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렌케로 크리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렌케로 크리올은 17세기부터 스페인어와 마룬 활동의 혼합으로 형성된 언어이다.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남쪽에 위치한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스페인어와 아프리카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크리올어이다. 20세기 초에는 팔렌케로와 스페인어를 이중 언어로 사용하는 주민들이 있었으나, 21세기에는 스페인어의 사용 증가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언어 복원 노력이 이루어져, 문화적 자부심을 높이고 교육 시스템에 팔렌케로를 도입하는 등 여러 노력을 통해 언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팔렌케로는 문법적 성이 없고, 복수 표시는 'ma' 입자를 사용하며, 약 300개의 아프리카 기원 단어를 포함하는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롬비아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콜롬비아의 언어 - 케추아어족
케추아어족은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교착어적 특징의 어족으로, 잉카 제국의 공용어였으며 현재 약 700만 명의 화자가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등지에서 사용하고 있고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다. - 스페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스팽글리시
스팽글리시는 스페인어와 영어의 혼합으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으로, 주로 히스패닉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사용되며, 사용자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예술 분야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 스페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하포뇰
하포뇰은 일본어, 오키나와 방언, 스페인어의 단어와 문법이 혼합된 언어로, 주로 중남미 지역 일본계 이민자 커뮤니티에서 사용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팔렌케로 크리올 | |
---|---|
개요 | |
![]() | |
언어 이름 | 팔렌케로 |
고유 이름 | 렝구아 (Lengua) |
국가 | 콜롬비아 |
민족 | 6,637명 (2018년) |
사용자 수 | 2,788명 (2005년) |
사용 지역 |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 |
언어 계통 | 크리올 |
어족 | 스페인어 크리올 |
문자 | 라틴 문자(스페인어 알파벳) |
언어 코드 | |
ISO 639-3 | pln |
Glottolog | pale1260 |
LinguaFile | 51-AAC-bc |
2. 역사
팔렌케로는 17세기부터 스페인어의 희석과 마룬 활동의 증가와 함께 형성되기 시작했다.[7] 카르타헤나의 노예 무역 시대 기록은 팔렌케로가 진화한 혼성어를 암시하며, 알론소 데 산도발 신부의 ''De Instauranda Aethiopum Salute (1627)''에는 아프리카 노예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는 '스페인어의 부패'에 대한 언급이 있다.[7] 그러나 팔렌케로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1772년까지 인쇄물에 언급되지 않았다.[7]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는 팔렌케로가 기원한 마을로, 벤코스 비오호의 지도 아래 탈출한 노예들이 카르타헤나 남쪽에 형성했다.[6] 이들은 식민주의에 저항하며 자신들만의 언어를 발전시켰다. 20세기 초, 주민들은 팔렌케로와 스페인어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 언어 구사자로 언급되었다.[8]
21세기 들어 팔렌케로는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고, 스페인어가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의 일반적인 언어가 되었다. 주민의 약 53%는 팔렌케로를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설탕 및 바나나 농장 설립, 파나마 운하나 마그달레나 주로의 일자리 이동,[6] 표준 스페인어 교육 시스템 도입,[9] 아프리카계 민족에 대한 인종 차별[10] 등이 쇠퇴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문화적 저항의 유산으로 팔렌케로는 17세기 초부터 살아남았다.[11] 안토니오 세르반테스(키드 팜벨레)의 1972년 세계 주니어 웰터급 챔피언십 우승,[9] 2005년 유엔의 구술 및 인류무형문화유산 걸작 선언,[9] 1992년부터 팔렌케 데 산 바실리오 교육 시스템의 팔렌케로 재도입[9] 등은 팔렌케로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1. 팔렌케어의 기원과 형성
팔렌케로의 형성은 17세기부터 스페인어의 희석과 마룬 활동의 증가와 함께 기록되었다.[7] 카르타헤나의 노예 무역 시대의 기록은 팔렌케로가 진화한 혼성어를 암시한다. 알론소 데 산도발 신부가 작성한 인류학 텍스트 ''De Instauranda Aethiopum Salute (1627)''에서 그는 아프리카 노예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는 '스페인어의 부패'에 대해 언급했다.[7] 팔렌케로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1772년까지 인쇄물에 언급되지 않았다.[7]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는 팔렌케로가 기원한 마을이자 21세기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곳이다. 이 마을은 17세기 초, 벤코스 비오호의 지도 아래 주변 지역에서 탈출한 도망 노예들에 의해 카르타헤나 남쪽에 형성되었다.[6] 스페인어의 소멸은 마룬족이 무장 요새 지역에 정착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팔렌케로족은 식민주의에 저항하는 형태로 유럽인과의 물리적 거리를 유지했지만, 원주민 여성들과의 혼인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주로 자신들의 아프리카 언어와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를 발전시켰다.
20세기 초, 이 지역 주민들은 팔렌케로와 스페인어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 언어 구사자로 언급되었다. 1913년 문서에는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 주민들이 '어떤 사람들은 매우 아프리카적인 언어라고 믿는, 비록 순수한 형태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약간의 변형을 가진' 구개 방언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8]
2. 2.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는 팔렌케로가 기원한 마을이자 21세기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곳이다.이 마을은 17세기 초, 벤코스 비오호의 지도 아래 주변 지역에서 탈출한 도망 노예들에 의해 카르타헤나 남쪽에 형성되었다.[6] 스페인어의 소멸은 마룬족이 무장 요새 지역에 정착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팔렌케로족은 식민주의에 저항하는 형태로 유럽인과의 물리적 거리를 유지했지만, 원주민 여성들과의 혼인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주로 자신들의 아프리카 언어와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를 발전시켰다.
20세기 초, 이 지역 주민들은 팔렌케로와 스페인어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 언어 구사자로 언급되었다. 1913년 문서에는 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 주민들이 '어떤 사람들은 매우 아프리카적인 언어라고 믿는, 비록 순수한 형태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약간의 변형을 가진' 구개 방언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8]
2. 3. 쇠퇴와 소멸 위기
21세기 들어 거의 20년 동안 팔렌케로는 위기 언어로 분류되어 왔다. 스페인어와 함께 쓰이지만, 스페인어가 팔렌케 데 산 바실리오의 일반적인 언어 활동을 지배하고 있다. 주민의 약 53%는 팔렌케로를 말할 수 없다.팔렌케로가 쇠퇴한 데에는 설탕 및 바나나 농장의 설립이 영향을 미쳤다. 많은 원주민이 파나마 운하나 마그달레나 주에서 일자리를 찾기 위해 마을을 떠났다.[6] 이들은 그곳에서 다른 언어들과 접촉하게 되었다. 20세기에는 표준 스페인어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스페인어가 넓은 지역에서 통용되는 규범적인 언어가 되었고, 팔렌케로는 종종 비판과 조롱을 받았다.[9]
아프리카계 민족에 대한 인종 차별 또한 팔렌케로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 일부 부모들은 자녀에게 이 언어를 가르치는 것을 편안하게 느끼지 않았다.[10]
2. 4. 언어 복원 노력
문화적 저항의 유산을 지닌 팔렌케로는 수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7세기 초부터 살아남았다. 최근 몇 년 동안 학자들과 활동가들은 팔렌케로의 교육과 사용을 장려했으며, 원어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11]안토니오 세르반테스(키드 팜벨레)가 1972년 세계 주니어 웰터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팔렌케로에 대한 자부심이 커졌고, 2005년에는 팔렌케가 유엔에 의해 구술 및 인류무형문화유산 걸작으로 선언되면서 팔렌케로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1992년부터는 팔렌케 데 산 바실리오의 교육 시스템에 팔렌케로가 다시 도입되어 교육 과정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팔렌케로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2. 4. 1. 안토니오 세르반테스 (키드 팜벨레)
안토니오 세르반테스(일명 키드 팜벨레)는 팔렌케 데 산 바실리오 출신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권투 선수이다. 1972년 세계 주니어 웰터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지역 주민들은 마을과 언어로서의 팔렌케로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팔렌케 데 산 바실리오는 많은 언론인과 정치인들의 관심을 끌었으며,[9] 이는 지속적인 문화적, 외국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2. 4. 2.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005년, 팔렌케는 유엔에 의해 구술 및 인류무형문화유산 걸작으로 선언되었다. 이러한 인정은 팔렌케로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9] 영화, 다큐멘터리, 음악 축제는 지역 사회에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유형의 문화 프로그램은 그렇지 않았다면 팔렌케로에 관심이 없었을 콜롬비아 청소년들에게 성공적으로 어필했다.2. 4. 3. 학술적 관심과 교육
1992년부터 팔렌케 데 산 바실리오의 교육 시스템은 팔렌케로를 교육 과정에 다시 도입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유치원에서 팔렌케로를 배우기 시작해 진학하면서 계속해서 팔렌케로를 배웠다. 부모와 조부모는 집에서 이 언어를 사용하도록 권장되었으며, 성인을 위한 강좌도 개설되었다. 언어와 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완비된 문화 센터가 건설되었다.[9]또한, 학술 연구, 컨퍼런스, 활동가 운동으로 인해 팔렌케로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팔렌케어를 계속해서 다음 세대에 전수하려는 새로운 열정이 생겨났다.
3. 언어적 특징
팔렌케로 크리올은 다른 크리올어와 마찬가지로 문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휘 또한 아프리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받았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는 문법은 굴절 형태론이 거의 없고, 문법적 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복수 표시는 ''mapln'' 입자로 표시하고, 2보다 큰 기수에서는 생략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스페인어와 유사하지만 다른 4개의 서술사가 존재한다.[14]
어휘는 약 300개의 아프리카 기원 단어가 확인되었으며, 대부분 키콩고어에서 유래되었다.[16] 식물, 동물, 곤충, 풍경 등의 이름에 많이 사용되며,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단어도 일부 존재한다.
3. 1. 문법
다른 여러 크리올어와 마찬가지로, 팔렌케로 문법은 굴절 형태론이 부족하다. 명사, 형용사, 동사 및 한정사는 거의 항상 불변한다.[12]팔렌케로 크리올에는 문법적 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복수 표시는 입자 ''mapln''로 표시하고, 2보다 큰 기수에서는 생략된다. 팔렌케로에는 네 개의 서술사가 있다.[14]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수 | 인칭 | 주격 | 출처 |
---|---|---|---|
단수 | 1인칭 | ípln | 불확실 |
yopln | yoes | ||
2인칭 | bo | voses | |
3인칭 | elepln | elees | |
복수 | 1인칭 | sutopln | nosotroses |
2인칭 | uterepln | ustedeses | |
enupln (구식) | 아프리카 기원 | ||
3인칭 | anépln | 반투 기원 |
3. 1. 1. 성 (Gender)
팔렌케로 크리올에는 문법적 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스페인어에서 파생된 형용사는 남성형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언어'는 lengua africanopln라고 표현한다.[12]3. 1. 2. 복수 (Plurality)
복수 표시는 입자 ma|마pln로 표시된다. (예: ma posá|마 포사pln는 "집들"이다). 이 입자는 반투어인 키콩고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팔렌케로에 존재하는 유일한 키콩고어 파생 굴절이다.[13] 팔렌케로의 젊은 화자들은 이전 화자들보다 복수를 위해 ma|마pln를 더 많이 사용한다.이 입자는 일반적으로 2보다 큰 기수에서는 생략된다. ma ndo baka|마 은도 바카pln는 "두 마리의 소"이지만, tresi año|트레시 아뇨pln는 "13년"이다.[12]
3. 1. 3. 대명사 (Pronoun)
복수 표시는 입자 ''mapln''로 표시된다. (예: ''ma posápln''는 "집들"이다). 이 입자는 반투어인 키콩고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팔렌케로에 존재하는 유일한 키콩고어 파생 굴절이다.[13] 팔렌케로의 젊은 화자들은 이전 화자들보다 복수를 위해 ''mapln''를 더 많이 사용한다.이 입자는 일반적으로 2보다 큰 기수에서는 생략된다. ''ma ndo bakapln''는 "두 마리의 소"이지만, ''tresi añopln''는 "13년"이다.[12]
수 | 인칭 | 주격 | 출처 |
---|---|---|---|
단수 | 1인칭 | ípln | 불확실 |
yopln | yoes | ||
2인칭 | bo | voses | |
3인칭 | elepln | elees | |
복수 | 1인칭 | sutopln | nosotroses |
2인칭 | uterepln | ustedeses | |
enupln (구식) | 아프리카 기원 | ||
3인칭 | anépln | 반투 기원 |
3. 1. 4. 동사 (Verb)
팔렌케로에는 네 개의 서술사가 있다: ''epln'', ''tapln'', ''juepln'', ''sendapln''. ''Epln''는 스페인어의 ''ser''에 대략적으로 해당하며 영구적인 상태에 사용되고, ''tapln''는 일시적인 상태와 장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스페인어 ''estar''와 유사하다. ''Juepln''는 명사의 서술사로 사용되며, ''sendapln''는 영구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서술적 명사와 형용사에서만 발견된다.[14]예시:[15]
- Bopln '''épln''' mamá mí nupln (너는 내 엄마가 아니다)
- Mujé mípln '''juepln''' negra i yopln '''juepln''' negropln (내 아내는 검고, 나는 검다)
- I tanpln '''sendápln''' dotópln (나는 의사가 될 것이다)
- Ese mujépln '''tapln''' ngolopln (저 여자는 뚱뚱하다)
3. 2. 어휘
팔렌케로에는 약 300개의 아프리카 기원 단어가 확인되었으며[16], 이 중 다수는 키콩고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Moñino와 Schwegler의 "Palenque, Cartagena y Afro-Caribe: historia y lengua"(2002)에서 포괄적인 목록과 어원을 확인할 수 있다. 아프리카 기원의 많은 단어들은 식물, 동물, 곤충, 풍경의 이름을 포함한다.[6] 다른 소수의 단어들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예: mai '어머니'; ten '가지다'; ele '그/그녀'; bae '가다').''팔렌케어 | 스페인어 | 영어 |
---|---|---|
burú | dinero | 돈 |
ngombe | ganado | 가축 |
ngubá | cacahuete | 땅콩 |
posá | casa | 집 |
tambore | tambor | 드럼 |
mai | madre | 어머니 |
bumbilo | basura | 쓰레기 |
chepa | ropa | 의류 |
chitiá | hablar | 말하다 |
ngaina | gallina | 닭 |
tabaco | tabaco | 담배 |
hemano | hermano | 형제 |
onde | donde | 어디 |
pueta | puerta | 문 |
ngolo | gordo | 뚱뚱한 |
flo | flor | 꽃 |
moná | niño | 어린이 |
ceddo | cerdo | 돼지 |
cateyano | castellano | 스페인어 |
foratero | forastero | 외부인 |
kusa | cosa | 것, 물건 |
cuagro | barrio | 이웃 |
4. 샘플 텍스트
팔렌케로 | 스페인어 |
---|---|
Tatá suto lo que ta riba cielo, santificaro sendá nombre si, miní a reino sí, asé ño voluntá sí, aí tiela cumo a cielo. Nda suto agué pan ri to ma ría, peddona ma fata suto, asina cumo suto a se peddoná, lo que se fatá suto. Nu rejá sujo caí andí tentación nu, librá suto ri má. Amén. | Padre nuestro que estás en el cielo, santificado sea tu nombre. Venga a nosotros tu Reino. Hágase tu voluntad, así en la tierra como en el cielo. Danos hoy nuestro pan de cada día. perdona nuestras ofensas, como también nosotros perdonamos a los que nos ofenden. no nos dejes caer en la tentación, y líbranos del mal. Amén. |
참조
[1]
문서
Title 1, Article 10
http://confinder.ric[...]
2011-09-27
[2]
간행물
Población Negra, Afrocolombiana, Raizal y Palenquera: Resultados del Censo Nacional de Población y Vivienda 2018
https://www.dane.gov[...]
DANE
2019-11-06
[3]
간행물
Palenqueros, descendientes de la insurgencia anticolonial
http://www.mincultur[...]
2010
[4]
학술지
Palenquero Origins: A Tale of More than Two Languages
2020
[5]
뉴스
San Basilio de Palenque Journal - A Language, Not Quite Spanish, With African Echoes - NYTimes.com
https://www.nytimes.[...]
2007-10-18
[6]
학술지
Palenquero: A Spanish-based creole of northern Colombia
1970-01
[7]
학술지
La época de formación de la lengua de Palenque: Datos históricos y lingüísticos
http://ref.scielo.or[...]
2011
[8]
학술지
Palenquero vs. Spanish negation: Separate but equal?
http://dx.doi.org/10[...]
2018
[9]
학술지
Free at Last: From Bound Morpheme to Discourse Marker in Lengua ri Palenge (Palenquero Creole Spanish)
https://muse.jhu.edu[...]
2012
[10]
학술지
Palenque: historia libertaria, cultura y tradición.
2008
[11]
학술지
What you hear is (not always) what you get: Subjects and verbs among receptive Palenquero-Spanish bilinguals
https://www.jbe-plat[...]
2020-06-03
[12]
웹사이트
Palenquero
https://www.staff.nc[...]
[13]
서적
Linguistic Simplicity and Complexity: Why Do Languages Undres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6-30
[14]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9-05
[15]
서적
Palenque, Cartagena y Afro-Caribe: historia y lengua
Walter de Gruyter
2002-01-01
[16]
서적
Palenque, Cartagena y Afro-Caribe: historia y lengua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