕적인 조약 체결과 프랑스 침략에 대한 책임, 그리고 자결을 통해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외교관 - 응우옌주
응우옌 주는 소여라는 자와 청헌이라는 아명을 가진 베트남의 문인이자 관료로, 레 왕조 대신의 아들로 태어나 과거 급제 후 응우옌 왕조에서 중용되었으며, 대표작으로 쯔옌 끼에우전과 《북행잡록》, 《남중잡음》 등의 작품을 남겼다. - 베트남의 외교관 - 판리엠
판리엠은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가 없는 대상이며, 추가 정보가 확인되면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 베트남의 문신 - 응우옌빈키엠
응우옌빈키엠은 16세기 베트남의 학자이자 예언가로서 관료 생활을 하다가 사임 후 제자를 양성했으며, 베트남 정치 분할에 영향을 미치고 많은 시를 남겼으며 사후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베트남의 문신 - 판리엠
판리엠은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가 없는 대상이며, 추가 정보가 확인되면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판타인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판타인잔 (Phan Thanh Giản) |
자(字) | 담 Như (Đạm Như) |
호(號) | Lương Khê (Lương Khê) |
출생일 | 1796년 11월 11일 |
출생지 | 비엔호아 바탄 마을 |
사망일 | 1867년 8월 4일 |
사망지 | 코친차이나, 베트남 |
주요 활동 | 사이공 조약 협상 프랑스 대사 총독 |
경력 | |
소속 | 응우옌 왕조 |
2. 생애
판타인잔은 1796년(까인흥 4년) 11월 11일, 벤쩨 성의 농촌에서 태어났다. 부계는 명향인/明鄉人중국어이라고 불리는 명청 교체기에 화남이나 화중에서 베트남으로 도망쳐 온 사람들, 모계는 베트남계이다. 조부 판탄입은 중국 푸젠성 장주부 하이청현 출신 이민자로, 명이 멸망하고 청이 푸젠성을 지배하게 되자 이민족의 지배를 싫어하여 빈딘 성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베트남 여성과 결혼하여 판탄잔의 아버지 판문언을 낳았으며[11], 어머니도 중월 혼혈이었다고 한다.[12][13]
명명 7년(1826년) 진사급제 이후 여러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지만, 명명 19년(1838년)에는 태원성의 광산으로 좌천되기도 했다.
뜨득 황제는 판탄잔을 중용하여 협판대학사 겸 병부상서 추밀대신에 임명했다. 판탄잔은 1856년 (뜨득 9년)에 칙명으로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중국어』을 편찬했다.
1858년 9월 1일경 프랑스 해군이 투란(다낭)을 포격하면서 시작된 코친차이나 원정/Cochinchina Campaign영어은 1861년에는 프랑스 해군이 메콩 삼각주 일대의 코친차이나(베트남 남부) 동부 3개 군을 지배하에 두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판탄잔은 이때 프랑스군 사령관 보나르/Louis Adolphe Bonard프랑스어와의 화의에서 베트남 전권 정사로 임명되었다. 부사는 럼위지엡/林維浹중국어이다. 프랑스군은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의 할양과 전쟁 배상금 400만 냥을 요구했고, 베트남 측은 이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이 1862년 (뜨득 15년)에 맺어진 "제1차 사이공 조약"은 민중들에게 매우 불평이 많았고, 판탄잔은 민중들에게 비난받았을 뿐만 아니라 뜨득 황제에게도 소외되었다.
뜨득 16년(1863년)에 뜨득 황제는 판탄잔을 프랑스에 파견하는 사절단의 대표로 임명했다. 파견 목적은 앞선 조약에서 양도한 땅을 되찾는 데 있었다. 사절단은 통역으로 탐험가 셰노/Jean-Baptiste Chaigneau영어의 아들, 미셸 덕 샤노(Michel Đức Chaigneau (1803-1894))를 동반했다.[14]
사절단은 그해 11월에 프랑스에 도착하여 판탄잔은 튀일리 궁전에서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와 그의 부인 외제니와 면회했다. 판탄잔은 황제와 그의 부인의 마음에 호소하는 작전에 나섰다. 유학자의 정장으로 두 사람에게 배알하고 삼궤구고두의 예를 다한 후에 애소했다. 동정을 유발당한 외제니는 눈물을 글썽였고, 나폴레옹 3세는 무방비한 보잘것없는 소국의 영토를 빼앗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위신은 없다고 느껴,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의 반환을 약속했다. 판탄잔의 협상은 빈틈없이 계산된 것이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후 프랑스 해군 대신 샤스루-로바/Prosper de Chasseloup-Laubat영어가 이 약속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1864년 (뜨득 17년) 6월에 나폴레옹 3세는 그 인가를 철회했다.
이 프랑스 파견 기간 동안 판탄잔은 프랑스에서의 산업 혁명을 목격하고 귀국 후 뜨득 황제에게 프랑스의 강대함은 말로 묘사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고 보고했다. 뜨득 황제는 이에 대해 충성을 다하면 맹호는 지나가고, 악어도 헤엄쳐 간다는 시로 답했다. 뜨득 황제는 더 나아가, 태연자약하면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라는 모호한 보증을 하고 판탄잔을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1867년 (뜨득 20년)에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현실주의자였던 판탄잔은 프랑스군과의 전면 충돌을 피했다.[15] 판탄잔은 오지 않을 중앙의 지령을 기다리는 자신의 부하 병사들에게 전투하지 말 것을 명령하고, 자신이 다스리는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을 프랑스군에게 넘겨주기로 했다. 판탄잔은 "프랑스가 두려운 것은 전쟁 때뿐이다, 베트남의 사대부, 인민은 프랑스의 통치하에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적고, 15일간 단식한 후, 죽음을 앞두고 아이들을 불러 프랑스에서의 영전 수여 제의가 있어도 거절하라고 명하고, 결코 벼슬하지 않고 일개 농민으로 살아가라고 유언한 후, 독약을 마시고 죽었다.
2. 1. 어린 시절
판탄잔은 1796년(까인흥 4년) 11월 11일, 벤쩨 성의 농촌에서 태어났다. 부계는 "명향인/明鄉人중국어"이라고 불리는 명청 교체기에 화남이나 화중에서 베트남으로 도망쳐 온 사람들, 모계는 베트남계이다. 조부 판탄입은 중국 푸젠성 장주부 하이청현 출신 이민자로, 명이 멸망하고 청이 푸젠성을 지배하게 되자 이민족의 지배를 싫어하여 빈딘 성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베트남 여성과 결혼하여 판탄잔의 아버지 판문언을 낳았으며[11], 어머니도 중월 혼혈이었다고 한다.[12][13] 판탄잔은 조선시대의 서얼과 비슷한 부류였다.2. 1. 1. 출생과 가계
판타인전은 1796년 (까인흥 4년) 11월 11일, 벤째 성 빈딘 근처의 시골 마을에서 태어났다.[11][12][13] 아버지는 중국계 이주민의 자손인 판타인응안(Phan Thanh Ngạn)이고, 어머니는 럼티붓(Lâm Thị Bút)이다. 그의 선조는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서자, 이에 반대하여 베트남으로 이주한 중국인이었다.그의 조부 판타인떱(Phan Thanh Tập)은 중국 푸젠성 장저우의 하이청(현대 룽하이시 근처) 출신으로, 청나라의 통치에 반대하여 18세기 초 가족 및 친척들과 함께 베트남으로 이주하여 빈딘 성 호이 중 마을에 정착했다. 판타인떱 대까지는 순혈 중국인이었으며, 베트남에 정착한 후 베트남 여성 후인 티 응옥과 결혼하여 아버지 판타인응안을 낳았다. 아버지 판타인응안은 군인 출신으로 응우옌 푹아인 휘하의 수군에서 복무하다가 말단 관료를 역임했다. 어머니 럼티붓 역시 중국에서 망명한 복건성 출신 망명객의 후손으로, 중국계 혼혈인과 베트남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이었다.[12][13]

2. 1. 2. 소년기와 청년기
1802년 어머니 럼티붓이 사망하자 아버지 판타인응안은 쩐티즈엉(Trần Thị Dưỡng)과 재혼하였고, 그는 계모에 의해 양육되었다.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하였으며 응우옌반노아 사원(Nguyễn Văn Noa)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1815년 아버지 판타인응안은 관료로 재직 중 상관과의 불화로 투옥당하기도 했다. 판타인전은 아버지를 위로하려 빌롱의 감옥을 방문하여 역사 등에 대한 것을 들려주었다. 응우옌 반 노아 사원에서 수학할 때는, 아버지를 자주 보기 위해 원거리 통학을 감내하고 아버지가 수감된 감옥 근처로 이주하여 통학하였다. 이때 그는 한 여성을 만났고, 소년을 딱하게 여겼던 이 여성은 그에게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해주었다.
그 뒤 정통 관료로 활동하던 중 1825년에는 남부 베트남의 코친차이나에서 이학 학사가 되고, 1826년에는 처음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 2. 관리 생활

판타인잔은 1796년 (까인흥 4년) 11월 11일, 벤쩨 성의 농촌에서 태어났다. 명청 교체기에 베트남으로 이주해 온 중국인(명향인)과 베트남계 여성 사이에서 태어났다.[11][12][13] 명명 7년(1826년) 진사급제 이후 여러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지만, 명명 19년(1838년)에는 태원성의 광산으로 좌천되기도 했다.
여러 벼슬을 거쳐 응우엔 왕조 민망제 응우옌 푹 담 즉위 초 진사시에 합격하고, 남부 성의 과학담당 교수로 파견되었다. 1840년 트어티엔후에성(承天順化省)의 학교 교육담당 부관, 1847년 성도(省都)의 검찰 부총장 등을 역임하고, 황제를 가까이에서 보좌하는 자문관이 직위에 기용되었다. 이때 민망제의 신임을 얻어 그는 빠른 속도로 승진하여 관리 중 2번째 서열까지 올랐으며, 황제의 자문관이 되었다. 그러나 유교 윤리를 철저히 따르며, 황제에게 제국법령과 관행이 지니고 있는 결함과 단점을 조목조목 지적해 민망 황제의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민망제는 그의 직위를 박탈하고 강등시켰다가 병사로 종군케 하여 중부 베트남 꽝남 성(廣南省)의 하급 병사로 전투에 참여하게 했다. 그러나 그는 저항하거나 반발하지 않고, 전투나 도적 진압 시 전방의 최전선에 나가 용기와 규율의 모범을 보였다. 이러한 행동으로 상관이나 동료들로부터 존경과 신망을 얻게 되었으며, 민망제는 그를 복직시키고 다시 조정으로 불러들였다. 민망제 사후에도 솔선수범과 성실성을 인정받아 그는 계속 조정의 고위직에 유임되었다.
뜨득 황제는 판탄잔을 중용하여 협판대학사 겸 병부상서 추밀대신에 임명했다. 판탄잔은 1856년 (뜨득 9년)에 칙명으로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중국어』을 편찬했다.
1858년 9월 1일경 프랑스 해군이 투란(다낭)을 포격하면서 시작된 코친차이나 원정/Cochinchina Campaign영어은 1861년에는 프랑스 해군이 메콩 삼각주 일대의 코친차이나(베트남 남부) 동부 3개 군을 지배하에 두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판탄잔은 이때 프랑스군 사령관 보나르/Louis Adolphe Bonard프랑스어와의 화의에서 베트남 전권 정사로 임명되었다. 부사는 럼위지엡/林維浹중국어이다. 프랑스군은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의 할양과 전쟁 배상금 400만 냥을 요구했고, 베트남 측은 이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뜨득제 즉위 초 대남의 담임 협판 대학사 겸 병부상서, 추밀원 대신을 지냈다.
에스파냐, 프랑스의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한 선교 이후 유교적 가치관과 제사를 거부하자 여기에 분노한 베트남 황제들은 기독교를 박해하는 정책을 폈다. 그러나 프랑스 선교사의 연락을 받은 프랑스 정부가 개입하면서 프랑스는 베트남 남부에 침입하였다. 사이공을 함락시킨 뒤 사이공 근처 미토와 저딘 지역을 함락시키고 계속해서 세력을 넓혔다. 판타인전은 처음에 결사 항전을 주장하였다.
1862년 프랑스 에스파냐연합군은 비엔호아, 빈롱 등을 점령했다. 그러나 각지에서는 민란이 발생하였고 후에조정은 통킹 지방의 반란으로 남부에 충분한 지원을 못하고 결국 프랑스에 밀리게 된다. 이때 그는 민란에 대한 강경 진압을 건의하였다. 이어 베트남에 침입한 프랑스군에 대해서는 항전을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과는 관계 없이 조정은 먼저 내란을 먼저 평정하기 위해 프랑스와 협상을 결정한다.
1862년 5월 그는 대남 황제의 전권을 위임받은 전권대신단의 한사람이 되어 럼주이히엡(Lâm Duy Hiệp)등 베트남 대표단과 함께 프랑스 보나르제독 일행과 면담, 사이공의 프랑스 군함 위에서 협상하여 1862년 6월 5일 제1차 사이공 조약을 체결한다. 판타인전은 프랑스가 더 이상 베트남 영역으로 진출하지 않기를 바라며 저딘, 비엔호아과 딘뜨엉(지금의 미토) 꼰다오 제도을 할양해주었다. 이는 근대 베트남 최초의 불평등 조약이자 굴욕적인 조약으로 기록된다.[6][1]
{{인용문|
# 가톨릭 포교의 자유 인정
# 베트남 남동부의 3개주 꼰다오 제도을 프랑스의 속령으로 할양할 것
# 다낭, 발랏, 꽝옌등 3개 항구의 프랑스와 스페인에게 개항하는 것}}
이 1862년 (뜨득 15년)에 맺어진 "제1차 사이공 조약"은 민중들에게 매우 불평이 많았고, 판탄잔은 민중들에게 비난받았을 뿐만 아니라 뜨득 황제에게도 소외되었다. 동부 3성은 당시 베트남 남동부의 비옥한 곡창지대로, 조약은 국내의 반발을 샀고 협상자의 한사람인 판타인전과 럼주이히엡은 매국노로 비난받게 된다.[6]
뜨득 16년(1863년)에 뜨득 황제는 판탄잔을 프랑스에 파견하는 사절단의 대표로 임명했다. 파견 목적은 앞선 조약에서 양도한 땅을 되찾는 데 있었다. 사절단은 통역으로 탐험가 셰노/Jean-Baptiste Chaigneau영어의 아들, 미셸 덕 샤노(Michel Đức Chaigneau (1803-1894))를 동반했다.[14]
1863년 뜨득제는 사이공 조약에 불만을 품고 동부 3성 반환 교섭을 위해 사절단을 파견했지만 실패했다.[3]
1864년 황제는 비준에 앞서 조약에 불만을 품고 동부 3성 반환 교섭 사절을 프랑스와 에스파냐에 파견했지만 거절함으로써 실패한다. 그는 베트남 서부 3성의 태수로 파견되었다.
보나르 제독은 베트남 대남에 체류하며 대남 황실을 압력하는 한편 동부 3성을 간접 통치하는데, 서부 3성에 근거를 둔 반란이 계속되었다. 그는 제1차 사이공 조약 당시 서부 3성에 야욕을 품지 않는다는 조건을 제시했으나 1863년 프랑스의 속국으로 삼은 캄보디아와 베트남 동부 3성 사이의 서부 3성이 거추장스러워하여 서부 3성에 대한 식민지화를 계획한다.
사절단은 그해 11월에 프랑스에 도착하여 판탄잔은 튀일리 궁전에서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와 그의 부인 외제니와 면회했다. 판탄잔은 황제와 그의 부인의 마음에 호소하는 작전에 나섰다. 유학자의 정장으로 두 사람에게 배알하고 삼궤구고두의 예를 다한 후에 애소했다. 동정을 유발당한 외제니는 눈물을 글썽였고, 나폴레옹 3세는 무방비한 보잘것없는 소국의 영토를 빼앗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위신은 없다고 느껴,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의 반환을 약속했다. 판탄잔의 협상은 빈틈없이 계산된 것이었던 것 같다.
그해 11월, 판타인잔은 팜푸트(Phạm Phú Thứ), 응우이칵단(Ngụy Khắc Đản)과 함께 프랑스 사절단으로 파리를 방문, 나폴레옹 3세를 영접했다.[3] 판타인잔은 3성 반환을 요구했고, 나폴레옹 3세는 베트남에 대한 야욕은 없으나 사이공, 저딘, 미토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베트남이 프랑스의 군사적 보호하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프랑스 해군 대신 샤스루-로바/Prosper de Chasseloup-Laubat영어가 이 약속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1864년 (뜨득 17년) 6월에 나폴레옹 3세는 그 인가를 철회했다.
이 프랑스 파견 기간 동안 판탄잔은 프랑스에서의 산업 혁명을 목격하고 귀국 후 뜨득 황제에게 프랑스의 강대함은 말로 묘사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고 보고했다. 뜨득 황제는 이에 대해 충성을 다하면 맹호는 지나가고, 악어도 헤엄쳐 간다는 시로 답했다. 뜨득 황제는 더 나아가, 태연자약하면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라는 모호한 보증을 하고 판탄잔을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프랑스 체류 중 판타인잔은 사절단과 함께 프랑스를 시찰하며 산업 혁명의 결과물인 증기 기관차, 증기선 등 신기술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6] 귀국 후 뜨득제에게 프랑스의 신기술과 신문물에 대해 설명했으나, 뜨득제는 도덕, 인의, 윤리의 힘으로 프랑스군을 격퇴할 수 있다며 오히려 판타인잔을 책망했다.[6]
1863년 판타인전은 프랑스에게 베트남 식민화를 위한 노력을 중단하고, 동부 3개성을 반환하는 대신 베트남 완조 조정은 사이공·미토·무이붕터우 부근에 교역지를 두고 프랑스에 매년 조공을 바치며, 남부 베트남 전체를 프랑스의 보호령화하는 조약을 맺자고 제안했다.[3] 뜨득제는 이 중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불만을 느껴 베트남에 유리하게 조항을 수정했지만 프랑스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1864년에 조약이 체결되었다.
1865년 프랑스는 원래의 조약내용만을 인정하겠다고 선언했다. 판타인전은 자신의 계획이 실패했으며 결과적으로 국민을 배반하게 되었다고 낙담했다. 1865년 판타인전은 남기경략사(南圻經略使)에 임명되어 파견되고 서부 3성(빈롱, 안정, 하띠엔)에의 태수를 겸임하였다.
1867년 (뜨득 20년)에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현실주의자였던 판탄잔은 프랑스군과의 전면 충돌을 피했다.[15] 판탄잔은 오지 않을 중앙의 지령을 기다리는 자신의 부하 병사들에게 전투하지 말 것을 명령하고, 자신이 다스리는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을 프랑스군에게 넘겨주기로 했다.
1867년 보나르는 베트남 현지인을 고용하여 간접통치 형식을 빌었으나 바로 동부 3성을 직접통치 형태로 바꾸고 후에 조정에 반란이 종식되지 않으면 서부 3성을 무력 점령할 것이라고 통보한다.[6] 그 뒤 프랑스군이 서부 3성을 점령하게 되자 서부 3성의 통치 책임자였던 판타인잔은 항전을 결행하였다.
전쟁에 앞서 빈롱 성에서 며칠간 단식을 하였으며, 항전을 계속하였으나 전황이 불리했고 그 역시 이미 유럽 여행과 프랑스인과의 접촉으로 어우주에 맞서는 것이 소용없음을 알고 있었다.
판탄잔은 "프랑스가 두려운 것은 전쟁 때뿐이다, 베트남의 사대부, 인민은 프랑스의 통치하에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적고, 15일간 단식한 후, 죽음을 앞두고 아이들을 불러 프랑스에서의 영전 수여 제의가 있어도 거절하라고 명하고, 결코 벼슬하지 않고 일개 농민으로 살아가라고 유언한 후, 독약을 마시고 죽었다.
1867년 8월 4일 베트남 빈롱 성에서 독약을 먹고 자결하였다.[6] 이때 그는 부관들과 자손들에게 프랑스가 도덕적 정당성도 없이 무력을 사용하는 데 항의하는 것과 자녀들과 양인들에게 협력하지 말라는 것, 어우주의 병기의 위력이 대단하니 저항했다가는 학살만 부를 뿐이라며 저항하지 말라고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부관들과 그의 자손들은 꾸준히 반프랑스 민족 해방 운동에 가담하며 저항하였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 향년 72세였다.
2. 2. 1. 관료 생활 초반
여러 벼슬을 거쳐 응우엔 왕조 민망제 응우옌 푹 담 즉위 초 진사시에 합격하고, 남부 성의 과학담당 교수로 파견되었다. 1840년 트어티엔후에성(承天順化省)의 학교 교육담당 부관, 1847년 성도(省都)의 검찰 부총장 등을 역임하고, 황제를 가까이에서 보좌하는 자문관이 직위에 기용되었다. 이때 민망제의 신임을 얻어 그는 빠른 속도로 승진하여 관리 중 2번째 서열까지 올랐으며, 황제의 자문관이 되었다. 그러나 유교 윤리를 철저히 따르며, 황제에게 제국법령과 관행이 지니고 있는 결함과 단점을 조목조목 지적해 민망 황제의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민망제는 그의 직위를 박탈하고 강등시켰다가 병사로 종군케 하여 중부 베트남 꽝남 성(廣南省)의 하급 병사로 전투에 참여하게 했다. 그러나 그는 저항하거나 반발하지 않고, 전투나 도적 진압 시 전방의 최전선에 나가 용기와 규율의 모범을 보였다. 이러한 행동으로 상관이나 동료들로부터 존경과 신망을 얻게 되었으며, 민망제는 그를 복직시키고 다시 조정으로 불러들였다. 민망제 사후에도 솔선수범과 성실성을 인정받아 그는 계속 조정의 고위직에 유임되었다.
2. 2. 2. 프랑스와 제1차 사이공 조약 체결
뜨득제 즉위 초 대남의 담임 협판 대학사 겸 병부상서, 추밀원 대신을 지냈다.에스파냐, 프랑스의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한 선교 이후 유교적 가치관과 제사를 거부하자 여기에 분노한 베트남 황제들은 기독교를 박해하는 정책을 폈다. 그러나 프랑스 선교사의 연락을 받은 프랑스 정부가 개입하면서 프랑스는 베트남 남부에 침입하였다. 사이공을 함락시킨 뒤 사이공 근처 미토와 저딘 지역을 함락시키고 계속해서 세력을 넓혔다. 판타인전은 처음에 결사 항전을 주장하였다.
1862년 프랑스 에스파냐연합군은 비엔호아, 빈롱 등을 점령했다. 그러나 각지에서는 민란이 발생하였고 후에조정은 통킹 지방의 반란으로 남부에 충분한 지원을 못하고 결국 프랑스에 밀리게 된다. 이때 그는 민란에 대한 강경 진압을 건의하였다. 이어 베트남에 침입한 프랑스군에 대해서는 항전을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과는 관계 없이 조정은 먼저 내란을 먼저 평정하기 위해 프랑스와 협상을 결정한다.
1862년 5월 그는 대남 황제의 전권을 위임받은 전권대신단의 한사람이 되어 럼주이히엡(Lâm Duy Hiệp)등 베트남 대표단과 함께 프랑스 보나르제독 일행과 면담, 사이공의 프랑스 군함 위에서 협상하여 1862년 6월 5일 제1차 사이공 조약을 체결한다. 판타인전은 프랑스가 더 이상 베트남 영역으로 진출하지 않기를 바라며 저딘, 비엔호아과 딘뜨엉(지금의 미토) 꼰다오 제도을 할양해주었다. 이는 근대 베트남 최초의 불평등 조약이자 굴욕적인 조약으로 기록된다.[6][1]
{{인용문|
# 가톨릭 포교의 자유 인정
# 베트남 남동부의 3개주 꼰다오 제도을 프랑스의 속령으로 할양할 것
# 다낭, 발랏, 꽝옌등 3개 항구의 프랑스와 스페인에게 개항하는 것}}
동부 3성은 당시 베트남 남동부의 비옥한 곡창지대로, 조약은 국내의 반발을 샀고 협상자의 한사람인 판타인전과 럼주이히엡은 매국노로 비난받게 된다.[6] 1864년 황제는 비준에 앞서 조약에 불만을 품고 동부 3성 반환 교섭 사절을 프랑스와 에스파냐에 파견했지만 거절함으로써 실패한다. 그는 베트남 서부 3성의 태수로 파견되었다.
보나르 제독은 베트남 대남에 체류하며 대남 황실을 압력하는 한편 동부 3성을 간접 통치하는데, 서부 3성에 근거를 둔 반란이 계속되었다. 그는 제1차 사이공 조약 당시 서부 3성에 야욕을 품지 않는다는 조건을 제시했으나 1863년 프랑스의 속국으로 삼은 캄보디아와 베트남 동부 3성 사이의 서부 3성이 거추장스러워하여 서부 3성에 대한 식민지화를 계획한다.
2. 2. 3. 프랑스 방문과 신문물 목격
1863년 뜨득제는 사이공 조약에 불만을 품고 동부 3성 반환 교섭을 위해 사절단을 파견했지만 실패했다.[3]그해 11월, 판타인잔은 팜푸트(Phạm Phú Thứ), 응우이칵단(Ngụy Khắc Đản)과 함께 프랑스 사절단으로 파리를 방문, 나폴레옹 3세를 영접했다.[3] 판타인잔은 3성 반환을 요구했고, 나폴레옹 3세는 베트남에 대한 야욕은 없으나 사이공, 저딘, 미토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베트남이 프랑스의 군사적 보호하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프랑스 법무대신 프로스페르 드 샤슬루프 로바는 영토 반환에 강력히 반대했고, 나폴레옹 3세는 1864년 6월 재협상을 결정했다.[4]
프랑스 체류 중 판타인잔은 사절단과 함께 프랑스를 시찰하며 산업 혁명의 결과물인 증기 기관차, 증기선 등 신기술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6] 귀국 후 뜨득제에게 프랑스의 신기술과 신문물에 대해 설명했으나, 뜨득제는 도덕, 인의, 윤리의 힘으로 프랑스군을 격퇴할 수 있다며 오히려 판타인잔을 책망했다.[6]
2. 2. 4. 제2차 조약 실패
1863년 판타인전은 프랑스에게 베트남 식민화를 위한 노력을 중단하고, 동부 3개성을 반환하는 대신 베트남 완조 조정은 사이공·미토·무이붕터우 부근에 교역지를 두고 프랑스에 매년 조공을 바치며, 남부 베트남 전체를 프랑스의 보호령화하는 조약을 맺자고 제안했다.[3] 뜨득제는 이 중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불만을 느껴 베트남에 유리하게 조항을 수정했지만 프랑스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1864년에 조약이 체결되었다.1865년 프랑스는 원래의 조약내용만을 인정하겠다고 선언했다. 판타인전은 자신의 계획이 실패했으며 결과적으로 국민을 배반하게 되었다고 낙담했다. 1865년 판타인전은 남기경략사(南圻經略使)에 임명되어 파견되고 서부 3성(빈롱, 안정, 하띠엔)에의 태수를 겸임하였다.
2. 2. 5. 항전과 자결
1867년 보나르는 베트남 현지인을 고용하여 간접통치 형식을 빌었으나 바로 동부 3성을 직접통치 형태로 바꾸고 후에 조정에 반란이 종식되지 않으면 서부 3성을 무력 점령할 것이라고 통보한다.[6] 그 뒤 프랑스군이 서부 3성을 점령하게 되자 서부 3성의 통치 책임자였던 판타인잔은 항전을 결행하였다.전쟁에 앞서 빈롱 성에서 며칠간 단식을 하였으며, 항전을 계속하였으나 전황이 불리했고 그 역시 이미 유럽 여행과 프랑스인과의 접촉으로 어우주에 맞서는 것이 소용없음을 알고 있었다.
1867년 8월 4일 베트남 빈롱 성에서 독약을 먹고 자결하였다.[6] 이때 그는 부관들과 자손들에게 프랑스가 도덕적 정당성도 없이 무력을 사용하는 데 항의하는 것과 자녀들과 양인들에게 협력하지 말라는 것, 어우주의 병기의 위력이 대단하니 저항했다가는 학살만 부를 뿐이라며 저항하지 말라고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부관들과 그의 자손들은 꾸준히 반프랑스 민족 해방 운동에 가담하며 저항하였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 향년 72세였다.
2. 3. 사후
하노이에 사당이 건립되었다.[10] 그는 1862년 체결된 제1차 사이공 조약의 체결 책임자로서 매국노로 낙인찍힐 뻔했으나, 코친차이나 서부 3성의 함락 직전 책임을 통감하고 자결로 자신의 뜻을 보임으로써 영웅으로 추앙되었다. 이로써 안남국은 코친차이나 6성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그의 자결은 반프랑스 독립운동가들을 자극했고 베트남 독립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아들 판타인똔(Phan Thanh Tôn, 1837 - 1893), 판타인리엠(1833 - 1896) 등은 프랑스에 저항하는 운동에 동참하였다.1867년 (뜨득 20년)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현실주의자였던 판탄잔은 프랑스군과의 전면 충돌을 피했다.[15] 판탄잔은 중앙의 지령을 기다리는 부하 병사들에게 전투하지 말 것을 명령하고, 자신이 다스리는 코친차이나 동부 3개 군을 프랑스군에게 넘겨주기로 했다. 판탄잔은 "프랑스가 두려운 것은 전쟁 때뿐이다, 베트남의 사대부, 인민은 프랑스의 통치하에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적고, 15일간 단식한 후, 아이들에게 프랑스에서의 영전 수여 제의가 있어도 거절하고 농민으로 살아가라고 유언한 후, 독약을 마시고 죽었다.
요즘, 판탄잔은 베트남 남부 일부 지역에서 작은 신으로 숭배받고 있다.[10]
3. 저서 및 편저
판타인잔은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 시문집인 양계시초(梁溪詩草), 양계문초(梁溪文草), 약부시집(藥夫詩集), 사청시집(使淸詩集), 사정시집(使程詩集), 문초보유(文草補遺), 와유집(臥遊集), 기행문인 여서사정일기(如西使程日記)를 저술하였다. 또한, 역조헌장류지(歷朝憲章類志)를 편저하고, 대남실록(大南實錄)을 공저하였으며, 민망지요(明命志要)를 편저하였다.
4. 평가와 비판
서부 3성의 함락 직전 책임을 통감하고 자결로 자신의 뜻을 보임으로써 책임감과 소신을 보였다는 평가가 있다.[10] 그러나 프랑스의 침략을 가속화했다는 비판도 있다.[10] 폐쇄적인 쇄국정책과 보수주의 가치관, 유교의 정치·윤리 원칙 등에 대한 집착으로 프랑스가 베트남을 정복하는데 기여했다는 것이다.[10] 또한 저항하지 않고 매국 조약을 체결했다는 비판도 있다.[10]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보면, 판타인잔의 생애와 업적은 복잡하고 다면적인 평가를 필요로 한다. 그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국가와 민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자 노력했지만, 시대적 한계와 개인적 판단 착오로 인해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그의 외교적 노력은 일부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결국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막지 못했다. 그의 죽음은 베트남 민족의 저항 의지를 고취시키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그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5. 기타
1862년 프랑스 정부와 베트남 조정 사이에 체결된 제1차 사이공 조약이 성사되자 프랑스 정부의 추천을 받고 조약 성사의 공로로 프랑스의 황제 나폴레옹 3세로부터 레종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 이것은 제1차 사이공 조약 체결 이후 베트남인들의 인식 악화를 초래하였다.
참조
[1]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2]
서적
https://books.google[...]
[3]
서적
https://books.google[...]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The Twenty-five Year Century
https://books.google[...]
[6]
간행물
https://archive.org/[...]
[7]
문서
[8]
문서
[9]
웹사이트
Nguyễn Dynasty famous scholar, high ranking mandarin - Phan Thanh Giản
https://cand.com.vn/[...]
2022-01-10
[10]
웹사이트
Bến Tre with historical character Phan Thanh Giản
https://baodongkhoi.[...]
2022-01-11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서적
https://books.google[...]
[15]
서적
The Twenty-five Year Century
https://books.google[...]
[16]
서적
중국유학의 남방 전파
계명대학교출판부
[17]
서적
중국유학의 남방 전파
계명대학교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