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양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럴림픽 양궁은 패럴림픽에서 진행되는 양궁 종목으로, 1960년 로마 하계 패럴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20년 하계 패럴림픽까지 총 16번의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영국이 금메달 21개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6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15개로 종합 3위를 기록하며 양궁 강국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2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로는 파올라 판타토, 자흐라 네마티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이화숙 선수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로 최다 메달 획득 선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장애인 스포츠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상이군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의 관리하에 일반 농구와 유사하지만 휠체어 사용에 맞춘 규칙과 클래스 분류를 적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골볼
골볼은 제2차 세계대전 시각 장애 참전 용사 재활을 위해 개발된 시각 장애인 스포츠로, 방울이 든 공을 이용해 상대 골대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 주관 하에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패럴림픽 양궁 | |
---|---|
패럴림픽 양궁 | |
![]() | |
스포츠 | 양궁 |
장애 유형 | 신체 |
첫 개최 | 1960년 |
관할 기관 | 세계 양궁 연맹 |
패럴림픽 | 패럴림픽 |
2. 역대 대회
패럴림픽 양궁은 1960년 로마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회수 | 년도 | 경기 수 | 우승국 |
---|---|---|---|
1 | 1960 | 8 | 미국 |
2 | 1964 | 12 | 미국 |
3 | 1968 | 13 | 미국 |
4 | 1972 | 12 | 서독 |
5 | 1976 | 18 | 프랑스 |
6 | 1980 | 15 | 서독 |
7 | 1984 | 18 | 프랑스 |
8 | 1988 | 9 | 대한민국 |
9 | 1992 | 7 | 이탈리아 |
10 | 1996 | 8 | 폴란드 |
11 | 2000 | 7 | 이탈리아 |
12 | 2004 | 7 | 영국 |
13 | 2008 | 9 | 중국 |
14 | 2012 | 9 | 러시아 |
15 | 2016 | 9 | 영국 |
16 | 2020 | 9 | 중국 |
2. 1. 메달 집계
2020년 하계 패럴림픽까지의 역대 패럴림픽 양궁 메달 집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6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15개로 종합 3위를 기록하고 있다.[1]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영국 | 21 | 24 | 23 | 68 |
2 | 미국 | 20 | 8 | 16 | 44 |
3 | 대한민국 | 16 | 11 | 15 | 42 |
4 | 프랑스 | 16 | 11 | 12 | 39 |
5 | 서독 | 15 | 9 | 8 | 32 |
6 | 중국 | 14 | 9 | 7 | 30 |
7 | 이탈리아 | 8 | 13 | 12 | 33 |
8 | 남아프리카 공화국 | 6 | 4 | 1 | 11 |
9 | 이란 | 6 | 3 | 3 | 12 |
10 | 일본 | 5 | 12 | 9 | 26 |
11 | 스웨덴 | 5 | 5 | 3 | 13 |
12 | 벨기에 | 4 | 6 | 2 | 12 |
13 | 핀란드 | 4 | 5 | 3 | 12 |
14 | 로디지아 | 4 | 0 | 0 | 4 |
15 | 오스트레일리아 | 3 | 9 | 5 | 17 |
16 | 노르웨이 | 3 | 3 | 3 | 9 |
17 | 오스트리아 | 3 | 2 | 1 | 6 |
18 | 체코 | 3 | 5 | 3 | 11 |
19 | 캐나다 | 3 | 0 | 2 | 5 |
20 | 네덜란드 | 2 | 9 | 3 | 14 |
21 | 폴란드 | 2 | 4 | 3 | 9 |
22 | 스위스 | 2 | 3 | 4 | 9 |
23 | 독일 | 2 | 1 | 3 | 6 |
24 | 러시아 | 2 | 1 | 2 | 5 |
25 | 덴마크 | 2 | 0 | 2 | 4 |
26 | 아일랜드 | 1 | 1 | 0 | 2 |
26 | 뉴질랜드 | 1 | 1 | 0 | 2 |
28 | 튀르키예 | 1 | 2 | 2 | 5 |
29 | 슬로바키아 | 1 | 0 | 3 | 4 |
30 | 멕시코 | 1 | 0 | 0 | 1 |
30 | 몽골 | 1 | 0 | 0 | 1 |
30 | 연합 | 1 | 0 | 0 | 1 |
30 | RPC | 1 | 0 | 2 | 3 |
34 | 스페인 | 0 | 3 | 0 | 3 |
34 | 태국 | 0 | 3 | 0 | 3 |
36 | 말레이시아 | 0 | 1 | 0 | 1 |
36 | 우크라이나 | 0 | 1 | 0 | 1 |
36 | 칠레 | 0 | 1 | 0 | 1 |
39 | 인도 | 0 | 0 | 1 | 1 |
40 | 차이니즈 타이페이 | 0 | 0 | 2 | 2 |
2. 2. 참가국
대한민국은 1972년 1972년 하이델베르크 하계 패럴림픽부터 양궁 종목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68년 대회에도 양궁 종목에 참가하였으나, 본격적으로는 1972년 대회부터 참가한 것으로 보인다.국가 | 참가 횟수 |
---|---|
대한민국 | 10 |
오스트레일리아 | 12 |
오스트리아 | 5 |
아제르바이잔 | 2 |
벨라루스 | 2 |
벨기에 | 10 |
브라질 | 2 |
캐나다 | 13 |
중국 | 4 |
중화 타이베이 | 4 |
콜롬비아 | 3 |
키프로스 | 2 |
체코 | 5 |
덴마크 | 9 |
이집트 | 1 |
핀란드 | 12 |
프랑스 | 15 |
조지아 | 1 |
독일 | 8 |
영국 | 15 |
그리스 | 5 |
과테말라 | 1 |
홍콩 | 8 |
헝가리 | 3 |
아이슬란드 | 1 |
인도 | 3 |
인도네시아 | 1 |
이란 | 4 |
이라크 | 1 |
아일랜드 | 8 |
이스라엘 | 5 |
이탈리아 | 14 |
자메이카 | 2 |
일본 | 13 |
카자흐스탄 | 1 |
케냐 | 1 |
라트비아 | 1 |
룩셈부르크 | 5 |
말레이시아 | 4 |
몰타 | 1 |
멕시코 | 6 |
몽골 | 5 |
네덜란드 | 11 |
뉴질랜드 | 7 |
노르웨이 | 10 |
폴란드 | 7 |
푸에르토리코 | 3 |
로디지아 | 3 |
러시아 | 2 |
싱가포르 | 1 |
슬로바키아 | 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6 |
스페인 | 12 |
스리랑카 | 2 |
스웨덴 | 14 |
스위스 | 14 |
태국 | 5 |
터키 | 3 |
우크라이나 | 6 |
통합 국가대표팀 | 1 |
미국 | 15 |
베네수엘라 | 1 |
서독 | 6 |
짐바브웨 | 1 |
2. 3. 다중 메달리스트
2020년 하계 패럴림픽까지의 정보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현역 선수는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선수 | 국적 | 년도 | 횟수 | 성별 | 금 | 은 | 동 | 합계 |
---|---|---|---|---|---|---|---|---|
파올라 판타토 | 이탈리아 | 1988-2004 | 5 | 여성 | 5 | 1 | 2 | 8 |
마가렛 해리먼 | 로디지아 | 1960-1964 | 2 | 여성 | 4 | 0 | 0 | 4 |
자흐라 네마티 | 이란 | 2012-2020 | 3 | 여성 | 3 | 1 | 1 | 5 |
아니타 채프먼 | 영국 | 1996-2004 | 3 | 여성 | 2 | 2 | 1 | 5 |
이화숙 | 대한민국 | 2008-2012 | 2 | 여성 | 2 | 1 | 0 | 3 |
오스카 데 페레그린 | 이탈리아 | 2000-2012 | 4 | 남성 | 2 | 0 | 2 | 4 |
다니엘레 브라운 | 영국 | 2008-2012 | 2 | 여성 | 2 | 0 | 0 | 2 |
대한민국은 패럴림픽 양궁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국가 중 하나이다. 특히, 여러 선수들이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양궁의 위상을 높였다.
3. 대한민국 패럴림픽 양궁
대한민국의 패럴림픽 양궁은 꾸준한 발전과 성장을 거듭해왔다. 장애인 선수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훈련, 그리고 정부와 관련 단체의 지원이 결합하여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는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장애인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패럴림픽 양궁 발전에 기여해왔다.
앞으로도 대한민국 패럴림픽 양궁은 더 많은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고,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